조규정
(Gyu-Jung Cho)
1
김지수
(Ji-Soo Kim)
1
송진솔
(Jin-Sol Song)
1
신재윤
(Jae-Yun Shin)
1
김동현
(Dong-Hyun Kim)
1
김철환
(Chul-Hwan Kim)
2†
-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Capacitor bank, Distributed generation, Hosting capacity, Inverter control, Step voltage regulator
1. 서론
커패시터 뱅크, 선로 전압조정기 (Step Voltage Regulator, SVR)는 전통적으로 역률개선 및 전압조정에 이용되는 전압조정 설비이다
(1,2). 또한,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 DG)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를 전체 발전량 대비 20% 까지 증가시키고자 하는 정책을 수립하였다
(3). 이처럼 분산전원이 전력계통에 광범위하게 설치될 수 있는 상황에서, 특히 계통 운영자가 새로운 전압조정 설비를 설치할 계획이라면 분산전원의 출력이나
무효전력 제어 특성이 각 설비의 위치나 동작 스케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설치될 분산전원의 수용용량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특성, 그리고 전압조정 설비들의 최적 운영 계획 및 설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분산전원과 전압조정 설비들의 최적 배치와 관련된 다수의 문헌들이 존재한다
(4-9). 많은 연구자들이 분산전원의 용량이나 위치, 커패시터 뱅크의 용량 및 위치, SVR의 최적 정정치와 같은 요인들을 최적화하여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계통의 전압 지원을 위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특성을 상기의 고려사항들과 함께 고려한 연구는 아직 미미하다.
본 논문에서는 IEEE 34-bus test feeder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적화 대상이 되는 분산전원의 용량과 위치, 커패시터 뱅크의
용량과 위치, SVR의 정정치는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방식에 따른 사례 연구로써 각각 최적화되어 비교된다. 최적화 변수들은 COM interface를
이용하여 Open-Source Distribution System Simulator (OpenDSS) 에 할당된 후 Quasi-static time-series
시뮬레이션을 통한 조류 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10,11). 최적화 문제는 Design Analysis Kit for Optimization and Terascale Applications (DAKOTA)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12).
2. 계통의 전압 지원을 위한 인버터 기반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특성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은 기존의 동기발전기처럼 계통의 전압과 주파수를 보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회사 입장에서 가장 크게 관심을 가지는 전압
지원에 초점을 두었다. 분산전원을 이용한 전압 지원은 분산전원의 전압조정 기능과 큰 연관이 있으며, 인버터를 이용하여 무효전력을 공급하거나 흡수하는
식으로 계통의 전압 상태에 따라서 전압 지원을 수행한다. 전압 변동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 방법은 고정 무효 전력 (Fixed Q) 제어, 고정 역률
(Fixed
) 제어, 유효전력에 따른 가변 역률 (
) 제어, 전압 기반 무효전력 (
) 제어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13). 본 연구에서는 과전압 방지를 위한 Fixed
제어와
제어에만 초점을 두었다. 각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1 Fixed
제어
Fixed
제어는 분산전원의 과도한 연계로 인한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산전원의 동작 역률을 유도성으로 설정하여 지상 부하와 같이 무효전력을 흡수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분산전원에 의해 제어되는 무효전력 출력량은 다음
식(1)
과 같이 고정된 역률로 인하여 유효전력의 출력량에 비례하게 된다.
및
로 가정하였을 때,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무효전력 출력 및 계통 전압 프로파일은 다음 그림. 1과 같다.
그림. 1. Fixed
제어 적용 시 전력 및 전압 프로파일
Fig. 1. Power and voltage profile related to the fixed
control scheme
각 분산전원은 시간이나 다른 조건에 관계없이 유효전력 출력에 비례하는 무효전력을 흡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산전원이 설치된 모선
및 그 주위의 모선 전압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2.2
제어
제어는 Fixed 제어 방법의 단점을 개선한 방법이다. 유효전력 출력에 비례하는 무효전력 출력을 내보내는 Fixed 제어 방법은 분산전원의 간헐성으로
인하여 유효전력 출력이 많지 않을 때에도 그에 비례하는 무효전력을 흡수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유효전력 출력이 낮아 지역 부하를 통하여 전력이 충분히
소모될 수 있는 경우, 유효전력에 비례한 무효전력 소모는 불필요한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전력 출력이 낮을 때는 역률을 높여 무효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방법이 제어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역률은 다음 식(2)와 같이 결정된다. 여기서,
는 역률을,
는 유효전력을 나타낸다.
식(2)에 사용된 상수들은 다음 그림 2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 Fixed
제어 상수
Fig. 2. Control parameters of the
control scheme
그림 2와 같은 제어 상수를 적용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시 C2 상수 값 변화에 따른 출력 전력 및 전압 프로파일은 다음그림 3과 같다.
그림 1의 fixed
제어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출력이 0.5 p.u. 이하인 경우 무효전력 흡수량이 식(2)에 따른 역률 변화로 인하여 크게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손실의 측면에서는 fixed
제어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더 이익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 제어 상수의 값은
로 고정시켜 적용하였다.
그림. 3.
제어 적용 시 전력 및 전압 프로파일
Fig. 3. Power and voltage profile related to the
control scheme
3. 무효전력 제어 특성에 따른 분산전원의 최대 수용용량 분석 시뮬레이션
3.1 최적화 문제 수립
Metaheuristic 기법을 통하여 전력계통의 다양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던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였다. 연계될 수 있는 분산전원의 최대 수용용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다음 식(3)~(5)와 같은 다중 목적함수를 갖는 최적화 문제를 수립한다. 여기서, 은 설치되는 분산전원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식(3)은 설치될 인버터 기반의 분산전원의 전체 용량 (DG Hosting Capacity, DGHC)을 나타내며, 전력계통의 운영 제한을 어기지 않는 범위까지
가능한 최대의 용량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식(4)는 분산전원 연계용 인버터의 평균 동작 역률을 나타낸다. 분산전원이 연계되는 접속점의 역률을 가능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식(5)는 계통에 사용된 전압조정기와 커패시터 뱅크의 운영비용과 변압기, 선로 손실로 인한 손실비용으로써 전체 운영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목적함수는 전력계통의 운영 조건에 대한 제한 사항들을 위반하지 않도록 최적화 된다. 제한 사항을 위반 시 페널티를 부가하여 최적화 과정에서 제외되도록
모의하였다. 제한 사항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최적화 시 제한 사항
Table 1. Constraints for the optimization
구분
|
내용
|
변압기 용량
|
정격을 초과하는 조류 제한
|
도체 열적 용량
|
정격 열적 용량을 초과하는 조류 제한
|
전압
|
0.9p.u.
전압
1.1 p.u.
|
역조류
|
변압기를 통과하는 역조류 제한
|
무효전력 출력
|
분산전원의 정격 출력량 이내로 제한
|
그림. 4. 시뮬레이션 흐름도
Fig. 4. A flowchart of the overall simulation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전체적인 흐름도는 다음 그림 4와 같다. OpenDSS는 15분의 매 시뮬레이션 시간 간격마다 조류를 계산 후 1일 분을 평가한다. 표 1과 같은 제한 사항들을 위반하는지 판단한 이후, OpenDSS의 COM interface를 통하여 목적함수가 계산된다. 만약 위의 제한 사항을 위반하였을
시 목적함수에는 페널티 값이 추가되어 해당 입력 변수는 최적화된 해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DAKOTA는 각 최적화 입력 변수 및 목적함수를 유전알고리즘의
교차, 돌연변이 과정에 따라서 판단하며 새로운 세대를 생성하는 반복 과정을 통하여 다중 목적함수를 갖는 최적화 문제를 해결한다.
3.2 시뮬레이션 조건 및 모의 계통
본 연구에서는 다음 표 2와 같은 조건을 가정하여 분산전원의 최대 수용용량을 평가한다. 먼저 종래와 같이 분산전원이 어떠한 무효전력의 제어도 없이 역률 1인 상태로 동작이
되는 case에서 모의 계통에 최대 어느 정도의 분산전원이 연계될 수 있는지 파악한다. 분산전원은 인버터를 이용하여 계통에 주로 연결되는 태양광 발전을
가정하였다.
분산전원은 0~200 kVA까지 대상 모선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커패시터 뱅크는 0~60 kvar까지 대상 모선에 설치될 수 있다. SVR의 정정치는
118~128 V의 목표 전압과 1~6단계의 탭 밴드까지 변수로 가질 수 있도록 가정하였다.
표 2. 시뮬레이션 조건
Table 2. Simulation conditions
구분
|
무효전력 제어 특성
|
Case 1
|
없음 (
)
|
Case 2
|
Fixed
(
)
|
Case 3
|
|
각 변수들은 최적화 문제의 입력으로 사용되며 매 시뮬레이션 시간마다 식(3)~(5)의 목적함수가 평가된다.
다음 그림. 5는 본 논문의 모의에서 사용된 IEEE 34-bus 모의 계통의 단선도를 나타낸다. 분산전원은 부하를 갖는 모든 모선에 설치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커패시터 뱅크는 그 중 3상 부하를 갖는 모선에서의 설치를 가정하였다. 모의된 계통의 총 부하량은 1.67 MVA이다.
그림. 5. IEEE 34-bus 모의 계통
Fig. 5. IEEE 34-bus test feeder system
3.3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그림. 6. Case 3에 대한 최적화 결과 파형
Fig. 6. The optimization result plot for case 3
그림. 7. 전체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Matrix plot
Fig. 7. A matrix plot among the overall simulation results
그림. 8. 각 모선별 분산전원의 설치 비율
Fig. 8. DG deployment scenario for overall cases
그림 6은 제어 방식의 분산전원을 모의한 case 3에서, 최적화된 결과 파형을 나타낸다. 각 축은 식(3)~(5)로 표현한 목적함수인 운영비용 (Cost), 설치된 DG의 용량 (DGHC), DG의 역률 (P.F. of DG)을 나타낸다.
최적화 과정 중에서 최적해로 선택되지 못한 점은 작은 원형으로 나타내었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최적해는 마름모로 나타내었다. 즉, 마름모로 나타낸 최적해들은
Pareto optimal front에 위치한, 실현 가능한 해로 간주할 수 있으며 최적해가 아닌 점들은 최적화 과정 동안 시험된 다른 해들을 나타낸다.
수립하였던 최적화 문제에 적합하게 운영비용의 최소화와 DGHC의 최대화, 분산전원의 역률 최대화를 달성하는 최적해가 구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은 모든 case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을 나타내며 각 case 별로 형성된 Pareto Optimal Front에 위치한 최적해들로 구성하여
최적해 및 case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Case 1에 대한 최적해는 파란색 원형, case 2에 대한 최적해는 빨간색 사각형, case
3에 대한 최적해는 초록색 마름모로 나타낸다.
각 행/열은 운영비용이나 DGHC와 같은 목적함수, 커패시터 뱅크와 SVR (a상만을 나타내었음)의 정정치와 같은 최적화 문제의 입력 변수를 나타내며
점으로 표현된 한 개의 최적해는 각 요인이 표시된 고정된 행(열)과 다른 행(열)에 표시된 다른 요인의 값과 관련된 해이다. 즉, 1행(1열)을 예로
들면 운영비용에 대한 다른 요인 (DGHC, 커패시터 뱅크 설치 용량 등)의 값이 최적해에서 어떻게 나타나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Case 1에서 case 3으로 갈수록 운영비용은 점점 증가하고 DGHC는 점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의 (1, 2) 및 (2, 1) 성분에서 case 2와 case 3에 해당하는 운영비용 및 DGHC의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case 구분 없이 운영비용과
DGHC는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임이 명확히 드러난다.
또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은 case 1을 제외하면, 그림 7의 (3, 1), (3, 2), (1, 3), (2, 3)성분에서 나타나듯이 case 2와 case 3에 대한 DGHC 및 운영비용과 커패시터 뱅크의
설치 용량이 서로 trade-off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즉, 제어와 같은 진보된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 커패시터 뱅크의 설치용량이 늘어날 수
있으며 이는 곧 운영비용의 증가와 설치될 수 있는 분산전원 용량의 감소를 동시에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경부하인 IEEE 34-bus 모의
계통의 특성 상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것과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은 모두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산전원을
지상 부하처럼 운영하도록 고려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히려 저전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분산전원의 설치 용량
자체도 case 2에 비하여 case 3의 경우 크게 줄어들었으며 이는 설치된 부하량을 고려하면 더 큰 유효전력 손실을 야기하여 운영비용의 증가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ase 2에 비해 줄어든 분산전원 설치 용량으로 인한 피크 부하 시간대의 저전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패시터 뱅크가
더 많이 설치되도록 최적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SVR의 정정치는 탭 밴드의 경우 다른 요소들과의 연관성이 크게 없이 적절한 값으로 최적화된 반면,
목표 전압의 경우 다양한 값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소의 운영비용을 나타내는 최적해에 대한 각 case 별 분산전원의 모선별 설치 용량 비율은 그림 8과 같다. 전체 설치 용량 대비 각 모선에 설치된 분산전원의 비율을 %단위로 표현한 것으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에 따라서 분산전원이 설치되는
모선별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Case 1, 2의 경우 주전원 측에 가까운 모선에 분산전원이 많이 설치되는 경향인 반면, 진보된 제어 방식을 사용한
case 3의 경우 주전원 쪽이 아닌 각 분기별 말단 모선인 Mid848, Mid844, 890 모선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산전원이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의 경우 운영비용의 최소화에 초점을 둔 결과로서, 다중 목적함수 최적화 문제의 특성상 최적화 시키려는 변수에 따라서 최적해는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 문제 해결을 이용하여 전압조정 설비들의 설치 위치 및 용량, 정정치와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제어 기법 및 설치 위치와 용량을 함께
평가하는 방법을 보였다. IEEE 34-bus 모의 계통을 이용하여 fixed , 제어 방식을 갖는 분산전원이 계통에 최대로 침투할 경우, 전압조정
설비들을 고려한 각 요소들의 최적 설치 및 운영 계획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된 계통에 한해서, 분산전원의 설치 용량 및 운영비용과 커패시터 뱅크의 설치 용량이 서로 trade-off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전압 프로파일의
안정화를 위하여 무효전력 제어 방법에 따라 분산전원의 설치 용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손실에도 차이가 생겨 운영비용에까지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향후 Volt/Var 제어와 같이 저전압 현상에 대비할 수 있는 무효전력 제어 방법까지 고려하여 다양한 계통에서의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Volt/Var
제어 방법을 적용할 시,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전력계통에 분산전원이 연계되어도 Volt/Var 제어를 통해 전압 강하 시 진상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어되지 않는 분산전원이 연계되었을 때 보다 더 큰 용량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성과는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5 R1A2A1A10052459).
References
Grebe T. E., 1996, Application of distribution system capacitor banks and their impact
on power quality,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2, No. 3, pp.
714-719
Senjyu T., Miyazato Y., Yona A., Urasaki N., Funabashi T., 2008, Optimal distribution
voltage control and coordination with distributed generation, IEEE Trans- 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23, No. 2, pp. 1236-124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2017, 8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Biennial Report
Safigianni A. S., Salis G. J., 2000, Optimum voltage regulator placement in a radial
power distribution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15, No. 2, pp.
879-886
Pereira C. A. N., Castro C. A., 2009, Optimal placement of voltage regulators in distribution
systems, 2009 IEEE Bucharest PowerTech, pp. 1-5
Jannat M. B., Savić A. S., 2016, Optimal capacitor placement in distribution networks
regarding uncertainty in active power load and distributed generation units production,
IET Generation, Transmission & Distribution, Vol. 10, No. 12, pp. 3060-3067
Wang S., Chen S., Ge L., Wu L., 2016, Distributed Generation Hosting Capacity Evaluation
for Distribution Systems Considering the Robust Optimal Operation of OLTC and SVC,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 Vol. 7, No. 3, pp. 1111-1123
Karagiannopoulos S., Aristidou P., Hug G., 2017, Hybrid approach for planning and
operating active distribution grids, IET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Vol. 11, No. 3, pp. 685-695
Li C., Disfani V. R., Pecenak Z. K., Mohajeryami S., Kleissl J., 2018, Optimal OLTC voltage
control scheme to enable high solar penetrations,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160, No. , pp. 318-326
accessed Jun. 2018, OpenDSS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simulator, online resource:
http://sourceforge.net/projects/electricdss/
Mather B. A., 2012, Quasi-static time-series test feeder for PV integration analysis
on distribution systems, 2012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San Diego,
CA
Adams B. M., Bauman L. E., Bohnhoff W. J., Dalbey K. R., Ebeida M. S., Eddy J. P.,
2016, Dakota, a multilevel parallel object-oriented framework for design optimi- zation,
parameter estimation, uncertainty quantific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Version
6.4 user’s manual, Sandia Technical Report SAND2014-4633
Demirok E., González P. C., Frederiksen K. H. B., Sera D., Rodriguez P., Teodorescu
R., 2011, Local Reactive Power Control Methods for Overvoltage Prevention of Distributed
Solar Inverters in Low-Voltage Grids,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Vol. 1, No. 2,
pp. 174-182
저자소개
He received a B.S and M.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 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2 and 2014.
At present, he is working on his Ph.D. thesis.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protection and power system
planning
Tel : (031)290-7166
Fax : (031)299-4137
E-mail :
thug1220@naver.com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6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wind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Tel : (031)290-7166
Fax : (031)299-4137
E-mail :
kjs7107@naver.com
He was born in Korea, in 1993.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 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wind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Tel : (031)290-7166
Fax : (031)299-4137
E-mail :
wlsthf6@naver.com
He was born in Korea, in 1993.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 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going through master’s course.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 system voltage regulation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Tel : (031)290-7166
Fax : (031)299-4137
E-mail :
sjy784@naver.com
He was born in Korea, in 1991.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Convergence
Technolog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Republic of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going through master’s course.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 protection of lightning problem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Tel : (031)290-7166
Fax : (031)299-4137
E-mail :
kdhslass@naver.com
He received a B.S and M.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 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1982 and 1984, respectively.
He received a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1990.
In that same year, he joine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Republic of Korea as
a full-time lecturer.
He was a visiting academic at the University of Bath, UK, in 1996, 1998, and 1999.
Since March 1992, he has been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otection and control, the modeling/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s,
and EMTP software.
Tel : (031)290-7166
Fax : (031)299-4137
E-mail :
hmwkim@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