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혁
(Yun-Hyuk Choi)
2†
장문종
(Moon-Jong Jang)
1
-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
(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egu Catholic University,
Korea
)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DAS, Integrated database, DB synchronization, Connection switch, Optimal operation
1. 서론
배전지능화시스템(DAS)은 국내 기술로 개발되고,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여 현재 전국 196개의 한전 사업소에 설치되었고,
평균고장시간이 건당 73분에서 5분 이하로 단축되어 배전계통 운영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또한, 현재 사업소에서 운영 중에 있는 광역 DAS 역시
2007년부터 자체 기술에 의해 개발되고, 실 계통 운전결과 높은 신뢰도를 검증받아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시행 중에 있으며, 총 41개 배전센터가 운영
중이다.
(1,
2)
그리고, 전국 단위의 DAS 통계분석 및 고장현황 파악 등을 위하여 상호 데이터가 연계된 전사 DAS가 구축되었으며, 2010년 3월경에 DAS이
주요 정보통신 기반 시설로 지정되고 해마다 강화된 보안 규정 요구에 의하여 단방향 데이터 전달 장치가 도입되는 등 관련된 설비 및 소프트웨어의 신/증설이
진행되고 있다.
(3,
4)
현재 전국 사업소에서 배전계통 관리를 위해 운영 중인 DAS는 계통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사업소에 위치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주장치 서버는
사업소의 경우 사업소 내에서 이중화되어 있고, 센터의 경우에는 센터의 직할 정보만 이중화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운영방식에서는
센터 기능이 상실될 경우 예하 사업소로 제어권을 이양하여 예하 사업소는 정상화되나, 센터의 직할 제어 기능은 수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난 발생 등으로 예하 사업소의 기능이 상실될 경우에는 사업소 내의 배전계통에 대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이 중단되어 긴급한 현장 상황에 대하여 원격
감시와 신속한 사고대응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센터 중심의 배전계통 관리체계로 변경함과 동시에, 예하 사업소에서도 관련 정보를 실시간 DB
동기화 백업을 통해 센터의 재난 발생 시에도 제어권을 이양 받아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후비 보호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통합 센터 서버의 구조
재정립과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통합 DB가 필요하다.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 운영 DB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실시간 데이터가 DB 기반으로 운영됨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DB에 따라 시스템 가용성이 달라진다. 또한 기상, 통신장애등 천재지변이 발생되었을 때 즉시 복구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센터와 사업소간 DB 동기화는 필수적이며, DAS 주장치간 DBMS 동기화는 MS-SQL Serve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가능하지만,
여러 사업소를 동시에 동기화할 때 각각의 DBMS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서비스의 기능은 한계를 가진다. 즉 1:1의 DB복제 및 동기화는 가능하지만
통합운영센터에서 수행하고자하는 1:N의 데이터베이스는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센터와 다수의 사업소의 구조를 가지는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 DB 동기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분산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5,
6)
그림. 1. 광역 배전지능화시스템 개요
Fig. 1. Overview of the wide DAS
현재 DAS가 센터에서 센터와 예하 사업소 전체를 일괄 광역 운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장치 서버와 계통관리 데이터는
예하 사업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센터 또한 센터 직할의 계통관리 데이터만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데이터 유지보수 업무와
시스템 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관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센터와 예하 사업소에 개별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계통관리 데이터를 센터 단위로 DB 통합하여
운영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 사이의 DB 동기화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2. 통합 데이터베이스
2.1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성
기존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는 사업소 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사업소 간 연계 개폐기 표현 및 연계 처리상에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사업소의 재해(화재,
지진)등으로 사업소가 붕괴될 경우 데이터베이스 손실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 센터에서 예하 사업소까지 DB를
일괄 관리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한다. 기존에는 사업소마다 고유한 사업소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사업소마다 사업소 개폐기 및 설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기 위해서
개별 DB 테이블마다 각자 사업소의 데이터를 식별 할 수 있도록 사업소 코드 및 연계 개폐기 사업소 코드 행을 추가한다.
그림 2 데이터베이스 변경 구성
Fig. 2 Modified database construct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성 시 변전소, Mtr, DL, 개폐기, 선로, 수용가 등의 설비 정보와 계통 정보 테이블에 사업소 데이터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사업소 간 연계
개폐기가 제어 화면에서 개체 표현 및 처리를 원활하게 하도록 아래 그림과 같이 DB 테이블 필드에 office_code와 sub_office_code를
추가한다.
office_code는 사업소 코드를 의미하고 sub_office_code는 연계 개폐기 사업소 코드를 의미한다.
그림 3 추가된 테이블 필드
Fig. 3 Added Table Field
그림 4 테이블 필드 변경 사항
Fig. 4 Table Field Change Part
2.2 데이터베이스 관리
각 사업소 DB의 계통 정보 및 설비 정보를 하나의 통합 DB로 구축하여 사용하고 통합 DB의 위치는 통합 센터 서버에 설치된다. 통합 DB는
센터를 포함하여 각 예하 사업소 DB
전체를 관리한다.
통합 센터에서 장애 및 재해가 발생하여 운영이 불가능할 경우에 예하 사업소에서 임시적으로 비상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하 사업소에서
비상 운전 시 통합 센터와 동일하게 계통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 간의 데이터베이스가 일치하도록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이는 DB 동기화
프로그램이 관장하고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 사이의 계통 정보 및 설비 정보를 동기화한다. 예하 사업소로 제어권이 이양되면 각 사업소의 백업 DB를 이용하여 비상 운영 시스템을
구동한다.
그림 5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안
Fig. 5 Database Management Method
2.3 변경 테이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해서 변경되는 테이블을 정의한다. 사업소 구분을 위한 컬럼이 추가되고 설비 정보 테이블 및 계통 테이블이 전체적으로
변경된다. 이때, 통신 프로토콜 설정, 개폐기 종류, 명령 코드 등과 같이 사업소에서 고유로 사용하는 테이블은 변경되지 않는다. 통합 DB 구성을
위해 변경되는 주요 설비 및 계통 정보는 표 1과 같다. 이때, 테이블 명은 실제 DB 동기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명칭이며 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변경 설비 및 계통 정보
Table1 Change Device and System Information
테이블 명
|
설명
|
alarm_filter_properties
|
알람 속성
|
cb_open_status
|
개폐기 연계 CB 정보
|
connection_link_info
|
연계점 정보
|
control_auth
|
사령원 별 DL 권한 설정
|
control_authority
|
사령원 사업소 제어 권한
|
control_authority_log
|
사업소제어 권한 로그
|
counter
|
개폐기별 통신 성공률 정보
|
dg_info
|
분산전원 정보
|
dl
|
dl 정보
|
dl_color_properties
|
dl 속성
|
low_customer
|
수용가 고객관리
|
mtr_bank
|
MTR 뱅크 정의
|
subs
|
변전소 정보
|
sw_binary
|
투입/개방 및 제어정보
|
tr
|
TR 구성 정의
|
mmi_cb_info
|
CB 정보 뷰
|
mmi_simple_dl_info
|
DL 정보 뷰
|
mmi_simple_dl_swinfo
|
DL 별 개폐기 정보
|
mmi_subs_dl_info
|
변전소 및 DL 정보 뷰
|
mmi_subs_info
|
변전소 정보 뷰
|
표 2 변경 이력 정보
Table2 Change History Information
테이블 명
|
설명
|
analog_log
|
아날로그 알람 이력 정보
|
mmi_log
|
계측/제어의 이벤트 이력 정보
|
ScadaCurrentLog
|
CB 전류 저장 이력 정보
|
ScheCurrentLog
|
개폐기 전류 이력 정보
|
SectionLoad_day
|
일간 구간부하 저장
|
SectionLoad_month
|
월별 구간부하 저장
|
SectionLoad_time
|
시간별 구간부하 저장
|
SectionLoad_year
|
년별 구간부하 저장
|
이력 데이터 관리에서 중요한 요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다. 즉,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는 이력 관리
대상이 아니다. 또한, 특정 데이터의 과거
상태를 추적할 필요가 있으면 이력 관리 대상이 된다.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성 시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제어, 알람, 아날로그
값 등이다. 아래 표는 변경되는 주요
이력데이터 정보이다.
3. 통합 DB 동기화 프로그램 설계
3.1 시스템 구성도
통합 센터 DB 서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주, 예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합 센터 DB는 전체 예하 사업소의 DB를 통합하여 구성된다. 동기화 서버에서는
DB 동기화 프로그램이 실행되며 통합 센터 DB와 예하 사업소 간의 DB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림6 DB 동기화 서버 구성도
Fig. 6 Block Diagram of DB Synchronization Server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그림 7
과 같이 DBASERVER, PDBA, DBA의 3개로 프로그램과 계통 운영자가 동기화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관리 UI로 구성된다. 각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은 표 3과 같다.
그림 7 DB 동기화 프로그램 구성도
Fig. 7 Block Diagram of DB Synchronization Program
표 3 DB 동기화 프로그램 정보
Table 3 DB Synchronization Program Information
프로그램 명
|
설명
|
DBASERVER
|
프로그램 기동
/사업소 정보 로딩스케쥴 관리
|
PDBA
|
PDB 생성동기화 쿼리 수행
해지 시 복원 쿼리 생성
|
DBA
|
통합 센터 DB와 PDB 비교 쿼리문 생성
|
관리 UI
|
동기화 현황 파악동기화 현황 파악
이력 정보 조회 기능
|
3.2 DB 동기화 프로그램 설계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배전 센터와 예하 사업소 간의 주기적인 DB 동기화 기능, 예하 사업소에서 장애 시 동기화 중단 기능, 사업소의 장애 해소
시 해당 사업소의 통합 센터 DB에 복원 기능, 사업소 이력 데이터의 통합 센터 DB 반영 및 삭제 기능을 포함한다.
3.2.1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간의 DB 동기화 기능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그림 8
과 같이 하나의 통합 센터와 다수의 예하 사업소 간의 DB 동기화를 수행한다.
3.2.2 테이블 그룹별 스케쥴 처리 기능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그룹별로 설정된 주기에 의해 스케쥴을 처리한다. 사용자는 동기화할 테이블에 그룹을 지정하고 해당 그룹의 스케쥴을
지정한다.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각 그룹별로 설정된 주기로 테이블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림 8 DB 동기화 기능
Fig. 8 DB Synchronization Function
표 4 DB 동기화 테이블 정보
Table 4 DB Synchronization Table Information
필드 명
|
설명
|
table_id
|
테이블 아이디
|
table_type
|
고정, 실시간, 이력 데이터 구분
|
db_name
|
데이터베이스 이름
|
schema_name
|
스키마 이름
|
table_name
|
테이블 이름
|
set_identity
|
IDENTITY 여부
|
group_id
|
동기화 그룹 아이디
|
표 5 DB 동기화 그룹 정보
Table 5 DB Synchronization Group Information
필드 명
|
설명
|
group_id
|
그룹 아이디
|
group_name
|
그룹 이름
|
sync_sycle
|
동기화 주기
|
parent_group
|
동기화 전 수행 그룹
|
3.2.3 사업소 별 동기화 정보 기능
각 예하 사업소의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아래 표의 정보를 운영자에게 전달한다.
표 6 동기화 사업소 정보
Table 6 DB Synchronization Office Information
필드 명
|
설명
|
office_code
|
사업소 코드
|
office_name
|
사업소 이름
|
center_connect
|
센터 DB 연결 상태
|
office_connect
|
사업소 DB 연결 상태
|
sync_state
|
동기화 상태
|
center_fail
|
센터 fail 여부
|
sync_update_time
|
동기화 업데이트 시간
|
fail_update_time
|
장애 업데이트 시간
|
office_useyn
|
사업소 사용 여부
|
3.2.4 레코드 비교를 위한 PDB 생성 기능
DB 동기화 프로그램은 사업소 별 동기화 쿼리를 생성하기 전에 PDB를 우선 생성한다. 생성된 PDB는 통합 센터 DB의 데이터와 비교작업을
통해 변경 쿼리문이 생성된다. PDB 파일은 테이블 단위로 생성되며 생성된 파일 구조는 다음과 같다.
그림 9 변경 쿼리 생성 기능
Fig. 9 Change Quarry Creation Function
표 8 변경 쿼리 레코드 조건
Table 8 Change Quarry Record Condition
변경 쿼리
|
통합 DB
|
PDB
|
조건
|
추가 쿼리 생성
|
o
|
x
|
|
수정 쿼리 생성
|
o
|
o
|
비교 후 생성
|
삭제 쿼리 생성
|
x
|
o
|
|
3.2.6 생성 쿼리 수행 기능
주기적으로 사업소 별 쿼리 생성 폴더를 감시한다. 해당 폴더에 파일이 존재하면 파일을 로딩하여 쿼리문을 수행한다. 쿼리문 수행시 실패하면
해당 쿼리 파일을 에러 폴더로 이동시킨다. 쿼리 파일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그림 10 변경 쿼리 수행
Fig. 10 Change Quarry Operation
3.2.7 사업소 장애 여부 판단
사업소의 장애 여부는 사업소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판단한다. 해당 테이블에서 center_fail이 1로 설정된 사업소는 장애로
판단하여 즉시 동기화를 중지한다. 장애가 해지되면 center_fail은 0으로 셋팅한다. 이때 동기화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DB 동기화 복원 모드로
동작한다. DB 동기화 복원 모드는 장애 발생 동안에 해당 사업소에서 데이터 변경이 이루어진 데이터를 통합 센터 DB에 반영한다. DB 동기화 복원
모드에 의해 변경 데이터와 이력 데이터 반영 작업이 완료되면 동기화 수행 모드로 자동 변경되어 동기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통합 DB 동기화 프로그램 시험
4.1 시험 방법 및 시험 계통
통합 DB 동기화 프로그램을 시험하기 위하여 한전의 고창실증시험센터의 배전선로를 시험계통으로 한다. 이때, 배전계통 DB는 대전충남본부 DB를 사용하고
다음과 같이 고창 DB를
구성한다.
● 고창 DB : 2개 선로로 구성하여 직할, 금산에 각각 연계
● 남선 D/L : 직할(남대전S/S)에 선로 연계 - 가상 D/L
● 북선 D/L : 금산(홍농S/S)에 선로 연계 - 가상 D/L
표 9 시험 시나리오
Table 9 Test Scenario
구분
|
시험 시나리오
|
통합 DB
|
• HMI에서 통합 DB 확인
|
DB 동기화
|
• 편집 후 DB 동기화 상태 확인(센터 서버, 사업소 서버)
• 절체 후 정상 복구 시 DB 복구 상태 확인
|
그림 11 시험선로 전체 계통도
Fig. 11 Test Line System
4.2 시험 결과
4.2.1 통합 DB
아래 그림과 같이 계통운영자 HMI 화면의 계통창을 통해 통합 계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체 사업소 계통을 확인할 수 있는 계통창과 각
사업소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하 사업소는 기존 DAS와 같이 자기 사업소 영역만 확인할 수 있다. 사업소 간 연계 개폐기는 연계점이 포함된
사업소 계통에서 확인할 수 있고 만약 하나의 D/L이 여러 사업소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CB에서 출발하여 해당 사업소의 책임 분기점까지 표시한다.
그림 12 (a) 금산 사업소, (b) 전체 사업소
Fig. 12 (a) Geumsan Office, (b) The Whole Office
4.2.2 통합 DB 동기화
통합 DB의 동기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먼저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의 DB 동기화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고 통합 센터 DB에서 개폐기 상태를
변경한다.
통합 센터 DB 편집 후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의 DB 동기화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고 금산 사업소 DB 테이블을 확인한다. 금산 사업소의 DB
테이블을 확인하면 통합 센터와 동일한 개폐기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통합 DB 동기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말해준다.
그림 13 DB 동기화 프로그램 상태 화면
Fig. 13 Status Display of DB Synchronization Program
그림 14 통합 센터 DB의 개폐기 상태 화면
Fig. 14 Switch Status Display of Integrated database
그림 15 DB 편집 후 DB 동기화 프로그램 상태 화면
Fig. 15 Status Display of DB Synchronization Program after Editing DB
그림 16 금산 사업소 DB의 데이터 변경 화면
Fig. 16 Data Change Display of Geumsan Office DB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센터 단위의 광역 배전지능화시스템의 최적 운영을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통합 센터와 예하 사업소 간의 통합 DB
동기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센터와
예하 사업소를 통합하여 광역 운전하기 위해 기존 사업소 별로 관리되던 데이터베이스의 통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각 사업소의 데이터를 식별
할 수 있는 사업소 코드 및 연계 개폐기 사업소
코드를 추가하고 각 사업소의 DB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통합 관리한다. 또한, 배전지능화시스템의 운영 DB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실시간 데이터가 DB 기반으로 운영됨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DB에 따라 시스템 가용성이 달라진다. 또한 기상, 통신장애등 천재지변이 발생되었을 때 즉시 복구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터와 다수의
사업소의 구조를 가지는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 DB 동기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한전의 고창실증시험센터에서의 실증을 통해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7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에 의한 것으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B.N. Ha, "Development of Central Control Device fo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Technical
Report)", KEPCO Research Institute, June 2007
B.N. Ha, S.W. Lee, C.H. Shin, S.C. Kwon, S.Y. Park, M.H. Park, "Development of intelligent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Transmission & Distribution Conference & Exposition:
Asia and Pacific, October 2009
B.N. Ha, "Development of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EPCO Research Institute,
January 2011
N. Cho, R. Bhat, J.-H. Lee, "Field experience of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AS)
in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2015 International Symposium on Smart
Electric Distribu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Vol. EDST 2015, No. 7315226, pp. 307-312,
September 2015
M. Jang , Y.H. Choi, "Final Report of Integrated Operation Method fo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EPCO Research Institute, April 2017
Y.H. Choi, Y.H. Choi , "Test of integrated operation method for DAS", 2017 KIEE Summer
Conference, July 2017
저자소개
1981년 8월 25일생
2005년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졸업
2012년 고려대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2012년~2014년 LS산전
2015년~2017년 한전 전력연구원
현재 대구가톨릭대 전자전기공학부 조교수
Tel : 053-850-2767
E-mail :
yhchoi@cu.ac.kr
1970년 4월 24일생
1995년 경북대 컴퓨터공학과 졸업
1997년 KAIST 컴퓨터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한전 전력연구원 스마트배전연구소 책임연구원
Tel : 042-865-5984
E-mail :
mjjang@kepc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