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목적함수
본 논문에서는 계획기간 동안의 신재생 발전 사업자의 이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값을 목적함수로 정의하였다. 목적함수는 아래 수식과 같다.
MAXIMIZE
본 연구에서는 미래 건설 예정인 신재생 발전기에 필요한 최적의 ESS 용량을 산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신재생 발전기의 건설비, 유지관리비
등은 목적함수에 포함하지 않았다.
위의 목적함수에서 수식 (1)과 (2)는 각각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수익과 ESS를 통해 판매한 에너지의 발전수익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수식 (3)은 배터리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성능저하를 고려하여 매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재 투자비용, 수식 (4)는 ESS 설치비,
마지막으로 수식 (5)는 ESS의 잔존가치를 의미한다. 단 (4), (5)는
개별 연계 모델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공용 연계 모델의 목적함수는 아래 식 (6), (7)을 따른다.
2.2.2 제약조건
ESS 설치 용량 제약
본 연구에서는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제도에 의해 매년 신재생 발전기의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또한 현재
REC 가중치
정책에 의해 신재생 연계용 ESS가 보급되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계획기간 동안 ESS의 폐지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식 (8),
(9)를 통해
매년 배터리의 총 정격용량이 증가하도록 식을 구성하였다.
ESS 최소/최대 전력 저장용량 제약
일반적으로 배터리 제조사에서는 배터리의 수명과 성능 등을 고려해서 최적의 상태로 운영 가능한 SOC(충전상태, State of Charge)
구간을 정해두고 있다.
아래 수식 (10),
(11)은 배터리 사용 구간에 대한 제약조건이다.
ESS 충/방전 제약
아래 제약조건들은 ESS의 충/방전과 관련된 제약조건이다. 여기서
수식 (17),
(18),
(21),
(22)에서 사용된 기호 M은 논리 식을 구현하기 위한
상수로써 매우 큰 값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식 (12)는 에너지원 별 저장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방정식이고,
수식 (13)은 ESS에 충전된 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을 방전할 수 없다는 제약조건, 수식
(14)는 신재생 에너지 이외에 외부전력망에서 전력을 충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제약조건이다. 다음으로
수식 (15), (16)은 최대 충/방전 용량 제약조건,
그리고 수식 (17),
(18)은 같은 시간동안 동시에 충/방전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제약조건 이다. 단,
수식 (15)~(18)은 개별연계 모델에만 적용할
수 있는 제약조건으로 공용 모델에서는 아래의 식 (19)~(22)를 따른다.
신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아래 수식 (23)은 계통 신뢰도 유지를 위해 전력 부하 중 일정 용량 이상을 화석연료가 담당하도록 하기 위한 제약조건이고,
수식 (24)는 이를 만족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기의 출력 제한이 발생한 경우 출력 제한분 만큼 충전 가능한 전력량이 줄어들도록 하기 위한 제약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