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제안하는 회전자 저항 추정 방법
일반적으로 자속각의 오차가 있더라도, 정상상태에서 자속각의 변화율인 동기 각속도의 오차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식(8)로부터 구한 슬립 각속도는 대부분 상황에서 정확한 값이다.
식(7)에서 구한 슬립 각속도는 추정된 값을 의미하는 “^”를 표기하여 다음과 같이 다시 쓴다.
한편, L
m과 L
r의 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L
lr/L
r의 비는 대부분 전동기에서 수 % 정도로 비슷하다. 그러므로 전동기 인덕턴스를 잘못 알고 있더라도 L
m/L
r의 비는 큰 오차를 수반하지 않는다. 즉,
이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폐루프 고피나스 스타일 자속추정기는 저속에서는 전류모델로부터 추정된 자속이 우세하고, 고속에서는 전압모델로부터 추정된 자속이
우세하다
(21). 전압모델의 경우 회전자 저항에 대한 영향이 없으므로, 회전자 저항 오차에 무관하다. 전압모델에 포함된 R
s와 σL
s는 비교적 측정하기 수월하고, 상수 변동이 작은 파라미터이다. 또한,
식(11)의 특성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고속에서 동작하고 있는 폐루프 고피나스 스타일 자속추정기는 파라미터 오차에 강인한 자속을 추정한다. 그러므로 회전자
자속의 크기는 정확한 값을 가진다. 이로부터
식(9)는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회전자 저항 오차 △R
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식(7),
식(12)로부터 슬립 각속도 오차 △ω
sl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q축 전류의 부호에 무관하게 하기 위해,
를 양변에 곱하면 다음과 같다.
이므로 최종적으로
는 슬립 각속도 오차에 비례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 ‘0’이 되도록 제어한다면, 정확한 회전자 저항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례 적분(Proportional-Integral, PI) 제어기를
이용하여 제어하였다.
2.6 시뮬레이션 및 실험
제안한 회전자 저항 추정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1은 사용된 4 kW 유도전동기의 제원이다. 파라미터들은 여러 실험과정을 통하여 구해진 잘 튜닝된 상수들이고, 이 값을 실제값으로 고려하였다. 자속추정기의
차단주파수는 2 Hz로 설정하였다. 차단주파수보다 10배 높은 주파수인 600 rpm으로 운전하여 부하 실험을 하였다. 이 속도 영역에서 자속추정기는
전압모델에 의해서 정확한 자속 추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므로, 자속추정기와 속도센서로부터 연산된
식(8)의 슬립 각속도는 정확한 값으로 간주할 수 있다.
표 1. 4kW 유도전동기 제원
Table 1. 4kW Induction motor specifications
극수
|
4 극
|
정격 속도
|
1450 rpm
|
정격 전압
|
230 V-rms
|
정격 전류
|
14.5 A-rms
|
고정자 저항
|
0.7 Ω
|
회전자 저항
|
0.36 Ω
|
상호 인덕턴스
|
100 mH
|
회전자 자기 인덕턴스
|
103.5 mH
|
고정자 과도 인덕턴스
|
6.9 mH
|
그림. 5는 회전자 저항의 초기 설정값이 실제 값의 1.3배 일 때, 제안한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림. 5(a)에서 회전자 저항을 제외한 파라미터(고정자 저항, 고정자 과도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의 오차가 없을 때, 제안한 알고리즘의 동작 결과이다.
PI 제어기에 의해 슬립 각속도의 오차가 ‘0’으로 제어되면서, 회전자 저항이 실제 값으로 수렴되면서 제대로 추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알고리즘이
동작하는 동안, 속도가 일정한 값으로 제어되고 있고, q축 전류는 파라미터가 보정되면서 약간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b)는 고정자 저항의 오차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q축 전류가 음수일 때도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음의 값을 가지는 부하 (-5 N·m)를
인가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도 회전자 저항이 제대로 추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15)를 이용하였으므로,
그림. 5(b)의 결과처럼 부하의 부호에 상관없이 알고리즘의 안정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림. 8(c), (d)에서 상호 인덕턴스 또는 고정자 과도 인덕턴스의 오차가 있더라도, 회전자 저항이 5% 오차 안으로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Rr 추정 시뮬레이션 결과 (
)
Fig. 5. Simulation results for Rr estimation (
) x-axis: Time[1 s/div.], y-axis: Rr [0.075 Ω/div], Speed [300 rpm/div.],
[2 A/div.],
[1 (rad/s)/div.]
그림. 6은 회전자 저항의 초기 설정값이 실제 값의 0.7배 일 때, 회전자 저항의 추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본 시뮬레이션은 앞선 그림 5와 회전자
저항의 초기값 설정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
그림. 6(a)에서 슬립 각속도의 오차가 ‘0’으로 수렴하면서, 회전자 저항이 실제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림. 6(b), (c), (d)에서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회전자 저항이 5%의 오차 이내로 수렴한다.
그림. 6. Rr 추정 시뮬레이션 결과 (
)
Fig. 6. Simulation results for Rr estimation (
) x-axis: Time[1s/div.], y-axis: Rr [0.075 Ω/div], Speed [300 rpm/div.],
[2 A/div.],
[1 (rad/s)/div.]
표 2에
그림. 5과
그림. 6의 회전자 저항 최종치의 오차를 정리하였다. 다른 파라미터(고정자 저항, 고정자 과도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 대한 회전자
저항의 추정치가 의미 있는 오차를 보인다.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가 20 %까지 존재하더라도, 추정된 회전자 저항은 최대 4 % 정도의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제안한 알고리즘은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에 강인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Rr의 추정 오차 (시뮬레이션)
Table 2. Estimation error of Rr (Simulation)
|
|
|
|
No other parameter errors
|
0 %
|
No other parameter errors
|
0 %
|
|
2.8 %
|
|
2.8 %
|
|
3.3 %
|
|
4.0 %
|
|
2.8 %
|
|
2.8 %
|
그림. 7은 회전자 저항의 초기 설정값이 실제값의 1.3배 일 때, 회전자 저항 추정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그림. 7(a)에서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가 없는 경우, 슬립 각속도의 오차가 ‘0’으로 수렴하면서 회전자 저항이 실제 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b), (d)에서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음수 값의 부하 토크(-5 N·m)가 인가된 경우에도, 제안한 알고리즘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b), (c), (d)의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추정된 회전자 저항의 최대 오차가 5.6 %로서 본 알고리즘이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에 강인한 특성을 보인다.
그림. 7. Rr 추정 실험 결과 (
)
Fig. 7. Experimental results for Rr estimation (
) x-axis: Time [1 s/div.], y-axis: Rr [0.075 Ω/div], Speed [300 rpm/div.],
[2 A/div.],
[1 (rad/s)/div.]
그림. 8은 회전자 저항의 초기값 설정이 실제보다 30 % 큰 경우로서, 회전자 저항의 초기값 설정을 제외하고는 앞선
그림. 7의 실험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
그림. 8(a)에서 슬립 각속도 오차가 ‘0’으로 제어되면서 회전자 저항이 실제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b), (c), (d)에서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가 있는 경우, 회전자 저항의 오차가 10 % 이내로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Rr 추정 실험 결과 (
)
Fig. 8. Experimental results for Rr estimation (
) x-axis: Time [1 s/div.], y-axis: Rr [0.075 Ω/div], Speed [300 rpm/div.],
[2 A/div.],
[1 (rad/s)/div.]
그림 7과 그림 8의 실험에서 회전자 저항 최종치의 오차를 표 3에 정리하였다. 다른 파라미터의 오차가 20 %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회전자 저항의
오차가 최대 8.3 %로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다른 파라미터 오차에 대한 강인한 특성을 보인다. 고정자 저항과 고정자 과도 인덕턴스는 다른 파라미터보다
튜닝이 쉬우므로, 실제 회전자 저항의 추정 오차는 더욱 작아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그림. 9와
그림. 10은 속도 또는 부하의 변동이 있을 때, 제안한 알고리즘의 안정적인 동작 확인을 위한 실험 결과이다. 그림 9는 부하를 인가한 상태에서, 속도의 변동을
주면서 회전자 저항을 추정하였다.
그림. 9(a)는 회전자 저항의 초기값이 실제값보다 30% 작게 설정한 경우이다. 속도의 변동에 따라서 q축 전류가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토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이에 따라 슬립 각속도 오차가 변동한다. 속도, 토크, 슬립 각속도 오차의 변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전자 저항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I 제어기의 적분기에서 고주파를 상쇄시키기 때문에, 정상상태에서 저항이 일정한 값으로 추종된다.
그림. 9(b)는 앞선
그림. 9(a)와 동일한 조건에서 음수의 값을 가지는 속도(-600 → -1200 → -600 rpm)와 토크를 주었고, 회전자 저항의 초기값은 실제보다 30 %
크게 설정하였다. 회전자 저항 추정 알고리즘이 동작한 이후, 회전자 저항이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0(a)는 600 rpm 속도로 운전하는 상태에서, 변동하는 구형파 형태의 부하를 인가한 경우이다. 부하에 의해서 q축 전류가 구형파 형태를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립 각속도 오차에 진동이 수반되나, 알고리즘이 동작하면서 슬립 각속도 오차가 점차 ‘0’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 저항이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0(b)는 –600rpm으로 운전하면서 음수의 값을 가지는 구형파 형태의 토크를 인가한 경우에 대한 결과이다. 회전자 저항의 초기값은 실제보다 30% 크게
설정하였다. 슬립 각속도 오차와 회전자 저항이
그림. 10(a)와 비슷한 수렴 양상을 보인다.
그림. 10(c), (d)는 삼각파 형태의 토크를 인가한 경우로서 앞선
그림. 10(a), (b)와 조건은 같다. 부하 토크의 변화에 따라서 토크 전류가 진동함에도 불구하고, 회전자 저항이 안정하게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9. Rr 추정 실험 결과 (속도가 변동하는 경우)
Fig. 9. Experimental results for Rr estimation (In case of alternating speed) x-axis: Time [2 s/div.], y-axis: Rr [0.075 Ω/div], Speed [300 rpm/div.], [2 A/div.], [1 (rad/s)/div.]
그림. 10. Rr 추정 실험 결과 (부하가 변동하는 경우)
Fig. 10. estimation (In case of alternating load) x-axis: Time [2 s/div.], y-axis:
Rr [0.075 Ω/div], Speed [300 rpm/div.],
[2 A/div.],
[1 (rad/s)/div.]
그림. 11은 회전자 저항의 설정에 따른 속도 제어 실험 결과이다. 부하를 인가한 상태에서, 속도를 200 → 400 → 200 rpm으로 교대로 지령하였다.
그림. 11(a)에서는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추정한 회전자 저항보다 30 % 크게 설정한 경우에 대한 결과이다. 속도가 변하면서, 일정하게 제어되어야 할 자속분 전류인
d축 전류가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감속하는 동안에 q축 전류가 매끄럽지 못한 응답을 보이며, 속도에서 오버슈트(Overshoot)와
언더슈트(Undershoot)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b)의 회전자 저항을 30 % 작게 설정한 경우에도, 앞선 결과와 유사한 현상을 보인다. 앞선 두 결과로부터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추정한 회전자 저항에
대해 오차를 가지고 제어기를 설계하였을 때, 원활한 벡터제어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c)는 추정된 회전자 저항을 그대로 설정한 경우이다. 가감속하는 동안, d축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q축 전류는 가속하는 동안
증가하고, 감속하는 동안 감소하면서, 속도에 오버슈트 또는 언더슈트 없이 원활한 벡터제어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Rr 설정에 따른 속도 제어 실험 결과
Fig. 11. Experimental results for speed control by Rr setting x-axis: Time [1 s/div.], y-axis: Speed [50 rpm/div.], Currents
[2 A/div.], Flux \Delta\omega_{sl} [0.15 Web/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