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모의실험 및 실험 조건
기존의 속도제어기와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속도제어기, 그리고 제안된 속도제어기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모의실험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의실험 및 실험에
사용한 전동기는 Leroy Sommer사의 5 kW급 유도 전동기를 사용했고,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모의실험 및 실험 조건은
표 2와 같다. 모의실험 및 실험에서 속도제어기의 대역폭은 ω
sc=50rad/s,
로 설정하였고, 이때 속도리플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속도는
가 되고 이를 rpm 단위로 환산하면
에 해당한다.
표 1. 유도전동기 파라미터
Table 1. Parameters of induction motor
Parameters
|
Value
|
Rated power
|
5kW
|
Rated torque
|
41Nm
|
Number of poles
|
4
|
Rated speed
|
1450rpm
|
Rated current
|
14.5A(rms)
|
Inertia
|
0.015kgm2
|
Stator resistance
|
0.75Ω
|
Rotor resistance
|
0.35Ω
|
Stator inductance
|
114mH
|
Rotor inductance
|
114mH
|
Mutual inductance
|
110mH
|
표 2. 모의실험 및 실험 조건
Table 2. Simulation and experiment conditions
Parameters
|
Value
|
Speed reference
|
180rpm
|
Bandwidth of PI flux controller
|
20rad/s
|
Bandwidth of PI speed controller
|
50rad/s
|
Bandwidth of PI current controller
|
1500rad/s
|
Observer gain
|
250rad/s
|
그림. 6은 MATLAB Simulink를 이용한 유도 전동기의 벡터 제어 시스템이다. 일정한 자속을 유지하기 위해 비례-적분 자속제어기를 사용하였고, 직접
벡터제어에 사용될 자속은 자속 추정기의 추정 자속을 사용하였다. 속도제어기는 기존의 비례-적분 속도제어기와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속도제어기 그리고 제안하는
속도제어기를 사용하였고, 모든 상황에서 기본제어기인 비례-적분 제어기의 이득은 동일하다. 모의실험에서는 PWM을 이상적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림. 6. 유도전동기 벡터제어 시스템의 시뮬링크 모델
Fig. 6. Matlab simulink model of induction motor vector control system
모의실험 및 실험에서 5Nm의 크기로 정현파, 삼각파, 고조파(1~3차 정현파 합성) 형태의 부하토크를 인가한 상태에서 각 속도제어기의 응답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림. 7은 각각 전동기에 인가한 정현파 부하토크와 삼각파 부하토크 그리고 고조파 부하토크를 나타낸다. 각각의 부하토크가 인가된 상황에서 초기 2초 동안은
비례-적분 속도제어기로 구동을 하다가 2초부터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비례-적분 속도제어기, 비례-적분-공진 속도제어기 및 제안한 속도제어기를 적용하여
속도오차와 q축 보상 전류 및 실제 q축 전류를 확인하였다.
그림. 7. 전동기에 인가된 부하토크
Fig. 7. Load torque injected in motor
그림. 8은 실제 실험장치 구성도를 나타내고, 실험에 사용된 모터의 파라미터는 모의실험과 동일하다. 부하토크를 인가하기 위해 Leroy Sommer사의 18.5kW급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LS산전의 SV075iv5-4DB 인버터를 사용하였다. DSP는 TI사의 TMS320F28335를 사용하였고,
3상 IPM을 사용하였다. 실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엔코더를 사용하였고, M/T 방식을 이용해 실제 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림. 8. 실험세트의 구성도
Fig. 8. Configuration of the experimental set
4.2 모의실험 및 실험 결과
그림. 9-
그림. 17에서 각 그림의 왼쪽은 모의실험, 오른쪽은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9-
그림. 11은 정현파 형태의 부하토크,
그림. 12-
그림. 14는 삼각파 형태의 부하토크를 인가하였고
그림. 15-
그림. 17은 고조파 형태의 부하토크를 인가하였다. 각각의 부하토크를 인가하였을 때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 PIR 속도제어기 및 제안한 속도제어기를
적용하여 속도 오차와 q축 보상 전류 및 q축 전류를 확인하였다.
그림. 9-
그림. 17의 모의실험 및 실험에서 초기에는 PI 속도제어기만으로 동작하다가 2초부터 각각의 속도제어기가 적용된다.
그림. 9-
그림. 11은 정현파 형태의 부하토크가 인가된 경우다.
그림. 9는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의 경우로 상태관측기로 추정한 부하 토크와 실제 부하 토크의 위상차로 인해 속도리플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0은 PI 속도제어기에 공진제어기가 추가된 PIR 속도제어기로 정현파 부하의 경우 완벽하게 속도리플을 제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1은 제안한 속도제어기를 적용한 것으로 PIR 속도제어기와 마찬가지로 완벽하게 속도 리플을 제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 정현파 부하의 경우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
Fig. 9. PI speed controller with state observer in case of sine wave load torque
그림. 10. 정현파 부하의 경우 PIR 속도제어기
Fig. 10. PIR speed controller in case of sine wave load torque
그림. 11. 정현파 부하의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
Fig. 11. Proposed speed controller in case of sine wave load torque
그림. 12-
그림. 14는 삼각파 형태의 부하 토크를 인가한 경우다.
그림. 12는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의 경우로 정현파 형태의 부하토크가 인가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속도리플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한다.
그림. 13의 PIR 속도제어기가 적용된 경우는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 보다는 속도리플 저감 성능이 우수하지만 완벽하게 속도 리플을 제거하지는 못한다.
그림. 14는 제안한 속도제어기가 적용된 경우로 삼각파 부하 토크가 인가되었을 때도 속도 리플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2. 삼각파 부하의 경우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
Fig. 12. PI speed controller with state observer in case of triangular load torque
그림. 13. 삼각파 부하의 경우 PIR 속도제어기
Fig. 13. PIR speed controller in case of triangular load torque
그림. 14. 삼각파 부하의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
Fig. 14. Proposed speed controller in case of triangular load torque
그림. 15-
그림. 17은 고조파 형태의 부하 토크를 인가한 경우로 고조파는 1차, 2차 및 3차 정현파를 임의로 합성하여 생성하였다.
그림. 15의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의 경우 속도리플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고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6의 PIR 속도제어기가 적용된 경우 정현파나 삼각파 형태의 부하토크가 인가되었을 때보다 속도리플 저감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공진제어기는
특정 주파수의 리플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파 성분을 제외한 고조파 성분의 속도리플은 제거하지 못해 성능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림. 17은 제안한 속도제어기를 적용한 것으로 고조파 형태의 부하토크가 인가되었을 때도 속도리플 저감 성능이 다른 속도제어기 보다 훨씬 우수한 것을 볼 수
있다. 모의실험 결과와 실험 결과가 잘 일치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 고조파 부하의 경우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PI 속도제어기
Fig. 15. PI speed controller with state observer in case of harmonic load torque
그림. 16. 고조파 부하의 경우 PIR 속도제어기
Fig. 16. PIR speed controller in case of harmonic load torque
그림. 17. 고조파 부하의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
Fig. 17. Proposed speed controller in case of harmonic load torque
그림. 18은 정현파, 삼각파 및 고조파 부하 토크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의 제어 방법을 적용한 모의실험 결과로 정상상태에서의 q축 보상 전류와 실제 q축 전류를
나타낸다.
그림. 18의 좌측은 q축 보상 전류를 나타내고 우측은 q축 전류를 나타낸다.
그림. 18의 (a)를 보면 정현파 부하의 경우 세 가지의 제어 방법 모두 비슷한 정현파 형태의 q축 보상 전류를 출력하지만 상태관측기의 경우 약간의 위상지연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위상 지연으로 인해 실제 속도리플 저감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림. 18의 (c)에서 PIR 속도제어기는 삼각파 형태의 q축 보상 전류를 완벽하게 만들지 못하며 상태관측기는 삼각파 형태의 q축 보상 전류를 출력하지만 위상지연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8의 (e)는 고조파 부하가 인가된 경우로 공진제어기는 제대로 된 q축 보상 전류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 상태관측기의 경우 고조파 형태의 q축 보상
전류를 만들어 낼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위상지연으로 인해 속도리플 저감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제안한 속도 제어기의 경우 위상지연 없이 고조파 형태의
q축 보상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8. 정상상태 q축 보상 전류 및 q축 전류 시뮬레이션 결과
Fig. 18. Simulation results of steady state q-axis compensation current and q-axis
current
그림. 19는 고조파 부하의 크기 및 주파수가 바뀔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의 모의실험 및 실험 결과 파형이다. 그림의 좌측은 모의실험 결과이고 우측은 실험 결과이다.
그림. 18의 (a)와 (b)는 인가한 고조파 부하토크의 지령을 나타낸다. 부하토크의 주파수는 전동기의 회전 주파수에 동기되어 있으므로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200rpm에서부터 600rpm, 1000rpm으로 증가시켜 부하토크의 주파수를 변화시켰다. 이때 부하토크의 크기 또한 변화시켰다. 초기 1초 동안은
PI 속도제어기만 사용하여 제어를 하다가 1초부터 제안한 속도제어기가 적용되었다. 모의실험 및 실험 결과 제안한 속도제어기는 부하토크의 크기나 주파수가
갑자기 변하여도 안정적으로 속도리플을 제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9. 부하 토크의 크기 및 주파수가 바뀔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의 모의실험 및 실험 (고조파 부하 토크)
Fig. 19.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 of the proposed speed controller when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load torque are changed (harmonic load torque)
그림. 20은 전동기 파라미터에 오차가 있을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의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전동기의 파라미터 오차는 각각
=0.7R
s,
=1.3R
r,
=0.7L
m,
=0.7J
m으로 하였고 고조파 부하토크가 인가되었을 경우에만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안한 속도제어기는 PI 속도제어기와 공진제어기를 기반으로 반복제어기가 추가된
형태이다. PI 속도제어기와 공진제어기는 파라미터의 오차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안한 속도제어기 역시 파라미터 오차가 있을 경우에도 영향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20에서 제안한 속도제어기가 적용되기 이전인 초기 2초 동안의 구간에 속도리플이 달라진 것은 파라미터 오차로 인해 PI 속도제어기의 이득이 달라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제안한 속도제어기는 부하의 주파수만 알고 있다면 전동기 파라미터 오차에 상관없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20. 전동기 파마리터에 오차가 있을 경우 제안한 속도제어기 모의실험 (파라미터 오차 :
=0.7Rs,
=1.3Rr,
=0.7Lm,
=0.7Jm)
Fig. 20. Simulation result of proposed speed controller with motor parameter error(parameter
error :
=0.7Rs,
=1.3Rr,
=0.7Lm,
=0.7J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