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준
(Jae-Jun Park)
1†
-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iee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Epoxy/Micro Silica+Alumina Mixtrue Composites(EMSAC), Dielectric Porperties, AC Breakdown Strength,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1. 서론
에폭시수지(ER)는 일반적인 전기 절연 고분자로 고전압 몰드 변압기, 케이블 접속제, 회전기 고정자권선 몰드, 부싱 그리고 GIS Spacer 등에
사용 하고 있다
(1). 그리고 이와같이 전력기기의 절연물에 무기필러를 과량 사용 하는 이유는 전기적, 기계적, 열적특성(열전도)을 향상시키고, 비용절감을 위해 개발되고
상업화되었다
(2-4).
마이크로 필러의 첨가는 때로는 전기적 특성인 유전율이 증가되고, 절연파괴가 감소합니다
(4,5). 그러나 현재 산업계에서는 대부분 마이크로 필러인 알루미나 및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충진함량도 과량인 60~80wt%를 충진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고려하여, 실리카의 장점인 비중이 낮아 같은 중량에서 입자수가 많고, 입자표면에 OH기를 갖기 때문에 에폭시수지와도 수소결합을 할
수 장점이 있다
(6,7). 그렇지만 알루미나의 단점인 비중이 높아 수지 내에서 침강되고, 입자수가 실리카에 비하여 적은 단점도 있다. 그러나 신뢰성에 바탕을 둔 환경 친화적인
절연물개발을 위하여 열전도가 높은 알루미나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이종의 무기물(마이크로실리카+마이크로알루미나)을 혼합하여 제조된 5종류의 콤포지트를
제조하였다. 이처럼 친환경 절연소재개발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SF
6 절연가스 하에서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이유가 SF
6 화합물이 연속적으로 전자 충돌에 의해 분해되어 4개의 불소(F) 라디칼이 생성되어, 실리카(SiO
2)를 공격하여 실리카 표면이 부식된다. 그리고 SF
6 가스의 분해산물인 불소(F) 라디칼과 하우징 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인 에폭시의 분해에 의해 기인하는 수소(H) 라디칼이 반응하여 부식성이
매우 큰 불산(HF) 화합물이 생성되게 되어, 이로 인해서 실리카 표면의 부식성은 더 가속되게 되는 이유로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친환경 절연가스(CO
2 ,g3, N
2, Dry Air, Novec 4710)등 다양한 전압레벨에서 사용가능한 절연가스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될 때, 실리카의 사용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종무기물의 혼합비(MS:MNA, 1:9, 3:7, 5:5, 7:3, 9:1)를 통한 전기적(전기적 절연파괴, 유전특성), 기계적(인장강도, 굴곡강도)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에폭시/이종무기물 혼합비에 따른 콤포지트의 전기적 절연파괴 및 유전특성, 기계적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의 충진함량비에 따라 크게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실 험
2.1 재 료
사용되는 재료는 Araldite (저점도형, 고상) 에폭시 수지로서 계기용변압기(instrument transformers), 스위치기어(switchgear)
성분과 같은 높은 기계적 열적 그리고 화학적 스트레스에 지배된 장치의 구조적부분과 같은 고전압 중전기의 옥내용 절연물로 이용하는 수지이다. 점도는
120℃에서 390-520(mPa s)[DIN 5319]이며, 에폭시 함량은 2.55~2.70{equiv./kg}[ISO 3001], 밀도 1.15~1.25g/cm
3[ISO 1675], 상태는 고체상태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였다.
경화제는 HT 903-1로서, 녹은점 범위는 79~83℃이며, 밀도는 130℃에서 1.22~1.25g/cm
3[ISO 1675], 형상은 백색파우더 형태이다.
그림. 1에서는 MS와 MA의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MS입자의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은 0.709m
2/g, 입자크기의 범위는 입도분석을 통하여 1~35μm 크기를 갖으며, 중앙부분의 평균 입자크기는 10.721μm을 갖는 MS를 사용하였다.
그림. 1. 사용된 마이크로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입자 구조 및 배율
Fig. 1. Particle structure and magnification of micro and Alumina silica used
MA의 비표면적은 1.02m
2/g 입자크기의 범위는 입도분석을 통하여 0.35~90μm 크기를 갖으며, 중앙부분의 평균 입자크기는 16.95μm을 갖는 MA를 사용하였다.
현행 중전기기 산업계에서는 연구와 제품개발과는 시차 및 활용에 큰 차이가 있다. MS와 MA를 연구하는 목적은 원가절감차원과 향후 2021 이후 SF
6절연가스를 친환경 절연가스(CO
2, g3, N
2, Dry Air, Novec 4710)로 대체해야하는 상황에 있다. 이와 발맞추어 최적의 친환경 절연소재개발을 위해 다양한 각도도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2.2 에폭시 마이크로 콤포지트 제조
본 연구에 사용한 MS와 MA는 평균입도 크기가 10.721, 16.95μm을 갖는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마이크로 콤포지트는
GIS Spacer용으로서 향후 친환경절연대체가스의 사용으로 인한 절연소재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SF
6 절연가스 하에서는 ER/MAC만 제조하였다. 그러나 절연매질의 변화에 능동적인 대처를 목적으로 연구된 것이다.
ER는 고상에폭시 수지로서 이전에 용융상태화 하게 된다. 마이크로 입자를 충진 후 24시간 후, 온도와 진공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교반시스템에서 200~600rpm의
속도로 5시간 혼합과 진공탈포를 실시한다. 예열된 금형에 주입 후 2차 진공 탈포과정을 걸쳐 140℃×16시간의 경화과정과 이형을 통하여 데시케이터에
보관하여 샘플로 사용하였다.
표 1. 사용된 샘플의 종류
Table 1. Type of sample used
번호
|
Type of Samples
|
Note
|
1
|
ER
|
epoxy Resin
|
2
|
ER/MS:MA=1:9
|
Silica: Alumina ratio=1:9
|
3
|
ER/MS:MA=3:7
|
Silica: Alumina ratio=3:7
|
4
|
ER/MS:MA=5:5
|
Silica: Alumina ratio=5:5
|
5
|
ER/MS:MA=7:3
|
Silica: Alumina ratio=7:3
|
6
|
ER/MS:MA=9:1
|
Silica: Alumina ratio=9:1
|
표 2. 용어 정리
Table 2. Glossary of terms
Abbreviation
|
Original Language
|
ER
|
Epoxy Resin
|
MS
|
Micro Silica
|
MA
|
Micro Alumina
|
EMSAC_19
|
Epoxy/Micro Silica/Micro Alumina Mixed Ratio 1:9 Composites
|
EMSAC_37
|
Epoxy/Micro Silica/Micro Alumina Mixed Ratio 3:7 Composites
|
EMSAC_55
|
Epoxy/Micro Silica/Micro Alumina Mixed Ratio 5:5 Composites
|
EMSAC_73
|
Epoxy/Micro Silica/Micro Alumina Mixed Ratio 7:3 Composites
|
EMSAC_91
|
Epoxy/Micro Silica/Micro Alumina Mixed Ratio 9:1 Composites
|
전체 충진함량은 70wt%
|
2.3 유전율의 측정
비유전율 측정은 주파수 범위 3μHz~3MHz인 Universal Dielectric Spectrometer로서 제조사 Novocontrol Technologies
GmbH & Co. KG 이며, Dielectric Sample Cell BDS 1200 모델을 사용하였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샘플은 두께 1 mm, 실제
지름 30 mmφ (평판형 크기로서 50 mm×50 mm)을 사용하였다. 실버페이스트를 도포하여 80℃×8 h 건조 후 측정에 사용하였다. 우리가
사용하는 BDS시스템은 온도 제어장치가 없는 impedance spectroscopy와 conductivity 그리고 유전에 대한 일괄 공급된 시스템이다.
2.4 전기적 절연파괴 측정
절연파괴 실험에 사용된 시험 장치는 100kV, 주파수 60 Hz/ 0.1A인 고전압 발생이 가능한 내전압 시험 장치를 이용하였다. 직경 7.4㎜
스테인레스 재질의 구 대 구 전극에서 수행하였고, 모든 측정 시편의 두께는 2㎜로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절연 파괴 실험은 고전압 (High Voltage)을
발생시키는 전극을 시편과 함께 상온의 절연유 속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시편의 규격은 100mm× 100mm×2mm를 사용하였다.
인가전압의 속도는 교류 1kV/s의 승압 속도로 시편이 관통파괴에 이를 때까지 실시하였고, 측정된 모든 절연 파괴 데이터 값은 와이블 플롯을 통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와이블플롯의 3가지 파라미터인 형상파라미터, 스케일파라미터, B10 수명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그리고 절연파괴 특성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였다.
2.5 기계적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측정
인장특성은 기계적 특성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이며, 시험방법은 JIS B7502 규정에 의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편의 형상은 JIS
B7502에 따라 제조하였다. 인장강도 측정에 사용된 시험 장치는 만능시험기(SHM-C-500, Shamhan Tech)를 이용하였으며, 측정은 시편의
양단을 붙잡고 cross- head speed가 10mm/min의 일정한 속도로 인장하중을 가하는 시험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굴곡강도의 경우
인장강도와 동일한 속도로 3중 점 휨강도 실험법으로 측정하였고, 측정된 모든 기계적 인장 및 굴곡강도 데이터 값은 전기적 절연파괴와 같이 이해하기
쉽게 와이블 플롯을 이용하여 나타내었고 3가지 특성파라미터의 결과를 근거로 해석하였다.
3. 결과 및 검토고찰
3.1 구조적인 특성(SEM)
그림. 2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MS+MA 혼합된 콤포지트의 파단면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2는 ER/MS+MA(5:5) 이종무기물이 혼합된 상태의 콤포지트로서 전체 충진함량은 70wt%이다. MA부분은 계면이 불량하고 대신 MS부분은 양호한
계면상태를 가지고 있다. MS 충진함량이 많을수록 계면상태는 양호할 것으로 사료되며, MA 충진함량이 많을수록 불량한 계면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유전특성, 전기적 절연파괴, 기계적 인장 및 굴곡강도 특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 ER/ MS+MA 이종 혼합 콤포 지트의 SEM
Fig. 2. SEM of ER/MS+MA Heterogeneous mixed filler composite
3.2 전기적 특성
1) 절연파괴강도
그림. 3,
표 3에서는 고전압 중전기기인 GIS Spacer의 친환경 절연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종 MS와 MA 혼합비 1:9, 3:7, 5:5, 7:3,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콤포지트를 제조하였다. 교류 전기적 절연파괴 강도의 특성평가를 위하여 와이블 플롯으로 나타내었다. 와이블풀롯의 형상파라미터는 기울기를
나타낸 것으로, 기울기가 크면 측정자료의 균질성이 우수한 결과를 그리고 기울기가 낮으면 측정결과 균질성이 떨어짐을 의미한 것이다. 스케일파라미터는
63.2%의 교점값을 의미한 것이며, B10수명은 하위 10% 지점의 교점값으로 중전기기에서 절연은 약점파괴로 모든 부분의 절연이 강하여도 왼아특정부위
약점으로 인하여 절연이 파괴에 이르게 되는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B10수명은 중전기기 절연평가에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그림. 3. Epoxy/MS:MA 이종 혼합 콤포지트의 절연파괴 강도의 와이블 플롯
Fig. 3. Weibull plot of Insulation breakdown strength of Epoxy/MS: MA Heterogeneous
mixed composite
표 3. 그림. 3 와이블 플롯 특성 파라미터
Table 3. Fig. 3 of Weibull Plot Properties Parameter
Parameter
Ratio of Contents
|
Shape Parameter
|
Scale Parameter (kV/2mm)
|
B10
|
MS:MA=1:9
|
134.43
|
47.62
|
46.83
|
MS:MA=3:7
|
58.62
|
47.70
|
45.89
|
MS:MA=5:5
|
49.53
|
48.60
|
46.45
|
MS:MA=7:3
|
88.23
|
53.06
|
51.72
|
MS:MA=9:1
|
68.93
|
53.59
|
51.82
|
이종 혼합비에 따른 콤포지트의 절연파괴특성으로 MS:MA 혼합비율에서 MS의 충진함량비가 클수록, 반대로 MA의 충진함량비가 적을수록 교류절연파괴
강도의 증가를 가져왔다. 각각의 혼합에 따른 형상파라미터는 매우 높은 기울기를 나타내었다. 특정 함량비 1:9, 3:7, 5:5의 혼합비에서는 47.62~48.6kV/2mm
절연파괴 강도를 얻었다. 그러나 7:3, 9:1의 혼합비에서는 53.0~ 53.59kV/2mm로, 절연성능이 10.26~11.29%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이와같이 MS의 충진함량비가 클수록 절연파괴 강도의 향상을 가져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MS:MA의 혼합비가 7:3인 경우로부터 급격하게 절연파괴 성능향상 원인으로 유전율의 특성에서도 볼 수가 있다. 즉,
그림. 4(a)의 MS 충진 함량비가 작을수록 유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림. 2의 이종 무기물 복합체의 구조적인 특성인 SEM에서도 MA의 계면이 불량한 상태를 반대로 MS의 계면상태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그림. 4. Epoxy/Heterogeneous Filler(MS+MA) 충진함량 변화에 따른 콤포지트의 유전율, 유전손실 그리고 전도도 특성
Fig. 4. Epoxy/Heterogeneous filler(MS+MA)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loss and
conductivity of composite
이처럼, 절연파괴는 계면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다. 무기물과 메트릭스 사이 계면결합력 강화에 따라 계면이 양호한 경우, 절연파괴 강도는 높고
반대로 계면이 불량한 상태인 경우, 절연파괴 강도는 낮은 결과를 가져왔다
(7).
이유는 에폭시 수지의 경우 O-H가 존재하며, MS의 경우 표면에 O-H가 존재하므로 두 개의 유기 및 무기물사이 수소결합(공유결합)의 발생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MA의 경우는 알루미나 표면에는 O-H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에폭시 메트릭스와 무기물사이 계면결합력이 미약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런 이유로 계면이 불량한 상태의 결과이다
(4).
다른 측면으로 볼 때, MA 및 MS의 혼합 조성비로 인하여 조직이 치밀하게 된다. 왜냐하면 MS의 비중은 2.65, MA비중은 3.94로서 중량비에따라
MS입자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입자수가 충진된 상태이므로, 조직이 치밀하게 되면 입자들이 전하들을 직접적으로 통과하기 어렵게 하고, 반면 에폭시수지의
공간을 MS 입자들이 차지하는 영역이 크게 증가되어 지게 된다. 그런 이유로 전오위하의 이동이 억제되는 효과를 가져와 역으로 절연파괴강도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열전도는 MS에 비하여 MA가 우수한 편으로, MA가 열전도에 영향을 주어 절연파괴 시 과도한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열적열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진다. 그런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조성비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이유이다. 이와같이 충진함량비가 MS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7:3, 9:1의 경우 절연파괴 강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결과로 사료된다
(8-10).
2) 유전특성
그림. 4, 그리고
표 4,
표 5에서는 ER에 MS+MA 이종의 무기물을 혼합한 콤포지트의 유전특성 (유전율, 유전손실, 전도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4(a)와 표 3에서, 주파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리고 이종 무기물의 충진함량 증가 (MS:MA의 충진 함량비 1:9, 3:7,
5:5, 7:3, 9:1)에 따라 유전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표 4. 그림. 4(a)의 유전율 특성 표
Table 4. Dielectric properties table of Fig. 4 (a)
MS:MA
Frequency
|
ER
|
1:9
|
3:7
|
5:5
|
7:3
|
9:1
|
1.1E6 [Hz]
|
3.5
|
6.48
|
5.65
|
5.41
|
4.86
|
4.54
|
86600[Hz]
|
3.62
|
6.58
|
5.74
|
5.49
|
4.92
|
4.64
|
9990[Hz]
|
3.7
|
6.66
|
5.82
|
5.54
|
4.97
|
4.70
|
1150[Hz]
|
3.74
|
6.72
|
5.89
|
5.58
|
5.00
|
4.83
|
56.2[Hz]
|
3.77
|
6.79
|
6.03
|
5.62
|
5.04
|
4.91
|
1.15[Hz]
|
3.8
|
6.93
|
6.57
|
5.68
|
5.13
|
5
|
그림. 4(b)와
표 5에서는 유전손실의 특성 결과로서, 주파수 감소에 따라 ER의 경우 감소하였고, 100Hz근방에서 다시 증가하는 결과이다. 또한 MS의 충진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전손실은 감소하였다
(3,9,11).
표 5. 그림. 4(b)의 유전손실 특성 표
Table 5. Properties table of Dielectric Loss in Fig. 4 (b)
S:MA
Frequency
|
ER
|
1:9
|
3:7
|
5:5
|
7:3
|
9:1
|
1.1E6 [Hz]
|
0.024
|
0.013
|
0.013
|
0.012
|
0.014
|
0.016
|
86600[Hz]
|
0.019
|
0.010
|
0.011
|
0.009
|
0.009
|
0.008
|
9990[Hz]
|
0.011
|
0.007
|
0.009
|
0.005
|
0.006
|
0.005
|
1150[Hz]
|
0.006
|
0.005
|
0.010
|
0.004
|
0.004
|
0.003
|
56.2[Hz]
|
0.003
|
0.006
|
0.029
|
0.006
|
0.005
|
0.004
|
1.15[Hz]
|
0.035
|
0.018
|
0.243
|
0.166
|
0.023
|
0.03
|
그림. 4(c)에서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이종무기물을 혼합한 콤포지트의 전도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주파수 감소에 따라 전도도는 감소하였고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MS함량이 많을수록 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MS와 MA의 이종무기물 혼합 콤포지트의 유전특성에서 충진함량 전체 70 wt% 중 MS:MA 함량비중 MS 충진함량비가 높을수록
유전율이 감소하였고, 주파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이 증가하는 결과는 절연파괴의 특성과 거의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유전특성의 경우 MS 표면에는
OH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계면의 결합력이 강화되었고 그리고 MA 입자표면에는 OH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에폭시 메트릭스에 OH기가 존재하지만 결합력이
매우 약한 상태이다. 그런 이유로 MS 함량이 증가될수록 계면의 강화로 유전율이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3,7,8). 이와 같은 경우는
그림. 2의 SEM에서도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주파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저파수로 갈수록 무기물과 유기물의 계면에서 나타난 계면분극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유전손실의 경우 각각의 충진 함량비(1:9, 3:7, 5:5, 7:3, 9:1)의 주파수 감소에따라 감소하였고, 저주파 영역인
손실의 변환점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계면에서 전도성에 의한 전자의 이동이 계면결함에 의하여 쉽게 이루어진 통로로 작용한 유전손실로
사료되어 진다
(9,11).
3.3 기계적 특성
1) 인장강도
그림. 5,
표 6에서는 에폭시/MS+MA 혼합 콤포지트의 기계 적 인장강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5. Epoxy/MS:MA 이종 혼합 콤포지트의 기계적 인장강도의 와이블 플롯
Fig. 5. Weibull plot of tensile strength of Epoxy/MS: MA Heterogeneous mixed composite.
표 6. 그림. 5 와이블 플롯 특성 파라미터
Table 6. Fig. 5 of Weibull Plot Properties Parameter
Parameter
Ratio of Contents
|
Shape
Parameter
|
Scale
Parameter
(MPa)
|
B10 Life
(MPa)
|
MS:MA=1:9
|
12.93
|
49.78
|
41.83
|
MS:MA=3:7
|
8.19
|
56.36
|
42.84
|
MS:MA=5:5
|
22.02
|
58.03
|
51.93
|
MS:MA=7:3
|
14.36
|
74.82
|
63.96
|
MS:MA=9:1
|
21.44
|
79.31
|
71.38
|
이종 혼합비에서 마이크로 실리카의 함량 비율이 높을수록 인장장도가 높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측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인장 시 샘플의 판단의 개시점이 매우 중요하다. 마이크로 및 나노 보이드의 존재, 분산 시 미 분산된 영역으로
입자들의 뭉침 현상의 존재, 입자와 수지사이 계면의 약화, 망상구조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경화제/수지 그리고 필러의 과량첨가로 인하여 경화반응을 억제하게
하는 경우, 그런 원인이 가교밀도 약화로 인한 결함으로 작용될 수가 있다
(7). 그러나 그에 대한 가능한 원인으로 사료될 수 있는 것은 계면의 약화를 둘 수가 있을 것이다. 즉, MS 및 MA의 혼합비로 제조된 콤포지트의 경우
대체로 실리카의 표면에는 OH기가 존재하고 있고 그리고 에폭시 수지에서도 OH기가 존재하여 유기/무기물질의 수소결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소결합은 O(산소), N(질소), F(플루오르) 등 전기음성도가 강한 2개의 원자 사이에 수소원자가 들어감으로써 생기는 강한 분자 간 인력을 일반적으로
수소결합이라 합니다
(7). 즉 수소결합은 보통 다른 분자간 인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결합이라 부르며, 전기음성도는 전자를 당기는 힘이 매우 강하여 수소와 산소가 결합할 경우
수소는 전자가 1 개밖에 없는데, 산소는 전자를 매우 강하게 당기게 되고, 수소는 전자를 거의 빼앗기고 (+)전하를 띠게 됩니다. 그 때 옆에 다른
분자가 다가옵니다. 다른 분자에 있는 산소 원자는 그 분자의 수소로부터 전자를 당겨온 상태이기 때문에 (–)전하를 띱니다. 이와 같은 결합의 원리로
에폭시수지와 무기물인 마이크로 실리카의 계면결합을 강하게 하여 기계적 인장강도를 높이게 한다. 그러나 마이크로 알루미나의 경우 입자표면에 OH기를
갖고 있지 못하여 계면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된다. 그런 이유로 알루미나의 양이 많아지면 기계적 인장강도가 낮아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12).
2) 굴곡강도
그림. 6,
표 7에서는 에폭시/MS:MA 이종 무기물의 혼합비에따른 기계적 굴곡강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림. 6(a)에서는 혼합비에 대한 굴곡강도의 와이블플롯을 나타내었고 그리고
그림. 6(b)에서는 굴곡강도 와이블플롯의 특성파라미터인 스케일파라미터와 B10 수명의 결과를 얻었다.
그림. 6. Epoxy/MS:MA 이종 혼합 콤포지트의 기계적 굴곡 강도의 와이블 플롯
Fig. 6. Weibull plot of flexural strength of Epoxy/MS: MA Heterogeneous mixed composite
같은 혼합비에 대한 스케일파라미터와 B10수명의 차이가 작을수록 기울기가 크고, 반대로 차이가 클수록 기울기가 작은 결과를 의미한 것이다.
표 7애서는 와이블 플롯의 특성파라미터의 결과를 표로 제시하였다.
표 7. 그림. 6 와이블 플롯 특성 파라미터
Table 7. Fig. 6 of Weibull Plot Properties Parameter
Parameter
Ratio of Contents
|
Shape
Parameter
|
Scale
Parameter
(kV/2mm)
|
B10
|
MS:MA=1:9
|
26.85
|
103.654
|
95.29
|
MS:MA=3:7
|
29.22
|
118.96
|
110.14
|
MS:MA=5:5
|
20.14
|
122.14
|
109.27
|
MS:MA=7:3
|
28.60
|
130.97
|
121.02
|
MS:MA=9:1
|
27.52
|
153.15
|
141.14
|
이종무기물 MS:MA 혼합 콤포지트의 기계적 굴곡강도의 특성에서 MS의 충진함량비가 증가할수록, 역으로 MA의 충진함량비가 감소할수록 굴곡강도는
증가하였다. MS 충진함량비가 가장 낮은 1:9의 경우 103.65MPa을 나타내었고, 가장 충진함량비가 높은 9:1의 경우 153.15MPa의 결과를
얻었다. 충진함량비 5:5을 넘어선 굴곡강도의 증가율이 크게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혼합비에 대하여 MS의 최소량과 최대량의 성능의 차이는 49.5MPa로서
47.75%의 기계적 성능이 향상된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처럼 어느 일정한 함량비에서 MS:MA의 함량비가 5:5인 경우에서부터 증가하게 된 이유는 MS가 충진된 경우 무기물인 실리카와 유기물인 에폭시수지
간 공유결합과 같은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Anchor되어 에폭시 체인의 이동도를 방해하게 되어 굴곡강도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7).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MS 입자의 경우 NS 40nm인 경우를 예를 들면, MS가 10μm의 경우라면 약 250배 작은 입자의 크기를 갖고
있다. 에폭시수지에 마이크로필러를 충진 하는 것은 순수한 에폭시 고분자수지에 불순물을 투입하는 경우와 같다. 그러나 기계적 특성은 MA 보다 MS
입자의 충진에 의해서 기계적 특성인 인장과 굴곡강도의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소량의 마이크로 필러를 충진할 때면 입자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입자간의 거리가 대단히 멀리 떨어져있게 된다. 그런 입자의 분포상태에서는 오히려 마이크로필러가 불순물로 작용하는 경향을 갖게 된다. 다시 표현하면,
기계적 결함의 시점이 되어 진다는 것이다. 그러함에 충진 함량이 증가되면 될수록 마이크로 필러 입자 간 간격이 좁아지고 계면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입자 간격이 좁아지면 수지의 영역이 감소하게 되고 반대로 기계적 특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무기물의 영역이 증가되어 굴곡강도 특성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기 때문이다
(8,9). 그러나 기계적 특성향상의 핵심은 마이크로필러가 에폭시수지에 균질한 상태로 분산이 이루어 져야만 한다. 또한 구조적인 상태에 존재하는 MS 입자가
수지와 계면의 결합력을 크게 가질 때, 특성향상을 가져오는 것이다. MS의 비중은 2.65, MA의 비중은 3.94로서 같은 중량에서 MS의 입자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충진되어져 수지와 MS의 표면 수소결합이 강하게 작용되는 결과로 사료된다. 그런 이유로 현재 상용화하여 제조된 전력기기인 GIS Spacer의
경우 MA로 구성된 콤포지트에서는 계면의 약화로 장시간 신뢰성에 노출되어 수명을 짧게 하는 원인이 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절연가스 하에서 적용하기 위한, GIS Spacer용 절연물 개발을 위하여 에폭시/이종무기물 MS, MA혼합 충진함량비(MS:MA,
1:9, 3:7, 5:5, 7:3, 9:1)에 따라 샘플을 제조하였고, 개발된 절연소재의 전기적 특성으로 전기적 절연파괴 및 유전특성, 기계적 특성으로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기적 특성
- 전기적 절연파괴
에폭시/이종 무기물 혼합비(MS:MA)에 따른 전기적 절연파괴 특성으로, MS:MA 혼합비에서 MS의 충진함량 비가 증가할수록 교류 절연파괴 강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7:3을 넘어선 경우로부터 더욱더 현격하게 절연성능이 향상되었다.
- 유전특성
상온상태에서, 주파수 의존성을 볼 때 주파수 감소에따라 유전율은 증가하였고 그리고 이종 무기물 혼합비에서 MS의 혼합비 증가(MS:MA, 1:9,
3:7, 5:5, 7:3, 9:1)에 따라 유전율이 감소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고 그리고 유전손실도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이종혼합비 충진함량에 따른, MS의 충진함량비가 증가할수록 절연파괴강도 및 유전특성에서 절연성능이 향상된 결과는 MS
입자표면의 O-H 존재로 수소결합의 강화 및 유/무기 계면에 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2. 기계적 특성
- 인장강도
에폭시/이종무기물 혼합 충진함량비에 따른 인장강도 특성으로, MS의 충진 혼합비 증가에따라 인장강도 특성이 향상되었고 MS:MA의 7:3의 혼합비로부터
기계적 인장강도 향상이 크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 굴곡강도
이종 혼합비 충진함량에 따른 MS의 충진함량비가 증가할수록 굴곡강도의 특성이 향상되었고, 인장강도와 같이 7:3으로 부터 더욱더 큰 향상의 결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종무기물 혼합비 충진함량에 따른 MS의 비중이 낮아, 같은 중량비에서 MA보다 충진된 입자수가 상대적으로 많다. 그런 이유로 조직의
치밀함과 입자표면 O-H기의 존재로 수소결합이 더욱더 강화되어 양호한 계면을 갖을 수 있어, 더욱더 기계적 인장과 굴곡강도가 7:3의 함량비에서 향상되는
것으로 기인됨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8년도 중부대학교 교내연구과제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Shimizu T., Kinoshita S., Makishima S., Sato J., Sakaguchi O., 2003, Material and
Simulation Technology for Solid Insulated Switchgear, IEE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operties and Application of Dielectric Materials (ICPADM), S22-5, pp. 1194-1197
Huang X., Jiang P., Tanaka T., 2011, A review of dielectric polymer composite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Volume, Vol. 27, No.
4, pp. 8-16
Iyer G., Gorur R. S., Richert R., Krivda A., Schmidt L. E., 2011,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based nanocomposites for high voltage insulatio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8, No. 3, pp. 659-666
Kochetov Roman, Andritsch Thomas, Morshuis Peter H. F., Smit Johan J., 2010, Thermal
and Electrical Behaviour of Epoxy-based Microcomposites Filled with Al2O3 and SiO2
Particles, 2010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ical Insulation, pp. 1-9
Castellon J., Nguyen H. N., Agnel S., Toureille A., Frechette M., Savoie S., Krivda
A., Schmidt L. E., 2011, Electrical Properties Analysis of Micro and Nano Composite
Epoxy Resin Material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8, No. 3, pp. 651-658
Manson John A., 1985, Interfacial effects in composites, Pure & AppL Chem., Vol. 57,
No. 11, pp. 1667-1678
Park Jae-Jun, Lee Chang-Hoon, Lee ae-Young, Kim Hee-Dong, 2011, Preparation of Epoxy/Micro-
and Nano- Composites by Electric Field Dispersion Process and Its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8, No.
3, pp. 667-674
Guo Jielin, Chen Yu, Jia Zirui, Tanaka Toshikatsu, Wu Jielong, Cheng Yonghong, 2014,
Study on Electrical Properties of Micro-nano Structured Epoxy Composites, Proceedings
of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s, pp. 441-444
Sun Jing, Zhang Peihong, 2016, Study on the effect of interface bonding strength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2016 IEEE International Con- ference
on Dielectrics (ICD), Vol. 1, pp. 104-107
Reading Martin, Xu Zhiqiang, Vaughan Alun S., Lewin Paul L., 2011, The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nano-silicon dioxide filled epoxy systems for use in high
voltage insulation, 2011 Electrical Insulation Conference, Annapolis, Maryland, 5
to 8 June 2011, pp. 493-497
Klampar Marian, Spohner Milan, Skarvada Pavel, Dallaeva Dinara, Kobrtck Jozef, Liedermann
Karel, 2013,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resins with oxide nanofillers and their
accelerated ageing, 2013 IEEE Electrical Insulation Conference (EIC), pp. 286-290
Zhao Su, Hillborg Henrik, Mårtensson Eva, Paulsson Göran, 2011, Evaluation of epoxy
nanocomposites for electrical insulation systems, 2011 Electrical Insulation Conference
(EIC), pp. 489-492
저자소개
1985년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1987년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1993년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1997년~현재 중부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E-mail :
jjpark@joongb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