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급작 수요 발생 상황
4장에서 도출된 스케줄대로 전력사용스케줄이 진행 된다면, 소비자와 그리드가 동시에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겠지만, 2장에서 언급했듯이 현실에서는
예정되지 않았던 급작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절에서는 이와 같은 급작 수요 발생상황에서 해당 수요를 최소한의 비용으로 송전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처리하기 위한 실시간 급작 수요 협상 프레임웍을
제시한다. 현실적인 급작수요를 고려하기 위하여 가정 3과 4를 설정한다.
Assumption 3
그리드의 송전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한 그리드는 추가적인 전력공급 요구를 거절하지 않는다. 이 가정은 에이전트가 다른 시간대로 전력 사용 스케줄을 옮김으로써
그리드의 PAR수치가 높아진다 하더라도 그리드는 전력공급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한 허가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의 협상이 가능하게 한다.
Assumption 4
급작 수요로 인해 해당 시간대의 생산전력량이 증가하는 경우, DAO 통합 스케줄링을 통해 하루 전 사용이 예정된 기기들의 SMP는 해당 시간대의 전력생산비용이
증가하더라도 DAO 통합 스케줄링에서 책정되었던 가격대로 추가 비용 없이 공급되지만, 급작 수요에 대한 SMP의 경우 해당 시간대의 전력생산비용의
증가된 만큼 늘어난 가격으로 책정한다.
이 가정은 급작 수요가 발생한 경우 해당 시간대의 전력수요가 높을수록 급작 수요를 공급받기 위한 비용이 증가함을 의미하며, 급작 수요의 전력사용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간대의 전력수요가 낮아야 함을 의미한다.
변수 (17)은 본 논문에서 정의한 급작 수요 변수로 에이전트 $i$의 기기 $j$(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위 첨자는 간결성을 위해 생략하였다)가 $h$시에 $w$의
크기를 가진 급작 수요가 발생했음을 의미하며, 식 (18)은 식 (17)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에이전트 3의 첫 번째 Interruptible 기기를 AM 9:00부터 AM 10:00까지 1시간 동안의 가동하도록
요구하는 급작 수요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그림. 5는 식 (18)의 급작 수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급작 수요로 인해 변화된 수치들을 붉은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한 것으로, 그리드의 송전용량($LM_{h}$)의 수치에
따라 두 가지 케이스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림. 5. 급작 수요 발생에 따른 전력사용스케줄 변화
Fig. 5. Power consumption schedule changes in case of sudden demands
CASE 1 : 급작 수요 요청을 수용했을 시 송전용량이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LM_{h}$=20kWh)
$h$시의 전력수요량이 송전용량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전력수급이 불안정해지거나 정전이 발생할 수 있기에 급작 수요 요청을 거부하거나 다른 기기의 전력사용스케줄을
실시간으로 변화시켜 급작 수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ASE 2 : 급작 수요 요청을 수용해도 송전용량이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LM_{h}$=30kWh)
급작 수요를 그대로 공급하여도 정전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해당 시간대의 전력사용량이 높아 급작 수요에 대한 SMP가 매우 높아지므로 표 2에 보인 것처럼 많은 전력사용비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해당 시간대의 전력사용량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 급작 수요 발생 전후의 하루 전력 사용비용 및 PAR 변화
Table 2. Power consumption cost & PA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quest of the
sudden demands
|
Before sudden demand occur
|
Accept sudden demand
|
Total Cost($)
|
39.72
|
44.45
|
Player 1($)
|
13.73
|
13.73
|
Player 2($)
|
14.15
|
14.15
|
Player 3($)
|
11.84
|
16.57
|
PAR
|
1.7743
|
2.3636
|
5.2 급작수요와 사용자 불편도를 동시에 고려한 실시간 급작 수요 대응 방법론 (RTSDNF)
본 절에서는 이러한 급작 수요를 최소한의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RTSDNF방법의 원리를 나타내며 그 효과를 분석한다.
RTSDNF 의 기본 원리는 $h$시에 급작 수요가 발생한 경우 해당 기기를 제외한 중요도가 낮은 다른 기기들의 전력사용스케줄을 다른 시간대로 변경시킴으로써
$h$시에서의 수요 전력 $l_ {h}$를 줄여 SMP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정해진 시간에 가동 예정인 기기를 지연시킬 경우 해당 기기를 소유한
에이전트에게 불편도가 발생하게 되며, 에이전트들은 자신의 유틸리티를 단순히 전력사용비용만이 아니라 가동 지연으로 인한 불편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현실적인 가동 지연 불편도 함수들[18,19]을 참고하여 가동 지연 불편도를 다음과 같이 수식화하였다.
식 (19)는 본 연구에서 가정한 가동 지연 불편도 비용 함수의 한 예로서, $im_{i,j}$의 중요도를 가진 에이전트 $i$의 기기 $j$의 가동 완료 예정
시간을 $h$시간만큼 지연시킬 경우의 불편도를 가격 단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dw$는 RTSDNF에서 불편도를 고려하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RTSDNF 방법에서 에이전트들의 의사결정을 위한 유틸리티는 단순히 전력사용비용만이 아닌 지연으로 인한 불편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식 (20)과 같이 모델링된다.
5.1절의 Assumption 4에서 언급한 것처럼, $\overline{h}$시에 급작 수요 $w_{s, j, \overline{h}}$를 요청한
에이전트 $s$의 급작 수요 전력사용비용은, 해당 시간대의 전력생산비용의 증가로 인해 증가한 SMP로 공급받도록 가정하므로 에이전트 $s$의 유틸리티는
식 (21)과 같이 새롭게 모델링 된다.
에이전트들은 본인의 비용 유틸리티를 최소화 하려고 하며, 이를 위해서 그리드는 급작 수요 $w_{s, j, \overline{h}}$가 발생한 $\overline{h}$시간에서의
기존 전력 사용량이 많을 경우 다른 에이전트들이 해당 시간대에서 전력 사용량이 적은 다른 시간대로 가동 스케줄을 지연시킴으로써 SMP 함수 $C_{\overline{h}}\left(l_{\overline{h}}\right)$를
최소화 한다. 그러나 식 (19)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에이전트들이 가동 스케줄을 뒤로 미룰 경우 불편도 함수 값이 발생하여 비용 유틸리티가 증가하므로 합당한 보상이 필요하다.
즉 RTSDNF는 급작 수요가 발생한 에이전트 $s$가 다른 에이전트들에게 일정 금액을 보상함으로써 다른 에이전트들이 가동 스케줄을 지연하더라도 비용
유틸리티가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협상하는 방법이다.
먼저 에이전트 $s$가 IMS에게 급작 수요 $w_{s, j, \overline{h}}$와 1인당 최대 보상 가능 금액 $\sigma_{s}\left(w_{i,
j, \overline{h}}\right)$을 통보하며, 요청을 수신한 IMS는 다른 에이전트들에게 지연 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나타내는 지연 가능
정보 벡터 $\gamma_{i}$를 일정 시간 내에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gamma_{i}$는 에이전트 $i$의 기기 $j$의 $k$번째 가동 프로세스의 이동 가능한 시작 시간대 모음 벡터 $\epsilon_{i, j,
k}$로 구성되어 있으며, $\epsilon_{i, j, k}$는 각 시간대 별로 해당 가동 프로세스의 시작을 지연하여 가동 예정 스케줄이 비어있는
시간대 h에서 시작하는 것이 가능할 시 1, 불가능할 시 0으로 나타내는 지연 가능 여부 변수 $\pi_{i, j, h}$를 원소로 가진다. (식 (22), 식 (23)).
그리고 IMS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각 에이전트들은 식 (24)와 같이 자신이 소유한 기기들의 가동 지연 불편도 비용과 보상 가능 금액을 비교하여 지연 가능 정보 벡터 $\gamma_{i}$를 결정한다.
여기서 -s는 급작 수요를 요청한 에이전트 s를 제외한 나머지 에이전트를 의미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IMS는 수신한 각 에이전트들의 지연 가능 정보를 종합하여 에이전트 $s$가 부담해야 할 추가 전력사용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상을 지급해 스케줄 변경을 요청할 에이전트들을 선정하여 새로운 최적 스케줄 $\left[\overline{x_{i, j, h}^{N I}}, \overline{x_{i,
k, h}^{I}}\right]$을 4장과 동일하게 유전알고리즘을 통해 계산한 다음, 각 에이전트들과 그리드에게 새롭게 변경된 스케줄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한 RTSDNF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수리 모델로 모형화된다.
Subject to
식 (25)는 급작 수요를 요청한 에이전트 $s$의 기기 $l$의 추가 전력사용비용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스케줄링을 위한 의사결정변수 $\left[\overline{x_{i,
j, h}^{N I}}, \overline{x_{i, k, h}^{I}}\right]$를 찾는 목적함수를 의미하며, $CH$는 가동프로세스를 지연시키는
대신 보상해야 하는 프로세스의 수로, 가동 스케줄을 지연하는 프로세스가 증가할수록 보상해야 하는 금액도 늘어나게 됨을 의미한다. 식 (26)~식 (31)은 4장에서 가정한 것과 동일한 제약조건을 의미하며, 식 (32)는 지연 불가능한 시간대로 기존의 전력스케줄을 옮기는 것이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최적화 문제를 4장과 동일하게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스케줄을 도출한다. 다음 장에서는 제시한 RTSDNF 방법의 우수성을 기존의 급작 수요 처리방법과 비교 분석하여 예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