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A University, Korea)
  2. (R & D cemter/Circuit Design Team, Denso Korea Electronics Corp.)
  3. (Power & industrial Systems R & D Center, Hyosung Corp.)



Power trasformer, Short-circuit electromagnetic

1. 서론

과거 우리나라의 전력 소비량은 경제성장과 동시에 빠르게 증가해왔고, 전력 소비량의 증가로 인해 국내 전력 설비가 전국적으로 확충되어왔다. 현재 국내 전력 계통은 관련 종사자들의 노력으로 안정화되어 있으나, 외부적인 환경 요인에 의한 사고 발생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 중 낙뢰를 포함한 다른 외부적인 영향에 의해 계통 간 단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단락사고에 의해 발생한 단락 전류가 변압기에 유입될 수 있다. 변압기에 단락 전류가 유입되면 순간적으로 변압기 권선 사이의 누설자속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단락 전류와 누설자속밀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단락 전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변압기 권선에서 발생한 단락 전자력은 구조적 결함이나 화재 발생 등의 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고 전력 계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변압기의 파손은 더 위험한 2차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변압기의 단락시험이 수행되어야 하지만 전력용 변압기의 단락시험은 비싼 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변압기의 설계 과정에서부터 단락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최근에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단락 전자력의 해석기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1]. 일반적으로 이 연구들은 탭 권선을 포함하지 않은 모델로 해석이 많이 수행되었으나 근래에는 운전 중에 발생하는 전압 변동을 대비하여 탭 권선이 포함된 변압기들이 대부분이므로 탭 조건에 따른 단락 전자력의 크기를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전력용 변압기의 탭을 변경할 경우, 전류가 투입되지 않는 disk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변압기 내부 누설자속과 단락 전자력의 방향이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탭 조건에 따라 %임피던스의 크기와의 비율이 달라져 단락 전류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각 disk별 발생하는 단락 전자력의 크기도 차이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압권선에 탭 권선이 포함된 30MVA급 전력용 변압기를 다룬다. 자계해석을 위해 사용한 유한요소모델은 해석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2차원 축대칭 형상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3차원 전체 모델링을 이용해 얻은 평균 전자력 밀도와 2차원 축대칭 모델링을 이용해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정상상태에서 %임피던스와 최대 누설자속밀도의 이론값과 해석값의 비교를 통해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2,3,4]. 변압기에 인가되는 3상 전류가 각각 A, B, C상에 흐른다고 가정하면 B상에 흐르는 전류가 최대 크기를 가질 때 A, C상의 전류 크기는 B상의 1/2배이므로, 각 권선의 disk별로 발생하는 최대 단락 전자력을 계산하기 위해 각각의 탭 조건에 따른 1상에 발생하는 최대 단락 전류를 계산하여 2차원 축대칭 모델의 전류 source로 인가하였다[5]. 자계해석을 통해 누설자속밀도를 계산하였고, 탭 조건별 권선이 받는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단락 전자력의 크기를 예측하여 비교하였다.

2. 본론

2.1 전자기적 특성

2.1.1 %임피던스

변압기의 %임피던스는 전력계통에서 전력 설비들의 용량이 다를 때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사용한다. %임피던스는 권선 저항에 의한 %저항과 누설자속에 의한 %리액턴스로 계산할 수 있으며, 전력용 변압기는 %저항보다 %리액턴스가 훨씬 크기 때문에 %임피던스는 %리액턴스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이 동심원 배치인 구조의 변압기의 경우, %리액턴스는 해석적 방법을 통해 식 (1)과 같이 표현한다[3].

(1)
$\%IX=2\pi f\dfrac{\mu_{0}\pi(N I)}{H_{eq}(V/N)}\sum ATD\times 100$

(2)
$\sum ATD=\dfrac{1}{3}(T_{1}\times D_{1})+(T_{g}\times D_{g})+\dfrac{1}{3}(T_{2}\times D_{2})$

여기서, $N$은 권선의 턴수, $I$는 정격전류[A], 는 $V$ 정격전압[V], $\% IX$는 %리액턴스[%], $H_{eq}$는 권선의 평균 높이[cm], $T_{1}$은 저압권선의 두께[cm], $T_{g}$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 사이 공극의 두께[cm], $T_{2}$는 고압권선의 두께[cm], $D_{1}$은 저압권선의 평균 지름[cm], $D_{g}$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 사이 공극의 평균 지름[cm], $D_{2}$는 고압권선의 평균 지름[cm]이다.

%리액턴스를 계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자기에너지와 인덕턴스의 관계를 이용해서 계산할 수 있다. 유한 요소법과 같은 수치적 방법이 사용될 때, 인덕턴스는 식 (3)과 같이 표현한다. 식 (3)에 $w=2\pi f$를 곱하면 누설리액턴스를 구할 수 있다[3].

(3)
$L=\dfrac{2W_{H}}{I^{2}}=\dfrac{1}{I^{2}}\int_{vol}\vec{B}\bullet\vec{H}dv =\dfrac{1}{I^{2}}\int_{vol}\vec{A}\bullet\vec{J}dv$

여기서, $W_{H}$는 자계 내에 축적되는 총에너지[J], $I$는 정격전류[A], $L$은 인덕턴스[H], $\vec{B}$는 자속밀도[T], $\vec{H}$는 자계의 세기[A/m], $\vec{A}$ 는 자기 벡터 포텐셜, $\vec{J}$는 전류밀도[A/m2]이다.

%저항은 변압기 권선에 정격전류가 흐를 때 저항성분에 의한 전압강하와 정격전압의 비를 의미하며 부하손실과 정격용량의 비로 식 (4)과 같이 표현한다.

(4)
$\%IR=\dfrac{I_{r}r}{V_{r}}\times 100=\dfrac{P_{load}}{S_{r}}\times 100$

여기서, $\%IR $은 %저항[%], $I_{r}$은 정격전류[A], $V_{r}$은 정격전압[V], $P_{load}$는 부하손실[W], $S_{r}$은 정격용량[VA]이다. %임피던스는 식 (1)식 (2)을 이용하여 계산한 %리액턴스와 %저항으로 식 (5)와 같이 표현한다.

(5)
$\%IZ=\sqrt{(\%IR)^{2}+(\%IX)^{2}}$

여기서 $\%IZ$는 %임피던스[%]이다.

변압기의 %임피던스가 작으면 단락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고 %임피던스가 크면 온도 상승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임피던스의 결정이 필요하다.

2.1.2 단락전류

전력설비의 회로에 절연파괴, 불꽃방전, 금속성 이물질의 접속 등 사고에 의해 그 회로가 정상 시에 매우 작은 임피던스로 접속된 상태가 되어 순간적으로 매우 큰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단락이라 하며, 단락사고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단락 전류라고 한다. 단락사고는 일반적으로 1선 지락사고(Single Line-to- Ground Short Circuit), 2선 지락사고(Double Line-to-Ground Short Circuit), 선간 단락사고(Line-to-Line Short Circuit), 3상 단락사고(Three-phase Short Circuit)로 분류되며, 전력시스템의 사고 중 1선 지락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나 전력기기의 안정성을 위해 설계 과정에서는 가장 가혹한 조건인 3상 단락사고를 가정하여 설계에 적용한다.

단락 전류는 그림. 1과 같이 단락상태를 모의한 정현파 전압원, 저항, 인덕턴스가 직렬로 연결된 R-L 단상회로로등가화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원은 발전기로부터 얻은 기전력, 인덕턴스는 변압기의 누설인덕턴스, 저항은 변압기의 부하손실이다. 등가화 된 회로의 스위치가 닫히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기본 주파수를 가진 교류 성분과 시간에 따라 지수적(exponent)으로 감쇠하는 직류성분으로 구성된 비대칭 단락전류(asymmetrical short-circuit current)로 식 (6)와 같이 표현한다[6].

그림. 1. 변압기 모의 단락회로

Fig. 1. Equivalent model for Short-Circuit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1.png

(6)
$i(t)=\dfrac{E_{m}}{\sqrt{(R^{2}+\omega^{2}L^{2})}}\left\{\sin(\omega t+\alpha -\varphi)-e^{-(R/L)t}\sin(\alpha -\varphi)\right\}$

여기서, $E_{m}$은 최대 전압[V], $\omega$는 위상각[rad/s], $\alpha$는 전압의 스위칭 각[rad], $\varphi =\tan^{-1}(\omega L/R)$이다.

또한, 전력시스템에서 리액턴스의 크기는 저항의 크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위상각 $\varphi$는 $\pi /2$로 볼 수 있고 전압이 0인 시점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식 (6)식 (7)과 같이 표현한다[7].

(7)
$i(t)=\dfrac{E_{m}}{\sqrt{(R^{2}+\omega^{2}L^{2})}}\left\{\sin(\omega t-\dfrac{\pi}{2})+e^{-(R/L)t}\right\}$

2.1.3 누설자속밀도

변압기 권선에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정상상태에 비해 권선 주변에 많은 누설자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 누설자속은 Maxwell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도된 식 (8)과 같은 자계 지배 방정식으로부터 구한 자기 벡터 포텐셜 $\vec{A}$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누설자속밀도는 식 (9)와 같이 축 방향과 반경 방향 성분으로만 나타나게 된다[8].

(8)
$\nabla\times\dfrac{1}{\mu}(\nabla\times\vec{A})=\vec{J}$

(9)
$B_{r}=-\dfrac{\partial A_{\phi}}{\partial z},\: B_{\phi}=0 ,\: B_{z}=\dfrac{1}{r}\dfrac{\partial r A_{\phi}}{\partial r}$

여기서, $\mu$는 투자율[H/m], $\vec{A}$는 자기 벡터 포텐셜, $\vec{J}$는 전류밀도[A/m2]이다.

그림. 2와 같이 권선 사이에 발생한 누설자속은 대부분 축 방향으로 흐르는 경향을 띄며, 식 (10)와 같이 해석적 방법을 통해 최대 누설자속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4].

그림. 2. 변압기 권선 사이의 누설자속

Fig. 2. Leakage flux in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2.png

(10)
$B_{\max}=\dfrac{\mu_{o}\times\sqrt{2}\times N\times I\times 10^{3}}{H_{w}}$

여기서, $B_{\max}$는 최대 누설자속밀도[T], $\mu_{0}$는 진공의 투자율[H/m], $H_{w}$는 권선의 길이[mm]이다.

축 방향 성분의 누설자속밀도는 반경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에 영향을 미치고 반경 방향 성분의 누설자속밀도는 축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

2.1.4 단락 전자력

단락사고 발생 시 유입된 단락 전류와 그 단락 전류에 의해 발생한 권선 주변의 누설자속의 수직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며, 이 힘을 단락 전자력이라 한다. 이 힘은 자기장에서의 Lorentz 힘으로 식 (11)과 같이 표현한다.

(11)
$d\vec{F}= Id\vec{l}\times\vec{B}$

여기서, $\vec{F}$는 전자력[N]이다.

식 (9)와 같이 권선에서 축 방향과 반경 방향 성분으로 나타나는 누설자속밀도에 의해 단락 전자력 또한 축 방향과 반경 방향 성분으로 나누어지며 식 (12)과 같이 표현한다[8].

(12)
$\vec{F}=\int_{v}J_{\phi}\hat\phi\times(B_{r}\hat r +B_{z}\hat z)dv = F_{r}\hat r +F_{z}\hat z$

축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은 단락 전류와 반경 방향 성분의 누설자속밀도와 상호작용을 하여 발생하고 고압권선과 저압권선 모두 권선 중심부로 향하는 압축력으로 발생한다. 반대로 반경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은 단락 전류와 축 방향 성분의 누설자속밀도와 상호작용을 하여 발생하고 고압권선에서는 철심 반대 방향, 저압권선에서는 철심 방향으로 향하는 인장력으로 발생한다.

2.2 해석 결과

2.2.1 해석 모델

탭 조건에 따른 변압기 권선에서 발생하는 단락 전자력을 예측하기 위해 고압권선에 탭 권선이 포함된 그림. 3과 같은 모델을 선정하였다[5]. 표 1은 변압기 모델의 사양이며, 자계해석의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2차원 축대칭 형상으로 모델링하였다.

그림. 3. 해석 모델

Fig. 3. Analysis Model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3.png

표 1. 해석 모델 사양

Table 1. Specification of Power Transformer

Classification

Specification

Rated power [MVA]

30

Voltage [kV]

23.9(Max) - 22.9(Rate) - 19.9(Min) / 69

Frequency [Hz]

60

권선의 각 disk로 발생하는 단락 전자력의 크기를 확인하고 실제 변압기와 최대한 유사하게 모델링하기 위해 고압권선은 48disk, 저압권선은 44disk로 나누어 모델링하였고 자계해석은 표 1에 표시한 것처럼 각각 최고 탭 조건, 정격 탭 조건, 최저 탭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2.2.2 해석 모델의 타당성 검증

3차원 전체 모델을 2차원 축대칭 모델로 표현하는 것은 3상을 1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3상을 1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3차원 전체 모델의 각 상에 최대 전류가 흐를 때 각 상에 위치한 권선의 disk에서 발생하는 평균 전자력 밀도가 모두 유사하거나 어느 1상에 위치한 권선의 disk에서 발생하는 평균 전자력 밀도가 2차원 축대칭 모델로 계산한 평균 전자력 밀도와 유사할 경우에 가능하다. 따라서 3상 전력용 변압기의 각 상에 위치한 권선의 disk에서 발생하는 축 방향 평균 전자력 밀도를 비교하였으며, 그림. 4에 나타내었다. 또한 2차원 축대칭 모델링을 이용하여 권선의 disk에서 발생하는 평균 전자력 밀도를 계산하고, 이를 3차원 전체 모델링을 이용해서 계산한 평균 전자력 밀도와 비교하여 2차원 축대칭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비교 결과는 그림. 5그림. 6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3차원 전체 모델링의 퍙균 전자력밀도 결과는 B상일 때이다.

그림. 4. 축방향 평균 전자력 밀도

Fig. 4. Axial component of average electromagnetic force density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4.png

그림. 5. 반경방향 평균 전자력 밀도

Fig. 5. Radial component of average electromagnetic force density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5.png

그림. 6. 축방향 평균 전자력 밀도

Fig. 6. Axial component of average electromagnetic force density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6.png

전체적으로 A상과 B상 및 C상을 비교하였을 때 3상 모두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권선의 disk에서 발생한 평균 전자력 밀도는 3상 중 1상만 고려해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2차원 축대칭 모델링을 이용해 계산한 반경 방향과 축 방향 평균 전자력 밀도는 3차원 전체 모델링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2.2.3 해석의 타당성 검증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상 상태에서 %임피던스와 최대 누설자속밀도의 이론값과 해석값을 비교하였다. %임피던스는 식 (1), 식 (2), 식 (4)로부터 계산한 이론값을 해석값과 비교하였고 최대 누설자속밀도는 식 (10)로부터 계산한 이론값을 해석값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이론식으로부터 계산한 %임피던스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임피던스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유한요소법의 경우, 자기에너지를 계산하여 자기에너지와 인덕턴스의 관계를 이용해 %리액턴스를 계산하였고 %저항을 추가하여 %임피던스를 계산하였다.

표 2. %임피던스 비교

Table 2. % Impedance comparison

Classification

Analytical Method [%]

Finite Element Analysis [%]

Max Tap

Rate Tap

Min Tap

14.96

15.47

17.28

14.72

15.25

17.16

그림. 7은 각각의 탭 조건에서 공극에 발생한 최대 누설자속밀도를 보여준다. 탭 권선의 disk는 다른 고압권선의 disk에 비해 75%의 턴을 가지기 때문에 권선의 1/2 높이에서 자속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탭 조건에서 최대 누설자속밀도는 권선 사이 공극의 1/4과 3/4 높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대 누설자속밀도의 이론값과 해석값을 비교한 것은 표 3에 나타내었다.

그림. 7. 정상상태 누설자속밀도 분포

Fig. 7. Leakage flux density at steady-state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7.png

표 3. 최대 누설자속밀도 비교(정상상태)

Table 3. Maximum Leakage Flux Density comparison(Steady State)

Classification

Analytical Method [T]

Finite Element Analysis [T]

Max Tap

Rate Tap

Min Tap

0.182

0.196

0.211

0.188

0.191

0.203

위의 결과에서 보이는 듯이 %임피던스와 최대 누설자속밀도의 해석값을 이론값에 비교해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나 해석적 방법에 사용한 권선의 형상은 탭권선이 없는 덩어리 형태로 간략화하여 계산하지만 유한요소법에 사용한 권선의 형상은 탭 권선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유한요소법으로 계산한 %임피던스와 누설자속밀도의 계산값을 통해 단락 전류와 단락 전자력의 계산을 할 필요가 있다.

2.2.4 단락 전류 계산

그림. 8, 그림. 9식 (7)을 이용하여 계산한 단락 전류 파형을 보여준다. 8.3[]에서 비대칭 단락 전류의 최대값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표 4와 같이 IEC 규격으로 계산한 비대칭 단락 전류의 최대값과 비교하여 식 (7)으로부터 계산된 단락 전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9].

그림. 8. 고압권선의 각 탭 조건별 단락 전류 파형

Fig. 8. Short-circuit current for each tap condition of high-voltage winding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8.png

그림. 9. 저압권선의 각 탭 조건별 단락 전류 파형

Fig. 9. Short-circuit current for each tap condition of Low-voltage winding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9.png

표 4. Comparison of maximum value of asymmetrical short-circuit current

Table 4. 비대칭 단락 전류 최대값 비교

Classification

Maximum Current by Short-circuit Model [kA]

Maximum Current by IEEE/IEC Std. [kA]

Max Tap

H.V Winding

7.69

7.69

L.V Winding

46.66

46.13

Rate Tap

H.V Winding

7.76

7.77

L.V Winding

44.55

44.67

Min Tap

H.V Winding

7.98

7.98

L.V Winding

40.03

39.88

모의 단락회로로부터 계산된 8.3[$ms$]에서의 비대칭 단락 전류의 최대값은 권선의 각 disk별 최대 단락 전자력의 크기를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의 전류 입력값으로 사용한다.

2.2.5 단락상태 누설자속밀도

식 (7)로부터 계산한 비대칭 단락 전류의 최대값을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누설자속밀도를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그림. 10에 나타내었다.

그림. 10. 단락상태 누설자속밀도 분포

Fig. 10. Leakage flux density at short-circuit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10.png

변압기에 단락 전류가 흐르면 정상상태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이 크게 증가한다. 최고 탭 조건에서 발생한 최대 누설자속밀도는 2.46[$T$]이고 정상상태의 최대 누설자속밀도에 비해 약 13.1배 증가하였다. 정격 탭 조건에서 발생한 최대 누설자속밀도는 2.40[$T$]이고 정상상태의 최대 누설자속밀도에 비해 약 12.6배 증가하였다. 최저 탭 조건에서 발생한 최대 누설자속밀도는 2.21[$T$]이고 정상상태의 최대 누설자속밀도에 비해 약 10.9배 증가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계산한 최대 누설자속밀도와 식 (10)으로 계산한 이론값과 비교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최대 누설자속밀도 비교(단락상태)

Table 5. Maximum leakage flux density comparison (Short Circuit)

Classification

Analytical Method [T]

Finite Element Analysis [T]

Max Tap

Rate Tap

Min Tap

2.47

2.39

2.15

2.46

2.40

2.21

2.2.6 단락전자력

단락사고 발생 시 변압기에 유입된 단락 전류와 그로 인해 증가한 누설자속이 상호작용을 하여 단락 전자력이 발생한다. 또한, $\phi$방향으로 권선에 흐르는 단락 전류와 축 방향, 반경 방향 성분으로 존재하는 누설자속밀도로 인해 발생된 단락 전자력도 축 방향과 반경 방향 성분으로 나누어졌다.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에 발생한 반경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은 그림. 8에 나타내었고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에 발생한 축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은 그림. 12에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전력용 변압기 모델의 경우, 그림. 11에서 보듯이 반경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은 고압권선, 저압권선 모두 최고 탭 조건의 권선 중심 높이에서 최대 크기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고 고압권선, 저압권선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반경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이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축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은 그림. 12에서 보듯이 고압권선, 저압권선 모두 최고 탭 조건의 권선 최상단, 최하단 높이에서 최대 크기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고 고압권선의 최저 탭 조건의 경우 최고 탭 조건의 단락 전자력 크기와 유사한 최대치가 권선 중심 높이에서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1. 반경 방향 성분의 평균 단락 전자력

Fig. 11. Radial component of short-circuit electromagnetic force density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11.png

그림. 12. 축 방향 성분의 평균 단락 전자력

Fig. 12. Axial component of average short-circuit electro- magnetic force density

../../Resources/kiee/KIEE.2019.68.5.625/fig12.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단락사고 발생 시 전력용 변압기의 탭 조건에 따른 단락 전자력의 크기를 예측하는 연구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0MVA급 전력용 변압기를 모델로 선정하였으며 해석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2차원 축대칭 형상으로 모델링하였다. 해석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정상상태에서 각 탭 조건별 %임피던스와 최대 누설자속밀도의 이론값과 해석값을 비교하였다. 단락 전류는 모의 단락회로를 통해 탭 조건별로 각각 계산하였고 계산한 단락 전류의 최대값을 IEC 규격으로 계산한 단락 전류의 최대값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모의 단락회로를 통해 계산한 비대칭 단락 전류의 최대값은 단락상태에서 발생하는 권선의 각 disk별 단락 전자력의 최대 크기를 예측하기 위해 자계해석 시 권선에 인가되는 전류 입력값으로 사용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단락상태의 누설자속밀도를 계산하였고 이론식에 의해 계산한 최대 누설자속밀도와 비교하였다. 계산한 단락 전류와 누설자속밀도를 이용하여 각 탭 조건별 권선에서 발생하는 단락 전자력을 예측하였고 크기를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전력용 변압기 모델의 경우, 반경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과 축 방향 성분의 단락 전자력이 고압권선, 저압권선 모두 최고 탭 조건에서 최대 크기가 발생하였다. 변압기 모델의 사양에 따라 탭 조건별 %임피던스와 누설자속밀도의 분포가 달라져 단락 전자력의 최대 크기가 발생하는 탭 조건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탭 권선을 포함한 변압기 모델은 단락 전자력을 예측함에 있어 탭 조건별로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탭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의 권선 구조 설계 단계에서 구조물 배치, 구조물 재료 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Hyun-Mo Ahn, Ji-Yeon Lee, Joong-Kyoung Kim, Yeon-Ho Oh, Sang-Yong Jung, Sung-Chin Hahn, 2011, Finite-Element Analysis of Short-Circuit Electro- magnetic Force in Power Transformer, IEEE Transa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7, No. 3, pp. 1267-1272DOI
2 
Hyun-Koo Chung, Sung Hyun Woo, Young Bae Kim, Hyeong Taek Tang, Pan Seok Shin, 2009, Calculation of Leakage Inductance in a small size Transformer Winding,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3 
S. V. Kulkarni, S. A. Khaparde, 2004, Transformer Engineering, Marcel DekkerGoogle Search
4 
Giorgio Bertagnolli, 2007, Short-Circuit Duty of Power Transformers, ABB LtdGoogle Search
5 
Seong-Yun Kim, Sung-Chin Hahn, 2016, Short-Circuit Electromagnetic Force Investigation of 30MVA Power Transformer Using Finite Element Method,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6 
Byuk-Jin Lee, Hyun-Mo Ahn, Sung-Chin Hahn, 2011, Analysis of Short Circuit Characteristics for 1MVA Power Transformer,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7 
Yan Li, Xin Sun, Jian Li, Wei Zhou, Dongxue Li, 2011, The Analysis and Computation of Transformer Winding Short-circuit Current and Strength on Permanent Fault after Reclos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DOI
8 
Hyun-Mo Ahn, Byuk-Jin Lee, Cherl-Jin Kim, Heung-kyo Shin, Sung-Chin Hahn, 2012, Finite Element Modeling of Power Transformer for Short-circuit Eletromagnetic Force Analys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Google Search
9 
IEC 60076-5, Power Transformer – Part 5 : Ability to Withstand Short CircuitGoogle Search

저자소개

박 근 호 (Keun-Ho Park)
../../Resources/kiee/KIEE.2019.68.5.625/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His research interests numerical analysis of power apparatus and electric machines.

Tel : 051-200-6946, Fax : 051-200-6947

E-mail : parkh@donga.ac.kr

김 성 윤 (Seong-Yun Kim)
../../Resources/kiee/KIEE.2019.68.5.625/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He is currently a Reasearch Engineer with the R & D Center, Circuit Design Team, DENSO KOREA ELECTRONICS Corporation.

Tel : 055-220-9525, Fax : 055-220-9043

E-mail : sykim@densokorea.com

안 현 모 (Hyun-Mo Ahn)
../../Resources/kiee/KIEE.2019.68.5.625/au3.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He is currently a manager with the R & D Center, Power & Industrial Systems Performance Group, HYOSUNG Corporation.

Tel : 055-279-7477, Fax : 055-279-7499

E-mail : hmahn@Hyosung.com

한 성 진 (Sung-Chin Hahn)
../../Resources/kiee/KIEE.2019.68.5.625/au4.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multi-physics analysis and optimal design of power apparatus and electric machines.

Tel : 051-200-7737, Fax : 051-200-6947

E-mail : schahn@da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