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 Vehicle Control Engineering, Dongshin University, Korea)



Boost DC/DC Converter, EV(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Converter Model,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1. 서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부의 통계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누적대수 기준으로 한국은 2018년 약 8만 6000대에서 2020년에는 약 20만대의 보급이 예상되고 있다[1]. 또한,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loomberg New Energy Finance)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국가별 연간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중국,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 예측되며, 전기자동차의 크기로는 중형차, 소형차 및 SUV를 중심으로 꾸준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2], 소용량의 스마트 모빌리티(소형 전기차, 전기스쿠터, 세그웨이,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의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수십 kWh(최대 수백 kWh)의 대용량 및 급속충전의 경우, 빠른 충전을 위하여 초기에는 배터리를 정전류(CC: Constant Current) 방식으로 충전시키며, 약 80\% 이상에서는 정전압(CV: Constant Voltage) 방식으로 충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우리생활에서 새롭고, 간편한 교통수단으로 인식되는 수[kWh] 이내의 소용량의 스마트 모빌리티의 경우, 정전류(CC) 및 정전압(CV)을 혼합하여 제어한 복합 제어방식의 고가(高價) 충전시스템보다 비교적 저가(低價)이면서 안정적인 충전시스템이 요구된다. 소형 전기자동차의 간단한 충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소형 전기차 차량의 지붕 등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 등)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에 합당한 제어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3-8].

수[kWh] 이내의 소용량의 스마트 모빌리티의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일정(一定) 이상의 전력량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전류불연속모드(이하 DCM으로 표기함)로 동작하게 되며, 배터리에 성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안정적인 전압모드 제어기 설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바탕으로 3.6[kWh]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DCM Boost DC/DC 컨버터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더불어 빠르고 유용한 Boost DC/DC 컨버터 제어기의 설계를 위하여 단순화된 컨버터의 전달함수에서 극점에 대응하는 제어기의 영점(Zero)을 근궤적도(Root Locus Plot)에서 배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제어기 설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Nyquist 선도, 근궤적도(Root Locus Plot) 및 보드선도(Bode Plot)를 통하여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Boost DC/DC 컨버터에서 전류불연속모드 해석을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컨버터 모델링 및 영점(Zero) 배치에 의한 제어기 설계에 관하여 MATLAB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논하고자 한다.

2. 본론

2.1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Boost DC/DC 컨버터

그림. 1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나타내며, 그림. 2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Boost DC/DC 컨버터를 나타낸다[6].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된 전력은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통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충전방식의 경우,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되는 에너지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최종적인 출력 전압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압에 추종되도록 Boost DC/DC 컨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6-8]. 여기서 다이오드 D1 내지 D3는 역으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압 방지 다이오드이다.

그림. 1.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시스템

Fig. 1. The EV battery charging system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png

그림. 2.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Boost DC/DC 컨버터

Fig. 2. The EV battery charging Boost DC/DC converter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2.png

2.2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 및 출력특성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태양전지는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서 전류-전압이 비선형적인 곡선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출력특성은 그림 3과 같이 등가회로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사량과 온도에 대하여 태양전지 출력특성이 달라지고, 태양전지 내부저항($R_{sh}$)과 외부 저항($R_{s}$)에 의해 출력 값이 달라진다. 태양전지 일사량은 출력 전류에 영향을 주고 온도는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게 된다[6,19-21]. 표 1은 본 논문에서 사용된 태양전지 등가회로 수식의 변수를 나타낸다.

그림. 3. 태양전지 셀의 등가회로 모델

Fig. 3.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PV cell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3.png
그림. 3

표 1. 태양전지 등가회로 수식의 변수

Table 1. The parameter for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PV cell

$I_{ph}$ : 광 발생전류

$I_{pv}$ : 태양전지 출력전류

$V_{pv}$ : 출력 전압

$R_{s}$ : 외부 직렬 저항

$R_{sh}$ : 내부 병렬 저항

$B$ : 재료계수

$k$ : 볼츠만 상수$(1.38\times 10^{-23})$

$T$ : 절대온도 (273+섭씨온도)

$q$ : 전하량$(1.6022\times 10^{19})$

$N_{p}$ : 태양전지 셀의 병렬연결 갯수

$N_{s}$ : 태양전지 셀의 직렬 연결 갯수

$I_{rs}$ : 역포화 전류 $(8.158\times 10^{-9})$

태양전지의 출력전류는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_{s}$와 $R_{sh}$는 태양전지의 내부저항이며, 이상적으로 태양광 발전 특성곡선은 $R_{s}=0$, $R_{sh}=\infty$를 적용하여서 식 (2)와 같이 근사화 할 수 있다.

(1)
$I_{pv}=I_{ph}-I_{rs}\left\{\exp\left(\dfrac{q}{B k T}\times\dfrac{V_{pv}+I_{pv}\times R_{s}}{N_{s}}\right)-1\right\}$ $-\dfrac{V_{pv}+ I_{pv}\times R_{s}}{R_{sh}}$

(2)
$I_{pv}=I_{ph}-I_{rs}\left\{\exp\left(\dfrac{q}{B k T}\times V_{D}\right)- 1\right\}$

그림.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에 따른 출력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6].

그림. 4.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에 따른 출력

Fig. 4. The output power for PV cell modeling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4.png

식 (2)은 태양전지 셀 하나의 등가회로 수식이며, 태양전지의 직·병렬연결의 경우를 추가하면,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I_{out}=N_{p} I_{ph}-N_{p} I_{rs}\left\{\exp\left(\dfrac{q}{B k T}\times\dfrac{V_{out}}{N_{s}}\right)- 1\right\}$

식 (3)에서 $I_{out}$은 어레이 출력 전류를 $V_{out}$은 어레이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위 식에서 단락전류 값을 가질 때 $V_{out}$값은 0이 되기 때문에 식 (4)와 같이 된다.

(4)
$I_{sc}=N_{p} I_{ph}$

식 (3)식 (4)를 대입한 후 $I_{out}=0$이 되면 식 (5)와같이 개방전압을 선정할 수 있다.

(5)
$V_{oc}=\dfrac{k T B N_{s}}{q}\ln\left(\dfrac{I_{sc}}{N_{p}I_{rs}}+ 1\right)$

2.3 영점(Zero) 배치에 의한 제어기 설계

그림. 5는 본 논문의 DCM Boost DC/DC 컨버터의 보상기로 사용되는 2극점 1영점 제어기이며, 전달함수는 식 (6)과 같다.

그림. 5.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위한 2극점 1영점 전압제어기

Fig. 5. The voltage controller of 2-pole 1-zero controller for compact EV charger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5.png

(6)
$F_{v}(s)=\dfrac{V_{c}(s)}{V_{o}(s)}=\dfrac{1+s C_{1}R_{2}}{\left . s(C_{1}+C_{2})R_{1}\left\{1+sC_{1}C_{2}\dfrac{ }{C_{1}+C_{2}}R_{2}\right\}\right\}}$

전체 전달함수는 다음의 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T(s)=G_{do}K_{m}F_{m}\dfrac{1+s C_{1}R_{2}}{s(C_{1}+C_{2})R_{1}\left\{1+sC_{1}C_{2}\dfrac{ }{C_{1}+C_{2}}R_{2}\right\}\left\{1+\dfrac{s}{\omega_{p}}\right\}}$

여기서, $K_{m}$은 내부이득(전압 피드백 센서저항의 이득)

입력전압과 출력전압($G_{vg}(s)$) 및 듀티와 출력전압 ($G_{vd}(s)$)의 전달함수로부터 근궤적도(Root Locus Plot)를 그리면, 그림. 6과 같다.

그림. 6.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의 근궤적도

Fig. 6. The root locus plot of DCM Boost DC/DC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6.png

그림. 7로부터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의 근궤적도(Root Locus Plot)에서 이득여유(GM: Gain Margin) ≒ ∞, 위상여유(PM: Phase Margin) ≒ 90도의 크기를 가짐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근궤적도로부터 적합한 제어기의 설계를 위하여 2극점 및 1영점 제어기의 설계가 중요하며, 다음의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그림. 7.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 극점과 제어기의 영점배치

Fig. 7. The pole of DCM Boost DC/DC converter and the zero of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7.png

단계 1) 제어기의 설계에서 제1 극점(S1 = 0)이며, 제2 극점(S2)은 -∞에 가깝게 배치시킨다.

단계 2) 제1 저항(R1)은 신호의 전달을 고려하여 100[Ω] 내지 500[Ω]에서 선택한다. (실제 150[Ω]으로 선택함)

단계 3) 영점(Zero)은 Boost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의 극점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시키며 어느 쪽에 배치시키는 것이 이상적인지 Case#1 내지 Casw#5에 대하여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그림. 7은 영점(Zero)의 배치에 따른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 극점과 제어기의 영점을 나타낸다.

표 2는 영점(Zero)의 배치에 따른 제어 파라미터에 선정 및 이득여유 및 위상여유를 나타낸다. 영점(Zero)의 배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C_{1}$이다. $C_{1}$ 값이 10배 감소함에 따라서 근궤적도에서 영점(Zero)의 위치가 달라지며, 동시에 위상여유(PM)의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표 2. 제어 파라미터에 따른 이득여유 및 위상여유

Table 2. The gain margin and phase margin depending on the control parameters

Operating Conditions : $V_{in}$ = 25-60[V], $V_{o}$ = 65, freq. = 40[kHz], Io = 4.5[A]

Case

Control Parameters

Pole of DCM Boost Converter

Pole and Zero of Controller

Gain Margin and Phase Margin

Case #1

[-S < -Z < 0]

$R_{1}$ : 150[Ω]

$R_{2}$ : 50[kΩ]

$C_{1}$ : 1[μF]

$C_{2}$ : 10[pF]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

$P1 = -2000000$

$GM= 203.7$[dB]

$PM= 89.713$

Case #2

[Z1≒-S]

$R_{1}$ : 150[Ω]

$R_{2}$ : 50[kΩ]

$C_{1}$ : 100[nF]

$C_{2}$ : 10[pF]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

$P1 = -2002000$

$GM= 203.7$[dB]

$PM= 89.279$

Case #3

[Z1≒-10S]

$R_{1}$ : 150[Ω]

$R_{2}$ : 50[kΩ]

$C_{1}$ : 10[nF]

$C_{2}$ : 10[pF]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0$

$P1 = -2002000$

$GM= 203.7$[dB]

$PM= 84.960$

Case #4

[Z1≒-100S]

$R_{1}$ : 150[Ω]

$R_{2}$ : 50[kΩ]

$C_{1}$ : 1[nF]

$C_{2}$ : 10[pF]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00$

$P1 = -2002000$

$GM= 203.7$[dB]

$PM= 54.663$

Case #5

[Z1≒-1000S]

$R_{1}$ : 150[Ω]

$R_{2}$ : 50[kΩ]

$C_{1}$ : 100[pF]

$C_{2}$ : 10[pF]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000$

$P1 = -2200000$

$GM= 203.7$[dB]

$PM= 17.051$

따라서 $C_{1}$ 값을 변동시키면서 위상여유가 가장 이상적인 45도에 가깝게 설정되도록 제어기를 빠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영점(Zero)의 위치는 약 100배가 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은 동작조건, 회로소자 및 DCM Boost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를 정리한 것이다.

표 3. 동작조건, 회로소자 및 DCM Boost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

Table 3. The operating conditions, circuit components, and transfer functions of the DCM Boost DC/DC converter

Operating Conditions : $V_{in}$ = 25-60[V], $V_{o}$ = 65, Freq. = 40[kHz], Io = 4.5[A]

Circuit

Components

Power Stage

Feedback Controller

S : IRF640, Fairchild

D : DSSK28-01A, IXYS

L : 41.5[μH] ( $r_{L}\fallingdotseq 0$ )

C : 1000[μF] ( $r_{C}\fallingdotseq 0$ )

Lead-acid Battery : 3600[Wh]

Req : 14.5[Ω] (Max. Eq. Resistance)

Solar Cell : LG250S1C-23

Solar Cell Max. Voltage : 29.90[V]

Solar Cell Max. Current : 8.37[A]

Gain Block

$F_{m} =\dfrac{1}{8}= 0.125$

$F_{V}(s)=\dfrac{(2.8\times 10^{-7}s+ 1)}{s(9.24\times 10^{-14}s+ 3.315\times 10^{-7})}$

$R_{1}$ : 150[Ω]

$R_{2}$ : 28[kΩ]

$C_{1}$ : 2.2[nF]

$C_{2}$ : 10[pF]

Transfer Functions

Open-Loop Transfer Function

$G_{vd}(s)=\dfrac{80.899}{5.456\times 10^{-3}s+ 1 }$ $\quad \quad $ $G_{vg}(s)=\dfrac{1.400}{5.456\times 10^{-3}s+ 1}$

Closed-Loop Transfer Function

$T(s)=\dfrac{10.112(2.8\times 10^{-7}s+ 1)}{s(5.456\times 10^{-3}s+ 1)(9.24\times 10^{-14}s+ 3.315\times 10^{-7})}$

그림. 8은 Case#1의 근궤적도(Root Locus Plot)를 나타내며, 그림. 9는 Case#3, #4, #5의 근궤적도를 나타낸다. Case#1 또는 Case#2의 경우, 그림. 8(b)의 지배 극점 및 영점의 근궤적도를 살펴보면, 극점(Pole)의 이동이 실수축을 따라서만 이동하므로, 위상여유(PM)가 90도에 가깝게 된다. 그림. 8(b)의 지배 극점 및 영점의 근궤적도에서는 제어기에서 영점(Zero)의 위치는 80 내지 100배 근처에서 시행착오법(Trial and Error method)을 사용하여 최종적인 제어기의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그림. 8. Case#1의 근궤적도

Fig. 8. The root locus plot of the Case#1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8.png

그림. 9. Case#3, #4, #5의 근궤적도

Fig. 9. The root locus plot of the Case#3, #4, #5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9.png

2.4 시뮬레이션 및 실험결과

그림. 10은 제어기의 영점 배치에 따른 Case#1, #4, #5에서 폐루프 전달함수의 Nyquist 선도를 나타낸다.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과 0 사이에 위치(-S < -Z < 0)하도록 영점을 배치하는 경우, 그림. 8과 같은 근궤적으로 인하여 위상여유(PM)가 90도 근처(정확히 89.713도)에 위치한다. 그림. 10을 통하여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의 약 100배(Z1≒-100S)에 영점을 배치하는 경우, 위상여유(PM)는 54.663도이며,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의 약 1000배(Z1≒-1000S)에 영점을 배치하는 경우, 위상여유(PM)는 17.051도임을 알 수 있다.

그림. 10. Case#1, #4, #5의 Nyquist 선도

Fig. 10. The nyquist plot of the Case#1, #4, #5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0.png

따라서 위상여유(PM)는 시스템의 응답성을 고려하여 가장 이상적인 45도에 가깝게 배치하도록 제어기의 파라미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2극점 1영점 제어기에서 $R_{1}$ : 150[Ω], $R_{2}$ : 28[kΩ], $C_{1}$: 2.2[nF] 및 $C_{2}$: 10[pF]로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 이득여유(GM) = 203.7[dB], 위상여유(PM) = 48.077〫 이다.

그림. 1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2극점 1영점 제어기에서 영점 배치에 따른 폐루프 시스템의 근궤적도(Root Locus Plot)를 나타내며, 그림. 12는 DCM Boost DC/DC 컨버터 개방루프 시스템의 보드선도(Bode Plot) 및 제어기 보드선도를 나타낸다.그림. 13은 최종적으로 보상된 폐루프 시스템의 보드선도를 나타낸다. 개방루프 시스템의 대역폭(Band Width)은 14827[Hz]이며, 폐루프 시스템의 대역폭은 17888[Hz]로 확장됨으로 인하여 보상전보다 충분한 대역폭을 확보함으로 인하여 과도응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림. 11. 영점 배치에 따른 폐루프 시스템의 근궤적도

Fig. 11. The root locus plot of the closed-loop system according to the zero arrangement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1.png

그림. 12. DCM Boost DC/DC 컨버터 개방루프 시스템 및 전압제어기의 보드선도

Fig. 12. The bode plot of the DCM boost DC/DC converter open-loop system and the voltage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2.png

그림. 13. 폐루프 시스템의 보드선도

Fig. 13. The bode plot of the closed-loop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3.png

그림. 14는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제어기 및 배터리 실험장치 사진을 나타낸다.

그림. 14.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제어기 및 배터리 실험장치 사진

Fig. 14. The picture of the compact EV charger, controller and battery experimental apparatus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4.png

그림. 15는 주 스위치 S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내며, 인덕터(L)에서 전류불연속모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 주 스위치 S의 전압 및 전류파형

Fig. 15. The coltage․current waveforms of the main switch S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5.png

그림. 16은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입력전압 28[V]에서 출력전압 65[V]로 안정적으로 승압하면서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시킴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림. 16.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파형

Fig. 16. The voltage waveforms of the input and output

../../Resources/kiee/KIEE.2019.68.5.640/fig16.png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소형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Boost DC/DC 컨버터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kWh] 이내의 소용량의 스마트 모빌리티의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일정(一定) 이상의 전력량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전류불연속모드로 동작하게 되며, 배터리에 성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비교적 저가(低價)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제어기인 전압제어기의 설계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전류불연속모드로 동작하는 Boost DC/DC 컨버터는 power source 모델을 사용하여 DCM Boost DC/DC 컨버터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전압제어기 설계를 위하여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에 따른 출력전압 특성을 분석하였고,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에 대응하는 제어기의 영점(Zero) 배치가 가장 중요함을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위한 2극점 1영점 보상기에서 영점(Zero)의 배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C_{1}$이다. $C_{1}$ 값이 10배 감소함에 따라서 근궤적도에서 영점(Zero)의 위치가 달라지며, 동시에 위상여유(PM)의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C_{1}$ 값을 변동시키면서 위상여유가 가장 이상적인 45도에 가깝게 설정되도록 제어기를 빠르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상여유(PM)는 가장 이상적인 45도에 가깝게 설계하기 위하여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의 약 80 내지 100배에 영점(Zero)을 배치시키며, 개방루프 시스템의 대역폭(BW: 14827[Hz])보다 더욱 확장된 폐루프 시스템의 대역폭(BW: 17888[Hz])을 가짐으로 인하여 과도응답 특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DCM Boost DC/DC 컨버터 모델링,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 및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에 대응하는 전압제어기의 영점(Zero) 배치 방법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소형 전기자동차 또는 스마트 모빌리티 배터리 충전기 설계에 유용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ppendix

A.1 Boost 컨버터에서 CCM 및 DCM 모델링

전류연속모드(CCM)에서 Boost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G_{vg}(s)$) 및 듀티와 출력전압($G_{vd}(s)$)의 전달함수는 식 (A.1), 식 (A.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1)
$G_{vg}(s)= G_{go}\dfrac{1}{1 + \dfrac{s}{Q ω_{O}}+\left( \dfrac{s}{ω_{o}}\right)^{2}}$

(A.2)
$G_{vd}(s)= G_{do}\dfrac{1 - \dfrac{s}{ω_{z}}}{1 + \dfrac{s}{Q ω_{O}}+\left(\dfrac{s}{ω_{o}}\right)^{2}}$

여기서,

$G_{go}=\dfrac{1}{D_{O}}$ $ \quad \quad $ $G_{do}=\dfrac{V_{i n}}{D_{O}}$ $ \quad \quad $ $\omega_{O}=\dfrac{D_{O}}{\sqrt{L C}}$

$Q=D_{O} R\sqrt{\dfrac{C}{L}}$ $ \quad \quad $ $\omega_{Z}=\dfrac{D_{O}^{2}R}{L}$ $ \quad \quad $ $D_{O}= 1 -D$

전류불연속모드(DCM)에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G_{vg}(s)$) 및 듀티와 출력전압($G_{vd}(s)$)의 전달함수를 구하면 식 (A.3), 식 (A.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3)
$G_{v g}(s) =\dfrac{G_{go}}{1 +\dfrac{s}{\omega_{p}}}$

(A.4)
$G_{v d}(s) =\dfrac{G_{do}}{1 +\dfrac{s}{\omega_{p}}}$

여기서,

$G_{g o}= G_{2}\dfrac{R \times R_{2}}{R+R_{2}}$ $ \quad \quad $ $G_{d o}= j_{2}\dfrac{R \times R_{2}}{R+R_{2}}$ $ \quad \quad $ $\omega_{p}=\dfrac{R+R_{2}}{C(R \times R_{2})}$

$G_{1}=\dfrac{1}{(M-1)^{2}R_{e}}$ $ \quad \quad $ $j_{1}=\dfrac{2M V_{i n}}{D(M-1)R_{e}}$ $ \quad \quad $ $R_{1}=\dfrac{(M-1)^{2}}{M}R_{e}$

$G_{2}=\dfrac{2M-1}{(M-1)^{2}R_{e}}$ $ \quad \quad $ $j_{2}=\dfrac{2V_{i n}}{D(M-1)R_{e}}$ $ \quad \quad $ $R_{2}=(1-M)^{2}R_{e}$

References

1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Electric Vehicle Supply Status and Goals(Cumulative)Google Search
2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Dec. 2017, Electric Vehicle Annual Sales Volume Forecast by Country and Vehicle ClassGoogle Search
3 
Gautham Ram Chandra Mouli, Jos Schijffelen, Pavol Bauer, Miro Zeman, 2017, Design and Comparison of a 10kW Interleaved Boost converter for PV Application Using Si and SiC Devices,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No. 5, pp. 610-623DOI
4 
Sam Weckx, Johan Driesen, Apr. 2015, Load Balancing With EV Chargers and PV Inverters in Unbalanced Distribution Grids,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 Vol. 6, No. 2, pp. 635-643DOI
5 
Nian Liu, Qifang Chen, Xinyi Lu, Jie Liu, Jianhua Zhang, Aug. 2015, A Charging Strategy for PV-Based Battery Switch Station Considering Service Availability and Self-Consumption of PV Energy,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2, No. 8, pp. 4878-4889DOI
6 
Jin-Yong Bae, et. al, Apl. 2019, Boost DC/DC Converter Modeling and Controller Design for EV(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ing using Arrangement of the Zero, Proceeding of The KIEE 2019,, pp. 163-165Google Search
7 
Murat Yilmaz, Philip T. Krein, May. 2013, Review of Battery Charger Topologies, Charging Power Level, and Infrastructure for Plug-In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8, No. 5, pp. 2151-2169DOI
8 
Mojtaba Forouzesh, Yam P. Siwakoti, Saman A. Gorji, Frede Blaabjerg, Brad Lehman, Dec. 2017, Step-Up DC-DC Converters: A Comprehensive Review of Voltage Boosting Techniques, Topologies, and Applicat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2, No. 12, pp. 9143-9178DOI
9 
R. B. Ridley, Apr. 1991, A New Continuous Time Model for Current Mode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6, No. 2, pp. 271-280DOI
10 
F. D. Tan, R. D. Middlebrook, July 1995, A unified model for current-programmed converters, IEEE Trans. Power Electronics, Vol. 10, No. 4, pp. 397-407DOI
11 
R. Ridley, B. H. Cho, F. C. Lee, 1998,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Loop Gains of Multiloop-controlled Switching Regulato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 No. 4, pp. 489-498Google Search
12 
Byungcho Choi, Oct. 1997, Step Load Response of a Current Mode Controlled DC to DC Converter,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s Systems, Vol. 33, No. 4, pp. 1115-1121DOI
13 
Robert W. Erickson, Slobodan Cuk, R. D. Middlebrook, 1982, Large signal modeling and analysis of switching converters,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 pp. 240-250Google Search
14 
S. Singer, R. W. Erickson, June 1994, Power-source element and its properties, Proceeding of IEE'94, pp. 220-226DOI
15 
R. W. Erickson, Dec. 1997, Advances in Averaged Switch Modeling, Fourth Brazilian Congress of Power Electronics (COBEP'97)Google Search
16 
Jin-Yong Bae, et. al, Jun. 2008, The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DCM) Modeling of DC/DC Converter and Critical Characteristic using Average Model of Switc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ing, Vol. 22, No. 6, pp. 34-43DOI
17 
K. K. Sum, 1984, Switch Mode Power Conversion Basic Theory and Design, New York and Basel publication, pp. 209-227Google Search
18 
A. S. Kislovski, 1991, Dynamic Analysis of Switching- Mode DC/DC Converter, Van Nostrand Reinhold publication, pp. 20-59Google Search
19 
L. Mrig, R. DeBlasio, G. A. O'Sullivan, T. Tomko, 1982, An advanced PV system simulator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advanced PV cells and Devices, Proceeding of 16th IEEE PV Specialists Conference, San Diego, pp. 194-204Google Search
20 
Sigifredo Gonzalez, Scott Kuszmaul, Don Deuel, Roberto Luccam, 2010, PV Array Simulat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35th IEEE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p. 2849-2852DOI
21 
David L. King, Jay A. Kratochvil, E. Boyson, 1997, Temperature coefficients for PV modules and array : Measurement methods, difficulties, and results, 26th PVSC, Anaheim, CADOI

저자소개

배 진 용(Jin-Yong Bae)
../../Resources/kiee/KIEE.2019.68.5.640/au1.png

1975년 8월 17일 생

1998년 동국대 전기공학과 졸업

200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05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2008년 충남대학교 특허법무대학원 졸업(법학석사)

2005년~2016년 특허청 사무관

2017년~2018년 8월 창성특허 변리사

2018년 9월~현재 동신대학교 에너지융합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