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 및 출력특성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태양전지는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서 전류-전압이 비선형적인 곡선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출력특성은 그림 3과 같이 등가회로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사량과 온도에 대하여 태양전지 출력특성이 달라지고, 태양전지 내부저항($R_{sh}$)과 외부 저항($R_{s}$)에
의해 출력 값이 달라진다. 태양전지 일사량은 출력 전류에 영향을 주고 온도는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게 된다[6,19-21]. 표 1은 본 논문에서 사용된 태양전지 등가회로 수식의 변수를 나타낸다.
그림. 3. 태양전지 셀의 등가회로 모델
Fig. 3.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PV cell
그림. 3
표 1. 태양전지 등가회로 수식의 변수
Table 1. The parameter for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PV cell
$I_{ph}$ : 광 발생전류
|
$I_{pv}$ : 태양전지 출력전류
|
$V_{pv}$ : 출력 전압
|
$R_{s}$ : 외부 직렬 저항
|
$R_{sh}$ : 내부 병렬 저항
|
$B$ : 재료계수
|
$k$ : 볼츠만 상수$(1.38\times 10^{-23})$
|
$T$ : 절대온도 (273+섭씨온도)
|
$q$ : 전하량$(1.6022\times 10^{19})$
|
$N_{p}$ : 태양전지 셀의 병렬연결 갯수
|
$N_{s}$ : 태양전지 셀의 직렬 연결 갯수
|
$I_{rs}$ : 역포화 전류
$(8.158\times 10^{-9})$
|
태양전지의 출력전류는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_{s}$와 $R_{sh}$는 태양전지의 내부저항이며, 이상적으로 태양광 발전 특성곡선은 $R_{s}=0$,
$R_{sh}=\infty$를 적용하여서 식 (2)와 같이 근사화 할 수 있다.
그림.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에 따른 출력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6].
그림. 4. 태양전지 셀의 모델링에 따른 출력
Fig. 4. The output power for PV cell modeling
식 (2)은 태양전지 셀 하나의 등가회로 수식이며, 태양전지의 직·병렬연결의 경우를 추가하면,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3)에서 $I_{out}$은 어레이 출력 전류를 $V_{out}$은 어레이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위 식에서 단락전류 값을 가질 때 $V_{out}$값은
0이 되기 때문에 식 (4)와 같이 된다.
식 (3)에 식 (4)를 대입한 후 $I_{out}=0$이 되면 식 (5)와같이 개방전압을 선정할 수 있다.
2.3 영점(Zero) 배치에 의한 제어기 설계
그림. 5는 본 논문의 DCM Boost DC/DC 컨버터의 보상기로 사용되는 2극점 1영점 제어기이며, 전달함수는 식 (6)과 같다.
그림. 5.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위한 2극점 1영점 전압제어기
Fig. 5. The voltage controller of 2-pole 1-zero controller for compact EV charger
전체 전달함수는 다음의 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K_{m}$은 내부이득(전압 피드백 센서저항의 이득)
입력전압과 출력전압($G_{vg}(s)$) 및 듀티와 출력전압 ($G_{vd}(s)$)의 전달함수로부터 근궤적도(Root Locus Plot)를 그리면,
그림. 6과 같다.
그림. 6.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의 근궤적도
Fig. 6. The root locus plot of DCM Boost DC/DC converter
그림. 7로부터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의 근궤적도(Root Locus Plot)에서 이득여유(GM: Gain Margin) ≒ ∞, 위상여유(PM:
Phase Margin) ≒ 90도의 크기를 가짐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근궤적도로부터 적합한 제어기의 설계를 위하여 2극점 및 1영점 제어기의 설계가
중요하며, 다음의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그림. 7.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 극점과 제어기의 영점배치
Fig. 7. The pole of DCM Boost DC/DC converter and the zero of controller
단계 1) 제어기의 설계에서 제1 극점(S1 = 0)이며, 제2 극점(S2)은 -∞에 가깝게 배치시킨다.
단계 2) 제1 저항(R1)은 신호의 전달을 고려하여 100[Ω] 내지 500[Ω]에서 선택한다. (실제 150[Ω]으로 선택함)
단계 3) 영점(Zero)은 Boost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의 극점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시키며 어느 쪽에 배치시키는 것이 이상적인지 Case#1
내지 Casw#5에 대하여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그림. 7은 영점(Zero)의 배치에 따른 불연속 모드 Boost DC/DC 컨버터 극점과 제어기의 영점을 나타낸다.
표 2는 영점(Zero)의 배치에 따른 제어 파라미터에 선정 및 이득여유 및 위상여유를 나타낸다. 영점(Zero)의 배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C_{1}$이다. $C_{1}$ 값이 10배 감소함에 따라서 근궤적도에서 영점(Zero)의 위치가 달라지며, 동시에 위상여유(PM)의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표 2. 제어 파라미터에 따른 이득여유 및 위상여유
Table 2. The gain margin and phase margin depending on the control parameters
Operating Conditions : $V_{in}$ = 25-60[V], $V_{o}$ = 65, freq. = 40[kHz], Io = 4.5[A]
|
Case
|
Control Parameters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Pole and Zero of Controller
|
Gain Margin and Phase Margin
|
Case #1
[-S < -Z < 0]
|
$R_{1}$ : 150[Ω]
$R_{2}$ : 50[kΩ]
$C_{1}$ : 1[μF]
$C_{2}$ : 10[pF]
|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
$P1 = -2000000$
|
$GM= 203.7$[dB]
$PM= 89.713$
|
Case #2
[Z1≒-S]
|
$R_{1}$ : 150[Ω]
$R_{2}$ : 50[kΩ]
$C_{1}$ : 100[nF]
$C_{2}$ : 10[pF]
|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
$P1 = -2002000$
|
$GM= 203.7$[dB]
$PM= 89.279$
|
Case #3
[Z1≒-10S]
|
$R_{1}$ : 150[Ω]
$R_{2}$ : 50[kΩ]
$C_{1}$ : 10[nF]
$C_{2}$ : 10[pF]
|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0$
$P1 = -2002000$
|
$GM= 203.7$[dB]
$PM= 84.960$
|
Case #4
[Z1≒-100S]
|
$R_{1}$ : 150[Ω]
$R_{2}$ : 50[kΩ]
$C_{1}$ : 1[nF]
$C_{2}$ : 10[pF]
|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00$
$P1 = -2002000$
|
$GM= 203.7$[dB]
$PM= 54.663$
|
Case #5
[Z1≒-1000S]
|
$R_{1}$ : 150[Ω]
$R_{2}$ : 50[kΩ]
$C_{1}$ : 100[pF]
$C_{2}$ : 10[pF]
|
◦ Pole of DCM Boost Converter
$S= -183.299$
◦ Pole and Zero of Controller
$Z1 = -200000$
$P1 = -2200000$
|
$GM= 203.7$[dB]
$PM= 17.051$
|
따라서 $C_{1}$ 값을 변동시키면서 위상여유가 가장 이상적인 45도에 가깝게 설정되도록 제어기를 빠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영점(Zero)의 위치는
약 100배가 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은 동작조건, 회로소자 및 DCM Boost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를 정리한 것이다.
표 3. 동작조건, 회로소자 및 DCM Boost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
Table 3. The operating conditions, circuit components, and transfer functions of the
DCM Boost DC/DC converter
Operating Conditions : $V_{in}$ = 25-60[V], $V_{o}$ = 65, Freq. = 40[kHz], Io = 4.5[A]
|
Circuit
Components
|
Power Stage
|
Feedback Controller
|
S : IRF640, Fairchild
D : DSSK28-01A, IXYS
L : 41.5[μH] ( $r_{L}\fallingdotseq 0$ )
C : 1000[μF] ( $r_{C}\fallingdotseq 0$ )
Lead-acid Battery : 3600[Wh]
Req : 14.5[Ω] (Max. Eq. Resistance)
Solar Cell : LG250S1C-23
Solar Cell Max. Voltage : 29.90[V]
Solar Cell Max. Current : 8.37[A]
|
Gain Block
$F_{m} =\dfrac{1}{8}= 0.125$
$F_{V}(s)=\dfrac{(2.8\times 10^{-7}s+ 1)}{s(9.24\times 10^{-14}s+ 3.315\times 10^{-7})}$
$R_{1}$ : 150[Ω]
$R_{2}$ : 28[kΩ]
$C_{1}$ : 2.2[nF]
$C_{2}$ : 10[pF]
|
Transfer Functions
|
Open-Loop Transfer Function
|
$G_{vd}(s)=\dfrac{80.899}{5.456\times 10^{-3}s+ 1 }$ $\quad \quad $ $G_{vg}(s)=\dfrac{1.400}{5.456\times
10^{-3}s+ 1}$
|
Closed-Loop Transfer Function
|
$T(s)=\dfrac{10.112(2.8\times 10^{-7}s+ 1)}{s(5.456\times 10^{-3}s+ 1)(9.24\times
10^{-14}s+ 3.315\times 10^{-7})}$
|
그림. 8은 Case#1의 근궤적도(Root Locus Plot)를 나타내며, 그림. 9는 Case#3, #4, #5의 근궤적도를 나타낸다. Case#1 또는 Case#2의 경우, 그림. 8(b)의 지배 극점 및 영점의 근궤적도를 살펴보면, 극점(Pole)의 이동이 실수축을 따라서만 이동하므로, 위상여유(PM)가 90도에 가깝게 된다. 그림. 8(b)의 지배 극점 및 영점의 근궤적도에서는 제어기에서 영점(Zero)의 위치는 80 내지 100배 근처에서 시행착오법(Trial and Error method)을
사용하여 최종적인 제어기의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그림. 8. Case#1의 근궤적도
Fig. 8. The root locus plot of the Case#1
그림. 9. Case#3, #4, #5의 근궤적도
Fig. 9. The root locus plot of the Case#3, #4, #5
2.4 시뮬레이션 및 실험결과
그림. 10은 제어기의 영점 배치에 따른 Case#1, #4, #5에서 폐루프 전달함수의 Nyquist 선도를 나타낸다.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과
0 사이에 위치(-S < -Z < 0)하도록 영점을 배치하는 경우, 그림. 8과 같은 근궤적으로 인하여 위상여유(PM)가 90도 근처(정확히 89.713도)에 위치한다. 그림. 10을 통하여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의 약 100배(Z1≒-100S)에 영점을 배치하는 경우, 위상여유(PM)는 54.663도이며, 개방루프
전달함수의 극점(Pole)의 약 1000배(Z1≒-1000S)에 영점을 배치하는 경우, 위상여유(PM)는 17.051도임을 알 수 있다.
그림. 10. Case#1, #4, #5의 Nyquist 선도
Fig. 10. The nyquist plot of the Case#1, #4, #5
따라서 위상여유(PM)는 시스템의 응답성을 고려하여 가장 이상적인 45도에 가깝게 배치하도록 제어기의 파라미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2극점 1영점 제어기에서 $R_{1}$ : 150[Ω], $R_{2}$ : 28[kΩ], $C_{1}$: 2.2[nF] 및 $C_{2}$:
10[pF]로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 이득여유(GM) = 203.7[dB], 위상여유(PM) = 48.077〫 이다.
그림. 1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2극점 1영점 제어기에서 영점 배치에 따른 폐루프 시스템의 근궤적도(Root Locus Plot)를 나타내며, 그림. 12는 DCM Boost DC/DC 컨버터 개방루프 시스템의 보드선도(Bode Plot) 및 제어기 보드선도를 나타낸다.그림. 13은 최종적으로 보상된 폐루프 시스템의 보드선도를 나타낸다. 개방루프 시스템의 대역폭(Band Width)은 14827[Hz]이며, 폐루프 시스템의
대역폭은 17888[Hz]로 확장됨으로 인하여 보상전보다 충분한 대역폭을 확보함으로 인하여 과도응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림. 11. 영점 배치에 따른 폐루프 시스템의 근궤적도
Fig. 11. The root locus plot of the closed-loop system according to the zero arrangement
그림. 12. DCM Boost DC/DC 컨버터 개방루프 시스템 및 전압제어기의 보드선도
Fig. 12. The bode plot of the DCM boost DC/DC converter open-loop system and the voltage
controller
그림. 13. 폐루프 시스템의 보드선도
Fig. 13. The bode plot of the closed-loop system
그림. 14는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제어기 및 배터리 실험장치 사진을 나타낸다.
그림. 14. 소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제어기 및 배터리 실험장치 사진
Fig. 14. The picture of the compact EV charger, controller and battery experimental
apparatus
그림. 15는 주 스위치 S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내며, 인덕터(L)에서 전류불연속모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 주 스위치 S의 전압 및 전류파형
Fig. 15. The coltage․current waveforms of the main switch S
그림. 16은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입력전압 28[V]에서 출력전압 65[V]로 안정적으로 승압하면서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시킴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림. 16.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파형
Fig. 16. The voltage waveforms of the input and out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