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볼츠만 운송 (Boltzmann transport) 방정식
Bi2Te3 화합물과 같은 좁은 밴드 갭 반도체 재료는 비포물선 에너지 밴드 구조를 보이며, 열전 해석 모델에 반영되어야 한다[6,12]. 열전 운송 계수에 대한 비포물선 에너지 밴드 구조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포물선 에너지 밴드 구조와 비교된다. 해석 모델은 완화 시간 근사법을
이용한 볼츠만 운송 방정식의 해를 기본으로 한다. 비평형 분포 함수 $f$는 농도 기울기와 결합한 확산 성분 $(\partial f/\partial
t)_{\begin{aligned}diff\\
\end{aligned}}$, 외부 전계에 의한 가속 성분 $(\partial f/\partial t)_{\begin{aligned}field\\
\end{aligned}}$, 음향 양자(phonon) 또는 다른 격자 결함에 의한 전자 산란 성분 $(\partial f/\partial t)_{\begin{aligned}scatt
\\
\end{aligned}}$ 등의 3개 물리 과정에 의해 지배된다.
여기서 $f(r,\: k,\: t)$는 시간 $t$에서 거리 $r$ 근방의 단위 체적안의 파수 (wave vector) $k$를 가지는 전자 수이다.
$(\partial f/\partial t)_{\begin{aligned}scatt \\
\end{aligned}}$가 완화 시간 $\tau(E)$에 의해 표현된다고 가정하면, 식 (1)은 아래와 같이 된다.
여기서 $v(k)$는 전자 속도, $q$는 전하량, $\hbar =h/2\pi$ ($h$는 플랑크 상수), $\varepsilon$는 외부 전계,
$f_{0}$는 평형 분포 함수이다. 평형 상태에서 $f_{0}$는 페르미-디락 (Fermi-Dirac) 분포 함수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E_{f}$는 페르미 에너지, $k_{b}$는 볼츠만 상수 (Boltzmann constant) 이다. 완화 시간 $\tau(E)$는 멱함수
(power law)에 의한 에너지의 함수이다.
여기서 $s$는 전하 캐리어의 다양한 산란 과정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음향 파동은 이웃하는 원자 간격의 변화를 일으키고, 왜곡 포텐셜 (deformation
potential)이라고 하는 에너지 밴드 갭의 변동을 유발한다. 포물선 에너지 밴드 구조의 음향 양자 산란 (acoustical phonon scattering)에
의한 완화 시간은 아래와 같다[14,15].
여기서 $m^{*}$는 에너지 표면 타원체의 상태 유효 질량 밀도, $\rho$는 결정 밀도, $v_{0}$는 음파 속도, $E_{a}$는 왜곡 포텐셜
상수이다. 음향 양자 외에도, 결정은 이웃하는 원자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원자의 위상차로 발생하는 광양자 (optical phonon)를 포함한다.
장파장 광학 격자 진동과 반응하는 전하 캐리어의 상호 에너지는 기본 셀의 원자 이동에 비례한다. 포물선 에너지 밴드 구조의 광양자 산란에 의한 완화
시간은 아래의 수식으로 표현된다[14,15].
여기서 $E_{0}$는 광학 왜곡 포텐셜, $\omega_{0}$는 장파장 광학 진동의 각 주파수 (angular frequency), $a$는 입방
셀의 격자 상수이다. 극성 결정 (polar crystal)에서 광양자는 음이온 및 양이온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격자 편광을 만든다. 격자
편광은 전하 캐리어와 광양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 극성 광양자와의 상호 작용에서 전하 캐리어 자체에 의한 전기적 포텐셜 차단 효과를
포함하면, 극성 광양자 산란 (polar optical phonon scattering)에 의한 완화 시간은 아래와 같다[14,15].
여기서 $\epsilon_{\infty},\:\epsilon_{0}$는 각각 결정의 고주파수 및 정적 유전상수이며, $F_{scr}$은 차단 인자
(screening factor), $\lambda_{0}$는 광양자의 차단 길이, $n,\:p$는 각각 상태 밀도 $D(E)$에 의해 계산되는 전자
및 홀 캐리어 농도이다.
전체 완화 시간 상수는 Mathiessen’s Rule에 따라 개별 산란 메커니즘에 의한 완화 시간의 역수의 합으로 구해진다.
여기서 단지 음향 양자가 Bi2Te3 재료의 전기적 운송을 지배하기 때문에 쿨롱 포텐셜의 단거리 왜곡 포텐셜에 의한 산란은 고려되지 않는다.
Bi2Te3 화합물의 실제 비포물선 에너지 밴드 구조를 반영하는 에너지 분산의 비포물선 케인 모델 (nonparabolic Kane model)을 기반으로 음향
및 광양자의 완화 시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6].
여기서 $E_{g}=E_{g}^{0}+\gamma T$는 온도 의존 밴드 갭, $E_{g}^{0}$는 $T=0K$에서 밴드 갭, $\gamma$는
재료 특정 패러미터, $r_{a(o)}$는 가전도대 및 전도대의 음향(광) 양자의 비율이다. 비포물선 케인 모델과 밴드 갭 효과를 가진 차단 인자의
경우에서 극성 광양자 산란 (polar optical phonon scattering)에 의한 완화 시간은 아래와 같다[6].
2.2 열전 재료의 성능 지수
볼츠만 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전기 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sigma$는 아래와 같이 유도된다[14,16].
전도대 및 가전도대의 포물선 에너지 밴드를 가정하면, 포물선 에너지 밴드의 상태 밀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m_{d}^{*}=M^{2/3}m^{*}$는 밸리 배수 (multiplicity of valleys) $M$을 가지는 전체 유효 질량이다.
좁은 밴드 갭 재료의 비포물선 에너지 밴드에 대해 상태 밀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6,14].
식 (4)와 식 (16)을 식 (15)에 대입하면, 전기 전도도에 대한 해석적 표현은 아래와 같이 구해진다.
여기서 $F_{n}(x)=\int_{0}^{\infty}f_{0}(x)x^{n}dx$는 $n$차 페르미-디락 적분이며, 벌크 반도체에서 페르미 에너지
$E_{f}$는 온도의 함수이다. 볼츠만 분포가 적용되는 온도 구간에서 완전 이온화된 도너 (donors) 및 억셉터 (acceptors)에 대해
페르미 에너지는 아래와 같이 해석적으로 표현된다[17].
여기서 $E_{c}$ 및 $E_{v}$는 각각 전도대 및 가전도대, $m_{dn}^{*}$ 및 $m_{dp}^{*}$는 각각 전자 및 홀 유효 질량,
$N_{d}$ 및 $N_{a}$는 도너 및 억셉터 불순물 원자의 농도이며, $U_{c,\:v}(T)=2(2\pi m_{dn,\:dp}^{*}k_{b}T/h^{2})^{3/2}$이다.
온도 기울기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제백 계수 (Seebeck coefficient) $S$는 온도 차에 의해 유도되는 열전 전압으로 정의된다[14,16].
식 (4)와 식 (16)을 식 (20)에 대입하면 아래의 수식이 구해진다.
열전 재료의 효율은 아래와 같이 차원 없는 성능 지수로 특징되어 진다.
여기서 $\kappa_{e}$는 전기적 열전도도 (electrical thermal conductivity), $\kappa_{l}$는 격자 열전도도
(lattice thermal conductivity)이다. 전기적 열전도도는 아래와 같다[6].
열이 음향 양자에 의해 주로 전달된다고 가정하면, 슬랙 (Slack)에 의해 제안된 격자 열전도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3].
여기서 $\overline{M}$는 평균 원자 질량, $T_{D}$는 데비 온도 (Debye temperature), $V_{A}$는 원자당 체적,
$N$은 기본 셀당 원자 수, $\gamma$는 Gruneisen 패러미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