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우
(Chanwoo Kim)
1iD
박순우
(Soonwoo Park)
1iD
한희제
(Heeje Han)
1iD
배재민
(Jaemin Bae)
1iD
김홍준
(Hongjoon Kim)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Respiration, Left-Handed Transmission Line, Phase Shifter, Phased Array Antenna, Doppler Effect
1. 서 론
호흡이나 심장 박동과 같은 생체신호들은 목적에 따라 보건, 군사, 보안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3]. 특히, 비접촉 탐지 기술인 레이더 기술을 활용하여 생체신호를 탐지하는 기술이
연구 및 보고되고 있다[3-4].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다수의 RF 장비들과 복잡한 프로그래밍으로 인해 구현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또한 생체신호의 발생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다면 많은 분야에 응용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생체신호 레이더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간단한 제어와 소형화를 시킬 수
있는 왼손법칙 전송선로(Left-Handed Transmission Line, LHTL)형태의 위상 변위기[5]와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제작하여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에 응용함으로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험해 보았다. 설계 주파수는
2.4 GHz이고, FR-4(비유전율 4.4, 두께 1.6mm)기판 위에 패치 안테나[6]를 2×4 배열로 구성해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한 위상 배열 안테나와 전력 분배기, 서큘레이터, 믹서와 같은 RF회로들을 사용하여 생체신호 중
하나인 호흡 신호의 위치를 탐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호흡 신호의 탐지 구간은 2×4 위상 배열 안테나로부터
3 m지점에서 빔 편향 각을 –20°, 0°, +20°로 설정하였다. 사용한 2.4 GHz신호와 도플러 효과에 의해 변환된
주파수가 믹서에 의해 하향 변환되어 검출된 주파수로 호흡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2. 호흡 신호 탐지를 위한 레이더 시스템
2.1 왼손법칙 전송선로 형태의 위상 변위기
그림 1 제작한 2×4 위상 배열 안테나와 LHTL 위상 변위기의 구조
Fig. 1 Fabricated 2×4 phased array antenna and structure of LHTL phase shifter
위상 배열 안테나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인 위상 변위기는 위상 배열 안테나의 빔 편향 범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제어와 주파수의 위상이 360° 변화하는 구간에서 삽입손실의
변화가 크지 않은 LHTL 형태의 위상 변위기를 사용하였다[5].
본 논문에 사용한 LHTL 위상 변위기는 전압 가변 커패시터인 버렉터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고, 마이크로스트립
형태로 구현한 인덕터를 병렬로 연결한 구조이며, 이 구조에 대한 단위 셀은 그림 1에 나타내었으며, $C_{d}(V)$는 다이오드
커패시턴스, 은 라인 인덕턴스이다. 이러한 구조의 중요한 값인 위상 계수, 브래그 차단 주파수, 특성 임피던스는
참고문헌 [5]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값을 사용하여 위상 변위기의 단위 셀의 수를 결정하면, 사용 주파수의
위상을 360° 만큼 변화 시킬 수 있다. 그림 1에 제작한 위상 변위기를 나타내었다. 그림 2는 LHTL 위상 변위기의
인가전압에 따른 상대적 위상 변화와 삽입손실을 나타낸다. 제작된 위상 변위기는 삽입손실이 4 dB 이하를 유지하는
인가전압 범위 내에서, 사용 주파수의 위상이 0°~423.4°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2 LHTL 위상 변위기의 인가전압에 따른 상대적 위상 변위와 삽입손실 측정결과
Fig. 2 Relative phase variation(RPV) and insertion loss measurement result of the
LHTL phase shifter at each DC bias voltage
2.2 2×4 위상 배열 안테나
제작된 2×4 위상 배열 안테나는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위상 배열 안테나는 다수의 안테나를 배열하고,
각각의 안테나의 급전 전류의 위상을 제어하여 방사되는 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이다. 위상 배열
안테나에 사용한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6]를 사용하였고, 패치 안테나 구조에 대한 변수는 그림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단일 패치 안테나의 급전선에 LHTL 위상 변위기를 삽입하여 2×4 배열로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그림 3과 그림 4에서 나타나듯이 제작한 단일 패치 안테나와 최소의 반사손실을 위해 위상 변위기에 전압을 인가한
위상 배열 안테나의 반사손실은 2.4 GHz에서 각각 –21.63 dB, -34.60 dB이고, 빔 편향 범위가 –20°, 0°, +20°일
때 수평방향의 빔 패턴의 경우 –20°, 0°, +20°에서 각각 6.76 dBi, 8.60 dBi, 7.51 dBi의 안테나 이득을 나타내었다.
대칭 구조이지만 이득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사용 전압에 따라 삽입손실이 변하는 위상 변위기의 특성 때문이다.
그림 3 단일 패치 안테나와 2×4 위상 배열 안테나의 반사손실 측정결과
Fig. 3 Return loss measurement result of single patch antenna and 2×4 phased array
antenna
그림 4 위상 배열 안테나의 수평방향 빔 패턴 측정결과
Fig. 4 Horizontal direction beam pattern measurement result of the phased array antenna
2.3 호흡 탐지를 위한 레이더 시스템 구성과 실험 결과
그림 5 송・수신부의 개략도
Fig. 5 Schematic of receiver and transmitter
그림 5는 호흡 탐지를 위한 레이더 시스템의 송・수신부의 개략도이고, 그림 6은 실험 환경 구성도이다.
실험에서는 14 dBm의 전력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탐지거리를 3 m, 빔의 편향 범위를
좌우 -20°, 0°, +20°로 설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림 7은 거리 3 m에서 피험자가 -20°, 0°, +20°중
한 방향에 있을 때, 빔의 방향을 -20°, 0°, +20°로 조절하여 수집된 신호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수집된
신호들 중 호흡 신호는 규칙적인 들숨과 날숨으로 인해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신호가 된다.
그림 6 실험 환경 구성도
Fig. 6. Experiment setup configuration
그림 7 피험자가 (a) 0° 방향에 있을 때 (b) +20° 방향에 있을 때 (c) –20° 방향에 있을 때의 호흡 신호
Fig. 7 Respiratory signal of when the target is at (a) 0° direction (b) +20° direction
(c) -20° direction
수집된 신호들의 DC 성분을 줄이기 위해 곡선 적합(Curve fitting)을 적용하였다. 곡선 적합을 통해 측정된 신호의
피크-피크는 호흡 신호가 탐지 되지 않았을 때 12.2 mVpp, 탐지 되었을 때는 91.5 mVpp의 크기를 보였다.
그림 7에 나타나듯이 빔 편향 각도와 피험자의 위치에 따라 수신 신호가 구분이 되었으며, 피험자의 생체신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는 2×4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였으나, 이보다 크게 제작하여
3D로 스캐닝을 할 경우 건물 내 사람의 위치 파악 등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LHTL 위상 변위기를 사용하여 2×4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제작한 후, 레이더 시스템을
구성하고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호흡을 탐지하였다. 제작된 위상 배열 안테나 레이더는
간단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고, 삽입된 LHTL 위상 변위기의 특성으로 인해 빔의 방향을 조절하여
호흡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제안한 위상 배열 안테나 레이더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탐지할 수 있고, 위치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건, 군사 및 보안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NRF-2015R1D1A1A02061454)
References
S. Kano, M. Fujii, 2017, Battery-Powered Wearable Respiration Sensor Chip With Nanocrystal
Thin Film, 2017 IEEE SENSORS, pp. 1-3
C. Li, G. Lu, F. Chen, F. Qi, J. Wang, 2015, Contact-free Detec- tion of Respiration
Signal from Continuously Moving-object Noise via a Doppler Radar Using Adaptive Line
Enhancer, IEEE 28th Canadian Conference on Electrical and Com- puter Engineering (CCECE),
pp. 801-805
E. F. Greneker, 1997, Radar Sensing of heartbeat and respiration at a distance with
applications of the technology, Radar 97 (Conf. Publ. No.499), pp. 150-154
I. Walterscheid, G. E. Smith, 2017, Respiration and Heartbeat monitoring using a Distributed
pulsed mimo radar, 3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EMBC), pp. 3449-3452
Hongjoon Kim, A. B. Kozyrev, A. Karbassi, D.W. van der weide, 2005, Linear Tunable
Phase shifter Using a Left-Handed Transmission Line, IEEE Microwave and Wireless Com-
ponents Letters, Vol. 15, No. issue 5, pp. 366-368
C. A. Balanis, 2005, Antenna Theory Analysis and Design 3rd edition, WILEY, pp. 81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