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Area of vulnerability, Power quality, Voltage quality, Voltage sag, Voltage swell

1. 서 론

전압 변동에 민감한 부하들의 증가와 함께 양질의 전력 공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력계통에는 다양한 전력품질 문제가 존재하지만 현대의 자동화 공정에 있어 순간전압강하와 같은 순간전압품질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정밀 제어 장치 및 산업 자동화 설비들은 정전인 아닌 전원 전압의 갑작스러운 변동으로도 오동작하거나 공정 중단을 초래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1), (2). 대표적인 순간전압품질 문제로는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이 있다. 단일 이벤트로 인한 피해는 순간정전이 가장 크지만, 발생빈도를 고려할 때 순간전압강하나 순간전압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보다 심각하다. 또한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을 비교했을 때는 순간전압강하의 발생빈도가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기기 오동작 및 트립을 야기하는 피해 정도도 더 크다. 전력품질 관련 많은 연구가 순간전압상승보다 순간전압강하를 다루는 이유이기도 하다.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평가 및 예측 기술, 저감 대책, 보상 기기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누적된 순간전압상승도 민감 기기의 전원부에 큰 피해를 야기하게 되며 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원의 계통 연계 증가에 따라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및 HVRT(high voltage ride through) 조건이 까다로워지고 있는 실정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인 연계 운전을 위해서는 연계 지점에서의 전압강하 및 전압상승의 전압품질 수준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3). 신재생 에너지원의 연계 후보지에 대한 전압품질 평가를 바탕으로 최적 연계 위치 선정 등 다양한 분석도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전압품질 문제에 대한 계통 측면에서의 최적 대책 수립을 위해서도 전압품질 문제의 발생 경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관련 연구는 계통 내 특정 지점에서의 순간전압강하 발생 경향을 추정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평가 방법과 전력품질 모니터링에 기반한 평가 방법 등 다양한 연구가 소개되었다. 반면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평가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며 순간전압강하와 전압상승을 함께 고려한 전압품질 평가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통에서의 사고로 인한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을 함께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사고 형태인 1선 지락의 경우 민감 부하단에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을 동시에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감 부하단에 대한 종합적인 전압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 모두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전압품질 평가 방법들은 순간전압하와 전압상승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논문에서는 단일 사고로 인한 동시 발생의 순간전압강하와 전압상승 문제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계통내 특정 모선에 대한 순간전압강하 및 전압상승의 취약지역 계산을 통해 중첩영역을 정의하고 계통 사고율을 이용하여 발생 경향을 평가한다.

2. 순간전압품질 문제와 추계적 평가

2.1 계통 사고로 인한 순간전압강하 및 순간전압상승

순간전압품질을 특징짓는 2가지 주요 요소는 전압의 크기와 지속시간이다. 순간전압강하 및 전압상승의 크기는 사고 위치, 계통 임피던스, 사고 전 전압, 사고 종류 등에 따라 좌우된다. 지속시간은 일반적으로 사고 검출 및 제거 시간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계통의 보호계전 시스템의 동작 특성에 좌우된다. 대표적인 전압품질 문제인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는 RMS 전압 크기 0.1~0.9 p.u., 지속시간 0.5 cycle~1 min. 사이의 갑작스러운 전압감소현상으로 정의된다 (1). 이러한 현상은 주로 계통에서의 사고, 대형 전동기의 기동 및 큰 부하의 통전 등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전압강하의 크기 및 파급 정도를 고려할 때 사고로 인한 전압강하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반면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은 순간전압강하와 동일한 지속시간 범위로 전압크기 1.1~1.8 p.u.의 전압상승현상으로 정의된다 (1). 순간전압상승의 원인은 계통에서의 사고, 대형 부하의 스위치 오프 또는 대규모 커패시터 뱅크의 통전 등이다. 사고로 인한 순간전압상승의 경우 일반적으로 불평형 사고시 건전상에서 발생한다. 전체 계통 사고의 70~80%가 1선지락의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 지락이 발생한 상에는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고 계통의 접지 형태에 따라 건전상의 전압은 크게 상승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접지 저항이 클수록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크게 나타난다. 또한 2선 지락사고의 경우 1선 지락사고와 마찬가지로 지락이 발생한 상에는 전압강하가 발생하며 접지 조건에 따라 건전상에 전압상승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선간단락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락 상간의 전압강하가 발생하며 전압상승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순간전압강하 평가시에만 고려하면 된다. 3상 사고는 발생빈도가 가장 낮지만, 매우 큰 사고전류를 유발하며 넓은 영역에 피해를 준다. 계통 접지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3상 모두에 심각한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3상평형 사고의 경우 순간전압상승보다는 넓은 영역에 순간전압강하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3상 사고의 경우 순간전압강하 평가시에 반드시 고려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사고 형태인 1선지락, 2선지락, 선간단락 및 3상 사고에 대해 동시적으로 발생 가능한 순간전압강하 및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평가를 다룬다.

2.2 순간전압품질에 대한 추계적 평가

순간전압품질 평가는 기본적으로 전압모니터링을 이용하는 방법과 계통 사고율 데이터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방법이 알려져 있다 (4)-(10). 오랫동안 확보된 전압모니티링 데이터가 있을 경우 해당 모니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신뢰도 높은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1). 반면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평가는 계통 데이터와 사고율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으로 보다 신속히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운전 조건과 설계 단계의 계통에 대해서도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임계 거리법, 고장 위치법 및 취약지역(AOV: area of vulnerability)에 기반한 방법 등 몇몇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정확도나 대규모 계통 적용 여부 등을 고려할 때 취약지역에 기반한 평가가 보다 효율적이다 (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순간전압강하 및 순간전압상승의 취약지역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취약지역 개념은 순간전압강하 평가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계통 내 특정 지점의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취약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 된다. 그림 1은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취약지역의 예이다. 어둡게 표시된 계통 영역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당 민감 부하 모선에 한계전압 이하의 순간전압강하가 발생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취약지역은 계통 내 특정 지점에 한계전압 이하의 전압강하를 야기하는 사고위치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참고문헌 (5)에서 정확한 취약지역을 계산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계산된 취약지역 내에 포함된 선로의 길이와 연평균 사고율을 이용하여 순간전압강하 발생횟수를 추산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계통 내 사고로 기인하는 순간전압상승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1선 지락 및 2선 지락과 같은 불평형 사고에 대해 건전상의 전압에 대한 취약지역을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취약지역으로부터 연평균 전압상승 횟수를 추산할 수 있다.

그림. 1.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취약지역 예

Fig. 1. Area of vulnerability to voltage sags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1.png

2.3 순간전압강하 및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

1선 지락 및 2선 지락과 같은 불평형 사고의 경우 계통 내 특정 모선에 대해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 모두에 대한 취약지역이 존재할 수 있다.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을 결정하게 되면 두 영역이 서로 겹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고 해당영역에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민감 부하단의 특정상에는 순간전압강하가 그 외의 특정상에는 순간전압상승이 동시에 발생됨을 나타낸다. 또한 겹치는 영역에 대한 추계적 평가를 통해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이 동시에 발생할 횟수의 추산도 가능하다. 전압품질에 대한 대책 수립 시 중첩영역에 대한 우선적인 적용은 품질 개선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그림 2는 민감부하모선 A에 대한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의 취약지역 예이다. 순간전압강하 취약지역에 사고가 발생하면 부하 A는 전압강하로 피해를 보게 되며 순간전압상승 취약지역에 사고가 발생하면 전압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함을 나타낸다. 또한 두 영역이 겹치는 계통 영역에서의 사고는 2가지 전압품질 문제가 동시에 발생함을 나타낸다. 각 전압품질에 대한 취약지역의 계산은 사고형태별 전압 계산식과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5), (11). 계통 내 민감 부하단에서의 순간전압강하 및 전압상승 모두를 고려한 장기적 품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2. 순간전압강하 및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2. Overlapping area of vulnerability to voltage sags and voltage swells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2.png

2.4 취약지역에 기반한 추계적 평가

특정 민감 부하에 대한 취약지역과 계통의 사고율을 이용하여 연평균 발생횟수를 추산할 수 있다. 3상 모두에 대한 순간전압강하 연평균 발생횟수는 식(1)을 이용하여 추산할 수 있다. 순간전압강하의 경우 접지 저항이 매우 작을 경우 사고 전 전압과의 관계로 불평형 사고 시 건전상에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모든 상을 고려한다.

(1)
$ESF_{SAG}=\sum_{i=1}^{4}\sum_{j=1}^{3}\left[\sum_{B=1}^{m}BFR+\sum_{L=1}^{n}l_{L}\times LFR\right]$

여기서,

$ESF_{SAG}$: 순간전압강하 예상 발생횟수

i: 사고형태 (1:SLGF, 2:DLGF, 3:LLF, 4:3PF)

j: 각 상 (1:a상, 2:b상, 3:c상)

B와 L: 취약지역에 포함된 모선 및 선로

m과 n: 취약지역에 포함된 모선 및 선로의 수

$BFR$과 $LFR$: 모선 및 선로의 연평균 사고율

$l_{L}$: 취약지역 내에 포함되는 선로 $L$의 길이

반면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평가는 1선 지락사고(SLGF) 및 2선 지락사고(DLGF)에 대해 건전상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과 식(2)~(4)를 이용하여 추산할 수 있다.

(2)
$ESF_{S\lg F}=\sum_{j=b ,\: c}\left[\sum_{B=1}^{m}BFR+\sum_{L=1}^{n}l_{L}\times LFR\right]$

(3)
$ESF_{D\lg F}=\sum_{j=a}\left[\sum_{B=1}^{m}BFR+\sum_{L=1}^{n}l_{L}\times LFR\right]$

(4)
$ESF_{Swell}=ESF_{S\lg F}+ESF_{D\lg F}$

3.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을 동시에 고려한 평가

3.1 중첩 취약지역에 대한 전압품질 평가

사고 형태에 따라 각 상에 대한 취약지역의 형태가 달라진다. 예로서 1선 지락시 a상에 순간전압강하가 발생하더라도 b상과 c상의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의 형태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상별 중첩 영역의 형태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의 취약지역이 겹치는 영역으로부터 두 전압품질 문제의 동시 발생횟수를 추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 3과 같이 3상 모두의 중첩영역을 산출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전압품질 발생횟수를 추산하였다. 즉, 계통 단일 사고로 인해 3상 모두에 순간전압강하 또는 순간전압상승이 발생할 연평균 횟수를 추산하였다.

그림. 3. 3상 중첩 취약지역의 결정

Fig. 3. Identification of the overlapping AOVs of three phases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3.png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개별 취약지역 계산 방법은 참고문헌 (5)(11)에서 소개되었다. 각 선로의 임계점으로부터 3상의 중첩 취약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3상 중첩영역에 대한 연평균 발생횟수 추산은 식(5)와 같다.

(5)
$ESF_{CAP}=\sum_{i=1}^{2}\left[\sum_{B\in AOV_{C A P}}BFR+\sum_{L\in AOV_{C A P}}l_{L}\times LFR\right]$

여기서 $ESF_{C A P}$는 순간전압강하 및 전압상승의 3상 동시 발생 횟수, i는 사고형태 (1:SLGF, 2:DLGF), $AOV_{C A P}$은 3상의 중첩 취약지역($A O V_{C A P}=A O V_{a} \cap A O V_{b} \cap A O V_{c}$)이다.

3.2 전압품질 지속시간을 고려한 평가

계통 내 민감 부하단에 대한 전압품질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압강하 및 상승의 크기뿐 아니라 지속시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사고로 인한 전압품질의 지속시간은 계통의 보호계전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따르게 되므로 장기간의 품질 수준 평가 시 주보호와 후비보호 동작의 평균적인 통계치를 기반으로 지속시간을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12)에서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지속시간 평가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순간전압강하뿐 아니라 순간전압상승에 함께 적용하여 종합적인 품질수준 평가를 실시한다. 먼저 민감 부하 모선에 대해 순간전압강하와 전압상승의 주어진 한계전압 크기에 대한 취약지역을 구하고 3상의 중첩취약지역에 대해 $ESF_{C A P}$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보호계전 시스템의 주보호 및 후비보호의 동작 특성을 분석하고 과거 동작 데이터로부터 주보호 및 후비보호의 실패율을 도출한다. 추산된 $ESF_{C A P}$과 식(6)(8)을 이용하여 동작 시간에 따른 단계별 전압품질 예상횟수를 추산한다 (12).

(6)
$ESF_{C A P_{-} D 1}=ESF_{CAP}\times(1-\lambda_{1st})$

(7)
$ESF_{C A P_{-} D 2}=(ESF_{CAP}-ESF_{C A P_{-} D 1})\times(1-\lambda_{2nd})$ $=ESF_{CAP}\times\lambda_{1st}\times(1-\lambda_{2nd})$

(8)
$ESF_{C A P_{-} D 3}=ESF_{CAP}-(ESF_{C A P_{-} D 1}+ESF_{C A P_{-} D 2})$

여기서,

$ESF_{CAP}$ : 순간전압품질 크기만을 고려한 평가 결과

$ESF_{C A P_{-} D 1}$ : 주보호 동작의 평균 지속시간을 가지는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

$ESF_{C A P_{-} D 2}$ : 2차 후비보호 동작의 평균 지속시간을 가지는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

$ESF_{C A P_{-} D 3}$ : 3차 후비보호 동작의 평균 지속시간을 가지는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

$\lambda_{1st}$ : 주보호 시스템의 동작 실패율

$\lambda_{2nd}$ : 2차 후비보호 시스템의 동작 실패율

단일 사고 이벤트는 주보호, 2차, 3차 후비보호를 통해 모두 제거됨을 가정하고 3단계의 지속시간으로 전압품질 지속시간을 평가하였다. 계통 내 특정 민감 부하단에서 3상에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전압강하 및 순간전압상승 발생 경향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크기와 지속시간을 모두 고려한 전압품질 평가 방법의 전체적인 절차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4. 순간전압품질 평가 절차

Fig. 4. Procedures of voltage quality assessment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4.png

4. 사례 연구

4.1 모의 계통 및 조건

그림 5와 같은 IEEE-30 모선 계통에서 임의로 선정된 3번, 16번, 26번의 3개 모선에 대해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순간전압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해당 계통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는 참고문헌 (5)(13)에 제시되어 있다.

그림. 5. IEEE-30 모선 계통

Fig. 5. IEEE-30 bus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5.png

각 모선에서 예상되는 연평균의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 발생횟수를 추산하고 3상 모두에 동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압품질 횟수도 평가하였다. 순간전압강하 평가시의 한계전압은 0.7[p.u.]로 설정하였고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한계전압은 1.2[p.u.]로 설정하였다. 각 사고 형태별 연평균 사고율은 표 1과 같고 전압품질 지속시간 평가를 위한 보호계전 시스템의 평균 동작 특성 및 실패율은 표 2와 같다.

표 1. 계통 사고율 데이터

Table 1. System fault rates for buses and lines

사고 형태

모선 사고율 [event/year]

선로 사고율

[event/year-100km]

1선지락 (SLGF)

0.064

4.500

선간단락 (LLF)

0.004

0.400

2선지락 (DLGF)

0.008

0.600

3상사고 (3PF)

0.003

0.100

표 2. 보호계전시스템의 동작특성 및 실패율

Table 2. Failure rates of protection system

구분

주보호

후비보호

Zone-1

Zone-2

Zone-3

지속시간

5Hz

20Hz

100Hz

실패율(λ)

14.95%

34.48%

4.2 취약지역의 계산과 순간전압품질 평가

4.2.1 선정 모선에 대한 순간전압강하 평가

선정된 3개의 모선에 대해 각 사고 형태별 취약지역을 계산하고 연평균 순간전압강하 발생횟수를 추산하였다. 예로서 그림 6은 3번 모선에 대한 SLGF 취약지역을 보여준다.

그림. 6. SLGF 사고시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취약지역 (모선 3)

Fig. 6. AOV to voltage sags due to SLGF (Bus3)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6.png

식(1)에 의해 계산된 순간전압강하 3상 누적 횟수는 표 3과 같다. 3개의 모선 중 3번 모선에서의 순간전압강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모선 16에서의 발생빈도가 가장 낮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4.2.2 선정 모선에 대한 순간전압상승 평가

SLGF 및 DLGF 사고시 건전상에 대한 순간전압상승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로서 그림 7은 3번 모선에 대한 SLGF사고시 2개의 건전상에서의 순간전압상승 취약지역을 나타낸다.

표 3. 순간전압강하 평가 결과

Table 3. Voltage sag assessment result

사고 형태

ESFSAG [events/year]

BUS 3

BUS 16

BUS 26

SLGF

48.74

14.12

22.23

DLGF

12.99

9.90

15.76

LLF

6.86

4.77

8.33

3PF

3.42

3.84

4.68

72.01

32.63

51.00

각 사고 형태 및 상에 대한 취약지역과 식(2)~(4)로부터 표 4와 같은 평가 결과를 얻었다. 순간전압상승의 경우 모선 26에서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그림. 7. SLGF 사고시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모선 3)

Fig. 7. AOV to voltage swells due to SLGF (Bus3)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7.png

4.2.3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을 모두 고려한 전압품질 평가

표 4. 순간전압상승 평가 결과

Table 4. Voltage swell assessment result

사고 형태

ESFSWELL [events/year]

BUS 3

BUS 16

BUS 26

SLGF

21.95

19.19

31.04

DLGF

0.16

1.22

2.20

22.11

20.41

33.24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의 취약지역들로부터 3상의 중첩영역을 계산하였다. 해당 영역은 단일 사고로 인해 특정상에는 전압강하가 특정상에는 전압상승이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압품질 문제에 대한 대책 수립시 해당 중첩 영역에서의 사고 저감 대책을 우선 적용함으로써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림 8~10은 SLGF 사고시 세 모선에 대한 각 상별

그림. 8. SLGF시 모선 3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8. Overlapping AOV due to SLGF (Bus 3)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8.png

그림. 9. SLGF시 모선 1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9. Overlapping AOV due to SLGF (Bus 16)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9.png

그림. 10. SLGF시 모선 2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0. Overlapping AOV due to SLGF (Bus 26)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10.png

취약지역과 중첩 취약지역을 나타내고 그림 11~13은 DLGF 사고에 대한 취약지역을 나타낸다. SLGF 및 DLGF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과 식(5)로부터 순간전압품질 발생횟수 ESFCAP을 추산하였다. 또한, 표 2의 보호계전시스템 동작 특성과 식(6)~(8)을 이용하여 평균적인 지속시간을 고려한 전압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5는 주어진 한계전압과 지속시간에 대한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이다.

표 34로부터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개별 평가 결과의 합은 3번 모선에서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추산되었으나 3상 모두에 동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순간전압품질 문제는 26번 모선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또한 지속시간을 고려할 경우 3번 모선에서는 5[Hz]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순간전압품질 문제가

그림. 11. DLGF시 모선 3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1. Overlapping AOV due to DLGF (Bus 3)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11.png

그림. 12. DLGF시 모선 1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2. Overlapping AOV due to DLGF (Bus 16)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12.png

그림. 13. DLGF시 모선 2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3. Overlapping AOV due to DLGF (Bus 26)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fig13.png

표 5.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

Table 5. Result of the voltage quality assessment

ESFCAP [events/year]

민감 모선

Duration [Hz]

0<ESFCAP≤5

5<ESFCAP≤20

20<ESFCAP≤100

BUS 3

7.85

0.90

0.48

BUS 16

6.19

0.71

0.38

BUS 26

12.21

1.41

0.74

7.85회, 20[Hz]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경우가 0.9회, 100[Hz]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경우가 0.48회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26번 모선의 경우는 각각의 지속시간에 대해 12.21회, 1.41회, 0.74회 발생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계통 사고로 인한 순간전압품질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재까지의 전압품질 평가는 순간전압강하 또는 순간전압상승의 단일 이벤트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계통에서의 단일 사고로 인해 특정상에는 순간전압강하가 특정상에는 순간전압상승이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전압품질에 대한 취약지역 기반의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순간전압강하와 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의 중첩 영역을 정의함으로써 특정 모선 3상에 동시적 발생할 수 있는 전압품질 발생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민감 부하단에서의 순간전압강하와 전압상승을 모두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오랜 기간 축적된 계통 보호시스템의 동작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순간전압품질 문제에 대한 평균적인 지속시간의 평가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대표적인 순간전압품질 문제인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장기적인 발생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민감 부하단에서의 순간전압품질을 고려한 최적 대책 수립 및 계통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References

1 
M. H. J. Bollen, 2000, Understanding Power Quality Problems: Voltage Sags and Interruptions, Piscataway, NJ, IEEE Power Engineering SeriesGoogle Search
2 
R. C. Dugan, M. F. McGranaghan, S. Santoso, H. W. Beaty, 2002, Electrical Power Systems Quality. New York: McGraw- Hill, ch 3Google Search
3 
C. H. Park, G. Jang, 2016, Voltage quality assessment considering low voltage ride-through requirement for wind turbines, IET Gener. Transm. Distrib., Vol. 10, No. 16, pp. 4205-4212DOI
4 
C. H. Park, G. Jang, 2007, Stochastic Estimation of Voltage Sags in a Large Meshed Network, IEEE Trans. Power Del., Vol. 22, No. 3, pp. 1655-1664DOI
5 
C. H. Park, G. Jang, 2017, Systematic Method to Identify an Area of Vulnerability to Voltage Sags, IEEE Trans. Power Del., Vol. 32, No. 3, pp. 1583-1591DOI
6 
J. Son, C.-H. Park, 2018, Stochastic Estimation of Voltage Sags Based on Voltage Monitor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10, pp. 1271-1277DOI
7 
N. C. Woolley, J. M. Avendano-Mora, J. V. Milanovic, 2012, Methodology for robust monitoring of voltage sags based on equipment trip probabilities,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90, No. , pp. 107-116DOI
8 
M. H. J. Bollen, Nov/Dec 1996, Fast assessment methods for voltage sags in distribution systems, IEEE Trans. Ind. Appl., Vol. 32, No. 6, pp. 1414-1423DOI
9 
M. H. J. Bollen, 1998, Method of critical distances for stochastic assessment of voltage sags, IEE Proc. Gener. Transm. Distrib., Vol. 145, No. 1, pp. 70-76DOI
10 
M. R. Qader, M. H. J. Bollen, R. N. Allan, 1999, Stochastic prediction of voltage sags in a large transmission system, IEEE Trans. Ind. Appl., Vol. 35, No. 1, pp. 152-162DOI
11 
C. H. Park, 2017, Estimation of Voltage Swell Frequency Caused by Asymmetrical Fault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12, No. 4, pp. 1376-1385Google Search
12 
M.-C. Lee, C.-H. Park, 2016, Stochastic Method to Assess Voltage Sag Performance Considering Sag Duration in Large Powe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2, pp. 85-92DOI
13 
, IEEE 30-Bus Test Case, [Online]. Available: https://labs. ece.uw.edu/pstca/pf30/pg_tca30bus.htm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명철 (Myeong-Cheol Lee)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au1.png

1995년 동아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4년 부경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4년~현재 부경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E-mail : pelmc@naver.com

박창현 (Chang-Hyun Park)
../../Resources/kiee/KIEE.2019.68.12.1497/au2.png

2007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2008년~현재 부경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 spch@pk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