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모의 계통 및 조건
그림 5와 같은 IEEE-30 모선 계통에서 임의로 선정된 3번, 16번, 26번의 3개 모선에 대해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순간전압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해당 계통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는 참고문헌 (5)와 (13)에 제시되어 있다.
그림. 5. IEEE-30 모선 계통
Fig. 5. IEEE-30 bus system
각 모선에서 예상되는 연평균의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 발생횟수를 추산하고 3상 모두에 동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압품질 횟수도 평가하였다.
순간전압강하 평가시의 한계전압은 0.7[p.u.]로 설정하였고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한계전압은 1.2[p.u.]로 설정하였다. 각 사고 형태별 연평균
사고율은 표 1과 같고 전압품질 지속시간 평가를 위한 보호계전 시스템의 평균 동작 특성 및 실패율은 표 2와 같다.
표 1. 계통 사고율 데이터
Table 1. System fault rates for buses and lines
사고 형태
|
모선 사고율 [event/year]
|
선로 사고율
[event/year-100km]
|
1선지락 (SLGF)
|
0.064
|
4.500
|
선간단락 (LLF)
|
0.004
|
0.400
|
2선지락 (DLGF)
|
0.008
|
0.600
|
3상사고 (3PF)
|
0.003
|
0.100
|
표 2. 보호계전시스템의 동작특성 및 실패율
Table 2. Failure rates of protection system
구분
|
주보호
|
후비보호
|
Zone-1
|
Zone-2
|
Zone-3
|
지속시간
|
5Hz
|
20Hz
|
100Hz
|
실패율(λ)
|
14.95%
|
34.48%
|
|
4.2 취약지역의 계산과 순간전압품질 평가
4.2.1 선정 모선에 대한 순간전압강하 평가
선정된 3개의 모선에 대해 각 사고 형태별 취약지역을 계산하고 연평균 순간전압강하 발생횟수를 추산하였다. 예로서 그림 6은 3번 모선에 대한 SLGF 취약지역을 보여준다.
그림. 6. SLGF 사고시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취약지역 (모선 3)
Fig. 6. AOV to voltage sags due to SLGF (Bus3)
식(1)에 의해 계산된 순간전압강하 3상 누적 횟수는 표 3과 같다. 3개의 모선 중 3번 모선에서의 순간전압강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모선 16에서의 발생빈도가 가장 낮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4.2.2 선정 모선에 대한 순간전압상승 평가
SLGF 및 DLGF 사고시 건전상에 대한 순간전압상승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로서 그림 7은 3번 모선에 대한 SLGF사고시 2개의 건전상에서의 순간전압상승 취약지역을 나타낸다.
표 3. 순간전압강하 평가 결과
Table 3. Voltage sag assessment result
사고 형태
|
ESFSAG [events/year]
|
BUS 3
|
BUS 16
|
BUS 26
|
SLGF
|
48.74
|
14.12
|
22.23
|
DLGF
|
12.99
|
9.90
|
15.76
|
LLF
|
6.86
|
4.77
|
8.33
|
3PF
|
3.42
|
3.84
|
4.68
|
계
|
72.01
|
32.63
|
51.00
|
각 사고 형태 및 상에 대한 취약지역과 식(2)~(4)로부터 표 4와 같은 평가 결과를 얻었다. 순간전압상승의 경우 모선 26에서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그림. 7. SLGF 사고시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취약지역(모선 3)
Fig. 7. AOV to voltage swells due to SLGF (Bus3)
4.2.3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을 모두 고려한 전압품질 평가
표 4. 순간전압상승 평가 결과
Table 4. Voltage swell assessment result
사고 형태
|
ESFSWELL [events/year]
|
BUS 3
|
BUS 16
|
BUS 26
|
SLGF
|
21.95
|
19.19
|
31.04
|
DLGF
|
0.16
|
1.22
|
2.20
|
계
|
22.11
|
20.41
|
33.24
|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의 취약지역들로부터 3상의 중첩영역을 계산하였다. 해당 영역은 단일 사고로 인해 특정상에는 전압강하가 특정상에는 전압상승이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압품질 문제에 대한 대책 수립시 해당 중첩 영역에서의 사고 저감 대책을 우선 적용함으로써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림 8~10은 SLGF 사고시 세 모선에 대한 각 상별
그림. 8. SLGF시 모선 3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8. Overlapping AOV due to SLGF (Bus 3)
그림. 9. SLGF시 모선 1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9. Overlapping AOV due to SLGF (Bus 16)
그림. 10. SLGF시 모선 2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0. Overlapping AOV due to SLGF (Bus 26)
취약지역과 중첩 취약지역을 나타내고 그림 11~13은 DLGF 사고에 대한 취약지역을 나타낸다. SLGF 및 DLGF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과 식(5)로부터 순간전압품질 발생횟수 ESFCAP을 추산하였다. 또한, 표 2의 보호계전시스템 동작 특성과 식(6)~(8)을 이용하여 평균적인 지속시간을 고려한 전압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5는 주어진 한계전압과 지속시간에 대한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이다.
표 3과 4로부터 순간전압강하와 순간전압상승에 대한 개별 평가 결과의 합은 3번 모선에서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추산되었으나 3상 모두에 동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순간전압품질 문제는 26번 모선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또한 지속시간을 고려할 경우 3번 모선에서는 5[Hz]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순간전압품질 문제가
그림. 11. DLGF시 모선 3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1. Overlapping AOV due to DLGF (Bus 3)
그림. 12. DLGF시 모선 1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2. Overlapping AOV due to DLGF (Bus 16)
그림. 13. DLGF시 모선 26에 대한 중첩 취약지역
Fig. 13. Overlapping AOV due to DLGF (Bus 26)
표 5. 순간전압품질 평가 결과
Table 5. Result of the voltage quality assessment
ESFCAP [events/year]
|
민감 모선
|
Duration [Hz]
|
0<ESFCAP≤5
|
5<ESFCAP≤20
|
20<ESFCAP≤100
|
BUS 3
|
7.85
|
0.90
|
0.48
|
BUS 16
|
6.19
|
0.71
|
0.38
|
BUS 26
|
12.21
|
1.41
|
0.74
|
7.85회, 20[Hz]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경우가 0.9회, 100[Hz]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경우가 0.48회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26번 모선의 경우는 각각의 지속시간에 대해 12.21회, 1.41회, 0.74회 발생할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