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임피던스 방식의 고장해석은 고장전 부하 및 분산전원의 전류의 영향을 무시하고 계산을 수행하므로, 각 모선 고장직전 전압을 가정($1 PU$)하고
태브닌 등가 임피던스를 통해 전류를 계산 후 모선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PV의 고장전류 기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버터의 연계점
전압과 제어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전압이 우선 계산되고 이를 이용하여 전류 기여를 계산해야 하므로 기존의 고장계산 방식으로는 해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부하 전류 및 PV의 전류 값을 바탕으로 조류계산을 반복 수행하여 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였다. 불평형 고장 시
회로의 토폴로지는 각 상마다 달라지므로 기존의 3상 일괄 조류계산으로는 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평형 3상 조류계산 방식을 적용하였다.
3.1 PV 특성을 고려한 기존 고장해석 방법
앞서 언급한 3상 조류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배전계통을 각 상별 계통 어드미턴스 행렬을 계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임피던스 데이터를 선로의
직경, 각 상 선로간 거리, 선로와 대지사이의 거리의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Modified Carson 수식(11)을 통해 계산한다. 국내의 배전선로는 3상 4선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임피던스 데이터는 A, B, C, N 상의 데이터인 $4\times 4$행렬로
계산된다. 계산된 데이터를 Kron reduction(12)을 통해 중성선의 영향을 고려한 $3\times 3$ 행렬로 축소시켜 식(7)과 같이 정리한다.
여기서, $Z_{abc}$는 3상 4선식 선로의 임피던스 행렬을 의미한다.
3.2 변압기 모델링
PV의 변압기는 결선 방식에 따라 1선 지락사고시의 고장전류의 경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고장 시 고장전류의 증감을 발생시킨다(2). 그러므로 고장 시 변압기 결선에 따른 영상경로를 반영하여야 한다. 단 조류계산이 3상 결선 방식이기 때문에 변압기 또한 3상 모델링을 하여 어드미턴스
행렬로 정리하였다(13). 3상 선로의 변압기에 대해 1차측과 2차측에 대하여 전압전류 관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V_{P}$, $I_{P}$는 1차측 전압, 전류,$V_{S}$, $I_{S}$는 2차측 전압, 전류를 의미한다. $Y_{PP}$는 1차측의
자기 어드미턴스, $V_{SS}$는 2차측의 자기어드미턴스 $Y_{PS}$, $Y_{SP}$는 각각 1차측에서 2차측을 바라본 상호 어드미턴스 값과
2차측에서 1차측을 바라본 상호 어드미턴스 값을 의미한다. 전압 및 전류는 $3\times 1$ 백터이며 어드미턴스는 $3\times 3$ 행렬 값이다.
국내 PV 변압기는 1차 측이 접지되어 $Y_{g}-Y_{g}$결선 혹은 $\triangle -Y_{g}$결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결선 방식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Y_{g}-Y_{g}$의 어드미턴스 값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y_{t}$는 변압기의 어드미턴스 값을 의미한다. $\triangle -Y_{g}$의 어드미턴스 값은 다음과 같다.
3.4 고장 발생시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
다음 예시를 통해 고장 시 3상 선로의 어드미턴스를 계산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림 1에 선로의 전원 및 변압기와 분산전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간단한 계통을 도시하였다.
그림. 1. 3모선 예시 배전계통 단선도
Fig. 1. One-line diagram of 3 buses example network
2번 모선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고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구하기 위해 각 요소의 임피던스 행렬의 역행렬을 취하여 어드미턴스로 변경한 것을
그림 2에 도시하였다.
그림. 2. 예시 배전계통의 어드미턴스 구성
Fig. 2. Admittance configuration of example network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은 개별 선로의 노드 방정식을 적용하여 정리한다. 해당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노드 사이에 있는 어드미턴스 값을 더한 값을
대각성분으로 하고 자기 어드미턴스로 정의하며, 다른 노드 사이에 있는 어드미턴스 각각을 음수로 처리하여 비대각성분으로 하고 상호 어드미턴스로 정의한다.
단 계통이 3상 모델이므로 선로의 어드미턴스 요소가 $3\times 3$ 행렬이며, 그에 따라 행렬의 행과 열의 크기는 노드 수의 3배이다. 그림 3에 예시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의 요소의 분포를 표시하였다.
그림. 3. 예시 배전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 구조
Fig. 3. Admittance matrix of example distribution network
3.5 고장 계산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의 고장해석 방식은 앞서 정리한 인버터의 특성 및 고장시 계통 구성 요소(선로, 변압기, 부하)의 모델을 기반으로 생성한 어드미턴스 행렬을
3상 조류계산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초기치 전압에 대한 반복해의 수렴방식은 Implicit Zbus 방법을 사용하였다(14). 본 논문에서 수행되는 PV 인버터 제어 특성을 고려한 고장해석 알고리즘을 그림 4에 도시하였다. 그림 4의 고장해석 단계를 요약하면,
(1) 고장계산을 위해 고장발생 모선, 고장종류(1선지락, 3선지락, 선간단락 등) 및 고장점 임피던스를 지정하여 대상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대상 계통을 Slack(변전소), PQ(부하, PV), PV(동기기) 모선 등으로 구분하고 모선 전압과 부하 조건 등의 초기치와
PV의 인버터의 무효전력 제어방식, 현재 일사량 및 변압기 결선 등의 특성을 입력하여 PV 모델로 처리한다. 가정된 고장상황을 바탕으로 배전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한다.
(2)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여 PV의 영향이 없을 때의 계통 전압과 PV만 설치되었을 때의 계통 전압을 더하여 각 모선의 전압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PV의 설치점 및 부하를 개방한 상태에서 변전소(Slack 모선)의 전압원만 활성화하여 무부하 전류를 계산하고 PV의 초기치 전압으로 PV 전류를
계산한다.
(3) 계산된 무부하 전류를 기반으로 PV 및 부하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각 모선의 전압(무부하 전압)을 식(12)와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I_{NL}$은 변전소만 존재할 때의 모선의 무부하 전류 벡터이며, $Y_{bus}$는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 $V_{NL}$은 모선의
무부하 전압의 벡터이다. 변전소 모선을 단락시키고 PV 전류 및 부하에 의한 전압 변화를 식(13)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k$는 조류계산의 반복 횟수이다. $I^{k}$은 계통의 전류 벡터이며 PV의 전류 및 부하 전류 값을 해당 모선 위치에 지정하여 계산한다.
$\triangle V^{k}$은 PV로 인한 전압 변화의 백터를 의미한다. 전류원의 전류를 계산할 때 부하는 유/무효전력 소비량을 계산하여 PQ모델로
처리한다. PV는 출력 전류가 인버터의 최대전류보다 작을 경우 PQ모델, 최대전류보다 클경우 전류원 모델로 처리한다. 이 때 불평형 고장 시에는 PV의
3상 평형제어를 고려하여 출력 전류를 계산한다. 식(14)은 A상에서 1선 지락고장 발생 시 전류의 계산식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I_{PV,\:A}$는 PV의 A상의 출력전류, $V_{PV,\:A}$는 PV 연계점의 A상 전압, $S_{PV,\:A}$는 현재 일사량에
의해 출력되는 PV의 A상의 공급전력을 의미한다. 각상에서의 전력은 전류가 평형하고 전압이 불평형 함에 따라 식(15)와 같이 계산하여 변경한다. B상과 C상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여기서, $S_{PV,\:3\Phi}$는 PV의 3상 전력을 의미한다. 무부하 전압과 PV와 부하의 영향으로 변동된 전압 값을 더하여 모든 모선의
전압을 식(16)과 같이 계산한다.
그림. 4. 제안한 고장해석 흐름도
Fig. 4. Flowchart of proposed fault analysis
여기서, $V^{k+1}$은 모선의 전압의 벡터를 의미한다.
(4) PV 인버터의 최대 출력을 고려하기 위해, 계산 된 연계점의 전압을 바탕으로 PV의 출력 전류를 계산한다. 이 전류가 최대 전류를 초과하는지
검토하여 PV의 전류 크기가 제한 값보다 클 경우에 전류의 크기를 제한한다. 이때의 위상은 인버터의 무효전력 제어 특성을 통해 계산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버터의 무효전력은 제어방식에 따라 예측할 수 있고, PV의 피상전력은 PV 전류의 최댓값에 연계점 전압을 곱한 값과 같으므로, 피상전력과
무효전력으로 유효전력을 계산하여 PV 전력 출력을 앞서 정리한 식(6)과 같이 계산가능하다. 계산 된 출력 전력 및 PV 연계점 모선 전압을 통해 식(17)과 같이 전류의 위상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최대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한 뒤, 다시 조류계산을 반복한다.
(5) 모든 PV가 출력 범위 이내일 경우, 전압의 수렴여부를 판단한다. 이 과정을 전압의 크기 및 위상이 수렴 시까지 반복한다. 조류계산을 통해
전압을 계산한 뒤에는 모선전압과 선로 임피던스를 통해 식(18)과 같이 고장전류를 계산한다.
여기서, $I_{ij}$은 모선 i, j 간의 전류 벡터이며, $V_{i}$는 모선 i의 전압 벡터, $V_{j}$는 모선 j의 전압 벡터, $Z_{ij}$은
모선 간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배전계통에서의 고장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