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Fault analysis, Photovoltaic, Inverter control, PV fault current, 3phase power flow.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발전기(photovoltaic, PV)의 배전계통 연계 용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2018년 처음으로 설치용량 100GW를 돌파하였으며, 2019년도에는 120GW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의 경우, 2019년도에는 2.2GW가 설치될 것으로 전망되며 대부분의 PV가 배전계통에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1).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PV가 증가함에 따라 고장 발생 시 보호기기의 오부동작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2). 따라서 현실적인 보호기기 정정 및 고장구간 판단 등을 위해 PV의 고장시 응답특성을 반영한 고장 해석 기법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고장해석 방식 및 여러 엔지니어링 툴(tool)에서는 배전계통의 분산전원을 임피던스 모델로 취급하여왔다. IEC60909 규격에서는 고장시 동기기 및 비 동기기의 시간별 고장기여 계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시간별 임피던스 변환을 통해 고장해석을 수행한다(3). K. Kauhaniemi등은 분산전원 및 전원을 각각 병렬로 연결된 임피던스로 분석하였으며, 계통의 고장 전류 및 분산전원의 전류 기여를 구하는 방식에 대하여 정리하였다(4). 이 방식들은 인버터 연계형 분산전원의 경우 그 고장시의 최대 기여분을 임피던스로 변환하여 고려하는 방식을 사용하나, PV의 인버터 제어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분산전원을 일정 전류원으로 취급하여 고장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이 임피던스 해석 방식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T. S. Ustun 등은 동기발전기는 거리에 따라 출력이 감소되는 전류원으로, 인버터 연계형 분산전원은 전류제한 특성을 고려하여 정격의 1.5배의 정 전류원으로 모델링하여 고장 전류를 계산하였다(5,6). 이 방식은 고장발생 시 PV 단자전압의 변동에 따른 인버터 출력제어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위상 변동의 영향 또한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조류계산을 통해 인버터의 모선 전압을 계산하고 PV를 동적 전류 모델로 처리한 고장계산 방식들이 제시되었다. Cornelis A. Plet은 인버터의 전류제어 및 전력제어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고장발생시의 변전소를 슬랙 모선으로 부하 및 PV를 PQ 모선으로 처리하여 조류계산을 통해 모선전압을 계산하는 고장해석 방식을 제안하였다(7,8). PV는 전류 크기에 따라 PQ 모선 또는 일정 전류원으로 변동하도록 모델링 하여 전류 제한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 방식의 경우 인버터의 연계점 전압에 따른 제어 특성을 고려하나, 전류제한 상태의 고장전류 위상을 고장전의 지정된 위상으로 고정하도록 모델링된 문제점이 있다. IEEE 1547(9)과 같은 그리드코드(grid code)에서 PV 인버터는 고정 역률, 전압에 따른 무효전력 출력 제어, 고정 무효전력 출력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위의 위상 고정은 맞지 않다. 또한 변압기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압기의 결선 방식에 따른 지락고장전류의 변동에 대해서는 반영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PV 인버터의 고장 시 특성을 고려한 3상 조류계산 기반의 고장해석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일사량에 따른 피상전력, 인버터의 단자 전압 변동 및 상별 유무효전력 출력을 위한 동적 제어방식을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PV의 전류제한 조건에서의 인버터 제어특성을 고려한 최대 전류 위상을 계산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3상 불평형 조류계산 기법인 Implicit Zbus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배전계통의 구성요소인 전원, 선로, 변압기 및 PV 등의 3상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고장 발생 시 인버터의 동적제어에 따른 고장전류 응동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던 기존 임피던스 모델 기반의 고장해석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또한, 기존의 인버터 특성을 고려한 선행연구가 가지던 전류 제한 상황에서의 전류 위상의 고정문제를 인버터의 그리드코드 대응 기능에 따른 무효전력에 의한 전류 위상의 변동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변압기의 결선방식에 따른 고장전류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기존 방식에 비해 좀더 실제에 가까운 고장전류 계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방식은 고장전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위상까지도 기존 방식에 비해 정밀한 계산이 가능하다. 제안한 고장해석 방식의 모델 배전계통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대표적인 순시치 계통해석 툴인 MATLAB Simulink와의 비교를 통해 그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사례연구를 통해 분산전원을 임피던스로 취급하는 방식(4), 분산전원의 동적모델 처리 방식(7)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2. 고장발생시 PV 인버터의 제어 특성

PV의 직교류 전력 변환을 수행하는 인버터는 전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연계점 전압을 계측하여 전류의 크기와 위상 출력을 제어한다(10). 그러므로 PV의 정확한 고장기여 해석을 위해서는, 고장 시 전압강하에 따른 전류 및 전력 동적 제어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2.1 PV 특성을 고려한 기존 고장해석 방법

PV를 임피던스 모델로 처리하는 방식의 경우 그 임피던스는 PV의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인버터의 전류제한 특성은 임피던스를 고장기여율로 나누는 것으로 처리한다. PV 임피던스의 계산 방식을 식(1)에 정리하였다.

(1)
$Z_{DG}=Z_{PV}\times\dfrac{S_{ref}}{\beta\times S_{DG}}[PU]$

여기서 $Z_{DG}$는 PV의 임피던스, $Z_{PV}$는 자기용량 기준의 $1 PU$ 임피던스, $S_{ref}$는 계통의 기준용량, $S_{DG}$는 PV의 정격 용량, $\beta$는 고장기여율(정격전류의 1.2~2배)을 의미한다(6). 고장기여율은 인버터의 과열로 인한 손상을 막기 위해 2배 이하로 설정되며, 인버터의 제조사에 따라 달라진다.

선행논문 (7)에서는 인버터의 전류제한 특성을 고려하여 PV를 일정 전류 이하에서는 일정 전력원, 일정 전류 이상에서는 크기와 위상이 고정된 전류원으로 취급하여 PV의 특성을 식(2)와 같이 고려하였다.

(2)
$I_{PV}[A]=\begin{cases} \dfrac{S_{PV}}{V_{PV}}&\dfrac{S_{PV}}{V_{PV}}<I_{PV,\:\max}\\ I_{PV,\:ref}&\dfrac{S_{PV}}{V_{PV}}\ge I_{PV,\:\max} \end{cases}$

여기서, $I_{PV}$는 PV의 상별 출력전류, $V_{PV}$는 PV 연계점 상별 전압, $S_{PV}$는 현재 일사량에 의해 출력되는 PV의 상별 공급전력을 의미한다. $I_{PV,\:\max}$는 인버터의 최대 전류이며 고장기여율에 따라 정격전류의 1.2~2배정도의 크기를 지닌다. $I_{PV,\:ref}$는 사전에 결정한 전류의 크기와 위상이다. 이 방법의 경우 PV 인버터의 전류가 제한 값으로 출력될 때, 위상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2.2 PV 인버터의 전류 제어 특성

PV의 전류는 연계점의 전압 계측치를 통하여 제어한다. PV의 인버터는 일반적으로 3상의 전류를 평형상태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인버터는 고장 시 전류의 증가로 발생하는 과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류를 제어한다. 일정 전류 크기 이하에서는 전력 제어 루프를 통하여 전류를 제어하고, 전류 제한을 넘어갈 시 일정크기의 전류소스로 작동하도록 변경된다. 즉 PV는 일정 전류 값 이하에서는 제어하는 전력 출력 및 연계점의 전압에 따라서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여 제어하고, 그 이상의 전류에서는 일정 전류 크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그리드코드(일정 무효전력, 일정 역률제어 또는 전압 유지를 위한 무효전력 변동출력)를 만족하는 인버터의 운전이 이루어질 때는 전류 크기의 제한뿐만 아니라 전류의 위상이 함께 변동되어 제어된다. 고장시 PV 출력에 따른 인버터의 전류 제어 특성을 식(3)에 나타내었다.

(3)
$I_{PV}=\begin{cases} \dfrac{S_{PV}}{V_{PV}}&\dfrac{S_{PV}}{V_{PV}}<I_{PV,\:\max}\\ I_{PV,\:\max}&\dfrac{S_{PV}}{V_{PV}}\ge I_{PV,\:\max} \end{cases}[A]$

PV의 전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3상이 평형하게 유지되므로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각 상의 출력 전력은 식(4)와 같이 정해진다.

(4)
\begin{align*} S_{PV,\:A}=V_{PV,\:A}I_{PV,\:A}^{*}\\ S_{PV,\:B}=V_{PV,\:B}(\alpha^{2}I_{PV,\:A})^{*}\\ S_{PV,\:C}=V_{PV,\:C}(\alpha I_{PV,\:A})^{*} \end{align*}

여기서, $S_{PV,\:A}$는 PV의 A상 출력전력을 의미하며, $\alpha$는 $1\angle 120^{\circ}$의 페이져 값으로 평형시 위상차를 나타낸다. 각 상의 전력의 합은 항상 3상 전력으로 일정하며 전력은 각상의 전압과 평형전류의 곱으로 정리된다. 즉 각 상의 전력은 전압에 따라 결정되며 식(5)와 같이 전력비가 정리 될 수 있다.

(5)
$S_{PV,\:A}:S_{PV,\:B}:S_{PV,\:C}=V_{PV,\:A}:\alpha V_{PV,\:B}:\alpha^{2}V_{PV,\:C}$

고장 시 PV의 각 상의 전압 값을 알고 있다면, 각 상의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드코드에 따른 인버터의 무효전력 출력은 제어방식과 계통의 상황에 따라 가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정무효전력 제어의 경우 무효전력은 지정 값이며, 고정역률제어의 경우 유무효전력의 비율을 고정한 것이므로 피상전력 값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또한, 전압에 따른 무효전력 출력 제어의 경우도, IEEE 1547 등의 전압-무효전력 간 관계식과 고장시의 인버터 단자전압에 의해 그 발생(+$Q_{PV}$) 또는 소비(-$Q_{PV}$)를 가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무효전력이 인버터의 제어방식과 계통의 상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고 가정하고, 피상전력과 무효전력의 값을 통해 유효전력을 식(6)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6)
$\left | S_{PV}\right | =\left | I_{PV,\:\max}\right |\left | V_{PV}\right |[VA],\: P_{PV}=\sqrt{S_{PV}^{2}-Q_{PV}^{2}}[W]$

여기서, $Q_{PV}$는 태양광의 상별 무효전력을 의미한다.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값을 인버터 연계점 전압으로 나눠 줌으로서 PV 출력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PV의 출력전류가 제한 값 이상일 때 위상이 고정되는 선행논문 (7)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3. PV 인버터의 특성을 고려한 고장해석 방안

기존의 임피던스 방식의 고장해석은 고장전 부하 및 분산전원의 전류의 영향을 무시하고 계산을 수행하므로, 각 모선 고장직전 전압을 가정($1 PU$)하고 태브닌 등가 임피던스를 통해 전류를 계산 후 모선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PV의 고장전류 기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버터의 연계점 전압과 제어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전압이 우선 계산되고 이를 이용하여 전류 기여를 계산해야 하므로 기존의 고장계산 방식으로는 해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부하 전류 및 PV의 전류 값을 바탕으로 조류계산을 반복 수행하여 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였다. 불평형 고장 시 회로의 토폴로지는 각 상마다 달라지므로 기존의 3상 일괄 조류계산으로는 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평형 3상 조류계산 방식을 적용하였다.

3.1 PV 특성을 고려한 기존 고장해석 방법

앞서 언급한 3상 조류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배전계통을 각 상별 계통 어드미턴스 행렬을 계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임피던스 데이터를 선로의 직경, 각 상 선로간 거리, 선로와 대지사이의 거리의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Modified Carson 수식(11)을 통해 계산한다. 국내의 배전선로는 3상 4선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임피던스 데이터는 A, B, C, N 상의 데이터인 $4\times 4$행렬로 계산된다. 계산된 데이터를 Kron reduction(12)을 통해 중성선의 영향을 고려한 $3\times 3$ 행렬로 축소시켜 식(7)과 같이 정리한다.

(7)
\begin{align*} Z_{abc}=\left[\begin{aligned}\begin{aligned}Z_{aa}\\ Z_{ba}\end{aligned}\\Z_{ca}\end{aligned}\begin{aligned}\begin{aligned}Z_{ab}\\ Z_{bb}\end{aligned}\\Z_{cb}\end{aligned}\begin{aligned}\begin{aligned}Z_{ac}\\ Z_{bc}\end{aligned}\\Z_{cc}\end{aligned}\right] \end{align*}

여기서, $Z_{abc}$는 3상 4선식 선로의 임피던스 행렬을 의미한다.

3.2 변압기 모델링

PV의 변압기는 결선 방식에 따라 1선 지락사고시의 고장전류의 경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고장 시 고장전류의 증감을 발생시킨다(2). 그러므로 고장 시 변압기 결선에 따른 영상경로를 반영하여야 한다. 단 조류계산이 3상 결선 방식이기 때문에 변압기 또한 3상 모델링을 하여 어드미턴스 행렬로 정리하였다(13). 3상 선로의 변압기에 대해 1차측과 2차측에 대하여 전압전류 관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8)
\begin{align*} \left[\begin{aligned}I_{P}\\I_{S}\end{aligned}\right]=\begin{bmatrix}Y_{PP}&Y_{PS}\\Y_{SP}&Y_{SS}\end{bmatrix}\left[\begin{aligned}V_{P}\\V_{S}\end{aligned}\right] \end{align*}

여기서 $V_{P}$, $I_{P}$는 1차측 전압, 전류,$V_{S}$, $I_{S}$는 2차측 전압, 전류를 의미한다. $Y_{PP}$는 1차측의 자기 어드미턴스, $V_{SS}$는 2차측의 자기어드미턴스 $Y_{PS}$, $Y_{SP}$는 각각 1차측에서 2차측을 바라본 상호 어드미턴스 값과 2차측에서 1차측을 바라본 상호 어드미턴스 값을 의미한다. 전압 및 전류는 $3\times 1$ 백터이며 어드미턴스는 $3\times 3$ 행렬 값이다. 국내 PV 변압기는 1차 측이 접지되어 $Y_{g}-Y_{g}$결선 혹은 $\triangle -Y_{g}$결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결선 방식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Y_{g}-Y_{g}$의 어드미턴스 값은 다음과 같다.

(9)
$Y_{PP}=Y_{SS}=-Y_{PS}=-Y_{SP}=\begin{bmatrix}y_{t}&0&0\\0&y_{t}&0\\0&0&y_{t}\end{bmatrix}$

여기서 $y_{t}$는 변압기의 어드미턴스 값을 의미한다. $\triangle -Y_{g}$의 어드미턴스 값은 다음과 같다.

(10)
\begin{align*} Y_{PP}=\dfrac{1}{3}\begin{bmatrix}2y_{t}&-y_{t}&-y_{t}\\-y_{t}&2y_{t}&-y_{t}\\-y_{t}&-y_{t}&2y_{t}\end{bmatrix},\: Y_{SS}=\begin{bmatrix}y_{t}&0&0\\0&y_{t}&0\\0&0&y_{t}\end{bmatrix}\\ Y_{PS}=Y_{SP}^{T}=\dfrac{1}{\sqrt{3}}\begin{bmatrix}-y_{t}&y_{t}&0\\0&-y_{t}&y_{t}\\y_{t}&0&-y_{t}\end{bmatrix} \end{align*}

3.3 고장 발생 지점 모델링

계통의 고장해석을 위하여 특정 모선을 고장 발생 지점으로 지정하고 고장점의 토폴로지는 고장 상이 대지와 접지된 것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상과 단락된 것으로 식(11)과 같이 처리한다.

(11)
$Z_{f_{1\phi}}=\begin{bmatrix}Z_{f}&0&0\\0&\infty &0\\0&0&\infty\end{bmatrix},\:Z_{f_{3\phi}}=\begin{bmatrix}Z_{f}&0&0\\0&Z_{f}&0\\0&0&Z_{f}\end{bmatrix},\:Z_{f_{AB}}=\begin{bmatrix}Z_{f}&0&\infty \\0&Z_{f}&\infty \\\infty &\infty &\infty\end{bmatrix}$

여기서, $Z_{f}$는 고장점 저항, $Z_{f_{1\phi}}$는 1선 지락고장, $Z_{f_{3\phi}}$는 3상 단락고장, $Z_{f_{AB}}$는 A상과 B상과의 선간 단락고장을 의미한다.

3.4 고장 발생시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

다음 예시를 통해 고장 시 3상 선로의 어드미턴스를 계산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림 1에 선로의 전원 및 변압기와 분산전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간단한 계통을 도시하였다.

그림. 1. 3모선 예시 배전계통 단선도

Fig. 1. One-line diagram of 3 buses example network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fig1.png

2번 모선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고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구하기 위해 각 요소의 임피던스 행렬의 역행렬을 취하여 어드미턴스로 변경한 것을 그림 2에 도시하였다.

그림. 2. 예시 배전계통의 어드미턴스 구성

Fig. 2. Admittance configuration of example network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fig2.png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은 개별 선로의 노드 방정식을 적용하여 정리한다. 해당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노드 사이에 있는 어드미턴스 값을 더한 값을 대각성분으로 하고 자기 어드미턴스로 정의하며, 다른 노드 사이에 있는 어드미턴스 각각을 음수로 처리하여 비대각성분으로 하고 상호 어드미턴스로 정의한다. 단 계통이 3상 모델이므로 선로의 어드미턴스 요소가 $3\times 3$ 행렬이며, 그에 따라 행렬의 행과 열의 크기는 노드 수의 3배이다. 그림 3에 예시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의 요소의 분포를 표시하였다.

그림. 3. 예시 배전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 구조

Fig. 3. Admittance matrix of example distribution network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fig3.png

3.5 고장 계산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의 고장해석 방식은 앞서 정리한 인버터의 특성 및 고장시 계통 구성 요소(선로, 변압기, 부하)의 모델을 기반으로 생성한 어드미턴스 행렬을 3상 조류계산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초기치 전압에 대한 반복해의 수렴방식은 Implicit Zbus 방법을 사용하였다(14). 본 논문에서 수행되는 PV 인버터 제어 특성을 고려한 고장해석 알고리즘을 그림 4에 도시하였다. 그림 4의 고장해석 단계를 요약하면,

(1) 고장계산을 위해 고장발생 모선, 고장종류(1선지락, 3선지락, 선간단락 등) 및 고장점 임피던스를 지정하여 대상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대상 계통을 Slack(변전소), PQ(부하, PV), PV(동기기) 모선 등으로 구분하고 모선 전압과 부하 조건 등의 초기치와 PV의 인버터의 무효전력 제어방식, 현재 일사량 및 변압기 결선 등의 특성을 입력하여 PV 모델로 처리한다. 가정된 고장상황을 바탕으로 배전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한다.

(2)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여 PV의 영향이 없을 때의 계통 전압과 PV만 설치되었을 때의 계통 전압을 더하여 각 모선의 전압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PV의 설치점 및 부하를 개방한 상태에서 변전소(Slack 모선)의 전압원만 활성화하여 무부하 전류를 계산하고 PV의 초기치 전압으로 PV 전류를 계산한다.

(3) 계산된 무부하 전류를 기반으로 PV 및 부하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각 모선의 전압(무부하 전압)을 식(12)와 같이 계산한다.

(12)
$V_{NL}=Y_{bus}^{-1}I_{NL}[V]$

여기서, $I_{NL}$은 변전소만 존재할 때의 모선의 무부하 전류 벡터이며, $Y_{bus}$는 계통의 어드미턴스 행렬, $V_{NL}$은 모선의 무부하 전압의 벡터이다. 변전소 모선을 단락시키고 PV 전류 및 부하에 의한 전압 변화를 식(13)과 같이 계산한다.

(13)
$\triangle V^{k}=Y_{bus}^{-1}I^{k}[V]$

여기서, $k$는 조류계산의 반복 횟수이다. $I^{k}$은 계통의 전류 벡터이며 PV의 전류 및 부하 전류 값을 해당 모선 위치에 지정하여 계산한다. $\triangle V^{k}$은 PV로 인한 전압 변화의 백터를 의미한다. 전류원의 전류를 계산할 때 부하는 유/무효전력 소비량을 계산하여 PQ모델로 처리한다. PV는 출력 전류가 인버터의 최대전류보다 작을 경우 PQ모델, 최대전류보다 클경우 전류원 모델로 처리한다. 이 때 불평형 고장 시에는 PV의 3상 평형제어를 고려하여 출력 전류를 계산한다. 식(14)은 A상에서 1선 지락고장 발생 시 전류의 계산식을 나타내었다.

(14)
$I_{PV,\:A}=(\dfrac{S_{PV,\:A}}{V_{PV,\:A}})^{*},\: I_{PV,\:B}=\alpha^{2}I_{PV,\:A},\: I_{PV,\:C}=\alpha I_{PV,\:A}$

여기서, $I_{PV,\:A}$는 PV의 A상의 출력전류, $V_{PV,\:A}$는 PV 연계점의 A상 전압, $S_{PV,\:A}$는 현재 일사량에 의해 출력되는 PV의 A상의 공급전력을 의미한다. 각상에서의 전력은 전류가 평형하고 전압이 불평형 함에 따라 식(15)와 같이 계산하여 변경한다. B상과 C상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15)
$S_{PV,\:A}=S_{PV,\:3\phi}\times\dfrac{V_{PV,\:A}}{V_{PV,\:A}+\alpha V_{PV,\:B}+\alpha^{2}V_{PV,\:C}}[VA]$

여기서, $S_{PV,\:3\Phi}$는 PV의 3상 전력을 의미한다. 무부하 전압과 PV와 부하의 영향으로 변동된 전압 값을 더하여 모든 모선의 전압을 식(16)과 같이 계산한다.

그림. 4. 제안한 고장해석 흐름도

Fig. 4. Flowchart of proposed fault analysis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fig4.png

(16)
$V^{k+1}=V_{NL}+\triangle V^{k}$

여기서, $V^{k+1}$은 모선의 전압의 벡터를 의미한다.

(4) PV 인버터의 최대 출력을 고려하기 위해, 계산 된 연계점의 전압을 바탕으로 PV의 출력 전류를 계산한다. 이 전류가 최대 전류를 초과하는지 검토하여 PV의 전류 크기가 제한 값보다 클 경우에 전류의 크기를 제한한다. 이때의 위상은 인버터의 무효전력 제어 특성을 통해 계산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버터의 무효전력은 제어방식에 따라 예측할 수 있고, PV의 피상전력은 PV 전류의 최댓값에 연계점 전압을 곱한 값과 같으므로, 피상전력과 무효전력으로 유효전력을 계산하여 PV 전력 출력을 앞서 정리한 식(6)과 같이 계산가능하다. 계산 된 출력 전력 및 PV 연계점 모선 전압을 통해 식(17)과 같이 전류의 위상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17)
$I_{PV}=(S_{PV}/V_{PV})^{*}=((P_{PV}+j Q_{PV})/V_{PV})^{*}[A]$

최대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한 뒤, 다시 조류계산을 반복한다.

(5) 모든 PV가 출력 범위 이내일 경우, 전압의 수렴여부를 판단한다. 이 과정을 전압의 크기 및 위상이 수렴 시까지 반복한다. 조류계산을 통해 전압을 계산한 뒤에는 모선전압과 선로 임피던스를 통해 식(18)과 같이 고장전류를 계산한다.

(18)
$I_{ij}=\dfrac{(V_{j}-V_{i})}{Z_{ij}}[A]$

여기서, $I_{ij}$은 모선 i, j 간의 전류 벡터이며, $V_{i}$는 모선 i의 전압 벡터, $V_{j}$는 모선 j의 전압 벡터, $Z_{ij}$은 모선 간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배전계통에서의 고장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4. 사례연구

본 논문의 고장해석 방식의 정확도 및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그림 5와 같은 시험계통에 대해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 계통의 메인피더 긍장은 20km이며 이는 PV의 대용량 설치지역의 경우 다량의 설치면적이 필요하므로 선로가 장거리 선로라고 가정하여 설정하였다(15). 선로 데이터는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전력공사의 배전선로데이터(16)를 참조하여 ACSR $160/95 mm^{2}$선로의 임피던스를 Modified Carson 수식을 통해 A, B, C, N 상의 데이터인 $4\times 4$행렬로 계산하고 Kron reduction을 통해 중성선의 영향을 고려한 $3\times 3$ 행렬로

계산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그림 5의 시험계통에서, PV는 계통의 상단, 중단, 하단에 1대씩 총 3대를 설치하였으며 PV#1은 3.33MVA (3.23MW, 0.66MVAr),

그림. 5. 사례연구를 위한 시험 배전계통

Fig. 5. Test distribution network for case studies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fig5.png

표 1. 배전계통의 선로 데이터

Table 1. Line data of distribution network

From

To

종류

임피던스

1

2

주변압기 (MTr)

30%(100MVA기준)

2

3

계전기(R/y)

0

3

4

선로 1 (L1)

ACSR $160/95 mm^{2}\times$3km

4

5

선로 2 (L2)

ACSR $160/95 mm^{2}\times$5.5km

5

6

PV 변압기 1 (Tr#1)

6%(변압기정격기준)

4

7

선로 3 (L1)

ACSR $160/95 mm^{2}\times$3km

7

8

리클로져 #1

0

8

9

선로 4 (L1)

ACSR $160/95 mm^{2}\times$0.5km

9

11

선로 5 (L1)

ACSR $160/95 mm^{2}\times$3km

11

12

PV 변압기 2 (Tr#2)

6%(변압기정격기준)

9

13

선로 6 (L6)

ACSR $160/95 mm^{2}\times$2km

13

14

리클로져 #2

0

14

15

선로 7 (L7)

ACSR $160/95 mm^{2}\times$2km

15

16

선로 8 (L8)

ACSR $160/95 mm^{2}\times$6.5km

16

17

PV 변압기 3 (Tr#3)

6%(변압기정격기준)

15

18

선로 9 (L9)

ACSR $160/95 mm^{2}\times$3km

18

19

리클로져 #3

0

19

20

선로 10 (L10)

ACSR $160/95 mm^{2}\times$3km

표 2. ACSR $160/95 mm^{2}$선로의 상별 임피던스 데이터

Table 2. Impedance of ACSR $160/95 mm^{2}$ for each phase

저항

$R_{L}=\begin{bmatrix}0.2737& 0.0914& 0.0914\\0.0914& 0.2737& 0.0914\\0.0914& 0.0914& 0.2737\end{bmatrix}\Omega /km$

인덕턴스

$L_{L}=\begin{bmatrix}1.7617& 0.7077& 0.7077\\0.7077& 1.7617& 0.7077\\0.7077& 0.7077& 1.7617\end{bmatrix}m H/km$

커패시턴스

$C_{L}=\begin{bmatrix}9.264& -2.160& -2.160\\-2.160& 9.264& -2.160\\-2.160& -2.160& 9.264\end{bmatrix}\mu F/km$

PV#2는 3.33MVA (3MW, 1.47MVAr), PV#3는 3.33MVA (3.33MW, 0MVAr)의 용량으로, 분산전원에 연계된 변압기는 3.33MVA 용량에 6%(변압기 용량 기준)의 임피던스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인버터의 전류제한은 정격의 1.5배로 설정하였고, 고장 시 무효전력 고정 제어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전류 제한 시에도 일정량의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부하의 경우 고장시 영향이 적으므로 반영하지 않았다.

본 논문의 제안 방식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전력계통의 순시치 시뮬레이션 툴로 널리 사용되는 MATLAB Simulink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분산전원의 임피던스 모델 방식(4) 및 동적모델 처리 방식(7)과 제안방식을 비교하였다. 각 방식의 비교를 위한 오차는 식(19)와 같이 계산하였다.

(19)
$오차=\dfrac{시뮬레이션 결과-고장계산결과}{시뮬레이션 결과}\times 100(\%)$

여기서, 시뮬레이션 결과는 Simulink의 모의 결과이며, 고장계산결과는 제안방식 및 비교 대상인 2개 방식의 결과이다.

4.1 고장전류 계산 방식 비교

고장지점은 각 보호기기 설치점(리클로져 #1, #2, #3)으로 설정하였으며, 3상 단락을 모의하였다. 표 3에 선행논문(4,7)의 고장해석 방식과 제안방식을 비교하였다. MATLAB Simulink의 모의결과를 비교 대상으로 하고, 각 방식으로 고장계산을 하여, 모의결과와의 전류 편차 및 오차를 분석하였다.

표 3. 고장해석 방식별 계산결과 비교

Table 3. Comparison with each fault analysis method

오차

임피던스 모델(4)

동적모델(7)

제안방식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전류(A)

40

81

12

38

7.58

18

전류(%)

10.03

69.96

0.85

1.84

0.62

1.80

사례연구의 비교결과를 통해 선행연구들의 방식에 비해 제안 방식의 고장전류 계산의 오차가 작음을 확인하였다 임피던스 모델(4)는 전류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PV에서 출력되는 전류 편차 및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 동적모델(7)의 방식은 오차가 비교적 작았으나 제안한 방식에 비해서는 크게 발생하였다. 동적모델(7)과 제안한 방식의 전류위상계산의 정밀도를 비교하기 위해 그림 6에 각 방식과 MATLAB Simulink의 모의결과를 도시하였다. 각 PV의 위상은 가장 가까운 보호기기 위치에 3상 단락고장을 가정하여 PV의 전류가 제한 값으로 제어 될 때로 고려하였다. 고장전류 크기는 3.3MVA의 최대 전류인 126A정도로 각 방식의 결과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고장전류 위상은 PV #1에서는 제안 방식은 0.2°, 동적모델(7)의 경우 11.2°의 차이를 보이고 PV #2에서는 제안방식은 1.4°, 동적모델(7)은 44.2°의 차이를 보이며 PV #2에서는 제안방식은 4.2° 선행연구(7)은 5.2°로 유사한 오차를 보인다. 이와 같이 위상 측정 또한 제안 방식이 동적모델(7)에 비해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PV 고장전류 계산 값은 보호기기 정정 분야뿐만이 아니라 고장지점의 측정 등의 경우에 사용되며, 위상의 오차에 따라 고장 지점의 측정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상 계산이 중요하다.

그림. 6. 고장해석 방식 별 전류 위상 각

Fig. 6. Comparison with current phase angle for proposed and conventional method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fig6.png

4.2 제안 방식의 고장전류 분석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고장해석 방식을 다양한 고장상황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1선 지락, 3상 단락, 선간단락(A-B)에 상황에서, 제안방식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고장계산 한 결과와 MATLAB Simulink의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고장저항은 0$\Omega$, 15$\Omega$으로 설정하여 모의하였고 고장지점은 각 보호기기 설치점(리클로져 1, 2, 3)으로 설정하였다. 고장 중 불평형 및 지락 고장을 분석하기 위해 표 4에 1선 지락 고장 시 전류양태를 정리하였다. 고장전류는 배전계통의 보호기기 설치점 및 PV의 연계점에 흐르는 전류로 정리 하였다. 보호기기 설치점은 과전류계전기(R/y) 및 리클로져 #1, #2, #3(RC1 , RC2, RC3)으로 지정하였다.

1선 지락고장 모의 시 고장저항이 0$\Omega$일 때는 평균오차 0.22%, 최대 오차 0.46%, 15$\Omega$일 때는 평균오차 0.64%, 최대 오차1.09%로 고장전류의 계산결과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표 5에는 다양한 고장상황에에 대한 모의결과를 종합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표본의 값이 작기 때문에 커지는 오차를 제외하면 1~2%정도의 상당히 정밀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시뮬레이션 결과 (1선 지락고장)

Table 4. Simulation results (single line to ground fault)

사고

지점

보호

기기

제안방식의

계산값(A)

Simulink

모의 값(A)

크기 편차

오차(%)

0$\Omega$

15$\Omega$

0$\Omega$

15$\Omega$

0$\Omega$

15$\Omega$

0$\Omega$

15$\Omega$

RC1

R/y

1401

359

1397

357

4.0

1.9

0.29

0.53

RC1

1854

475

1849

473

5.0

1.9

0.27

0.40

PV1

453

116

452

116

0.8

0.0

0.18

0.00

RC2

R/y

504

184

503

182

1.1

1.7

0.22

0.93

RC1

667

243

666

241

1.0

2.0

0.15

0.83

RC2

1429

521

1428

518

1.0

2.7

0.07

0.52

PV1

163

59

163

59

0.0

0.4

0.00

0.68

PV2

766

279

767

278

0.7

1.2

0.09

0.43

RC3

R/y

304

144

303

143

1.4

1.0

0.46

0.70

RC1

403

191

401

189

1.8

1.6

0.45

0.85

RC2

863

408

861

405

2.0

3.3

0.23

0.81

RC3

1437

680

1434

675

3.0

4.9

0.21

0.73

PV1

98

47

98

46

0.4

0.5

0.41

1.09

PV2

463

219

462

218

0.7

0.9

0.15

0.41

PV3

574

272

574

270

0.4

1.8

0.07

0.67

표 5. 제안 방식의 오차[%]

Table 5. Error[%] of the proposed method

고장점

임피던스

1선지락

3상단락

선간단락

평균

평균

평균

0$\Omega$

0.22

0.62

1.40

15$\Omega$

0.64

1.43

2.12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배전계통에서의 PV 인버터 제어 특성을 고려한 3상 불평형 조류계산 기반의 고장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PV 인버터의 동적 제어 특성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 및 전력의 출력을 정리하였으며, 전류가 제한되는 상황에서의 유/무효 출력 전력을 계산하여 위상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장발생 시 PV 연계점 전압을 기준으로 PV 출력 전류를 계산하기 위하여 조류계산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불평형 고장시의 3상 선로의 토폴로지를 고려하기 위해 배전계통 구성요소 들의 3상 모델링을 통한 고장계산을 수행하였다. 제안 방식을 MATLAB 시뮬레이션과 비교한 결과 고장시의 인버터의 유무효전력 제어특성을 고려하여 정밀한 고장계산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방식이 인버터의 전류 및 전력 제어 특성, 다양한 고장상황, PV의 유/무효전력 출력, 변압기 결선방식 등의 고장전류의 값의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변동 시에도 오차가 작은 계산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고장전류 계산 방식은 최근의 능동적 배전운영을 위한 비상시 상태추정, 실시간 변동성을 고려한 고장해석, 적응형 보호 및 고장위치 추정 등의 고장전류 계산 값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들의 고장해석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방식의 효율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1938 1010001B)

References

1 
J.-H. Kang, Feb 2019, 2018 Q4 photovoltaic industry trends,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pp. 1-4Google Search
2 
B. J. Brearley, R. R. Prabu, Jan 2017, A review on issues and approaches for microgrid protection, Renewable and Sus- tainable Energy Reviews, Vol. 67, No. , pp. 988-997DOI
3 
IEC 60909-0, Jan. 2016, Short-circuit currents in three phase a.c. systems. Part 0: calculation of short circuit currents, IECGoogle Search
4 
K. Kauhaniemi, L Kumpulainen, Apr 2004,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 on the protec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in Proc. of 8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velopments in Power System Protection (Amsterdam), pp. 315-318Google Search
5 
T. S. Ustun, May 2013, Fault current coefficient and time delay assignment for microgrid protection system with central protection unit, IEEE Trans. on PWRS, Vol. 28, No. 2, pp. 598-606DOI
6 
T. S. Ustun, Sep 2013, Design and Development of a Com- munication Assisted Microgrid Protection System, Ph.D. Thesis, Victoria University (Melbourne), pp. 110-130Google Search
7 
C. A. Plet, Jul 2010, Fault response of grid connected inverter dominated networks, IEEE PES GM (Minneapolis), pp. 1-8DOI
8 
C. A. Plet, T. C. Green, Jan 2014, Fault response of inverter interfaced distributed generators in grid-connected applications, EPSR, Vol. 106, pp. 21-28DOI
9 
IEEE Std., Apr 2018, 1547, IEEE standard for interconnection and interoperability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with associated electric power systems interfaces, IEEEDOI
10 
C. A. Plet, Jul 2011, Fault models of inverter interfaced distributed generators: Experimental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to fault analysis, IEEE PES GM (Detroit), pp. 1-8DOI
11 
W. H. Kersting, 2007, Distribution System Modeling and Analysis (2nd Ed.), CRC press, pp. 83-89Google Search
12 
H. Saadat, 2002, Power System Analysis, McGraw Hill, pp. 513-514Google Search
13 
P. Xiao, D. C. Yu, W. Yan, Feb 2006, A unified three phase transformer model for distribution load flow calculations, IEEE Trans. on PWRS, Vol. 21, No. 1, pp. 153-159DOI
14 
T. H. Chen, Jul 1991, Distribution system power flow analysis a rigid approach, IEEE Trans. on PWRD, Vol. 6, No. 3, pp. 1146-1152DOI
15 
J.-H. Choi, Dec 2017, Mid-to-long term operation plan of distribution control center according to expansion of distribution system intelligent equipment (Fianl Report), KEPCO, pp. 14-38Google Search
16 
Oct 2008, Dept. of distribution planning, Guidelines for distribution network protection, KEPCO, pp. 355-378Google Search

저자소개

심기도 (Gi-Do Sim)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au1.png

2018년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현재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E-mail : rleh92@naver.com

안선주 (Seon-Ju Ahn)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au2.png

2002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04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0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 부교수.

E-mail : sjahn@jnu.ac.kr

최준호 (Joon-Ho Choi)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au3.png

1996년 숭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0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 joono@chonnam.ac.kr

홍지송 (Ji-Song Hong)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au4.png

2015년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2018년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E-mail : lklklkqaz@naver.com

조하현 (Ha-Hyun Jo)
../../Resources/kiee/KIEE.2019.68.12.1534/au5.png

2002년 숭실대학교 대학원 졸업(박사).

2009년 LS산전 전력연구소 책임연구원.

2016년 한전 전력연구원 책임연구원.

현재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 부교수.

E-mail : drk9034@j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