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Full compensation, Isolation transformer, Two-phase resonant converter, Wireless charging system

1. 서 론

공진형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고자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고 스위칭 손실이 적은 SiC (Silicon Carbide) 또는 GaN (Gallium Nitride) FET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손실 절감을 위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1-3). 출력으로 직류가 필요한 경우에 컨버터를 2 상으로 운전하면 리플을 극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어떤 경우는 2 상 또는 3상이 있어야만 되는 경우도 있다(4-6). 본 논문에서는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응용하고자(7-12) 2상 컨버터를 연구하였다.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20 kWh급에서 100 kWh급까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배터리에 따라 충전 전력 레벨도 다양하게 준비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상 방식을 사용하면 동일한 출력을 가지는 충전기로 자동차의 다양한 전력 레벨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1 kW급 충전기 두 대를 2 상 운전하여 11 kW~ 22kW급으로 충전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고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여 이론의 타당함을 보였다. 이 2상 컨버터는 오정렬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회전자속이나 이동자속에 의한 충전 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고(4-6) 용접기나 도금기 같은 부하에 응용하여 응답속도를 높이거나 출력 리플을 줄일 수 있다.

2. 본 론

2.1 완전 보상된 절연 변압기를 포함한 공진형 컨버터

공진형 컨버터는 많은 경우 절연 변압기를 포함한다. 보통의 경우는 변압기의 누설인덕턴스를 공진에 사용하나 본 연구에서는 자기 인덕턴스 전체를 공진에 사용한다. 누설인덕턴스나 자기 인덕턴스를 이용하는 경우 공진 회로를 구성한 후 입출력 관계식이 달라지는데 자기 인덕턴스 전체를 공진에 이용하면 2 상 운전에 매우 적합한 특성이 나타난다. 절연 변압기 2차 전류는 인버터 출력 전압에 비례하여 흐르게 되므로 인버터 출력 전압의 크기와 위상에 따라 절연 변압기 2차 전류의 크기와 위상이 결정된다.

그림 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 조가 사용되고 급전 코일(feeder coil)은 다음 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코일이 조합되어 사용된다. 그림 1에서 인버터부터 급전 코일 전단까지의 회로는 식 (1)과 같이 주어진다. 이 회로의 중심에는 절연변압기가 있으며 절연변압기는 2-인덕터 모델로 표현되었다. 절연변압기의 자기 인덕턴스는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 것으로 전력 전달을 방해한다.

(1a)
$$ v_{1}=\frac{1}{C_{r 1}} \int i_{1} d t+L_{1} \frac{d i_{1}}{d t}-M_{T} \frac{d i_{2}}{d t} $$

(1b)
$$ v_{2}=M_{T} \frac{d i_{1}}{d t}-L_{2} \frac{d i_{2}}{d t}-\frac{1}{C_{r 2}} \int i_{2} d t $$

그림. 1. 무선충전 시스템

Fig. 1. Wireless charg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1.png

여기서 $L_{1}$, $L_{2}$와 $M_{T}$는 각기 절연변압기의 1, 2차 자기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이며 $C_{r1}$, $C_{r2}$는 변압기 1, 2차에 설치된 공진용 커패시터다. 정현파 동작을 가정하면 식 (1a) 우변의 첫 두 항은 상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식 (1b) 우변의 마지막 두 항도 상쇄될 수 있다. 상쇄되는 조건은 식 (2)와 같고 자연스레 회로는 완전공진형이 된다.

(2a)
$$ \frac{1}{\omega C_{r 1}}=\omega L_{1} $$

(2b)
$$ \frac{1}{\omega C_{r 2}}=\omega L_{2} $$

전류를 억제하는 자기 인덕턴스 성분이 커패시터에 의해 보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C_{r1}$, $C_{r2}$는 보상 커패시터로도 불린다. 보상 후 전압-전류 관계는 페이저로 식 (3)과 같이 표현된다.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한 절연 변압기 1차, 2차 측의 회로는 그림 2와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3)
$$ \mathbf{V}_{1}=-j \omega M_{\mathrm{T}} \mathbf{I}_{2}, \quad \mathbf{V}_{2}=j \omega M_{\mathrm{T}} \mathbf{I}_{1} $$

그림. 2. 완전보상 후의 절연변압기의 등가회로

Fig. 2. Equivalent circuit after full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2.png

즉 인버터 출력 전압 $V_{1}$과 절연변압기 2차 전류는 비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급전 전류인 변압기 2차 전류의 크기와 위상은 인버터에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은 자기 인덕턴스를 완전 보상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인버터 출력 전류는 2차 회로의 전압에 비례하는데 2차 회로에 나타나는 전압 $V_{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ickup 전류에 의해 유기된다.

그림. 3. 급전 인버터와 그 출력파형

Fig. 3. Inverter and its output waveforms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3.png

인버터는 그림 3(a)와 같은 구성을 하고 준구형파 모드로 동작하여 출력 파형은 그림 3(b)와 같다. 회로는 이 전압의 기본파에 공진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정현파에 매우 가깝고 전류는 준 구형파 전압에 포함된 기본파 성분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볼 수 있다. 준구형파에 포함된 기본파 성분의 실효값은 식 (4)와 같이 주어진다.

(4)
$$ V_{1}=\frac{2 \sqrt{2} V_{\mathrm{dc}}}{\pi} \sin \frac{\beta}{2} $$

여기서 β는 반주기 중에 나타나는 도통각이다. 급전선 전류는 식 (3)에서와 같이 이 전압에 비례한다.

2.2 급전 코일의 구성과 pickup

급전 코일은 그림 4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충전 slot 한 곳에 위치하는 이 코일에는 두 상의 권선이 있다. 두 권선이 비교적 밀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개의 충전 slot에서 이 코일 위에 놓인 pickup을 포함시켜 회로로 표현하면 그림 5와 같다. $A_{a}$ (또는 $A_{b}$)로 표시된 곳은 A상 권선의 시작점, $B_{a}$ (또는 $B_{b}$)로 표시된 곳은 B상 권선의 시작점을 나타낸다. A상 코일과 B상 코일이 slot a와 b에서 결합된 상태가 반대이므로 A상 코일과 B상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는 영에 가깝다. 각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는 커패시터로 완전 보상하여 사용한다. slot a 위에 놓인 pickup에는 전류 $i_{A}$와 $i_{B}$에 의해 만들어진 자속이 합하여져서 전압을 유기시키고 slot b 위에 놓인 pickup에는 자속의 차에 의해 전압이 유기된다. A상 전류 $i_{A}$와 B상 전류 $i_{B}$가 식 (5)와 같다.

그림. 4. 급전 코일의 구성

Fig. 4. Construction fo feeder coil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4.png

(5)
$$ i_{A}=I_{m} \cos \omega t, \quad i_{B}=I_{m} \cos (\omega t-\varphi) $$

그러면 이들 전류에 의해 slot a에서 발생된 자속은 식 (6)과 같다.

(6)
$$ B_{1A}=B_{m} \cos \omega t, \quad B_{1B}=B_{m} \cos (\omega t-\varphi) $$

이 둘의 합성 자속은 식 (7)과 같다.

(7)
$$ B_{1}=B_{1m} \cos (\omega t-\varphi/2), $$

여기서

그림. 5. 급전-집전 코일의 회로적 표현

Fig. 5. Circuit representation of feeder-pickup coils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5.png

(8)
$$ B_{1m}=2B_{m} \cos (\varphi/2), $$

같은 방법으로 slot b에서 발생된 합성 자속은 식 (9)와 같이 주어진다.

(9)
$$ B_{2}=B_{2m} \cos (\omega t+(\pi-\varphi)/2), $$

여기서

(10)
$$ B_{2}=B_{2m} \cos ((\pi-\varphi)/2), $$

식 (7)(9)를 참조하여 slot a에 위치한 pickup에 유기된 전압은 상호인덕턴스를 사용하여 식 (1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1a)
$$ v_{a}=2 \omega M_{\mathrm{pk}} I_{m} \cos \left(\frac{\varphi}{2}\right) \cos \left(\omega t+\frac{\pi}{2}-\frac{\varphi}{2}\right) $$

(11b)
$$ v_{a}=2 \omega M_{\mathrm{pk}} I_{m} \cos \left(\frac{\pi-\varphi}{2}\right) \cos \left(\omega t+\frac{\pi}{2}+\frac{\pi-\varphi}{2}\right) $$

여기서 $M_{pk}$는 각 slot에서 A상 권선 또는 B상 권선과 pickup간의 상호 인덕턴스다. 만일 각 pickup에 R [Ω]의 저항 부하가 연결되어 있다면 각각의 소비전력은 식 (12)와 같다.

(12)
$$ P_{b}=\frac{V^{2}_{b}}{R}, P_{a}=\frac{V^{2}_{a}}{R} $$

여기서 $V_{a}$, $V_{b}$는 각기 $v_{a}$, $v_{b}$의 실효치로 식 (13)과 같이 주어진다.

(13a)
$$ V_{a}=\sqrt{2} \omega M_{\mathrm{pk}} I_{m} \cos (\varphi / 2), $$

(13b)
$$ V_{b}=\sqrt{2} \omega M_{\mathrm{pk}} I_{m} \cos ((\pi-\varphi) / 2) $$

이들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A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은 slot a와 b에서 유기되는 전압을 합하여 식 (14)와 같이 주어진다.

(14)
$$ \begin{aligned} v_{A}=&-\omega M_{\mathrm{pk}} \frac{2 \omega M_{\mathrm{p} k} I_{m}}{R} \cos \left(\frac{\varphi}{2}\right) \cos \left(\omega t+\pi-\frac{\varphi}{2}\right) \\ &-\omega M_{\mathrm{pk}} \frac{2 \omega M_{\mathrm{pk}} I_{m}}{R} \cos \left(\frac{\pi-\varphi}{2}\right) \cos \left(\omega t+\pi+\frac{\pi-\varphi}{2}\right) \\=& 2 \frac{\left(\omega M_{\mathrm{pk}}\right)^{2} I_{m}}{R} \cos \omega t \end{aligned}, $$

B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을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식 (15)와 같이 주어진다.

(15)
$$ v_{B}=2 \frac{\left(\omega M_{\mathrm{pk}}\right)^{2} I_{m}}{R} \cos (\omega t-\varphi) $$

각 권선에는 유기된 전압과 동상인 전류가 식 (5)와 같이 흐르므로 인버터 A가 권선 A를 통하여 공급하는 전력과 인버터 B가 권선 B를 통하여 공급하는 전력은 동일하며 식 (16)과 같다.

(16)
$$ P_{A}=P_{B}=\frac{\left(\omega M_{\mathrm{pk}} I_{m}\right)^{2}}{R} $$

여기서, $P_{A}$는 A 인버터가 공급하는 전력이며 PB는 B 인버터가 공급하는 전력이다. 식 (14)~ (16)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6과 같다. 즉 두 급전 전류의 위상차 φ에 따라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φ가 0° 이면 slot b가 차단되고 180° 면 slot a가 차단되는데 이것은 추가적인 스위치의 조작없이 두 인버터의 출력을 한 쪽 slot으로만 보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두 부하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달라도 두 인버터와 두 급전선이 전달하는 전력은 같음을 알 수 있다.

그림. 6. 위상차에 따른 전압 및 전력 곡선

Fig. 6. Voltage and power variation according to phase difference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6.png

3. 시험 및 고찰

제안한 2상 공진형 컨버터의 동작과 그 응용 회로를 검증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시스템의 프로토 타입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인버터의 동작주파수는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사용하는 85 [kHz]로 선정하였고 인버터는 11 kW급으로 설계하였다. 표 1에 프로토타입의 제원을 나타내었다. 그림 7은 인버터 출력 전압과 급전 전류를 나타낸 것으로 급전 전류는 인버터 출력 전압의 기본파에 비해 위상이 90° 뒤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전류 파형은 공진회로의 특성에 따라 정현파에 매우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은 인버터 출력 전압의 도통각 변화에 따른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의 변화를 보여 주는 것으로 식 (4)로 주어진 인버터 출력 전압의 기본파와 급전전류는 비례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표 1. 프로토타입의 규격

Table 1. Specification of the prototype

명 칭

규격 또는 정수

입력전압

3상 380[V]

급전코일

정격 전류

20 [A]

외측 치수

50x50 [cm2]

내측 치수

24x24[cm2]

권수

10+10 [회]

자기 인덕턴스

140 [mH]

집전코일

정격 전류

60 [A]

외측 치수

50x50 [cm2]

내측 치수

24x24 [cm2]

권수

10 [회]

자기 인덕턴스

55 [mH]

총합출력

22 [kW]

그림. 7. 인버터 출력 전압 및 급전전류

Fig. 7. Output voltage of inverter and feeder current: Yellow trace (inverter output voltage): 250 V/div Blue trace (feeder current): 50 A/div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7.png

그림. 8. 인버터 도통각에 따른 급전 전류 크기 및 위상

Fig. 8. Magnitude and phase of feeder current according to the conduction angle of the inverter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8.png

그림 9는 급전 전류와 정류기 입력단 전압 파형으로 급전 전류의 크기는 일정하게 두고 위상을 0° , 90° , 180° 로 변경한 경우를 보여준다. 상단의 두 파형은 두 급전전류이고 하단의 두 파형은 정류기 입력단 전압으로 위상차가 0° 인 경우에는 slot a 쪽의 전압이 최대, 180° 인 경우에는 slot b 쪽의 전압이 최대가 됨을 보여준다. 그림 10은 위상차가 0° 에서 180° 까지 변화할 때 두 slot에서의 전압과 출력 변화를 graph로 나타낸 것으로 위상차 0 [도]에서는 21.7 [kW], 0 [kW], 90 [도]에서는 10.9 [kW], 10.7 [kW], 180[도]에서는 0 [kW], 21.4 [kW]로 분배되었다. 두 slot 간의 전력을 인버터를 통하여 급전전류의 위상차로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9. 급전 전류와 pickup 전압

Fig. 9. Feeder current and pickup voltage: Top trace (phase A feeder current): 50 A/div Middle upper (phase B feeder curr50 A/div Middle lower (vb): 500 V/div Bottom trace (va): 500 V/div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9-1.png../../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9-2.png

그림. 10. 급전 전류의 위상차에 따른 pickup 전압 및 전력

Fig. 10. Voltage and power according to the phase difference of the feeder currents.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fig10.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절연변압기를 포함한 2상 공진형 컨버터와 이를 활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안한 2상 공진형 인버터는 절연변압기 출력 전류가 인버터 출력 전압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절연변압기 출력인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은 인버터 출력 전압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 2상 컨버터를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하여 두 slot에 공급되는 전력을 2상 인버터의 위상차로 임의로 조절하는 능력을 보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른 응용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어 그 응용이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Research Grant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7 year).

References

1 
R. L. Steigerwald, 1988, A comparison of half-bridge resonant converter topologies, IEEE Trans. Power Electronics, Vol. 3, No. 2, pp. 174-182DOI
2 
G. B. Joung, C. T. Rim, G. H. Cho, 1989, Integral cycle mode control of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IEEE Tran. Power Elect., Vol. 4, pp. 83-91Google Search
3 
J. Heo, S.-J. Jeon, 2017, Half-Bridge Resonant Converter with Coreless Isolation Transformer, KIEE Trans, Vol. 66, No. 4, pp. 636-642DOI
4 
D.-N. Lim, D.-S. Lee, S.-J. Jeon, K. S. Lee, 2014,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Suitable for wristwatch type equipment, in Proc. of IEEE WPTC 2014, pp. 174-177DOI
5 
W. M. Ng, C. Zhang, D. Lin, S. Y. R. Hui, 2014, Two- and three-dimensional wireless power transfer, IEEE Trans. Power Electronics, Vol. 29, No. 9, pp. 4470-4474DOI
6 
S.-J. Jeon, 2015, 2-phase driv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 Proc. of KIEE Summer Conference 2015, pp. 1-2Google Search
7 
H. Sakamoto, K. Harada, 1992, A novel circuit for non- contact charging through electromagnetic coupling, IEEE PESC ’92 record, pp. 168-174DOI
8 
A. Kurs, A. Karalis, R. Moffatt, J. D. Joannopoulos, P. Fisher, M. Soljacic, 2007, Wireless Power Transfer via strongly coupled magnetic resonances, Science, Vol. 317, No. 83, pp. 83-86DOI
9 
J. Wang, S. L. Ho W. N. Fu, M. Sun, 2011, Analytical design study a novel Witricity charger with lateral and angular misalignments for efficient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IEEE trans. Magnetics, Vol. 47, No. 10, pp. 2616-2619DOI
10 
K. Hatanaka, F. Sato, H. Hatsuki, S. Kikuchi, J. Mura- kami, M. Kawase, T. Satoh, 2002, Power-transmission of a desk with a cord-free power supply, IEEE trans. Magnetics, Vol. 38, No. 5, pp. 3329-3331DOI
11 
C.-S. Wang, O. H. Stielau, G. A. Covic, 2005, Design considerations for a contactless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IEEE trans. Ind. Elec., Vol. 52, No. 5, pp. 1308-1314DOI
12 
J. Shin, 2014,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haped magnetic-resonance-bas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roadway powered moving electric vehicle, IEEE Trans. Ind. Elect., Vol. 61, No. 2, pp. 1179-1192DOI

저자소개

신한호 (Han Ho Shin)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au1.png

2018년 부경대 전자공학과 졸업.

2018년~현재 동 대학원 전자공학과 석사과정.

Tel: 010-2434-6446

E-mail: gksgh9857@naver.com

전성즙 (Seong-Jeub Jeon)
../../Resources/kiee/KIEE.2019.68.12.1574/au2.png

1957년 생.

1980년 숭전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82년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01년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1982년 3월~1985년 2월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1985년 3월~ 1986년 8월 한국전기연구소 연구원.

1986년 9월~현재 부경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Tel: 051-629-6216

Fax: 051-629-6210

E-mail: jeub@pk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