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igital Solution Laboratory, KEPRI, Korea.)
  2. (Electric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Korea.)



Power Plant Control, Control Performance, Control Parameter Tuning, Optimization, Genetic Algorithm (GA)

1. 서 론

발전소 공정제어 계통은 백여 개 이상의 제어루프로 구성되어지며, 제어루프의 성능은 발전소의 안정적인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약 제어대상이 되는 개별 제어루프의 공정 특성이 시간 경과 혹은 설비 개조 등의 요인에 의해 변동되면, 제어기 파라미터는 기존의 공정 특성에 맞춰 조정되어 있기에 제어루프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 파라미터를 변경, 조정함으로써 제어루프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발전 설비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발전소에서는 주로 계획예방정비공사 후 변동된 보일러 특성과 연소 상태를 고려하여 주요 제어루프의 제어기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발전 설비의 안정 운전을 도모하고 있다(1).

발전소 제어계통은 주로 PID(비례-적분-미분) 제어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PID 제어 파라미터는 제어대상 공정의 제어기 출력 값 변화에 따른 공정 값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여 공정의 동특성(시간지연, 시상수, 공정이득 등)을 찾아내고, 이 값을 근거로 누적오차 기반의 성능지수를 최소화 하는 PID 제어기 튜닝 방법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이후 튜닝 전문가가 여러 가지 발전운전을 하면서 제어 파라미터를 미세 조정하여 최종 결정하여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누적오차 기반의 성능지수를 최소화하는 튜닝 방법에는 일반적인 제어오차의 절대값의 누적을 최소화하는 IAE (Integral Absolute Error)튜닝 방법(2), 제어오차 제곱의 누적을 최소화하는 ISE(Integral Squared Error) 튜닝 방법(3), 제어오차 절대값에 시간이 가중치로 곱해져 최근 오차를 더 중요시 하는 ITAE(Integral Time Absolute Error) 튜닝 방법(4) 등이 존재한다. ISE 튜닝 방법의 경우 큰 제어오차를 잘 억제시키는 반면 작은 오차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설정값 기준으로 oscillation이 지속되는 응답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ITAE 튜닝 방법은 제어 초반의 오차는 허용하지만 시간이 흐른 후의 오차를 강력하게 제어함으로써 빠르고 안정적으로 설정값에 수렴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누적오차 기반의 성능지수를 최소화하는 튜닝 방법은 시간지연(L)/시상수($\tau$) 값의 범위에 따라 적용 가능여부가 결정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유전자 알고리즘(GA :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PID 제어기 튜닝 방법에 대한 연구(5-7)가 많이 진행 중에 있다. 참고문헌 (5)의 연구에서는 시스템을 1차 시간지연 공정모델로 추정하고, GMVC(Generalized Minimum Variance Control) 법칙을 고려한 목적함수를 선정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참고문헌 (6)의 연구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3가지 목적함수(IAE, 제어출력의 제곱, rising time)를 최적화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참고문헌 (7)에서는 IAE를 최적화하는 목적함수를 기반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IAE, ITAE, ISE, ITSE의 제어성능 지수를 비교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어기 튜닝 연구는 대부분 오차 또는 누적 오차 기반의 성능지수를 최소화 하는 기법이 대부분이며 overshoot이나 oscillation을 최소화하는 튜닝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누적오차 기반의 성능지수만을 최소화 하는 기존의 튜닝 방법을 발전소 공정계통에 적용할 경우 초기 빠른 rising time을 기대할 수 있으나 overshoot과 oscillation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발전소 온도, 압력제어계통의 과도한 설정값 변화는 발전설비 재료의 수명단축을 초래할 수 있어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누적오차와 overshoot를 동시에 최소화하는 PID 튜닝 기법을 개발하였다. 2절에서는 관련 선행연구와 한계점에 대해 설명하고, 3절에서는 제안하는 다변수 제어성능 최적화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PID 제어 파라미터 튜닝 알고리즘과 새로이 정의한 목적함수 대해 설명하고, 4절에서는 화력발전소 시뮬레이터에 압력 및 온도제어 계통에 적용하여 모의시험 한 내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 관련 선행연구

2.1 ITAE 튜닝 방법

ITAE 튜닝 방법(3)은 설정값 기준으로 oscillation이 지속되는 응답특성을 보이는 ISE 튜닝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81년 Rovira에 의해 개발되었다. ITAE는 제어오차 절대값에 시간이 가중치로 곱해져 시간이 지난 후에 나타나는 제어오차는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ITAE 튜닝 방법은 제어 초반의 오차는 허용하지만 시간이 흐른 후의 오차를 강력하게 제어하여 빠르게 설정값에 수렴시키는 효과를 준다. 표 1은 Setpoint 변경시 제어 파라미터 설정 방법을 보여주며, 시간지연(L)/시상수($\tau$) 값의 범위가 0.1 ~ 1.0사이의 범위를 넘는 경우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표 1. Setpoint 변경시 ITAE 튜닝 방법에 의한 PID 파라미터 설정

Table 1. PID parameter setting by ITAE tuning method when setpoint is changed

../../Resources/kiee/KIEE.2020.69.1.1/table1.png

2.2 유전자 알고리즘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8)은 1975년 John Holland에 의해 개발된 자연 세계 진화과정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전역 기법으로 특정 개체가 아닌 전체적인 군집으로 탐색을 수행한다. 기존의 최적화 기법들은 도함수를 이용하여, 제한된 조건에서 목적함수를 순차적으로 탐색하거나 시작점을 선정하여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좁은 영역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넓은 영역에서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목적함수의 미분개념이 아닌 확률 탐색 및 방향성 있는 탐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국소 최소화(Local Minimum)가 아닌 전역 최소화(Global Minimum)를 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발전소 PID 제어 파라미터를 최적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림. 1. 유전자 알고리즘의 순서도

Fig. 1. Flowchart of genetic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0.69.1.1/fig1.png

유전자 알고리즘은 그림 1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유전자 형태를 결정하는데 문제를 설정하고 목표치를 정하는 과정이며, 2단계에서는 초기 유전자 집단을 결정한다. 3단계에서는 가장 핵심단계로 미리 결정한 목적함수에 따라 cost를 평가하여 만족하는 개체의 유무를 점검한다. 4단계에서는 좋은 형질들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3단계에서 설정한 목적함수에 기초하여 5단계에서 교배를 수행하는 개체의 생존 분포를 결정한다. 5단계에서는 형질간의 교배(Crossover)로 선택된 형질들의 정보가 포함된 일부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정보를 교환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확률적 선택에 의해 목적함수에 근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빠른 수렴 속도로 해석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6단계에서는 생성과 교배를 통해 얻을 수 없는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높은 적합도의 수렴성을 향상시킨다. 임의의 확률에서 돌연변이 생성을 통해 전역적인 탐색효과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목적함수 만족을 위해 교차와 돌연변이 연산자들은 집단의 다양성을 높여 기존 최적화 기법과 차별성을 가지게 된다.

3. 다변수 최적화 기반 PID 제어 파라미터 튜닝 기법

3.1 제안 알고리즘

PID 제어 파라미터는 제어대상 공정의 동특성(시간지연, 시상수, 공정이득 등)을 찾아내고 이 값을 근거로 정의된 목적함수를 최소화 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상세 알고리즘은 그림 2와 같다. 여기서 발전소 운전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식별을 수행하여 공정모델 파라미터를 선정하는 내용은 선행연구(9) 결과를 활용하였다.

그림. 2. 제안된 최적 제어 파라미터 계산 절차

Fig. 2. Proposed optimal control parameter calculation procedure

../../Resources/kiee/KIEE.2020.69.1.1/fig2.png

(1) 공정 식별 수행을 통한 공정모델 $G(s)$ 파라미터 선정

(2) PID 제어기 모델 $C(s)$의 파라미터 선정

(3) 공정 식별 결과와 발전소 제어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폐루프 전달함수 $G_{c}(s)$ 계산

(4) Step 응답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 계산

(5) 목적함수 계산

(6)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수행

(7) 조건 만족 여부 판단 : 만족하지 못하면 (2)부터 다시 수행

(8) 종료

일반적으로 발전소 공정에서 제어 파라미터 튜닝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어 대상 공정에 대한 적절한 모델 (1차, 2차 시간지연 혹은 적분 모델 등)이 요구되고 이의 선정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발전소 튜닝 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 (1)과 같은 1차 시간지연 공정모델(FOPDT : First-Order Plus Delay Time Model)로 한정하여 구현하였다(9).

(1)
1차 시간지연 공정 모델 : $G(s)=\dfrac{Ae^{-Ls}}{\tau s+1}$

PID 제어기 기본적인 형태를 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폐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그림 3과 같고, 그림 3에서 제어기(Controller) 및 공정(Process)의 전달 함수를 각각 $C(s)$와 $G(s)$라 하면 설정값(Setpoint)과 출력(PV)사이의 폐루프 전달함수는 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림 2의 공정모델[$G(s)$]과 PID 제어기[$C(s)$]가 결합된 폐루프 이산 시간 전달 함수 계산 방법에는 Backward 변환 방법을 이용하였다.

(2)
$C(s)=K_{P}\left(1+\dfrac{1}{T_{I}s}+T_{D}s\right)$

(3)
$G_{c}(s)=\dfrac{C(s)G(s)}{1+C(s)G(s)}$

그림. 3. 폐루프 시스템의 구성

Fig. 3. Configuration of closed loop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1/fig3.png

3.2 다변수 기반 유전자 알고리즘 적용

본 논문에서는 2절에 기술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PID 제어 파라미터에 따른 누적오차와 overshoot 동시 최소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사전연구들에서 수행된 PID 제어 파라미터 튜닝 방법(2-7)은 IAE, ITAE, ISE, ITSE와 같은 누적 오차 기반의 성능지수 1가지를 최소화 하는 튜닝 방법들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튜닝 방법은 상대적으로 P gain 값이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P gain이 크게 적용되는 경우 빠른 rising time으로 인해 빨리 수렴하기 때문에 오차기반의 성능지수가 좋게 나타나는 반면, 그 역 효과로 overshoot과 oscillation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크다. 이러한 overshoot과 oscillation의 경우 발전소의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설비 운영 효율을 낮게 만드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GA의 목적함수를 식 (4)와 같이 적분 시간절대오차와 overshoot 2가지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이때 ratio를 0.5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4)
\begin{align*} \min\{OS +I TAE\}=\left[(1-ratio)\times\int_{0}^{T}t | e(t)| dt\right]+ratio\times ove rshoot \\ =(1-ratio)\times I TAE + ratio\times ove rshoot \end{align*}

2단계에서는 초기집단 생성을 위해 기존 발전소 제어 파라미터를 전달받아 파라미터의 범위를 정하였다. 그림 4의 파라미터 범위에서 lower boundary는 0, upper boundary는 기존 파라미터의 최대 5배로 설정하였고, 초기 유전자집단 생성은 그 범위 내에서 랜덤으로 하였다. 발전소 기존 적용 제어 파라미터 값을 기준으로 범위를 설정한 이유는 보수적으로 운전하는 발전소 특성을 고려한 현실적인 제어 파라미터 계산 결과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그림. 4. 초기 제어 파라미터 범위설정

Fig. 4. Initial control parameter range setting

../../Resources/kiee/KIEE.2020.69.1.1/fig4.png

3단계에서는 PID 제어 파라미터별 폐루프 이산 전달함수에 대한 계단응답 시계열 데이터를 계산한 후 목적함수에 따라 cost를 평가 한다. 4단계에서는 목적함수의 cost를 기반으로 좋은 형질들을 선택한다. 5단계 이후에서는 GA 알고리즘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4. 화력발전소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 검증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500MW급 표준 석탄화력 발전소 시뮬레이터(10)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을 위해 선정된 제어루프는 단일 PID 제어기 형식을 가진 보일러 노내압력 제어루프와 이중 PID 제어기 형식을 가진 주증기 온도 제어루프이다. 특히, 주증기 온도는 플랜트 성능과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운전 시 주증기 온도의 변화는 최소화 되고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발전출력 설정 값을 변경하면서 기존 PID 튜닝값, ITAE 튜닝 방법 및 제안된 GA 튜닝 방법에 의한 제어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4.1 노내압력 제어루프의 검증

그림 5는 노내압력 제어루프를 나타내며, 공정 모델은 제어기출력의 계단 응답에 의한 공정 출력 값을 기반으로 선행 연구 알고리즘(9)을 활용하여 식 (5)의 결과를 얻었다.

그림. 5. 노내압력 제어 블록도

Fig. 5. Furnace pressure control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2020.69.1.1/fig5.png

(5)
$G(s)=\dfrac{3.4609}{88.2712s+1}e^{-s}$

기존 발전소의 노내압력 제어루프는 PI 제어기 형태로 식 (5)의 공정모델 추정 결과를 기반으로 제안 알고리즘을 통해 PID 값을 계산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ITAE 튜닝도 수행하였다. 제어 파라미터 계산 결과는 표 2와 같다. 그림 6은 P gain, I gain 및 cost의 값을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프로 기존 값을 적용했을 때에 비해 제안 알고리즘의 결과 값이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한 조건 내에서 global minimum 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6. 노내압력 제어루프의 제어기 파라미터 결과 값 분포

Fig. 6. Distribution of control parameters for the furnace pressure loop

../../Resources/kiee/KIEE.2020.69.1.1/fig6.png

표 2. 제어 파라미터 튜닝값 비교 (노내압력)

Table 2. Comparison of control parameter tuning values (Furnace pressure loop)

PI

기존 값

ITAE 튜닝 값 × 0.5

GA 튜닝 값

$K_{p}$

0.35

5.129

1.75

$T_{I}$

30

85.856

82.952

ITAE 튜닝 방법 적용시 노내압력 루프의 L/$\tau$ 값은 0.011로 적용 가능범위에 해당하지 않지만 이 방법의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먼저 표 1의 수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P gain이 너무 커 발산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발산을 줄이기 위해 I gain은 고정시키고 P gain을 줄여가며 수차례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P gain의 약 0.5배에 해당하는 값에서 발산하지 않았으며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림 78 그리고 표 3은 노내압력 제어루프의 튜닝 전후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7. 튜닝 전/후의 노내압력 제어루프 계단응답

Fig. 7. Furnace pressure loop step response

../../Resources/kiee/KIEE.2020.69.1.1/fig7.png

표 3. 튜닝 전/후의 노내압력 제어루프 제어성능 비교 결과

Table 3. Control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furnace pressure loop

제어성능

기존 튜닝

ITAE 튜닝 × 0.5

GA 튜닝

평균 IAE

0.174

0.032

0.074

평균 ISE

0.089

0.01

0.021

평균 ITAE

18.175

2.542

9.134

Max OS

0.999

1.003

0.955

PTP

1.049

1.184

1.001

그림. 8. 튜닝 전/후의 노내압력 제어루프 제어성능 비교 결과

Fig. 8. Control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furnace pressure loop

../../Resources/kiee/KIEE.2020.69.1.1/fig8.png

그림 7은 계단응답 시뮬레이션 결과 ITAE 튜닝 방법과 GA 튜닝 방법은 기존 적용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rising time이 빠른 것을 보여주지만 ITAE 튜닝 방법은 overshoot이 발생하는 반면, GA 튜닝 방법은 overshoot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 3그림 8에서 나타나듯이 기존 튜닝에 비해 ITAE 튜닝 방법은 평균 적분 절대오차(IAE) 기준 81.6% 개선, Max OS(Maximum Overshoot) 기준 0.4% 악화되었으며, GA 튜닝 방법은 평균 IAE 기준 57.5% 향상, Max OS 기준 4.4%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도한대로 누적오차와 overshoot을 동시에 최소화 하는 목적을 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4.2 주증기 온도 제어루프의 검증

본 절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린 주증기 온도 스프레이 제어계통에 대해 적용하였으며 노내압력 제어루프와는 달리 Cascade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Cascade 제어기의 구성도는 그림 9와 같다.

그림. 9. 주증기 온도 스프레이 제어 블록도

Fig. 9. Main steam temperature spray control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2020.69.1.1/fig9.png

Master 제어기는 주증기 온도를 공정 값으로 취하며, Slave 제어기는 과열기 입구 온도가 공정 값으로 작용한다. Master 제어기는 부하 외란 응답을 보이며, Slave 제어기는 설정 값 응답을 보인다.

먼저, 스프레이 밸브의 튜닝을 위한 공정 모델은 Slave 제어기 출력의 계단 응답에 의한 공정 출력 값을 기반으로 선행 연구 알고리즘(9)을 활용하여 식 (6)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6)
$G(s)=\dfrac{0.1385}{51.6895s+1}e^{-2s}$

위의 Slave 제어기는 PI 제어기 형태로 식 (6)의 공정모델 추정 결과를 기반으로 제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PID 값을 계산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ITAE 튜닝도 수행하였다. 제어 파라미터 계산 결과는 표 4와 같다. 그림 10은 GA 알고리즘 적용시 P gain, I gain, cost의 값을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프로 제안 알고리즘의 목적함수의 cost 값이 최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한 조건 내에서 global minimum 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0. 주증기 온도 제어루프의 제어기 파라미터 결과 값 분포

Fig. 10. Distribution of control parameters for the main steam temperature loop

../../Resources/kiee/KIEE.2020.69.1.1/fig10.png

표 4. 제어 파라미터 튜닝값 비교 (주증기 온도)

Table 4. Comparison of control parameter tuning values (Main steam temperature)

PI

기존 값

ITAE 튜닝 값 × 0.5

GA 튜닝 값

$K_{p}$

0.35

5.129

1.75

$T_{I}$

30

85.856

82.952

ITAE 튜닝 방법의 L/$\tau$ 값은 0.039로 적용 가능범위에 해당하지 않지만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표 1의 수식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P gain의 약 0.5배에 해당하는 값에서 발산하지 않았으며 좋은 제어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림 11, 12표 5는 튜닝 전/후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1. 발전기 출력 변화에 의한 주증기 온도 시뮬레이션 결과

Fig. 11. Main steam temperature simulation result by generator output change

../../Resources/kiee/KIEE.2020.69.1.1/fig11.png

그림 11의 발전기의 출력 감발/증발 시뮬레이션 결과 ITAE 튜닝 방법과 GA 튜닝 방법은 기존 적용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값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ITAE 튜닝 방법은 oscillation이 발생하는 반면, GA 튜닝 방법은 oscillation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그림 12(a)에서 발전기의 출력 감발시 평균 IAE, Max OS, PTP(Peak to Peak) 관점에서 기존 튜닝, ITAE 튜닝 방법 및 GA 튜닝 방법은 5%이내의 개선 율을 보임으로써, 제어성능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표 5. 튜닝 전/후의 주증기 온도 제어루프 제어성능 비교 결과

Table 5. Control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main steam temperature loop

제어성능

발전기출력 500 → 450MW 변경시

기존 튜닝

ITAE 튜닝 × 0.5

GA 튜닝

평균 IAE

0.557

0.533

0.53

평균 ISE

0.871

0.822

0.823

평균 ITAE

464.186

434.693

429.165

Max OS

3.468

3.45

3.45

PTP

4.228

4.169

4.179

제어성능

발전기출력 450 → 500MW 변경시

기존 튜닝

ITAE 튜닝 × 0.5

GA 튜닝

평균 IAE

0.148

0.058

0.051

평균 ISE

0.046

0.008

0.006

평균 ITAE

116.796

42.969

41.051

Max OS

0.668

0.387

0.258

PTP

1.2

0.603

0.373

그림. 12. 주증기 온도 제어성능 비교 결과

Fig. 12. Control performance comparison of main steam temperature loop

../../Resources/kiee/KIEE.2020.69.1.1/fig12.png

반면, 표 5그림 12(b)에서 발전기의 출력 증발시 기존 튜닝에 비해 ITAE 튜닝 방법은 평균 IAE 기준 60.81% 개선, Max OS 기준 42.07% 향상, PTP 기준 49.75% 개선되었으며, GA 튜닝 방법은 평균 IAE 기준 65.54% 향상, Max OS 기준 61.37% 개선, PTP 기준 68.92%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GA 튜닝 방법은 누적오차와 overshoot을 동시에 최소화 하였을 뿐만 아니라 oscillation도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ITAE 튜닝 방법보다 성능이 훨씬 우수함을 보인다.

5. 결 론

대부분의 누적오차를 최소화하는 PID 튜닝 방법은 P gain이 커 초기 빠른 rising time을 기대할 수 있으나 overshoot과 oscillation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발전소 설비의 수명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G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누적오차와 overshoot를 동시에 최소화하는 튜닝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전소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발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수차례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Rovira에 의해 개발된 ITAE 튜닝 방법에서 적용가능 범위인 시간지연(L)/시상수($\tau$)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P gain의 약 0.5배에 해당하는 제어 파라미터 적용 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노내압력 제어루프에 검증시 보완한 ITAE 튜닝 방법을 적용한 경우 누적오차 성능지수에서는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으나 overshoot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제안한 GA 튜닝 방법은 overshoot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누적오차가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3. 주증기 온도 제어루프에 검증시 발전기출력 감발 경우에는 보완한 ITAE 튜닝 방법과 제안한 GA 튜닝 방법 모두 좋은 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발전기출력 증발 경우에는 보완한 ITAE 튜닝 방법은 oscillation이 발생한 반면, 제안한 GA 튜닝 방법은 oscillation 발생 없이 모든 성능지수가 월등히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튜닝 기법 적용시 전문가의 개입 없이 정확한 튜닝 값 제시 및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임으로써 시운전 공기 단축 및 overshoot를 최소화하여 발전소 설비 보호는 물론 효율 개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본 알고리즘의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공정모델의 식별이 필요하며, GA 알고리즘의 목적함수 내 두 가지 성능에 대한 최적 가중치(ratio) 도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S.-H. Byun, S.-J. Hwang, and J.-A. Kim, 2017, Simulation on effects of Mill Model on Power Plant Control, in Proceedings of the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pp. 18-20Google Search
2 
Kwang Soon Lee, Jae Hyung Lee, , Process control theory and practice, A-JinGoogle Search
3 
C. A. Smith, A. B. Corripio, 1997, Principles and Practice of Automatic Process Control, John Wiley, New YorkGoogle Search
4 
M. Zhaung, D. P. Atherton, 1993, Automatic tuning of optimum PID controllers, IEEE Proceedings D (control Theory and Applications), IET Digital Library, Vol. 10, No. 3, pp. 216-224DOI
5 
Y. Mitsukura, T. Yamamoto, M. Kaneda, 1999, A design of self-tuning PID controllers using a genetic algorithm, in Proceedings of the 1999 American Control Conference (Cat, no. 9CH36251), Vol. 2, pp. 1361-1365DOI
6 
J. Zhang, J. H. Zhuang, Du, S. Wang, 2009, Self-organizing genetic algorithm based tuning of PID controllers, Information Sciences, Vol. 179, No. 7, pp. 1007-1018DOI
7 
D. Kler, V. Kumar, K. P. Rana, 2019, Optimal integral minus proportional derivative controller design by evolutionary algorithm for thermal-renewable energy-hybrid power systems, IET Renewable Power Generation, Vol. 13, No. 11, pp. 2000-2012DOI
8 
R. L. Haupt, S. E. Haupt, 2004, Practical Genetic Algorithms, John Wiley & Sons, New YorkGoogle Search
9 
S. Y. Yun, K.-W. Gwak, S. H. Kim, H.-S. Lee, J.-H. Woo, S.-H. Byun, S.-J. Hwang, W. J. Lee, 2019, Suggestion of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FOPDT by using time delay identification separation algorithm, in Proc. of 2019 34th ICROS Annual Conference, pp. 446-447Google Search
10 
S.-H. Byun, D.-H. Hwang, 2010, Development of Power Plant Simulator for Control System Verification & Valid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 19, No. 1, pp. 41-51Google Search

저자소개

윤수용 (SooYong Yun)
../../Resources/kiee/KIEE.2020.69.1.1/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7 and 2019,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researcher with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Daejeon, Korea, where he is works on developing power plant control system.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s the control system design, digital twin and power plant control simulation.

이학성 (Hak-Sung Lee)
../../Resources/kiee/KIEE.2020.69.1.1/au2.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IST in 1989, 1991, 199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ejong Universit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are intelligent/learning control and fractional order control.

우주희 (JooHee Woo)
../../Resources/kiee/KIEE.2020.69.1.1/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1993 and 1995, respectively.

He is a principal researcher of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KEPRI).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boiler control and turbine control in power plants.

변승현 (Seung-Hyun Byun)
../../Resources/kiee/KIEE.2020.69.1.1/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1992,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IST in 1994,

He is a principal researcher of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gital twin and intelligent control.

최인규 (InKyu Choi)
../../Resources/kiee/KIEE.2020.69.1.1/au5.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 1993,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4.

He is a principal researcher of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KEPRI).

He has mainly worked in the field of turbine control.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uch control in power plant machines as boiler, drum, turbine and generator.

이주현 (JooHyun Lee)
../../Resources/kiee/KIEE.2020.69.1.1/au6.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Ulsan University in 1990,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in 2000,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11.

He is a director general of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gital twin and intelligent power plant.

서인용 (In-Yong Seo)
../../Resources/kiee/KIEE.2020.69.1.1/au7.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in 1984 and 1989, respectively.

He received his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Brown University, United States, in 2003.

He is a vice president of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KEPRI).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are digital solutions in energy new industry and modeling of Complex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