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Chassis/Outfit R&D center, Hyundai Mobis, Korea.)



DFIG(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Voltage dip, Reactive Current, Injection of Rotor current, LVRT(Low Voltage Ride-Through)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와 화석연료 고갈 문제로 재생에너지의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전체 재생 에너지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풍력발전의 누적 설치용량은 2017년까지 약 539GW가 설치되었고 2020년까지 792GW가 설치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1). DFIG(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이중여자 유도 발전기)타입의 풍력터빈은 전력변환장치의 용량이 작은(전체 시스템 용량의 약 30%) 장점을 가지며, 전체 풍력터빈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2). 이와 같은 대용량의 풍력발전 시스템이 계통에 연결되고 증가함에 따라 계통 운영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리드 코드(Grid Code)를 제시하였다. 그리드 코드는 풍력터빈이 연계된 지점에 계통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전압변동의 크기에 따라 연결을 유지하는 동시에 계통에 무효분 전류을 빠르게 공급하여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동작을 요구하며 국가별로 다른 그리드 코드를 요구한다(3)-(7). DFIG는 고정자 권선이 계통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 저전압 발생 시에 회전자 측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전력변환장치의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크로우 바(Crowbar), DC chopper 등과 같은 하드웨어 보호 장치를 이용하거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한 과도상태 개선에 대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8)-(11).

DFIG 풍력터빈에 계통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고정자 자속에는 전압변동에 의한 과도상태자속이 발생한다. 과도상태자속의 크기는 회전속도와 저전압 발생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회전자 권선에 과전압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12). 기존에는 계통 저전압 발생 시 고정자 과도상태 자속을 감쇄시키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으로 고정자 과도상태 자속성분의 반대위상을 갖고 과도상태 자속성분 크기에 비례하는 보상전류를 주입하여 감쇄시키고 무효분 전류를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13),(14). 이러한 경우 고정자 자속 과도상태 성분이 감소하면서 보상전류의 크기도 감소하기 때문에 감쇄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통사고 발생 시 그리드 코드 만족을 위한 무효분 전류를 주입하는 동시에 발전기에 발생하는 고정자 자속 과도상태 성분을 빠르게 감쇄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정 시간 동안 회전자 측 컨버터의 정격 전류의 크기로 보상전류를 주입하여 고정자 자속을 최대한 빠르게 감쇄시키고 무효분 전류 공급 시에도 사용 가능한 전류를 보상전류로 주입하여 그리드 코드의 무효분 전류 공급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과도상태자속을 빠르게 감쇄시킬 수 있다.

2. DFIG 풍력터빈 시스템 구성 및 그리드 코드

2.1 DFIG 풍력터빈 시스템 구성

그림 1 DFIG 풍력터빈 시스템 구성

Fig. 1 Scheme of the DFIG wind turbine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1.png

DFIG 풍력터빈의 구성은 그림 1과 같으며, 발전기의 고정자는 계통전원에 접속되고 회전자 측은 슬립링을 통해 컨버터와 연결되어 슬립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동기속도 이상과 이하에서 발전이 가능하다. DFIG의 고정자는 계통 동기화 동작을 통해 계통전원 전압과 전압 크기와 위상을 동기화 시키고 Circuit Breaker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한다. 회전자 측에는 RSC(Rotor Side Converter)가 연결되며 회전자 측에 전류를 주입하여 고정자 측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GSC(Grid Side Converter)는 계통에 연계되어 DC-link 전압을 유지하는 동작과 계통에 부분적으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SC는 GSC와 back-to-back 형태로 구성하며, 전체 시스템 용량의 약 30%로 구성한다. DFIG는 고정자가 계통에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 저전압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고정자 자속에 의해서 회전자 권선에 과도상태 전압이 발생하며 이는 컨버터의 제어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컨버터의 전력반도체소자를 파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전자 권선을 단락시키고 저항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시켜 과도상태를 개선하는 장치인 크로우 바(Crowbar)를 사용하거나 직류전압 상승 억제를 위한 DC chopper와 같은 보호회로가 사용된다. 하지만 크로우 바가 동작하는 경우 회전자 측 단락으로 인하여 RSC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전압의 모든 영역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제어가능한 영역에서 회전자 측에 전류를 주입하여 과도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2 그리드 코드

풍력단지와 같은 대용량 발전시스템이 계통에 연계되면서 계통운영자들은 계통안정화를 위한 그리드 코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드 코드는 풍력터빈과 계통이 연계된 지점인 PCC(Point of Common Coupling)의 전압크기와 주파수에 따라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계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전압변동 크기와 유지시간에 따라 연결을 유지해야 하는 동시에 계통으로 무효분 전류를 공급하여 계통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요구한다. 그리드 코드는 국가별로 다른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계통 전압변동 크기에 따라 공급해야 하는 무효분 전류의 크기와 전류주입 응답시간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계통 전압변동 크기에 따라 주입해야 하는 무효분 전류에 대한 요구사항은 그림 2와 같다(4)-(6). 무효분 전류의 크기가 전압변동크기에 비례하도록 $k$값을 설정하며, 기본 설정 값은 $k=2.0$로 전압강하가 정격전압 기준으로 0.5pu 발생하는 경우 무효분 전류는 1.0pu에 해당하는 전류를 주입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여기서 pu는 per unit을 의미한다.) 무효분 전류주입(RCI, reactive current injection) 응답시간은 그림 3과 같이 상승시간(rise time), 정착시간(settling time), 정상상태 값의 범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며 주요 유럽국가에서 제시하는 기준은 표 1과 같다(6). 국가별로 요구하는 상승시간이 다르며, 무효분 전류의 크기는 풍력터빈이 계통에 연계되는 PCC의 전압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그림 2 전압 강하 시 무효분 전류 요구사항(4)

Fig. 2 Required reactive current during voltage drop(4)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2.png

3. 저전압 발생 시 DFIG의 과도상태 분석

DFIG의 고정자와 회전자 권선에 대한 수식을 정지좌표계로 나타내면 식(1),(2)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등가회로는 그림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3 계통 고장 시 무효분 전류 주입 시간 요구사항(4)

Fig. 3 Required for timing of the injected current during grid faults(4)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3.png

표 1 유럽지역의 계통 고장 시 무효분 전류 주입 요구사항(6)

Table 1 Required the reactive current injection during grid faults in europe(6)

country

rising time

(ms)

required reactive current

Germany

20

≥2% injection for 1% PCC voltage reduction

Denmark

100

≥2% injection for 1% PCC voltage reduction

Ireland

100

At least proportional to the voltage dip

Spain

150

3%, 0.75% or 0.5% injection for 1% PCC

voltage reduction

(depending on voltage dip level)

(1)
\begin{align*} \vec{v_{s}^{s}}=R_{s}\vec{i_{s}^{s}}+\dfrac{d}{dt}\vec{\lambda_{s}^{s}}\\ \vec{v_{r}^{s}}=R_{r}\vec{i_{r}^{s}}+\dfrac{d}{dt}\vec{\lambda_{r}^{s}}-j\omega_{r}\vec{\lambda_{r}^{s}} \end{align*}

(2)
\begin{align*} \vec{\lambda_{s}^{s}}=L_{s}\vec{i_{s}^{s}}+L_{m}\vec{i_{r}^{s}}\\ \vec{\lambda_{r}^{s}}=L_{r}\vec{i_{r}^{s}}+L_{m}\vec{i_{s}^{s}} \end{align*}

그림 4 DFIG의 등가회로

Fig. 4 Equivalent circuits of the DFIG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4.png

3.1 고정자 자속의 회전자 전압에 대한 영향

고정자 전압은 식(3)과 같이 계통전원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 크기와 동기각주파수로 회전하는 성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고정자 저항을 무시($R_{s}\approx 0$)한다고 가정하면 고정자 자속은 식(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
$\vec{v_{s}^{s}}=V_{s}e^{j\omega_{e}t}$

(4)
$\vec{\lambda_{s}^{s}}=\dfrac{V_{s}}{j\omega_{e}}e^{j\omega_{e}t}$

식(1)∼(4)를 회전자 전압에 대해 정리하면 식(5)와 같으며 그림 5와 같이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 RSC의 전류에 의한 영향을 제외하기 위해서 회전자 권선이 개방회로($\vec{i_{r}^{s}}\approx 0$)라고 가정하면 식(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sigma =1-\dfrac{L_{m}^{2}}{L_{s}L_{r}}$)

그림 5 회전자 측 등가회로

Fig. 5 Equivalent circuits of the rotor side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5.png

(5)
$\vec{v_{r}^{s}}=s\dfrac{L_{m}}{L_{s}}\vec{v_{s}^{s}}+\left\{R_{r}+\sigma L_{r}\left(\dfrac{d}{dt}-j\omega_{r}\right)\right\}\vec{i_{r}^{s}}$

(6)
$\vec{v_{ro}^{s}}=\dfrac{L_{m}}{L_{s}}\left(\dfrac{d}{dt}-j\omega_{r}\right)\vec{\lambda_{r}^{s}}$

저전압 발생 시점을 $t_{0}$로 가정하면, 고정자 전압은 식(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전압강하 비율)

(7)
$\vec{v_{s}^{s}}=\begin{cases} V_{s}e^{j\omega_{e}t}&,\:{for}t<t_{0}\\ (1-p)V_{s}e^{j\omega_{e}t}&,\:{for}t\ge t_{0} \end{cases}$

고정자 자속에 의한 영향만을 분석하기 위해서 회전자 권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황에서 고정자 자속은 식(1)(2)를 대입하여 식(8)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8)
$\dfrac{d}{dt}\vec{\lambda_{s}^{s}}=\vec{v_{s}^{s}}-R_{s}\dfrac{\vec{\lambda_{s}^{s}}}{L_{s}}$

위의 미분 방정식에서 저전압 발생 시 고정자 자속의 변화는 식(9)와 같이 감소된 고정자 전압에 의한 강제응답 자속성분 ($\vec{\lambda_{sf}^{s}}$)과 전압 변동의 크기와 고정자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어 감소하는 자연응답 자속성분($\vec{\lambda_{sn}^{s}}$)으로 나타낼 수 있다.

(9)
$\vec{\lambda_{s}^{s}}=\vec{\lambda_{sf}^{s}}+\vec{\lambda_{sn}^{s}}=\dfrac{(1-p)V}{j\omega_{e}}e^{j\omega_{e}t}+\dfrac{p V}{j\omega_{e}}e^{-\dfrac{t}{\tau_{s}}}$

고정자 자속은 저전압 발생 이전에는 고정자 전압과 같은 동기각주파수로 회전하며, 고정자 전압에 90도 뒤쳐진 위상을 갖는다. 저전압이 발생하여 고정자 전압이 변동하는 경우 고정자 자속은 2가지 성분으로 분리된다. 첫 번째로 고정자 전압에 의해서 생성되는 강제응답 자속성분으로 저전압 크기에 의해 자속의 크기가 결정되며, 계통전원 전압의 각속도로 회전하며 고정자 전압에 90도 뒤쳐진 위상을 갖는다. 두 번째로 자속은 연속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에 고정자 회로 시정수로 감쇄하는 자연응답 자속성분이 발생하며 강제응답 자속성분과 합성되어 나타난다. 계통전원 전압이 복구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고정자 전압 변화에 의한 과도상태가 발생한다.

그림 6 계통 저전압 시 정지좌표계에서 고정자 자속의 궤적

Fig. 6 Stator flux trajectory during a grid low voltage in the stationary reference frame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6.png

그림 6(a)는 저전압 발생 이전의 고정자 전압과 고정자 자속의 벡터를 나타내며, 고정자 자속은 고정자 전압에 90도 뒤쳐진 위상으로 동기각속도로 회전한다. 그림 6(b)는 저전압 발생 시점의 벡터로 고정자 자속은 고정자 전압에 의한 강제응답 자속과 저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응답 자속으로 분리된다. 그림 6(c)는 저전압 발생 시점 이후 고정자 자속 벡터를 나타낸다. 강제응답 자속은 동기각속도로 회전하고 자연응답 자속은 정지된 상태로 크기가 점차 감소하게 되며 두 성분이 합쳐져 고정자 자속을 이루게 된다.

저전압 발생 시 회전자 측 개방회로의 전압은 식(6)~식(9)를 이용하여 식(10)과 같이 유도할 수 있으며, 회전자 전압은 고정자 전압 변화량과 슬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tau_{s}=R_{s}/L_{s}$)

(10)
$\vec{v_{ro}^{r}}=V\dfrac{L_{m}}{L_{s}}\bullet\left\{s(1-p)e^{j\omega_{sl}t}-p(1-s)e^{-j\omega_{r}t}e^{-t/\tau_{s}}\right\}$

RSC의 경우 발전기 회전속도와 전압강하크기에 따른 회전자 측 전압상승으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제한되며, 발전기 회전속도가 2160rpm($s=-0.2$ 조건에서 운전하는 경우)인 경우 RSC에서 제어가능한 전압강하 크기의 범위는 약 0.6pu까지로 전압강하 크기가 더 커지는 경우 크로우 바를 동작시켜 RSC를 위한 보호 동작을 먼저 수행해야 한다.

3.2 고정자 자연응답 자속의 감쇄를 위한 회전자 보상전류주입 방법

식(1), (2)로부터 고정자 자속 변화에 대해 식(1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식(11)에서 오른쪽 세 번째 항은 회전자 측 컨버터의 회전자 전류주입을 통해 고정자 자속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고 회전자 전류가 과도상태 자속성분의 반대 위상을 갖는 경우 회전자 전류로 고정자 자속을 감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
$\dfrac{d}{dt}\vec{\lambda_{s}^{s}}=\vec{v_{s}^{s}}-\dfrac{R_{s}}{L_{s}}\vec{\lambda_{s}^{s}}+\dfrac{L_{m}}{L_{s}}R_{s}\vec{i_{r}^{s}}$

기존 문헌에서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성분을 감쇄시키기 위해 과도상태 자속성분의 벡터 크기에 비례하고 반대위상을 갖는 보상전류를 회전자 측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3),(14).

참고문헌 (14)에서는 계통 저전압 발생 시 게인($K_{comp}$)을 선정하여 식(12)와 같이 보상전류를 주입한 뒤 그리드 코드에서 제시하는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에 RSC 제어를 통해 무효분 전류를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12)
$\vec{i_{rn}^{s*}}=-K_{comp}\vec{\lambda_{sn}^{s}}$

위의 식을 식(11)에 대입하여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에 대해서 정리하면 식(1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3)
$\dfrac{d}{dt}\vec{\lambda_{sn}^{s}}=-\dfrac{R_{s}}{L_{s}}\vec{\lambda_{sn}^{s}}-\dfrac{R_{s}}{L_{s}}L_{m}K_{comp}\vec{\lambda_{sn}^{s}}$

이와 같은 방법은 보상전류 크기가 과도상태자속 크기와 비례하기 때문에 과도상태자속의 크기가 감쇄할수록 보상전류가 감소하여 감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그리드 코드에서 제시하는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짧은 경우 RSC에서 보상전류와 무효분 전류를 동시에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정격이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반도체스위치의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시스템 신뢰도(Reliability)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14)

그림 7 제안하는 회전자 전류 주입방법의 블록도

Fig. 7 Block diagram of a proposed rotor current injection method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7.png

본 논문에서는 계통 저전압 발생 시에 그리드 코드의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을 고려하여 RSC의 정격 전류 크기로 보상전류를 주입하여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성분을 빠르게 제거하고, 무효분 전류 공급 시에 정격 전류 허용범위 내의 전류 크기로 보상전류를 주입하여 잔류 과도상태자속을 빠르게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 감쇄를 위한 보상전류를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반대위상으로 일정한 값의 전류($\vec{i_{r(dem)}^{s*}}$)로 설정하는 경우 식(1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4)
$\dfrac{d}{dt}\vec{\lambda_{sn}^{s}}=-\dfrac{R_{s}}{L_{s}}\vec{\lambda_{sn}^{s}}-\dfrac{L_{m}}{L_{s}}R_{s}\vec{i_{r(dem)}^{s*}}$

위의 수식에서 회전자에 주입되는 보상전류 $\vec{i_{r(dem)}^{s*}}$의 크기에 따라서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에 변화가 발생하며, 보상전류의 값이 클수록 자속의 변화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SC의 정격 전류 범위 내에서 최대 전류를 주입하는 경우 가장 빠르게 자속을 감쇄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회전자 전류주입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상적인 계통 상황에서 RSC는 Normal mode에서 동작하며, 풍속에 따라 유효 및 무효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계통전압을 모니터링 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면 RSC는 Grid fault mode로 전환하며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을 제거하기 위한 demagnetizing control과 reactive current injection (RCI)을 수행한다. 표 2는 계통고장모드(Grid Fault Mode)에서 그리드 코드의 무효분 전류주입 응답시간 요구조건과 과도상태자속의 크기에 따른 RSC와 GSC의 제어동작에 대해 나타낸다.(여기서, $t_{0}$ 고장 발생 시점)

표 2 계통 고장 모드 동작 단계

Table 2 Step of Grid Fault Mode operation

Step

Operating condition

Control of RSC

Control of GSC

1

$t_{0}<t< t_{RCI}$

demag. control

DC voltage control

2

$t\ge t_{RCI}$

demag. control

+

RCI

DC voltage control

+

RCI

3

$\left |\lambda_{sn}\right |\le\left |\lambda_{sn(set)}\right |$

RCI

DC voltage control

계통 저전압이 발생하면 계통고장모드 Step 1이 되며, 무효분 전류 공급 이전 동작으로 저전압에 의해 발생한 과도상태자속을 감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RSC의 정격 전류 크기($\left | i_{r(Rated)}\right |$)에 과도상태자속의 위상($\theta_{sn}$)을 합성하여 식(15)와 같이 보상전류 지령값($\vec{i_{rdq}^{s*}}_{(dem)}$)을 생성한다.

(15)
$\vec{i_{rdq}^{s*}}_{(dem)}= -\left | i_{r(Rated)}\right |\angle\theta_{sn}$

GSC는 계통 저전압 발생 시 회전자 측 전압 상승에 의한 직류전압 상승과 RSC의 자속 감쇄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직류 측 전압 변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압 제어를 수행한다. 저전압 발생 후 그리드 코드에서 요구하는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 시간($t_{RCI}$)이 되면 계통고장모드 Step 2 상태로 전환된다. RSC에서는 무효분 전류주입 동작을 수행하며, 허용 가능한 전류 내에서 demagnetizing control을 함께 수행한다. GSC는 무효분 전류주입을 분담하여 RSC에서 추가적인 보상전류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구간에서 안정적인 직류 측 전압제어 수행을 위해 GSC의 무효분 전류주입은 정격의 50% 이내로 제한한다.

무효분 전류 크기는 그림 2와 같이 그리드코드에서 전압 변동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이 때 회전자 측에서 주입해야 하는 전류는 식(1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4)

(16)
$i_{r(Q,\:RSC)}^{*}=-\dfrac{(1-p)V_{s}}{\omega_{s}L_{m}}-\dfrac{L_{s}}{L_{m}}i_{Q}^{*}$

GSC에서 공급하는 무효분 전류($i_{(Q,\:GSC)}^{*}$)를 회전자 측으로 변환하여 $i_{r(Q,\:GSC)}^{*}$로 나타내면 RSC의 무효분 전류주입 기준값은 식(17)과 같고, 보상전류의 기준값은 식(1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7)
$i_{r(Q,\:RSC)}^{*}=-\dfrac{(1-p)V_{s}}{\omega_{s}L_{m}}-\dfrac{L_{s}}{L_{m}}i_{Q}^{*}-i_{r(Q,\:GSC)}^{*}$

(18)
$\vec{i_{rdq}^{s*}}_{(dem)}=-\left(\left | i_{r(Rated)}\right | -\left | i_{r(Q,\:RSC)}^{*}\right | +\left | i_{r(Q,\:GSC)}^{*}\right |\right)\angle\theta_{sn}$

RSC의 보상전류주입에 의해서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크기가 설정값($\left |\lambda_{sn(set)}\right |$)보다 작아지면 계통고장모드 Step 3로 전환한다. RSC는 보상전류 주입을 정지하고 계통에 주입해야 하는 무효분 전류를 모두 공급하며, GSC는 무효분 전류 공급은 정지하고 직류 측 전압제어는 유지한다.

그림 8은 시간변화에 따른 계통고장모드전환에 대해서 나타낸다. 계통 고장이 $t_{0}$에서 발생하여 step 1이 되면 RSC는 보상전류를 최대로 주입하여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을 빠르게 감쇄시킨다. 고장 발생 후 $t\ge t_{RCI}$가 되어 step 2로 전환되면 RSC는 회전자 측으로 무효분 전류와 보상 전류를 동시에 주입하며 GSC에서 계통에 주입되는 무효분 전류에 의해서 RSC에서 주입되는 무효분 전류의 크기는 $I_{RCI}$에서 $I'_{RCI}$로 감소하고, 보상전류는 $I_{dem}$에서 $I'_{dem}$으로 크기가 증가한다. 이 때 주입되는 보상전류의 크기 증가로 과도상태자속을 더 빠르게 감쇄시킬 수 있다. 과도상태자속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step 3로 전환되면서 RSC가 모든 무효분 전류를 주입하도록 동작한다.

그림 8 제안하는 회전자 전류 주입방법의 타이밍도

Fig. 8 Timing diagram of a proposed rotor current injection method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8.png

4.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저전압 상황에서 회전자 전류주입 방법에 대한 검증을 위해 PSCAD/EMTDC로 2MW DFIG 풍력터빈을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DFIG의 파라미터는 표 3과 같으며, RSC와 GSC에 대한 파라미터는 ABB사의 2MW DFIG의 컨버터 모델인 ACS800을 참고하여 표 4와 같이 설정하였다. 기존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의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 성능 비교하기 위해서 표 1의 그리드 코드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 중 독일 기준 20ms와 덴마크와 아일랜드 기준 100ms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발전기 회전속도는 동기속도 이상의 동작이 악조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2160rpm($s=-0.2$)로 설정하였고 RSC의 제어가능 범위내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압강하크기는 0.6pu로 설정하였다. 무효분 전류의 주입크기는 그림 2의 독일 SDLWindV 규정을 적용하였으며 $k=2$로 설정하였다.

그림 9그림 10은 그리드 코드의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에 따른 기존제어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시뮬레이션 내에 표현된 전압, 전류, 자속성분은 고정자 전압 벡터를 q축, 고정자 자속 벡터를 d축에 정렬한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동기좌표계로 표현하였으며, d축 전류는 무효분 전류를 나타내고 q축 전류는 유효분 전류를 나타낸다.

표 3 DFIG 시뮬레이션 파라미터(14)

Table 3 Parameters of DFIG Generators for Simulation (14)

Parameters

unit

Values

Rated Power

MVA

2

Rated Voltage

V

690

Frequency

Hz

60

Turns Ratio

- 

0.369

Stator Resistance

pu

0.007108

Rotor Resistance

pu

0.006393

Magnetizing Inductance

pu

4.614197

Stator Leakage Inductance

pu

0.063425

Rotor Leakage Inductance

pu

0.095138

표 4 RSC와 GSC의 시뮬레이션 파라미터(15)

Table 4 Parameters of RSC and GSC for Simulation (15)

Parameters

unit

RSC

GSC

Rated Voltage

V

690

690

Rated Current

A

1143

480

DC Capacitor

F

0.02

그림 9는 그리드 코드의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100ms인 경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림 9(a)는 기존 제어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계통에 저전압이 발생하면 RSC에서는 고정자 자속 자연응답 성분을 감쇄시키기 위한 보상전류($i_{dem}$)를 회전자에 주입한다. 고정자 자속 자연응답성분 크기($\left |\lambda_{sn}\right |$)에 따라 보상전류의 크기가 감소하고 100ms에 그리드 코드에서 요구되는 무효분 전류가 계통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RSC 전류는 무효분 전류공급 이전에 보상전류를 출력하게 되며 무효분 전류 주입시점 부터는 무효분 전류에 해당하는 d축 전류를 공급하며, 계통전류($i_{grid}$)에 무효분 전류에 해당하는 d축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통전압변동이 0.6pu 발생하여 1pu의 무효분 전류가 공급되며, 무효분 전류 공급에 따라 고정자 측 전압($v_{s}$)의 크기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RSC에서 보상전류와 무효분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GSC는 직류측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이 정격자속 크기의 1% 이하(0.01pu 이하)로 감쇄되는 시간은 313ms이며, 무효분 전류 공급 시점 이전에 과도상태자속이 0.2pu 이하로 감쇄되어 무효분 전류와 보상전류가 동시에 공급되어도 RSC의 정격 전류 내에서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9(b)는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계통 저전압이 발생하면 RSC 정격에 해당하는 보상전류($i_{dem}$)가 주입되고 무효분 전류주입 시점에 RSC의 d축 전류 주입을 통해서 계통에 1.0pu의 무효분 전류가 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은 134ms로 기존방법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으며, 무효분 전류주입 이전에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이 대부분 감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보상전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보상전류 주입구간에서 직류측 전압변동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9 계통 고장 시 Case1의 시뮬레이션 결과 (100ms에서 무효분 전류 주입)

Fig. 9 Simulation result of Case 1 during grid fault (reactive current injection at 100ms)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9a.png

(a) Conventional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9b.png

(b) Proposed control

그림 10은 그리드 코드의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20ms인 경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림 10(a)는 기존 제어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저전압 발생 후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고정자 전압이 빠른시간에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이 대부분 남아있는 상태로 무효분 전류를 계통에 주입하기 때문에 무효분 전류가 주입되는 순간 RSC의 d축 전류가 1.61pu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짧은 경우 RSC의 전류를 적절하게 제한하지 않으면 순간적으로 과부하 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해 전력반도체 소자의 온도 증가가 발생하여 풍력터빈 시스템 신뢰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은 295ms로 case 1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0(b)는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로 무효분 전류공급 요구시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보상전류만 주입되는 구간이 감소하게 되어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감쇄 시간이 183ms로 증가하게 된다. 무효분 전류를 공급하는 구간에서 보상전류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서 GSC가 d축 전류를 출력하여 무효분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RSC의 출력전류는 정격이내에서 제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이 정격자속의 1% 이하로 감소하면 GSC는 무효분 전류를 공급을 정지하고 RSC에서 모든 무효분 전류를 공급한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주요 결과 값은 표 5와 같다. 기존제어방법과 제안하는 제어방법을 비교한 결과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은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100ms인 경우 179ms가 감소하였으며,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20ms인 경우에서도 112ms가 감소되어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감쇄에 큰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에는 보상전류의 주입시간이 길게 유지되기 때문에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감쇄효과가 더 크게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과도상태 RSC 전류는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빠른경우 기존 방법에서 RSC의 무효분 전류주입 시에 d축 전류가 1.61pu까지 증가하지만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1.40pu로 0.21pu 만큼 피크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저전압 발생시 과도상태에서 RSC의 피크전류를 감쇄시키는

그림 10 계통 고장 시 Case2의 시뮬레이션 결과 (20ms에서 무효분 전류 주입)

Fig. 10 Simulation result of Case 2 during grid fault (reactive current injection at 20ms)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10a.png

(a) Conventional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1.50/fig10b.png

(b) Proposed control

동시에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도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무효분 주입 요구시간이 길게 요구될수록 보상전류 크기와 주입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이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표 5 테스트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5 Simulation result for test case

Case

$t_{RCI}$ (ms)

Control method

Attenuation time of $\left |\lambda_{sn}\right |$

(ms)

Rotor peak current

(pu)

1

100

Conventional

313

1.40

Proposed

134

1.40

2

20

Conventional

295

1.61

Proposed

183

1.40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저전압 발생 시 고정자 자속의 과도상태에 대해서 정리하였고, 그리드 코드에서 요구하는 무효분 전류주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성분을 빠르게 감쇄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계통 저전압이 발생하면 RSC의 정격 전류의 크기로 보상전류를 주입하고 무효분 전류 공급 시 GSC와 RSC에서 동시에 무효분 전류를 공급하여 GSC의 무효분 전류 크기만큼 RSC에서 추가적인 보상전류를 주입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20ms인 경우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이 179ms가 감소하고, RSC의 피크전류가 0.21pu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효분 전류주입 요구시간이 100ms로 길게 요구되는 경우 과도상태 고정자 자속의 감쇄시간은 기존 283ms에서 89ms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향후 연구방향으로 불평형 계통 고장에 대한 보상 전류주입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한국에너지공단(KEMCO)의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 사업의 지원(No. 71000110)과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KETEP)의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지원으로 수행 되었습니다. (No. 20194010201830)

References

1 
F. Blaabjerg, K. Ma, Nov 2017, Wind Energy Systems, Proc. IEEE, Vol. 105, No. 11, pp. 2116-2131DOI
2 
J. Serrano-González, R. Lacal-Arántegui, Feb 2016, Technological evolution of onshore wind turbines - a market-based analysis, Wind Energy, Vol. 19, No. 12, pp. 2171-2187DOI
3 
E.ON-Netz., Apr. 2008., Requirements for offshore grid connectionsGoogle Search
4 
E.ON-Netz., Germany-27. 05. 2009., Verordnung zu Systemdienstleistungen durch Windenergiean lagen(Systemdienstleistungsverordnung-SDLWindV), BMUGoogle Search
5 
C. Feltes, S. Engelhardt, J. Kretschmann, J. Fortmann, I. Erlich, Jul 2010, Dyna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DFIG-based wind turbines regarding new German grid code requirements,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p. 1-7DOI
6 
J. Jia, G. Yang, A. H. Nielsen, Apr 2018, A review on grid- connected converter control for short-circuit power pro- vision under grid unbalanced faults, IEEE Trans. Power Del., Vol. 33, No. 2, pp. 649-661DOI
7 
H. T. Mokui, M. A. S. Masoum, M. Mohseni, 2014, Re- view on Australian grid codes for wind power integration in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n Proc. Austral. Univ. Power Eng. Conf. (AUPEC), pp. 1-6DOI
8 
I. Erlich, H. Wrede, C. Feltes, Apr 2007, Dynamic Behavior of DFIG-Based Wind Turbines during Grid Faults, Power Conversion ConferenceNagoya, pp. 1195-1200DOI
9 
M. Tsili, S. Papathanassiou, Sep 2009, A review of grid code technical requirements for wind farms, IET Renew. Power Gener., Vol. 3, No. 3, pp. 308-332DOI
10 
G. Joos, Jul 2008, Wind turbine generator low voltage ride through requirements and solutions, in Proc. Conf. Rec. IEEE Power Energy Soc. Gen. Meet. Convers. Del. Elect. Energy 21st Century, pp. 1-7DOI
11 
R. Cardenas, R. Pena, S. Alepuz, G. Asher, Jul 2013, Overview of control systems for the operation of DFIGs in wind energy application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0, No. 7, pp. 2776-2798DOI
12 
J. Lopez, E. Gubia, P, Sanchis, X. Roboam, L. Marroyo, 2008, Wind turbines based on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under asymmetrical voltage dips,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23, No. 4, pp. 321-330DOI
13 
J. Lopez, E. Gubia, E. Olea, J. Ruiz, L. Marroyo, Oct 2009, Ride through of wind turbines with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under symmetrical voltage dip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6, No. 10, pp. 4246-4254DOI
14 
D. Zhou, F. Blaabjerg, Dec 2018, Optimized demagnetizing control of DFIG power converter for reduced thermal stress during symmetrical grid fault,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33, No. 12, pp. 10326-10340DOI
15 
ABB, 2012, ABB low voltage wind turbine converters ACS 800-67, 0.6-2.2MW, Switzerland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태형 (Tae-hyeong Kim)
../../Resources/kiee/KIEE.2020.69.1.50/au1.png

2008년 광운대 전기공학과 졸업.

2010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0년 ~ 2017년 ㈜포스코ICT R&D 센터 선임연구원, 2017년 ~ 현재 현대모비스 샤시· 의장연구소 책임연구원.

송승호 (Seung-Ho Song)
../../Resources/kiee/KIEE.2020.69.1.50/au2.png

1991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1993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부 졸업(공박).

2000년∼2006년 전북대 전자정보공학부 조교수.

2006년∼현재 광운대 전기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