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민
(Jeong-Min Jo)
†iD
이광주
(Kwang-Joo Lee)
1
이석영
(Seok-Young Lee)
1
최수용
(Su-Yong Choi)
1
이창영
(Chang-Young Lee)
1
이관섭
(Kwan-Sup Lee)
1
-
(HyperTube Express Research Team, New Transportation Innovative Research Center,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Cascad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 HyperTube, Long-Stator Linear Motor, Propulsion System, Three-Level Inverter
1. 서 론
현재 승객을 위한 운송시스템은 도로, 항공 및 철도 등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교통수단에 대하여 장단점을 살펴보면 도로의 경우
운송비용은 저렴하고 승객의 접근이 용이하나, 이동속도가 느리고 일반적으로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고, 항공의 경우 이동 속도는 빠르나 운영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친환경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철도의 경우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높은 초기투자비용과 낮은 속도가 문제이다(1). 따라서 초고속 신교통 시스템은 도로 운송시스템 만큼 저렴하고 접근이 용이하며, 항공기처럼 빠르고 열차만큼 친환경적인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신교통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최고속도 1,200km로 주행하는 초전도 자석기반의 초고속 자기부상철도시스템인 하이퍼튜브(HyperTube)시스템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을 하고 있다. 하이퍼튜브는 대기 중을 주행하는 열차의 공력저항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소비전력은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0.001기압의 아진공 튜브 속을 주행하며, 가이드웨이에 설치되는 선형전동기 인프라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4.9$m/s^{2}$의
높은 가속도 성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지상 1차 선형전동기(LSLM, Long Stator Linear Motor)기반의 하이퍼튜브 추진전력시스템은 가이드웨이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전기자 섹션에 추진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높은 전압과 대 전류가 요구된다. 이와 유사한 추진 장치를 갖는 독일의 초고속자기부상열차(Trans
-rapid) 추진시스템은 LSLM 단위섹션에 최대 7.8kV의 상전압과 1.2kA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정격용량 2.2MW, DC링크전압 2.6kV의
인버터 16대로 구성된 35MW의 추진인버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일본 초전도 반발식 자기부상열차를 위한 야마나시 시험선의 경우에는 최대용량 38MW,
12.7kV급 출력전압의 추진인버터를 구축하고 있다(2)(3). 이러한 고전압 대용량 인버터는 현존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한 전압 값에 따라 단일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용량 전력변환시스템은 반도체
소자의 전압 한계능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멀티레벨 인버터(MLI, Multi- Level Inverter)로 구성(4)(5)하며, 이러한 MLI는 기존 2레벨 인버터에 비하여 낮은 스위칭 손실, 고전압 역량, 낮은 dV/dt 및 고품질 전력 등의 장점을 갖는다(6).
MLI의 토플로지는 케스케이디드 H-브리지 멀티레벨 인버터(CHB-MLI, Cascad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7)-(9), 다이오드 클램프드 멀티레벨 인버터(DC-MLI, Diode-Clamped Multi-Level Inverter)(10)(11)와 플라잉 커패시터 멀티레벨 인버터(FC-MLI, Flying-Capacitor Multi-Level Inverter)(12)(13)등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뉜다. 이러한 토플로지 중에서 DC -MLI 토플로지는 높은 효율로 고압 응용분야에서 적합한 방식이지만 DC링크 커패시터의
전압 불평형이 주요한 문제점으로, 위상 중의 하나가 중성점에 접속될 때 문제가 발생한다. FC-MLI 토플로지는 멀티레벨컨버터의 장점을 갖고 있으나
커패시터 전압의 균형문제와 기동시 커패시터 초기충전의 필요성 등이 단점이다(14)(15).
CHB-MLI 토플로지는 직렬로 구성된 전력컨버터로 구성되어져 있고, 전압과 전력레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하이퍼튜브와 같은 대용량,
고품질을 요구하는 추진시스템에 적합하다. 그러나 CHB-MLI는 태양광 에너지, 풍력에너지 및 연료전지와 같이 각각의 케스케이디드 유닛에 대하여 개별적인
DC전원을 갖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주로 활용(16)되어져 왔기 때문에, 하이퍼튜브와 같이 기후변화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인 에너지 수전이 가능하며, 감속시 선형전동기로부터 회생된 전력을 계통시스템으로
송전해야하는 전력시스템과는 그 구성이 다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모듈러 인버터 유닛의 DC링크 단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력회로를 구성하고, 각 인버터 유닛의 출력이 멀티레벨의
전압으로 합성될 수 있도록 인버터 출력 단에 복권 변압기를 갖는 하이퍼튜브용 추진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저속에서 인버터의 낮은 주파수의 전압으로
인해 출력변압기가 포화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출력변압기 앞단에 컨텍터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저속시 인버터의 출력은 리액터에 접속되고 고속시 출력변압기에
접속된다. 이러한 하이퍼튜브용 추진시스템의 전력변환효율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2.3절에서는 3가지 종류 전력변환기의 스위칭 손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4절에서는 하이퍼튜브용 추진전력시스템으로서
구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스템과 5레벨 CHB-MLI를 제작하여 주행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2. 하이퍼튜브용 추진전력변환기 설계
2.1 Main 하이퍼퓨브용 선형전동기 용량산정
EDS (Electrodynamic Suspension) 기반 차량의 추진에 요구되는 전동기의 추력은 공력저항, 전자기적 저항 및 가속도 저항의 합으로
산출된다. 공기역학적 저항력 $F_{aero}$은 차량의 형상계수 $C_{D}$와 튜브 내부의 공기밀도 $\rho$, 차량 속도 $V$, 차량의 단면적
$A$와 관계된 함수로 식(1)과 같이 표현된다.
식(1)로부터 하이퍼튜브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른 주행저항을 구하면 그림 1과 같이 표현된다.
그림. 1. 튜브 내 하이퍼튜브 차량에 대한 공력 저항력
Fig. 1. Aerodynamic resistance for the HyperTube vehicle in Tubes
하이퍼튜브 차량의 부상방식은 초전도 자석기반 EDS 부상방식으로, 튜브 가이드웨이 측벽에는 null-flux 부상코일이 설치된다. 하이퍼튜브 차량에
초전도 전자석 6모듈을 설치할 경우 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기적 저항 $F_{d}$는 식 (2)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여기에서 $K^{Korr}$는 특정 코일계수, $K_{coil}$는 차량속도에 독립적인 코일계수, $N_{w}$는 차량 편성 수 그리고 $v_{c1}$은
특정 속도계수를 의미한다.
그림. 2. 하이퍼튜브 차량의 전자기적 저항력
Fig. 2. Electrodynamic resistance for the HyperTube vehicle
하이퍼튜브 차량의 설계 가속도는 4.9$m/s^{2}$이고 차량의 중량은 20ton이므로 가속에 의한 저항력 $F_{ac}$은 약 100kN이다.
따라서 하이퍼튜브의 공력저항 및 전자기적 저항 그리고 가속 저항을 모두 포함한 총 주행저항 $F_{L}$과 부하토크 $F_{L}$에 10%이상의
여유율을 적용한 하이퍼튜브의 요구 견인력 $F_{v}$를 도식화하면 그림 3과 같다.
그림 3의 요구견인력 125kN으로 시속 1,200km까지 4.9$m/s^{2}$의 가속도로 추진하는 경우 추진전력은 대략 34MW이다. 따라서 추진인버터의
설계 용량은 1,200 km/h까지 가속시 요구전력 34MW와 전력변환기의 효율 90% 및 역률 80% 그리고 설계 여유율 125%를 적용하면 대략
60MVA로 산출된다.
그림. 3. 차량의 주행저항 및 요구견인력
Fig. 3. Total vehicle resistance and required thrust force for the HyperTube vehicle
2.2 하이퍼튜브용 추진인버터 설계
기존 CHB-MLI의 구조는 분리된 DC전압원을 갖는 단상 인버터의 직렬접속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17). 그림 4는 4개의 단상 풀-브리지 인버터 유닛으로 구성된 9레벨 인버터의 한 상에 대한 전력회로를 나타낸다. 출력 상 전압은 4개의 인버터 유닛에 의해 발생된
전압의 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상 풀-브리지 인버터는 $+V_{dc}$, $0$과 $-V_{dc}$ 의 3가지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각의 인버터 ac 출력전압은 인버터 스위치 조건에 따라 $-4V_{dc}$ 에서 $+4V_{dc}$으로 9단계의 전압으로 변하게 되어 필터가
없어도 거의 정현전압 파형으로 나타난다(18).
그림. 4. CHB-MLI 회로 토플로지와 관련 출력파형
Fig. 4. CHB-MLI circuit topology and its associated waveform
그림 4와 같이 일반적인 CHB-MLI의 경우 각각의 전원은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서로 독립적이다. 그러나 하이퍼튜브용 CHB-MLI는 기후조건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에너지 수급이 원활하도록 계통으로부터 수전되어야하며, 감속시 전력회생이 용이하도록 공통의 DC링크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그리고 인버터 입력측 공통전위로부터 출력전압이 서로 직렬로 합성될 수 있도록 인버터 출력 측에 전기적 절연을 위한 복권변압기를 배치하며, 저속 운전시
인버터의 저주파수 출력전압으로부터 출력변압기의 포화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인버터의 출력 단에 컨텍터 $K_{1}$, $K_{2}$를 삽입하여 그림 5와 같이 설계하였다. 그래서 하이퍼튜브 차량이 저속 운행할 경우, 인버터는 1 step 인버터 출력측 컨텍터 $K_{1}$을 단락, 컨텍터 $K_{2}$를
개방시켜 인버터의 출력단과 LSLM 사이에 리액터 회로가 삽입된 하프-브리지 인버터로 구성되며, 풀-브리지 인버터가 두 개의 하프-브리지 인버터로
동작하여 변압기 모드에 비하여 2배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차량이 중・고속 운행할 경우 인버터는 컨텍터 $K_{1}$을 개방, 컨텍터 $K_{2}$를
단락시켜 각각의 풀-브리지 인버터의 출력단은 출력변압기에 접속되며, 이때 인버터의 출력은 각각의 출력변압기에 의해 합성된 고전압이 발생된다. 그리고
인버터 시비율을 조절하면 인버터의 스텝이 변경되어 넓은 대역의 출력전압을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하이퍼튜브용 인버터는 LSLM의 섹션길이를 고려하여 정격 전압과 전류는 각각 14kV, 1.2kA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래서 하이퍼튜브용 CHB-MLI는
DC링크단의 전압을 3kV로 하고, 14kV의 높은 출력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림 5와 같이 풀-브리지 인버터를 직렬 4단으로 설계하였다.
그림. 5. 하이퍼튜브용 CHB-MLI 회로
Fig. 5. CHB-MLI circuit for HyperTube
2.3 전력변환기의 스위칭손실 시뮬레이션 및 분석
하이퍼튜브용 CHB-MLI의 구동특성 및 전력변환효율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PSIM을 이용하여 기존 2레벨 인버터 및 3레벨 인버터와 5레벨 CHB-MLI에
대한 스위칭 손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인버터 스위칭 디바이스 모델은 Infineon사의 FF300R12MS4으로 하였고, 이때
스위칭 디바이스 손실 분석을 위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IGBT 모듈의 트랜지스터 측 전기적 특성 값은 데이터시트로부터 출력특성곡선 $V_{ce}$ vs. $I_{c}$, 스위칭 손실 $E_{on}$ vs
$I_{c}$, $E_{off}$ vs. $I_{c}$에 대한 그래프를 적용하였고, 역 병렬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이오드의 순방향
특성곡선 $V_{d}$ vs. $I_{F}$와 스위칭 손실곡선 $E_{rr}$ vs. $I_{F}$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스위칭 디바이스 모듈의 온도특성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하기 위해서 케이스와 히트싱크간의 열 저항 Rth(c-s)와 모듈의 크기 및 중량을 파라미터로 입력하였다. 그림 6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5레벨 CHB-MLI를 나타내고 있으며, 고주파 분석시 전력변환기의 출력전압은 변압기 모드의 출력전압을 활용하였다.
그림. 6. 5레벨 CHB-MLI 구성
Fig. 6. Configuration of Serial Cascaded H-bridge 5Level Inverter
그림 7은 5레벨 CHB-MLI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로 각각 5레벨 CHB-MLI의 출력 선간전압과 출력전압 $V_{uv}$에 대한 FFT 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 부하조건은 리액터 4mH와 저항 8Ω의 수동소자가 직렬로 접속되어져 있는 3상 부하이다. 그리고 부하에 인가되는 소비전력조건이
같도록 각각 2레벨 인버터와 3레벨 인버터의 DC링크전압은 300$V_{d}$c로 하였고, 5레벨 CHB-MLI의 DC링크전압은 100$V_{d}$c로
적용하였으며, 모든 인버터에 대하여 스위칭 주파수는 5kHz로 하였다.
그림. 7. 5레벨 CHB-MLI의 선간전압 및 FFT분석결과
Fig. 7. A Output Voltage and FFT analysis for Cascaded H-bridge 5 Level Inverter
그림 8는 3종류의 인버터에 대하여 시비율(MI)을 변경하는 경우 각각의 인버터의 입력전력 Pin(W)과 스위칭 디바이스의 전력손실 Ploss(W)을 나타내었다.
해당 결과로부터 5레벨 CHB-MLI는 모든 시비율에 대하여 3레벨 인버터 및 2레벨 인버터에 비하여 높은 효율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 MI에 변경시 각 인버터의 효율
Fig. 8. Efficiency of each Inverter when changing MI
2.4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 실험 및 결과
해당 응용분야에서 하이퍼튜브용 CHB-MLI의 가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시험 장치는 그림 9와 같이 20m길이의 가이드웨이와 80kg급 상전도 코일 계자를 탑재한 이동대차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축소형 하이퍼튜브 차량에 추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가이드웨이 양측에 LSLM을 설치하였고, 5레벨 CHB-MLI로 추진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9.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 구성
Fig. 9. Configuration of the miniature HyperTube test-bed
표 1은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 장치에 대한 주요사양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 사양
Table 1. System parameters for the miniature HyperTube test-bed
Category
|
Parameter
|
Value
|
Secondary
coil
|
Rated current
|
500(A)
|
Number of turn
|
20
|
Magnetomotive force
|
10,000(A·Turn/pole)
|
Resistance
|
50(mΩ)
|
Input Voltage
|
25(V)
|
Long Stator
|
Rated current
|
150(A/phase)
|
Number of turn
|
11
|
Magnetomotive force
|
2,333(A·Turn/pole)
|
Back EMF
|
1(V/phase)
|
Resistance
|
0.35(Ω) @40m
|
Inductance
|
6.35(m) @40m
|
Test-bed System
|
Mass of mover
|
80(kg)
|
Thrust Constant
|
80(N)
|
Operating Air-gap
|
40(mm)
|
Length of Guideway
|
20(m)
|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의 제어기는 TMS320F28335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전류제어주기는 200[us]이다. LSLM 구동을
위한 제어방식은 회전자 자속기준벡터제어이며, 제어를 위한 위상각은 지상 라이다에서 검출되어 지상 인버터로 20[ms]마다 전송된다. 그러나 전류제어기는
200us마다 연산되기 때문에 100배 빠른 위상각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추진제어기는 그림 10과 같이 위치 추정기를 기반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림. 10.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 제어 블록도
Fig. 10. Control system block diagram of the miniature HyperTube test-bed
그림 11~그림 12는 5레벨 CHB-MLI의 부하전류 $i_{u}$, 선간전압 $V_{uv}$, 상전압 $V_{u}$, 부하소비전력 $P_{Load}$ 및 부하역률
$\cos\theta$를 나타내며, 인버터 DC링크 전압은 300$V_{d}$c, 부하는 리액터 4mH와 저항 8Ω이 Y결선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에서
그림 12는 저속 운전을 고려한 것으로 5레벨 CHB-MLI의 인덕터 모드 운전결과이다. 실험 결과로부터 인덕터 모드에서는 각 상의 H-브리지 인버터는 하프-브리지
인버터 동작하여 2레벨의 출력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1. 리액터모드로 운전시 인버터 시험 결과
Fig. 11. Test results from the 5-level CHB-MLI when operating in reactor mode
그림 12는 고속 운전을 고려한 부하시험으로 각 상의 인버터 출력은 변압기에 의해 직렬 접속된다. 실험 결과로부터 변압기 모드에서 각각의 인버터는 풀-브리지
단상 인버터로 동작하여, DL850스코프코더에 의해 측정된 입력 DC링크 전압이 80$V_{d}$c일 때, 출력 선간전압은 대략 170Vrms이었다.
그리고 입력전력은 측정된 $V_{d}$c(rms)와 idc(Avg.)에 의해 2.96kW로 산출되었고, 출력전력은 2.84kW로 측정되어 인버터 효율은
대략 96%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한 값이다.
그림. 12. 변압기 모드로 인버터 운전결과
Fig. 12. Test results from the 5-level CHB-MLI when operating in transformer mode
그림 13은 인버터가 변압기 모드로 운전시 인버터 출력 선간전압에 대한 FFT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그림 7의(b) 출력전압 $V_{uv}$에 대한 FFT 분석결과와 비교할 경우 5kHz 주파수 범위에서 고조파가 다소 상승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림. 13. 변압기 모드로 운전시 인버터 출력전압에 대한 FFT 분석 결과
Fig. 13. FFT analysis of the PWM output voltage when operating in transformer mode
그림 14는 5레벨 CHB-MLI에 의한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 운전결과를 나타낸다. 시험조건은 20m 길이의 가이드웨이를 축소형 하이퍼튜브 차량이 왕복
운전하는 것이며, 실험결과 파형은 위로부터 축소차량의 인버터 U상 전류 $i_{U}$, 이동속도 $V_{V}$, 차량 가속도 $A_{V}$, 소배전력
P(W), 역률 $\lambda$ 와 인버터 U상 출력 상전압 $V_{an}$를 나타낸다. 실험 결과로부터 해당 5레벨 CHB-MLI에 의해 추진되는
차량은 최대 가속도 1.8$m/s^{2}$, 최대 속도 4m/s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소형 하이퍼튜브 차량이 원활한 가·감속 및 정역 운전이
가능한 것을 볼 때 본 논문에서 설계한 5레벨 CHB-MLI는 6대의 풀-브리지 인버터에 의해 기존 단일 유닛의 3상 인버터와 같은 운전특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설계한 인버터 토플로지는 하이퍼튜브와 같은 고전압 대용량 추진시스템 응용분야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4.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장치 운전결과
Fig. 14. Driving test results of the miniature HyperTube test-bed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1,200km/h급 초고속 육상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를 위한 추진용 CHB-MLI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하이퍼튜브와 같은 대용량 시스템은
전력변환효율이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이므로 해당 시스템의 전력손실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부하조건에서 2레벨 인버터, 3레벨 인버터와 5레벨
CHB-MLI에 대하여 전력변환기의 전력변환손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본 논문에서 고려한 CHB-MLI가 동일 용량의
부하에 대하여 전력변환 효율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축소형 하이퍼튜브 시험세트를 제작하여, 축소형 하이퍼튜브 차량의 정역운전을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로부터 하이퍼튜브용 CHB-MLI와 같이 여러
대의 단상 풀-브리지 인버터로 구성된 3상 인버터가 하나의 3상 인버터와 같은 운전특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설계한 인버터
토플로지는 하이퍼튜브와 같은 고전압 대용량 추진시스템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1,500kg급 초전도 자석기반 축소형 하이퍼튜브
차량과 2MW급 인버터를 제작하여 120m의 시험선에서 주행성능시험을 수행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빅 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E. Musk, Aug 2013, Hyperloop alpha, Available at: https://tesla.com/sites/default/files/blog_attachments/hyperloop_alpha3.pdf
R. Hellinger, T. Mazur, J. Nothhaft, Stationary Component of the Long-Stator Propulsion
System for High-Speed Maglev Systems, Revue de l’eletron., No. 9/98, pp. 57-66
Jacek F. Gieras, Zbigniew J. Piech, 2000, Linear Synchronous Motors: Transportation
and Automation Systems, CRC Press, pp. 200-203
J. Rodriguez, J.-S. Lai, F. Z. Peng, Aug 2002, Multilevel inverters: A survey of topologies,
controls, and application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49, No. 4, pp. 724-738
J. Holtz, 1977, Self-commutated three-phase inverters with staircase voltage waveforms
for high-power applications at low switching frequency, Siemens Res. Dev. Rep., Vol.
6, No. 3, pp. 164-171
Haitham Abu-Rub, Jose Rodriguez, Aug 2010, Medium-Voltage Multi- level Converters-State
of the Art, Challenges, and Require- ments in Industrial Application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7, No. 8
E. Villanueva, P. Correa, J. Rodriguez, M. Pacas, Nov 2009, Control of a single-phase
cascad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 for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6, No. 11, pp. 4399-4406
F. Khoucha, M. S. Lagoun, A. Kheloui, M. E. H. Benbouzid, Mar 2011, A comparison of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three-phase H-bridge multilevel inverter for DTC induction
motor drives,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26, No. 1, pp. 64-72
M. Hamzeh, A. Ghazanfari, H. Mokhtari, H. Karimi, Sep 2013, Integrating hybrid power
sources into an islanded MV microgrid using CHB multilevel inverter under unbalanced
and nonlinear load conditions,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28, No. 3, pp. 643-651
S. A. Khajehoddin, A. Bakhshai, P. K. Jain, Sep 2008, A simple voltage balancing scheme
for m-level diode-clamped multi- level converters based on a generalized current flow
model,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3, No. 5, pp. 2248-2259
A. Nami, F. Zare, G. Ledwich, A. Ghosh, F. Blaabjerg, 2008, Comparison betwee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single phase multilevel inverter with diode-clamped topology, in
Proc. 2008 IEEE Power Electron. Spec. Conf., pp. 2921-2926
H. Sepahvand, K. A. Corzine, M. Ferdowsi, M. Khazraei, Feb. 2012, Active capacitor
voltage balancing in single-phase flying- capacitor multilevel power converter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9, No. 2, pp. 769-778
A. Khoshkbar-Sadigh, V. Dargabi, K. Corzine, Sep 2016, New flying-capacitorbased multilevel
converter with optimized number of switches and capacitors for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31, No. 3, pp. 846-859
N. Celanovic, D. Borojevic, Mar 2002, A comprehensive study of neutral point voltage
balancing problem in three level neutral point clamped voltage source PWM inverter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15, No. 2, pp. 242-249
K. Yamanaka, A. M. Hava, H. Kirino, Y. Tanaka, N. Koga, T. Kume, Nov/Dec 2002, A novel
neutral point potential stabilization technique using the information of output current
polarities and voltage vector, IEEE Trans. Ind. Appli., Vol. 38, No. 6, pp. 1572-1580
Lei Wang, Q. H. Wu, Wenhu Tang, Dec 2017, Novel Cascaded Switched-Diode Multilevel
Inverter for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IEEE Trans. Energy Conv., Vol. 32, No.
4
P. Hammond, Jan/Feb 1997, A new approach to enhance power quality for medium voltage
ac drives, IEEE Trans. Ind. Appli., Vol. 33, pp. 202-208
Jose Rodriguez, Jih-Sheng Lai, Fang Zheng Peng, Aug 2002, Multilevel Inverters:
A Survey of Topologies, Controls, and Application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49, No. 4
저자소개
1999년 명지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석사).
2004년 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공학박사).
2007∼2009 현대로템 전장품개발팀 과장.
2009∼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관심분야 : 전력전자 및 자기부상제어
1993년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5년 건국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석사).
1995∼2016년 현대중공업 전기기기 R&D센터 책임연구원.
2017∼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수연구원
관심분야 : 추진제어시스템 및 전력전자
2016년 건국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석사).
2016∼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교통혁신본부 하이퍼튜브연구팀 석사 후 연수연구원
관심분야 : 전력전자시스템
2011년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6년 KAIST 대학원 핵전력전자(석·박사 통합과정).
2017∼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관심분야 :전원장치 및 무선전력전송
1995년 부산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석사).
2012년 연세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공학박사).
2006∼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철도응용 초전도 기술
1995년 KAIST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
2003년 모스크바 국립 바우만 공과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공학박사).
1996∼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관심분야 : 고정밀 계측제어, 초고속운송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