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ESS 부하시험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부하시험 방안 및 운용 전략
기존의 비상발전기 부하시험 방법은 그림 2와 같이 저항(R)부하로 구성된 부하장치(load bank)를 사용하여 시험하고 있다. 비상발전기를 일반적인 Load Bank를 이용하여 시험하면,
기동 시 급격하게 전류가 상승하는 소방설비부하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생산된 전력을 열로 소진하여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도성(L)부하가 적용 된 부하장치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고가인 관계로 연구용으로 일부 사용하고 있다. 또한, 그림 3과 같이 수변전설비에 PCS(power conversion system)를 연결하여 비상발전기를 부하시험 할 수 있는 방법(back-to-back
system)을 생각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현장에는 Back-to-Back PCS를 수변전설비에 연결 할 예비용 대용량 차단기가 없어 상용전원을
차단하여야 하고, 비상발전기 시험 시 사고발생에 대한 보호협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림. 2. 로드뱅크를 이용한 비상발전기의 부하시험 방법
Fig. 2. Load test method of emergency generator with load bank
그림. 3. Back-to-Back PCS를 이용한 비상발전기의 부하시험방법
Fig. 3. Load test method of emergency generator with back-to-back PCS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전에 따른 2차 피해발생 우려가 없도록 비상용부하의 전원용량과 특성에 부합하는 ESS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의 차단 없이 비상발전기의 성능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부하시험 방안을 그림 4와 같이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비상발전기에 전기저장장치를 연계하여, 비상용부하의 동작특성과 동일하게 ESS가 충전동작을 수행함으로서 비상발전기의 성능
및 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에서 제시한 ESS 부하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면 그림 5와 같다. 여기서, 소방설비부하의 급격한 기동전류 상승에 따른 역률 하강은 PCS의 무효전력 제어기능에 의하여 보상하고, 리튬이온전지는 비상용부하의
역할을 수행하며, 계측장치에 의해 비상발전기의 성능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ESS 부하시험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부하시험
Fig. 4. Load test method of emergency generator with ESS
그림. 5. ESS를 이용한 비상발전기의 부하시험장치 구성도
Fig. 5. Configuration of load test device with ESS
3.2 ESS 부하시험장치의 운용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 제안한 비상발전기의 현장부하시험 방안을 바탕으로, 비상용부하의 동작특성과 동일하게 ESS가 충전동작을 수행함으로서, 비상발전기의 성능
및 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ESS 부하시험장치의 운용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STEP 1] 비상발전기 용량계산서를 바탕으로 비상용부하를 기동용량이 가장 큰 소방용 유도전동기 부하[제연팬($S_{fan}$) 또는 펌프($S_{pump}$)]와
일반설비부하($S_{emg}$)로 구분하고, 식(1)과 식(2)를 이용하여 전체 비상용부하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구한 후, 비상용부하의 전체 정격용량($S_{T otal}$)을 식(3)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비상발전기의 최종 출력은 제조사의 데이터시트를 바탕으로 각 비상용부하의 운용효율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S_{T otal}$ : 비상용부하의 전체 정격용량[kVA], $P_{T otal}$ : 비상용부하의 전체 유효전력[kW], $Q_{T
otal}$ : 비상용부하의 전체 무효전력[kVar], $\eta_{i,\:j,\:k}$ : 비상용부하의 운용효율[%](전등, 전열: 100%,
펌프: 80~90%)
[STEP 2] 비상용부하 중 기동 시 급격한 전류 증가로 역률이 하강하여 피상전력이 커지는 소방 제연팬($S_{st,\: fan}$)과 펌프($S_{st,\:
pump}$)는 기동방식에 따라 직입기동은 정격용량(kW)의 일정배수(7.2)를 적용하고, Y-D 기동의 경우에는 직입기동용량에 기동계수($C$)를
곱하여 기동 시의 부하용량(kVA)을 식(4)와 식(5)에 따라 산정한다.
여기서, $S_{st}$ : 기동 시의 피상전력[kVA], $\beta$ : 소방설비부하 용량 1kW 당의 기동 kVA(7.2), $C$ : 기동계수(직입기동
: 1.0, Y-D 기동 : 0.667)
[STEP 3] 비상용부하의 투입시간은 일반설비부하($t_{emg}=0$)를 시작으로 소방 제연팬($t_{fan}=5$)은 5초, 펌프($t_{pump}=10$)는
10초 순으로 투입한다. 또한 소방설비부하의 기동시간($T_{st}$)은 식(6)에 따라 산정하고(8), 용량이 크고 가장 긴 기동 지속시간을 갖는 제연팬($T_{st,\: fan}$) 및 펌프($T_{st,\: pump}$)를 선정하여 식(7)과 식(8)에 따라 적용한다.
여기서, $GD^{2}$ : [전동기($m$)의 $GD^{2}$] + [전동기 축으로 환산한 부하($l$)의 $GD^{2}$][$kg\bullet
m^{2}$], $Ta$ : 가속 토크 [$kg\bullet m$], $Nm$ : 회전속도[$rpm$], $Tm$ : 모터 토크 [$kg\bullet
m$], $Tla$ : 펌프(팬)부하 토크[$kg\bullet m$]
[STEP 4] ESS 부하시험장치의 부하운전시간($S_{test}(t)$)은 일반설비부하 투입($0\le t<t_{fan}$)을 시작으로 소방 제연팬의
기동시간($t_{fan}\le t<t_{fan}+T_{st,\: fan}$) 및 안정화시간($t_{fan}+T_{st,\: fan}\le t$$<t_{pump}$),
소방펌프의 기동시간($t_{pump}\le t$ $<t_{pump}+T_{st,\: pump}$) 및 안정화시간 ($t_{pump}+T_{st,\:
pump}\le t<$$t_{\max}$) 순으로 적용한다. 또한, 부하운전에 따라 투입되는 비상용부하의 용량은 기동특성을 고려하여 무효전력과 유효전력으로
구분하고 식(9)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또한, 상기에서 산정한 부하시험장치의 시간대별 부하운전 운용 패턴을 타임차트로 나타내면 그림 6과 같다. 한편, 비상용부하의 최대운전시간($t_{\max}$)은 소방관련법규에 따라 건축물의 층수가 29층까지는 20분, 30층~49층까지는 40분,
50층 이상은 60분을 적용한다.
그림. 6. ESS 부하시험장치의 부하운전 운용 패턴
Fig. 6. Operation patterns of ESS load test device
[STEP 5] 현장부하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STEP 4]의 ESS 부하시험장치 운용 패턴에 따라 산정된 용량을 만족하는 적절한 PCS와
배터리를 선정한다.
[STEP 6] ESS 부하시험장치의 운용 시간($t$)을 초기 값으로 설정하고, [Step 4]에서 산정한 부하운전시험 운용 패턴에 따라 부하시험을
수행한다. 또한, 비상발전기로부터 ESS 부하시험장치에 공급되는 전압($97.5%<V_{ESS}$$<102.5%$)과 주파수($95%<f_{ESS}$$<105%$)가
각각의 운전범위를 만족하고, 운용 시간이 설정한 최대시간($t_{\max}$)에 도달하면 운전 적합으로 판정한다. 한편,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 주파수가 운전범위를 만족하지 못하거나, 운용 최대시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3회까지 재시험을 실시하여 적ㆍ부를 판정하고 시험을 종료한다.
상기 비상발전기의 현장부하시험을 위한 ESS 부하시험장치의 운용 알고리즘을 플로차트로 나타내면 그림 7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