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Distributed Generation, Fault Ride Through, Hilbert-Transform, Microgrid, Protective Coordination

1. 서 론

최근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으로 인해 국내 배전계통 내에 분산전원 침투율이 증가하고 있다(1). 그에 따라 높은 침투율의 분산전원을 수용하기 위한 차세대 전력계통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가 각광받고 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여러 개의 분산전원, 에너지 저장 시스템, 민감 및 비민감 부하, 통신 설비, 스마트 스위치,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형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 소규모 전원 공급 시스템이다(2,3). 마이크로그리드는 기존의 배전계통의 전력 신뢰성, 품질, 안정성 및 보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그리드 내에서는 분산전원의 존재로 인하여 전력조류 제어의 어려움, 고장발생 시 고장파급력 상승, 보호기기의 오동작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4). 또한, 마이크로그리드는 평상시 계통연계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위계통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위계통과의 연계를 끊은 상태에서 독립운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그리드는 상위계통의 상황과의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제거 이후에 상위계통에 빠르게 투입되어 계통 안정도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그리드는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 모드에서 발생하는 고장전류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두 개의 마이크로그리드 모드 조건에서 발생한 동일한 위치의 고장이라 하더라도 보호기기들의 동작시간은 상이하며, 두 모드를 모두 만족시키는 적절한 보호협조 체계를 설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현재 많은 문헌들에서 계통연계 모드 정정치와 관련된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FRT가 고려된 독립운전 모드와 계통연계 모드의 적용 가능한 적응형 계전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5). 기존 논문에서는 FRT와 고장한류기를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 모드를 구별하고 보호협조를 제시하였다(6). 또한, 독립운전 시 기존의 과전류 보호 방법의 오동작을 해결하기 위해 인버터의 제어와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계전기를 통해 보호협조 방법을 제시하였다(7).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와는 다르게 신호처리기법인 Hilbert-Transform을 통해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모드를 판별해 계통의 새로운 보호협조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분산전원 연계량의 증가로 외란 발생 시 분산전원의 배전계통에 대한 기여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외란 시 분산전원의 연계를 일정시간 유지하며 무효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Fault Ride Through (FRT)를 도입하였다(8). FRT는 외란도중에도 일정시간동안 연계를 유지함으로써 계통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고장제거 이후에도 계통을 빠르게 복구시키는데 기여하므로 계통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배전계통에서는 FRT 규정이 아직 도입되지 않은 상황이다. 향후 분산전원의 침투율이 높아짐에 따라 계통 안정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규모 분산전원의 트립을 방지하기 위한 FRT의 도입과 국내 배전계통의 독립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그리드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새로운 계통환경을 도입하기에 앞서 계통환경이 가져올 보호문제들과 그에 대한 대책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8,9).

본 논문에서는 FRT 규정이 도입되지 않은 국내 배전계통에 FRT 기능이 새롭게 적용될 경우 보호협조 체계에 미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 역시 제안한다. 또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전모드를 신호처리기법인 Hilbert-Transform (HT)을 활용하여 판단하고 각 운전모드에 맞는 정정값으로 보호기기를 동작시키는 적응형 이중 정정방법을 제시하였고, 제안하였다. 방법은 모두 전력계통 과도현상 해석 프로그램인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EMTP)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2. 배전계통 보호의 개념

2.1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배전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계전기인 주보호 계전기가 우선적으로 동작을 해야 한다. 만약 주보호 계전기가 동작 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으로 가까운 계전기인 후비보호 계전기가 일정시간의 지연이후 동작하여 고장 구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계전기 정정치는 주보호와 후비보호 간 동작시간 간격인 Coordination Time Interval (CTI)이 유지되도록 조정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배전계통 보호협조 규정에 따라 변전소 과전류 계전기와 리클로저 간의 CTI는 0.05초, 리클로저 간의 CTI는 0.045초로 설정을 하였다. 국내 배전계통 보호협조 규정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국내 배전계통 내 각 보호기기 간의 최소 CTI

Table 1. Minimum CTI between protective devices in Korean distribution system

주보호 계전기

후비보호 계전기

CTI [s]

리클로저

변전소 과전류 계전기

0.05

리클로저

리클로저

0.045

고객 차단기

리클로저

0.166

2.2 국내 배전계통

보호기기의 특성곡선은 크게 2가지의 규정을 통해 구분된다.

1)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본 논문에서는 상기 규정 중 IEC 60255-3 표준을 사용했으며, IEC 60255-3 표준의 보호기기 동작시간은 아래의 식과 같다(10).

(1)
$t_{op}=TDS\times\dfrac{A}{\left(\dfrac{I_{fault}}{I_{pickup}}\right)^{B}-1}$

(2)
$I_{{pickup}}=I_{Load}\times 1.5$

여기서, $t_{op}$는 동작시간, $TDS$는 TIme Dial Setting, 즉 보호계전기에서 조정 가능한 시간지연, $I_{fault}$는 고장전류, $I_{pickup}$은 동작전류, A 와 B는 계전기 특성 곡선을 결정하는 상수이다. 일반적으로 동작전류는 최대 부하전류보다는 크게, 최소 고장전류보다는 작게 설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최대 부하전류의 1.2∼1.5배로 설정하며, 본 논문에서는 1.5배로 설정하였다. 현재 IEC 60255에서 사용하는 상수 A와 B의 값은 표 2와 같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배전계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반한시 특성곡선을 시험계통의 보호기기 특성곡선으로 선택하였다(11).

표 2. IEC60255 반한시 곡선의 계전기 특성 상수 값

Table 2. Relay characteristic constant of inverse curve in IEC60255

종류별 계전기 특성곡선

A

B

정반한시

0.14

0.02

강반한시

13.5

1

초반한시

80

2

3. 제안하는 적응형 이중 계전기 정정 방법

3.1 Fault Ride Through

현재 우리나라 전기설비 이용규정에 따르면 배전계통에 연계된 분산전원은 계통 고장 발생 시 즉각적으로 가압을 중지해야 한다 (12). 하지만 분산전원의 연계량이 증가할수록 분산전원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고 외란도중 분산전원의 대규모 분리는 계통 안정도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 배전계통에서 외란 도중에도 일정시간 이상 연계를 유지하며 무효전력을 계통에 공급하는 FRT 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 실제로 현재 세계 각국은 분산전원의 FRT 규정을 도입하였으며, 그림 1은 독일의 FRT 규정이다(8).

여기서 X축은 고장 발생시 고장지속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공통접속점(Point of Common Coupling, PCC)의 $V/V_{rated}$를 의미한다. A 영역은 분산전원이 반드시 계통연계를 유지해야 하는 영역이다. B 영역은 운영자의 허가 하에서 분산전원의 짧은 분리가 허용되는 영역이고, C 영역은 B 영역보다 더 긴 분리 허용 영역이다. 마지막으로 D 영역은 심각한 저전압으로 인해 연계유지에 대한 필요가 없는 상태이다.

그림. 1. 독일의 FRT 규정

Fig. 1. FRT requirement of Germany

../../Resources/kiee/KIEE.2020.69.5.657/fig1.png

3.2 Hilbert-Transform (HT)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 모드를 구별하기 위해 신호처리기법인 Hilbert Transform (HT)을 사용했다. HT는 실수 신호를 복소수 차원으로 확장을 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는 중요한 신호 처리 기법이다 (13). 또한, 이산적인 신호를 추출하여 여러 가지의 수치들의 비교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최솟값, 최댓값, 실효치, 에너지, 표준 편차, Entropy 등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HT를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 모드 판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Intrinsic Mode Functions (IMF) 계산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i) 계통 데이터에서 실효치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준비한다.

ii) 실효치의 평균값 $A(t)$와 Fast Fourier Transform의 신호 $X(t)$의 차이를 이용하여 HT의 첫 번째 입력 요소 ($I_{1}$)을 계산한다.

(3)
$I_{1}=X(t)-A(t)$

iii) 입력 데이터 길이 n에 맞추어 앞선 방법을 반복하여, $I_{1n}(t)$는 IMF가 된다.

IMF는 순간 주파수를 얻기 위해 식(4)와 같이 HT를 통해 추가로 계산된다. 이렇게 계산된 IMF는 분석을 위해 식(5)-(8)과 같이 다양한 함수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3).

(4)
$I_{1}=X(t)-A(t)$

(5)
$Z(t)=I_{1}(t)+i H[I_{1}(t)]$

(6)
$B(t)=[I_{1}(t)^{2}+H^{2}[I_{1}(t)]]^{\dfrac{1}{2}}$

(7)
$w(t)=\dfrac{1}{2\pi}*\tan^{-1}\left[\dfrac{H[I_{1}(t)]}{I_{1}(t)}\right]$

(8)
$Energy(t)=B(t)\times t$

여기서, $Z(t)$는 $I_{1}(t)$에 대한 HT의 분석 신호, $B(t)$는 HT의 순시 크기, $w(t)$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크기 함수에 시간 t를 곱하여 에너지함수인 식(8)을 계산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에너지의 변동을 통해서 독립운전 모드와 계통연계 모드로 구분 할 수 있다.

현재 계전기는 저장되어 있는 정정치를 이용해 보호협조를 진행한다. 따라서 계통의 운영모드가 바뀌면 계전기의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운영모드에 맞는 계전기의 적응형 이중 정정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모드 판별을 위해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다음 그림 2와 같다. 고장이 발생하면 Fourier 신호가 HT를 통해 에너지의 변동을 감지하게 된다. 에너지의 양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계통연계 모드이고, 임계값을 초과하면 독립운전으로 판별하는 알고리즘이다. 그 후, 최소 CTI를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정치가 판별된 마이크로그리드 모드에 따라 적용하게 되며, 적용되는 정정치 값은 FRT를 고려한 값이다.

그림. 2. 제안하는 방법의 순서도

Fig. 2. Flowchart of proposed method

../../Resources/kiee/KIEE.2020.69.5.657/fig2.png

4. 시뮬레이션 및 결과 검토

그림 3은 EMTP를 이용하여 22.9kV, 60MVA 국내 특정지역의 실제 배전계통을 구현한 계통도이다. 모의 계통도의 모선 16, 17, 18에 각각 3MVA의 분산전원을 연계하였다. 모의계통을 대상으로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래의 3가지 시뮬레이션 Case를 모의하였다. 각 시뮬레이션 Case 조건에서 보호기기의 보호협조 위반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그림 3의 F1, F2, F3 위치에 3상 단락고장을 모의하였으며 이때 각 보호기기의 동작시간은 식(1)을 통해 계산하였다. 또한, 각 보호기기는 R1을 변전소 과전류 계전기, R2, R3, R4를 리클로저로 선정하였다.

- Case 1 : FRT 규정이 도입되지 않은 기존의 국내 배전계통

- Case 2 : FRT 규정이 도입된 국내 배전계통 (계통연계모드)

- Case 3 : FRT 규정이 도입된 국내 배전계통 (독립운전모드)

그림. 3. 국내 배전계통의 모의 계통도

Fig. 3. Simulation circuit diagram of the Korean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5.657/fig3.png

4.1 Case 1

표 3. Case 1 조건에서의 정정치 및 동작시간

Table 3. Setting value and operation time in case 1

고장 위치

Relay

TDS

$I_{pickup}[A]$

$I_{fault}[A]$

$t_{op}[s]$

CTI [s]

F1

주 (R4)

1

94

3936.7

0.33

0.045

후비 (R3)

0.409

251

3943.7

0.375

F2

주 (R3)

0.409

251

4340.8

0.339

0.045

후비 (R2)

0.264

423

4346.3

0.384

F3

주 (R2)

0.264

423

4963.6

0.332

0.05

후비 (R1)

0.343

494

4972

0.382

Case 1은 기존의 FRT 규정이 도입되지 않은 국내 모의 배전계통에 대한 경우이다. 따라서 분산전원이 고장 발생 직후 분리가 되어 고장전류에 어떠한 기여도 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보호기기의 정정치 역시 기존 국내 배전계통 조건에 맞게 설정을 가정하였다. 표 3은 기존의 국내 배전계통의 변전소 과전류 계전기와 리클로저의 동작전류, 고장전류, 동작시간, TDS와 CTI 값을 보여준다. 표 1의 국내 배전계통 내 각 보호기기의 최소 CTI를 참고하여 F1 고장위치에 대하여 주 보호인 R4와 후비 보호인 R3 사이의 CTI가 0.045초로 성립하도록 계전기의 정정치를 설정하였다. F3의 고장 상황에서는 변전소 과전류 계전기와 리클로저 간의 CTI가 0.05초로 만족함을 보인다.

4.2 Case 2

Case 2에서는 기존 국내 모의 배전계통에 FRT 규정이 도입되었을 때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Case 1과 달리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분산전원은 즉각적인 분리를 하지 않고 연계를 유지하며 계통에 고장전류를 기여한다. 이 경우 Case 1에서 계산된 계전기의 정정치가 그대로 적용될 경우 보호기기 사이의 보호협조가 위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표 4는 Case 1에서 계산된 계전기의 정정치가 동일하게 Case 2의 보호기기에 설정되었을 때의 결과이다. CTI가 각각 0.067, 0.068, 0.053초로 국내 규정에 명시된 값보다 크다. CTI가 더 크게 검출된 경우는 불필요하게 동작시간이 지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FRT 기능을 활용해서 분산전원이 고장전류에 기여한 배전계통에 맞는 TDS를 적용하여 고장 위치에 따라 0.05초와 0.045초의 최적의 CTI를 도출하였다. FRT 규정을 고려한 국내 배전계통의 정정치는 계통연계모드의 정정치로 적용이 가능하다. 표 5는 Case 2 조건에서의 계전기 정정치이다.

표 4. Case 1의 FRT를 고려한 정정치 및 동작시간

Table 4. Setting value and operation time in case 1 considering FRT

고장 위치

Relay

TDS

$I_{pickup}[A]$

$I_{fault}[A]$

$t_{op}[s]$

CTI [s]

F1

주 (R4)

1

94

4005.5

0.324

0.067

후비 (R3)

0.409

251

3795.8

0.391

F2

주 (R3)

0.409

251

4213.5

0.35

0.068

후비 (R2)

0.264

423

4028.9

0.418

F3

주 (R2)

0.264

423

4647.3

0.357

0.053

후비 (R1)

0.256

494

4655.8

0.410

표 5. Case 2 조건에서의 정정치 및 동작시간

Table 5. Setting value and operation time in case 2

고장 위치

Relay

TDS

$I_{pickup}[A]$

$I_{fault}[A]$

$t_{op}[s]$

CTI [s]

F1

주 (R4)

1

94

4005.5

0.324

0.045

후비 (R3)

0.386

251

3795.8

0.369

F2

주 (R3)

0.386

251

4213.5

0.33

0.045

후비 (R2)

0.237

423

4028.9

0.375

F3

주 (R2)

0.237

423

4647.3

0.32

0.05

후비 (R1)

0.33

494

4655.8

0.37

4.3 Case 3

Case 3에서는 계통연계 모드의 정정치를 독립운전 모드에 적용 했을 때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을 판별하기 위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인 HT를 사용했다. 그림 4는 모의 배전계통을 식(8)을 통해 수행한 결과이며, 본 논문에서는 임계값을 0.3MWh로 설정하여 계통의 전력량의 차이를 통한 운영모드를 판별하였다. 그림 5는 기존 연계 모드의 정정치를 독립운전에 적용한 결과 최소 협조 시간이 주 보호와 후비 보호의 개념이 뒤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독립운전 모드에서도 최적의 CTI인 0.045초와 0.05초를 도출하기 위해 변경된 TDS를 표 6에 나타냈다. 그림 6은 최종적으로 독립운전 모드에서도 CTI가 만족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모드를 판별 가능하고 계전기 설정치를 설정하면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 모드에서 적응형 이중 계전기의 최적의 보호협조가 동작한다.

그림. 4. (a) 계통연계 모드의 에너지, (b) 독립운전 모드의 에너지

Fig. 4. (a) Energy of grid-connected mode, (b) Energy of islanded mode

../../Resources/kiee/KIEE.2020.69.5.657/fig4.png

그림. 5. 기존 계전기 정정치를 적용한 독립운전 모드의 CTI

Fig. 5. Islanded mode of applying the existing relay setting value

../../Resources/kiee/KIEE.2020.69.5.657/fig5.png

그림. 6. 독립운전 모드의 적응형 계전기 CTI

Fig. 6. Adaptive relay CTI of islanded mode

../../Resources/kiee/KIEE.2020.69.5.657/fig6.png

5. 결 론

배전계통에 대한 분산전원의 연계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외란 도중 분산전원의 계통에 대한 기여가 증가하고 있다. 분산전원에 의한 기여는 전력조류 제어의 어려움, 고장파급력 상승, 보호기기 오동작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 국가에서는 외란동안 분산전원이 일정시간동안 연계를 유지하는 FRT 규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배전계통에서는 FRT 규정을 도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FRT 규정 도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실제 국내 배전계통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마이크로그리드는 국내 정책, 신재생 발전원의 증가로 인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두 가지 모드인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 모드가 존재한다. 두 모드에서 고장 전류의 크기는 차이가 발생하며 고장 전류 크기의 차이는 보호계전기의 오동작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향후 마이크로그리드가 확산됨에 따라서 국내 배전계통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중으로 설정가능한 적응형 계전기의 방법론이 필요하다.

표 6. Case 3 조건에서의 정정치 및 동작시간

Table 6. Setting value and operation time in case 3

고장 위치

Relay

$t_{op}$ [s]

CTI [s]

기존 계전기 설정치

F1

주 (R4)

7.978

-2.748

후비 (R3)

5.23

F2

주 (R3)

5.23

-5.1

후비 (R2)

0.13

F3

주 (R2)

0.13

-0.12

후비 (R1)

0.01

제안하는 적응형 계전기 설정치

F1

주 (R4)

0.239

0.045

후비 (R3)

0.284

F2

주 (R3)

0.284

0.045

후비 (R2)

0.329

F3

주 (R2)

0.329

0.05

후비 (R1)

0.379

제안하는 TDS

R1

R2

R3

R4

0.035

0.04

0.028

0.236

본 논문은 FRT 규정과 마이크로그리드의 두 가지 모드를 고려하여서 적응형 계전기의 정정치의 설정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FRT 기능을 고려하여 국내 배전계통에서 도입의 필요성을 보였고, FRT를 고려한 계전기의 정정치를 HT를 이용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통연계 모드와 독립운전 모드를 구별하였으며, 독립운전 시 새로운 계전기의 정정치를 통하여 국내 배전계통에 적용 가능한 적응형 이중 계전기 정정치를 EMTP를 통해 입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h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P) (No. 2018R1A2A1A05078680). This work has supported by “Human Resources Program in Energy Technology”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ed financial resource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 (No. 20184030202190).

References

1 
Hun-Tae Kim ;Seong-Su Jhang, Feb 2018, Key Technologies for Stabilization of Power System for Successful Achievement of 3020 Renewable Energy Polic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2, pp. 149-157DOI
2 
R. H. Lasseter, 2002, Microgrids, in 2002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Winter Meeting Conference Proceedings (Cat. No.02CH37309), Vol. , No. , pp. 305-308DOI
3 
Teke Gush, Syed Basit Ali Bukhari, Raza Haider, Samuel Admasie, Yun-Sik Oh, Gyu-Jung Cho, Chul-Hwan Kim, Nov 2018, Fault detection and location in a microgrid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and recursive least square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102, pp. 324-331DOI
4 
Ji-Soo Kim, Gyu-Jung Cho, Jin-Sol Song, Jae-Yun Shin, Dong-Hyun Kim, Chul-Hwan Kim, Nov 2018, Development of Protection Method for Power System interconnected with Distributed Generation using Distance Relay,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13, No. 6, pp. 2196-2202Google Search
5 
Meng Yen Shih, Arturo Conde, Luigi Martirano, Nov 2017, An Adaptive Overcurrent Coordination Scheme to Improve Relay Sensitivity and Overcome Drawbacks due to Distributed Generation in Smart Grid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3, No. 6, pp. 5217-5228DOI
6 
Huiwen He, Lei Chen, Ting Yin, Zhaojun Cao, Jun Yang, Xiude Tu, Li Ren, Aug 2016, Application of a SFCL for Fault Ride-Through Capability Enhancement of DG in a Microgrid System and Relay Protection Coordinatio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26, No. 7, pp. 1-8DOI
7 
Zhi Chen, Xuejun Pei, Min Yang, Li Peng, Puxin Shi, Sep 2018, A Novel Protection Scheme for Inverter-Interfaced Microgrid (IIM) Operated in Islanded Mode,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9, pp. 7684-7697DOI
8 
Jin-Sol Song, Gyu-Jung Cho, Ji-Soo Kim, Jae-Yun Shin, Dhong-Hyun Kim, Chul-Hwan Kim, Aug 2018, A Study on the Optimal Setting Method of Directional Overcurrent Relay considering Fault Ride Through of Distributed Gener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8, pp. 1002-1008DOI
9 
Ali Hooshyar, Reza Iravani, Jul 2017, Microgrid Protection, IEEE, Vol. 105, No. 7DOI
10 
Jun 1989, Electrical Relays – Part 3: Single Input Energizing Quantity Measuring Relays with Dependent or Independent Time, IEC 60255-3:1989Google Search
11 
Ji-Soo Kim, Gyu-Jung Cho, Jin-Sol Song, Chul-Hwan Kim, Nam-Hoon Cho, Mar 2019, A Study on the Protection Coordination of Korean Distribution System using IEC Curve, in 2019 IEEE PES GTD Asia, pp. 460-465DOI
12 
KEPCO, 2017, Provision for the use of electrical equipment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Google Search
13 
Xiaodong Wang, Baoqing Li, Zhiwei Liu, Harry T. Roman, Onofrio L. Russo, Ken K. Chin, Kenneth R. Farmer, Jul 2006, Analysis of Partial Discharge Signal Using the Hilbert- Huang Transform,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21, No. 3, pp. 1063-1067DOI

저자소개

이우식 (Woo-Sik Lee)
../../Resources/kiee/KIEE.2020.69.5.657/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Energy and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8.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s program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 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and protective coordination.

김지수 (Ji-Soo Kim)
../../Resources/kiee/KIEE.2020.69.5.657/au2.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6.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 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wind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송진솔 (Jin-Sol Song)
../../Resources/kiee/KIEE.2020.69.5.657/au3.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lic of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and power system protection.

신광수 (Gwang-Su Shin)
../../Resources/kiee/KIEE.2020.69.5.657/au4.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Engineering, Kangwo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19.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power system protection and distributed generation.

김철환 (Chul-Hwan Kim)
../../Resources/kiee/KIEE.2020.69.5.657/au5.png

He received a B.S and M.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 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1982 and 1984, respectively.

He received a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1990.

In that same year, he joine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Republic of Korea as a full-time lecturer.

He was a visiting academic at the University of Bath, UK, in 1996, 1998, and 1999.

Since March 1992, he has been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otection and control, the modeling/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 and EMTP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