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알고리즘에 따라 판정된 고장선로 판정 결과 및 tie switch 동작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또한, tie switch
동작 이후 두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내었다. 고장선로 판정 그래프에서 1은 i 배전선로에서의 고장을 의미하며, 2는 j 배전선로에서의 고장을 의미한다.
tie switch 동작 그래프에서 1은 close 상태를 0은 open 상태를 의미한다.
그림 5는 Case 1과 2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두 경우 모두 결과가 1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i 배전선로 고장임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다.
Case 1의 경우 0.16초, case 2의 경우 0.166초에 고장선로 판정 결과가 나타났다.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case 2의 고장저항이 100Ω으로
고장저항이 Case 1보다 크기 때문에 고장발생을 탐지하는 threshold 값을 초과하는 시간이 느리기 때문이다.
그림. 5. Case 1과 2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
Fig. 5. Results of fault line judgement at case 1 and 2
그림 6은 Case 1과 2의 tie switch 동작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림 5에서 나타난 고장선로 판정과 같은 시간인 Case 1에서는 0.16초, case 2에서는 0.166초에 tie switch의 open 신호가 발생하였다.
이 신호가 전송되면, tie switch가 open 되고 전류 파형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림. 6. Case 1과 2의 tie switch 동작 신호 결과
Fig. 6. Operation signal of tie switch at case 1 and 2
그림 7과 8에서는 고장상인 A상의 전류를 나타내었다. 그림 7은 Case 1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i 배전선로의 경우 0.15초에 고장이 발생하고 그 이후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i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판별 되므로 보호계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구간에 가장 가까운 차단기인 그림 4에서 CBi1이 동작하게 되고 선로에 흐르는 전류는 0이 됨을 알 수 있다. j 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tie switch의 동작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7. Case 1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7.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1
그림 8은 Case 2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고장저항이 크기 때문에 고장전류가 그림 7보다는 작은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Case 1과 동일하게 i 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선로 판별 후 CBi1이 동작하여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되며, j 배전선로의 경우 tie switch의 open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과 8의 결과와는 달리 만약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기존의 단방향 배전계통의 보호 방식을 적용하였다면 j 배전선로에서는 기존의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되며 따라서 정전 구간 역시 확대될 것이다.
그림. 8. Case 2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8.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2
그림 9는 Case 9와 10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두 경우 모두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j 배전선로 (그래프에서 값은 2)의 고장으로
판별하였다. Case 9의 경우 0.16초, Case 10의 경우 0.174초에 고장선로 판정을 하였다. 이렇게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Case 9보다
Case 10에서 고장저항이 더 크기 때문에 고장전류가 threshold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간이 더 느리기 때문이다.
그림 10은 Case 9와 10의 tie switch 동작 그래프를 나타낸다. Case 9에서는 0.16초, Case 10에서는 0.174초에 tie switch의
open 신호가 발생하였다. 이 신호가 tie switch에 전송되고 tie switch는 open 동작을 수행한다.
그림. 9. Case 9와 10의 고장선로 판정 결과
Fig. 9. Results of fault line judgement at case 9 and 10
그림. 10. Case 9와 10의 tie switch 동작 신호 결과
Fig. 10. Operation signal of tie switch at case 9 and 10
그림 11과 12에서는 고장상인 A상의 전류를 나타내었다. 그림 11은 Case 9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i와 j 배전선로의 경우 0.15초에 고장이 발생한 후 큰 고장전류를 보이고 있다. 그 이후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j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판별된다. 따라서, j 배전선로에서는 고장위치에 가장 가까운 CBj2 차단기가 open 되어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 이후 앞단에 부하가 존재하므로 앞단의 부하에는 정상전류가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tie switch의 동작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12는 Case 10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를 나타낸다. 고장저항의 차이로 인하여 0.15초에 고장 발생 이후 고장전류가 그림 11보다는 작은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고장이 발생한 j 배전선로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선로 판별 후 CBj2가 동작하여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i 배전선로의 경우 tie switch의 open 이후 정상전류가 다시 흐르게 된다.
그림 11과 12의 결과와는 달리 만약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기존의 단방향 배전계통의 보호 방식을 적용하였다면 i 배전선로에서는 기존의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되며 따라서 정전 구간 역시 확대될 것이다.
그림. 11. Case 9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11.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9
그림. 12. Case 10에서 i와 j 배전선로의 전류파형
Fig. 12. Current waveforms of i and j distribution line at case 10
표 2.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2. Simulation results
Case
|
고장선로 판정결과
|
tie switch 동작 시간
|
Case 1
|
1
|
0.16초
|
Case 2
|
1
|
0.166초
|
Case 3
|
1
|
0.16초
|
Case 4
|
1
|
0.1664초
|
Case 5
|
1
|
0.16초
|
Case 6
|
1
|
0.1682초
|
Case 7
|
2
|
0.16초
|
Case 8
|
2
|
0.1679초
|
Case 9
|
2
|
0.16초
|
Case 10
|
2
|
0.1695초
|
Case 11
|
2
|
0.16초
|
Case 12
|
2
|
0.1758초
|
위와 같이 대표적인 case에 대하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전체 시뮬레이션 case에 대하여 결과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고장선로 판정결과 Case 1에서 6까지는 1의 결과를 나타내어 i 배전선로 고장임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다. Case 7에서 12까지는
2의 결과를 나타내어 j 배전선로 고장임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다. 고장저항이 1인 Case 1, 3, 5, 7, 9, 11에서는 고장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threshold 값 이상으로 증가한 후 고장선로를 판단하고 tie switch를 동작시키는 시간이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고장저항이 100인 경우를 보면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i 배전선로 고장 사례인 Case 2, 4, 6과 j 배전선로 고장
사례인 Case 8, 10, 12를 살펴보면 고장점이 전원에서 멀어질수록 tie switch 동작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고장거리가
전원에서 멀어질수록 전원에서부터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고장전류가 작아지므로 threshold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