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Korea.)



Electric Vehicle, Optimal Scheduling, Renewable Energy Forecasting, RNN-LSTM, MILP, DC Nanogrid

1. 서 론

최근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산 방안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이 중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를 활용한 V2G(Vehicle-to-Grid) 기술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 함께 여러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EV의 충전 및 방전의 효율을 늘리는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참고문헌 (3)은 전기 요금을 기준으로 EV 충전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EV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볼록 최적화(Convex optimization) 기법과 함께 제시한다. 참고문헌 (4)에서는 EV 소유자의 만족을 최대화하고 태양광 발전기(PV, Photovoltaic)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을 보유한 주차 스테이션의 운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EV의 충전 및 방전 스케줄링을 혼합 정수 선형 프로그래밍(MILP,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로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고문헌 (5)에서는 풍력 발전기(WT, Wind turbine), PV, 가스 터빈을 보유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안정화하기 위해 EV를 ESS처럼 활용하여 충전과 방전 스케줄링을 연구하였다. 최적화 기법에는 순차적 이차 프로그래밍(SQP,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을 사용하였다.

V2G 기술의 발전 가능성과 기대 효과는 이미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V2G 실증 단지를 운영을 통해 입증되었다. 국내의 경우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과 기초전력연구원에서의 V2G 실증과 같은 사례들이 있으며 현재 그 외에도 많은 기관에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6)(7). 하지만 국내의 경우 아직 EV와 V2G 기술을 사용하는 EV 소유주 대한 제도가 명확하게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EV의 양방향 전력전송을 적용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현행 제도 안에서 진행할 수 있는 V2G 비즈니스 모델에 집중하여 DC 나노그리드와의 최적 협조 제어를 할 수 있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DC 나노그리드는 AC 나노그리드와 비교하여 전력 수급에서 DC-AC-DC 전력 변환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등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산업용 배전 시스템, 통신 인프라 및 장거리에서의 지점간 송전(point-to-point transmission)에 사용되어 왔다 (8).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에서의 DC 나노그리드 모델은 EV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이 가능한 주차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물의 옥상에는 PV 발전기가 설치되어 낮 동안 풍부한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하루의 건물 부하 수요와 태양광 발전기의 출력은 딥러닝 예측 모델 중 하나인 RNN(Recurrent Neural Network)–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한다 (9).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건물의 소비 전력보다 큰 에너지 생산량을 EV의 충전에 우선으로 사용하며, 잉여전력을 계통에 판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최적화의 목적은 EV의 충전 및 방전과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통해 나노그리드의 총 운영 비용을 줄임으로써 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EV의 각 시간대에서 EV의 최적 충전 및 방전 전력의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EV의 충전 및 방전 권한을 갖는 대신 EV 소유자가 요청하는 최소 목표 충전 상태(SoC, State-of-Charge)를 충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참고문헌 (4)의 최적화 원리를 따르지만, 빌딩 나노그리드 운영자의 관점에서 최적화 알고리즘의 중점을 두고 최대의 PV 전력의 활용 방안을 고려한 운영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EV 배터리 간의 전력 교환을 제한하여 한 EV가 방전할 때 그 방전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EV가 충전할 수 없도록 한다. 제안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은 MILP를 사용하여 Matlab 환경에서 구현 및 시뮬레이션하였다.

2.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와 V2G 서비스

2.1 V2G와 충전 인프라

그림 1 V2G 시스템의 예시

Fig, 1 V2G system framework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png

EV는 전력 네트워크의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대기 오염뿐 아니라 화석 연료 부족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7)(10). EV를 신재생에너지와 통합된 전력 시스템의 에너지 저장 및 부하로서 적절히 사용한다면 친환경 에너지원 및 전력 수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11). 이와 관련하여 V2G 기술은 EV 배터리와 전력망 사이에서 양방향 전력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V2G를 통해 전력계통의 주파수 및 전압 조정, 피크 부하 절감, 예비력 확보,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간헐적 특성을 가진 신재생에너지를 위한 저장장치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12). 그림 1은 V2G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V2G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EV의 양방향 전력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 인프라의 구비가 필요하며, EV 배터리가 역전송이 가능한 충분한 전력량을 보유해야 한다. EV 충전 인프라는 EV의 충전에 필요한 고속 및 완속 충전기와 이동형 충전기 등을 사용하기 위한 충전기 보조 시설을 통합하여 일컫는다. 2020년 3월까지 집계된 국내 등록 전기자동차는 약 10만 대이며, 전기차 충전소는 가정용 충전기를 제외하고 한국전력공사, 환경부 등을 포함해 약 2만 3천기가 설치되었다 (13). 충전 인프라와 전기 자동차의 수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에너지 신산업의 효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충전기의 제원은 표 1과 같다 (14).

표 1 EV 충전기의 종류

Table 1 Type of Electric Vehicle charger

Rated power

Supply

voltage

Time to charge

Quick

charger

50~100 kW

450 VDC

0.5~1 h

Slow

charger

7 kW

220 VAC

6 h

Portable

charger

3.2 kW

220 VAC

8~9 h

표 2 EV의 배터리 사이즈와 충전 제한전력

Table 2 Battery size and maximum power Acceptance

EV Model

EV Battery Size (kWh)

EV maximum Power Acceptance (kW)

Hyundai Ioniq

28

6.6

Hyundai Kona 2019

64

7.2

Kia Niro

64

7.2

Kia Soul EV

27

6.6

Nissan Leaf 2012

27

3.3

Nissan Leaf S 2016

24

6.6

Tesla Model 3 Standard

24

7.7

DC 급속 충전을 제외하고, AC 완속 충전의 경우에서 EV가 낼 수 있는 최대 충전 및 방전 전력은 EV 내에 탑재된 온 보드 충전기의 제원에 의해 결정된다. 이 값은 차량의 모델에 따라 다르며, 표 2는 현재 국내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EV들의 최대 충전 및 방전 전력과 배터리를 나타낸 것이다 (15). 표 2에서 기아 소울 EV를 예로 들어보면, 7kW의 완속 충전기에 연결되어있더라도 온 보드 충전기에서 제한하는 최대 충전 전력이 6.6kW이기 때문에 충전기의 제원보다 더 낮은 6.6kW의 속도로 충전될 것이다.

2.2 국내 EV 에너지 프로슈머 제도

에너지 프로슈머 제도는 전기 수요 고객이 태양광 발전기(PV) 등 분산에너지자원을 사용하려 전력을 생산할 때, 잉여 전력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거래를 인정하는 제도이다. 국내의 경우 발전설비용량 1,000kW 이하 PV 발전설비 설치자에 한해 프로슈머 지위를 인정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를 활용한 전력 판매 관련 지침에서, 총 충전 및 방전 설비용량이 1,000kW 이하인 EV에서 생산한 전력은 전력시장을 통하지 않고 전기판매사업자와 거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발전사업자가 직접 생산한 전력이나, PV 발전설비로 발전한 전력 중 자가소비 후 남는 전력 등에 한하여 적용된다 (2).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도를 활용하여 DC 나노그리드 운영자의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PV 발전량이 많은 시간에는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EV를 충전하고 PV 발전량이 적은 시간에는 방전하여 빌딩 나노그리드의 최적 운영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그림 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력 거래 제도를 통해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V2G 에너지 프로슈머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빌딩 운영자는 한전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수요 고객임과 동시에 EV 사용자와 충전 장치에 대한 약정을 맺어 전력 거래가 가능하다.

그림 2 V2G 기능을 이용한 에너지 프로슈머 모델

Fig. 2 V2G-based energy prosumer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2.png

3. RNN-LSTM을 사용한 전일 일사량 및 부하 예측

DC 나노그리드의 최적 운영을 계획하기 위해서 다음날 건물의 부하 수요와 PV 발전량을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에 강점을 가지는 심층신경망인 RNN-LSTM 기법을 사용하여 하루 전 예측을 수행한다 (9). PV 발전량 예측의 경우, 발전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인 일사량을 예측한다. 예측모델의 입력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식 (1)과 같이 부하, 일사량과 비교 변수들의 피어슨 상관계수(PCC,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계산한다. PCC는 음의 상관인 –1과 양의 상관인 +1사이로 나타난다.

(1)
$PCC(X,\:G)=\dfrac{1}{N-1}\sum_{i=1}^{N}(\dfrac{\overline{X_{i}-\mu_{X}}}{\sigma_{X}})(\dfrac{G_{i}-\mu_{G}}{\sigma_{G}})$

식 (1)에서 N은 각 변수의 관측계수, $\mu_{X}$, $\sigma_{X}$와 $\mu_{G}$, $\sigma_{G}$는 각각 두 변수 X와 G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PCC 계산 결과를 통해 일사량과 상관도가 높은 건구 온도, 이슬점 온도, 습도의 특징을 RNN-LSTM의 입력데이터로 선택하였고, 부하 소비전력의 예측에는 인구수와 최고온도를 입력데이터로 선택하였다. 예측에 사용된 일사량과 부하 데이터는 각각 12년, 6년간의 과거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16)(17). 데이터를 입력하기 이전에 전처리과정(pre-processing)을 통해 입력데이터를 정리하는데, 먼저 PCC 계산을 통해 선정한 특징들로 선택된 입력데이터를 크기에 따라 스케일링한 뒤, 인코딩 과정을 거쳐 예측의 정확성을 더욱 높인다. 전처리과정의 마지막은 데이터 분할로, 입력데이터를 훈련(training), 유효성(validation), 시험(test)의 세 단계 집합으로 구분한다. 훈련 데이터는 예측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사용되며, 유효성 데이터는 예측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며 하이퍼-파라미터 조정, 정확도 검사 등을 통해 학습 과정에 개입한다. 마지막으로 시험 데이터를 통해 예측모델의 최종 성능을 평가한다.

그림 3 훈련, 유효성, 시험 데이터의 분류

Fig. 3 Classification of training, validation, test data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3.png

RNN-LSTM 예측모델은 입력(input), 은닉(hidden), 완전 연결(fully-connected) 및 출력 계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된다. 입력 계층에서 전처리 된 시계열 데이터를 입력하고, 은닉 계층에서 시계열 데이터의 장기적인 의존성을 학습한 뒤, 완전 연결 계층과 출력 계층을 통해 예측 데이터를 계산한다. 입력에 사용하는 데이터는 D, T, N의 세 가지 차원이 있으며, D는 특성의 수, T는 수평적 시간 단계, M은 훈련 예제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일사량의 예측을 위해 건구 온도, 이슬점 온도, 상대 습도의 세 가지 외인적 특성과 시간(h)과 월(m) 수의 두 가지 범주적 특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D=5로 정의하고, 부하 예측의 경우 인구수 및 최고기온의 외인적 특성을 선택하여 D=4로 설정한다. 하루 동안의 일사량을 예측하기 위해 T=24로 설정한다. 그림 4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예측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4의 모델을 사용하여 일사량 및 부하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은 그림 5에 나타내었다. 예측 모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최적화한 하이퍼 파라미터는 표 3과 같다.

일사량 예측의 결과를 통해 PV 발전기의 출력을 계산하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었다 (9).

(2)
$P_{pv}= P_{pv,\:STC}\times\dfrac{G_{i nc}}{G_{STC}}\left[1+K_{T}\left(T_{cell}- T_{STC}\right)\right]$

그림 4 제안하는 LSTM 예측모델

Fig. 4 The proposed LSTM forecasting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4.png

그림 5 일사량 및 부하 수요 예측 과정 알고리즘

Fig. 5 Load demand and solar irradiance forecasting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5.png

표 3 제안하는 예측모델의 하이퍼 파라미터

Table 3 Hyperparameters of proposed forecasting model

hyper parameter

value

range

Learning rate

0.005

0.0005~0.1

Solver

Adam

adam, sgdm, rmsprop

Feature scaling

Standard

Min-Max, and Standard

Number of layers

3

1, 3, 5, 7

Hidden units/layer

24

12, 24, 48, 96, 192

Number of epochs

1250

500-2000

Dropout rate

0.5

0.3~0.8

식 (2)에서 $P_{PV,\:STC}$는 표준 온도 조건(STC)에서의 정격 PV 전력, $K_{T}$는 전력의 온도계수, $T_{cell}$은 전지 온도, $T_{STC}$는 STC에서의 온도,$G_{STC}$는 STC에서의 일사량, $G_{inc}$는 주어진 시간에서 PV 패널에 수직으로 들어오는 일사량을 나타낸다.

4. EV Cluster와 DC 나노그리드의 최적 협조제어

4.1 시스템 구성

본 논문에서는 PV 발전기와 EV 충⦁방전 설비를 보유한 DC 나노그리드를 기준으로 EV의 충방전 스케줄링 방법을 제안한다. EV 클러스터와 DC 나노그리드 간의 최적 협조 제어를 위해서는 DC 나노그리드와 EV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적 운영 스케줄링은 DC 나노그리드 운영자의 관점에서 운영 비용을 줄여 최대한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되, EV 소유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림 6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C 나노그리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제안한 구조는 정격 400V 저압 직류배전계통으로 배전선로는 OW 58$mm^{2}$을 적용하였다 (18).

그림 6 제안하는 DC 나노그리드의 구조

Fig. 6 Structure of the proposed DC nanogrid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6.png

4.2 EV 최적 충⦁방전 스케줄링 기법의 공식화

본 논문에서는 24시간 동안의 EV 충전 및 방전 전력을 제어하여 DC 나노그리드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 EV의 스케줄링을 위한 목적함수와 최적화 변수는 참고문헌 (4)를 참고하여 본 논문의 상황에 맞게 정의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한 최적화 목표는 다음과 같다.

최적화의 전반적인 목표는 태양광 발전으로 인한 잉여전력으로 더 많은 EV를 충전하고 건물 내의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며 잉여전력을 전력계통에 판매함으로써 나노그리드 운영자의 경제적 이익을 높이는 것이다.

EV 소유자는 원하는 충전 시간과 충전완료 시 최소 SOC 값을 정하며 EV가 나노그리드에 연계되어 있는 기간 동안,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적절한 순간에 EV를 충방전하여 나노그리드 전체의 수익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EV의 충/방전에 대한 요금은 나노그리드의 운영자가 합리적으로 결정한다.

PV 발전에 의한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EV의 충전을 더 많이 하도록 한다. 잉여전력이 생산되는 시간대는 전일 예측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이상의 나노그리드 운영목적을 달성하고 EV의 충/방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EV 충전가격 비교변수($\rho_{EV}^{c,\:k}$), EV 방전가격 비교변수($\rho_{EV}^{d,\:k}$), 및 전력판매 가격비교변수($\rho_{grid}^{k}$) 등 3가지의 가격 비교변수를 정의하여 목적함수에 적용한다.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충전소에 EV의 SoC 레벨과 관련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EV의 충/방전 동작을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EV 충전 가중치 변수($w_{n}^{c,\:k}$)와 방전 가중치 변수($w^{d,\:k}_{n}$)를 정의한다. 이때 EV 간의 에너지 교환을 억제하여 불필요한 충방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함수는 식 (3)과 같으며 EV의 충방전과 전력계통과의 전력거래에서의 수익을 최대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적화를 위한 목적함수는 EV의 충전 및 방전 전력을 결정하는 식 (4)와 DC 나노그리드에서 구매 또는 판매하는 전력량을 결정하는 식 (5)로 정의한다. 하루 동안 DC 나노그리드의 충전소에 접속하여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는 EV의 총 대수는 N으로 정의하고 각 EV의 번호를 n으로 나타낸다. $s_{n}^{c,\:k}$와 $s_{n}^{c,\:k}$은 EV의 충전 및 방전 전력의 비율, $P^{\max}_{n}$는 EV의 최대 충전 및 방전 전력을 나타낸다. 식 (3)은 매 시간간격 k마다 최적화를 수행한다 ($k=1,\: 2,\:\cdots ,\: 24$).

(3)
$\max J^{k}= J_{EV}^{k}+ J_{grid}^{k}$

(4)
$J_{EV}^{k}=\sum_{n=1}^{N}(s_{n}^{c,\:k}P_{n}^{\max}w_{n}^{c,\:k}\rho_{EV}^{c,\:k}+s_{n}^{c,\:k}P_{n}^{\max}w_{n}^{d,\:k}\rho_{EV}^{d,\:k})$

(5)
$J_{grid}^{k}=\rho_{grid}^{k}(P_{grid}^{sell}-P_{grid}^{buy,\:k})$

충전 스테이션은 M개의 충전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시간 k에서 EV의 충전 및 방전 전력의 비율은 각각 $s_{n}^{c,\:k}$와 $s_{n}^{d,\:k}$로 정의한다. $w_{n}^{c,\:k}$ 와 $w_{n}^{d,\:k}$은 각 EV의 충전과 방전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rho^{c,\:k}_{n}$와 $\rho^{d,\:k}_{n}$는 하루의 전기 요금 체계에서 현재시간 k의 충전 요금이 얼마나 비싸고 저렴한지를 나타내는 보조 변수이고, $\rho^{k}_{grid}$는 DC 나노그리드의 전기 요금에 대한 보조 변수이다. $P^{sell,\:k}_{grid}$와 $P^{buy,\:k}_{grid}$는 각각 DC 나노그리드에서 판매, 구매하는 전력(kW)으로 정의한다. 최적화를 통해 도출하는 최적 변수는 $s_{n}^{c,\:k}$,$s_{n}^{d,\:k}$,$P^{sell,\:k}_{grid}$,$P^{buy,\:k}_{grid}$의 네 가지 연속 변수와 $u^{k}_{grid}$, $u^{k}_{n}$의 두 이진 변수이다. 최적화 변수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케줄링 제약조건과 함께 설명한다.

EV가 충전소에 도착하는 시간을 $t^{arr}_{n}$이라 하고, 충전소에서 떠나는 시간을 $t^{dep}_{n}$이라 정의하면 충전소에서 EV가 머무르는 총 시간 $t^{con}_{n}$은 식 (6)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6)
$t^{con}_{n}= t^{dep}_{n}- t^{arr}_{n}$

k번째 시간에 EV가 충전기에서 분리되기까지 남은 시간 $t^{rem}_{n}$을 식 (7)과 같이 정의한다.

(7)
$t^{rem}_{n}=t^{dep}_{n}-k (k = t^{arr}_{n},\: ...,\:t^{dep}_{n})$

EV의 충전기 접속 상태는 이진 변수 $\delta^{k}_{n}$을 통해 표현한다. 식 (8)과 같이 EV가 충전소에 접속 중인 상태라면 $\delta^{k}_{n}$는 1의 값을 가지며, 충전기와 분리되어 있다면 0을 갖는다. n번째 EV가 충전소에 접속 중인 상태($\delta^{k}_{n}$=1)는 현재시간이 $t^{arr}_{n}$과 $t^{dep}_{n}$사이에 있음을 의미한다.

(8)
$\delta^{k}_{n}=\begin{cases} 1,\: k=t^{arr}_{n},\: ... ,\: t^{dep}_{n}\\ 0,\: otherwise \end{cases}$

목적함수에 표현한 대로, EV의 충전과 방전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w^{c,\:k}_{n}$, $w^{d,\:k}_{n}$, $\rho^{c,\:k}_{EV}$, $\rho^{d,\:k}_{EV}$의 네 가지 변수이다. 먼저 EV 충전 가중치 변수 $w^{c,\:k}_{n}$를 구하기 위해 각 k시간에서 EV의 충전 긴급도 $\alpha^{c,\:k}_{n}$를 식 (9)와 같이 정의한다. 이는 EV의 제원과 현재 SoC에 의해 결정된다.

(9)
$\alpha^{c,\:k}_{n}=\dfrac{\delta^{k}_{n}E^{cap}_{n}(So C^{\max}_{n}- So C^{k}_{n})}{P^{\max}}$

여기서, $E^{cap}_{n}$은 EV의 배터리 용량(kWh)을 나타내며 $P^{\max}$는 EV의 최대 충전 허용전력(kW)을, $So C^{\max}_{n}$와 $So C^{k}_{n}$는 각각 EV 배터리에 허용된 최대 SoC(%)와 시간 단계 k에서의 SoC(%)로 정의한다. EV의 종류에 따라 $P^{\max}_{n}$와 $So C^{\max}_{n}$, $E^{cap}_{n}$의 값이 모두 다르므로 EV의 충전 긴급도를 비교하기 위해 0부터 1사이의 가중치로 정규화한다. 정규화하는 과정은 식 (10)과 같다. 여기서, $\alpha^{\max}_{n}$과 $\alpha^{\min}_{n}$은 $\alpha^{c,\:k}_{n}$의 최대 및 최소값으로 정의한다.

(10)
$w_{n}^{c,\:k}=\dfrac{(\alpha^{c,\:k}_{n}-\alpha^{\min}_{n})}{(\alpha^{\max}_{n}-\alpha^{\min}_{n})}$

이어서 충전 및 방전 결정을 위한 EV 충전가격 비교변수인 $\rho^{c,\:j}_{n}$는 현재 시간의 충전 가격과 하루의 최대 및 최소 가격을 통해 결정한다.

(11)
$\rho^{c,\:k}_{EV}=\dfrac{(\beta^{\max}_{EV}-\beta^{k}_{EV})}{(\beta^{\max}_{EV}-\beta^{\min}_{EV})}$

여기서, $\beta^{\max}_{EV}$는 하루 중 가장 높은 EV의 충전 가격, $\beta^{k}_{EV}$는 시간 단계 k의 EV 충전 가격, $\beta^{\min}_{n}$은 하루 중 가장 낮은 EV 충전 가격을 의미한다. EV의 충전가격 $\beta^{k}_{EV}$는 DC 나노그리드의 운영자가 결정하며 본 논문에서는 PV 발전으로 인한 잉여전력이 커질수록 낮아지도록 설계하였다.

EV 방전에 대한 가중치 변수 $w^{d,\:k}_{n}$과 EV 방전가격 비교변수 $\rho^{d,\:k}_{n}$는 다음 식 (12)(13)과 같이 정의한다.

(12)
$w^{d,\:k}_{n}=\delta^{k}_{n}(1-w^{c,\:k}_{n})$

(13)
$\rho_{EV}^{d,\:k}=1-\rho_{EV}^{c,\:k}$

건물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ToU(Time-of-Use) 기반 전기요금에 따라 전력의 구매와 판매를 고려한다. 이때 사용하는 전력판매가격 비교변수 $\rho^{k}_{grid}$는 식 (14)를 통해 계통 전기요금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14)
$\rho_{gird}^{k}=\dfrac{(\beta_{grid}^{k}-\beta_{grid}^{\min })}{(\beta_{grid}^{\max}-\beta_{grid}^{\min })}$

식 (14)에서, $\beta^{\max}_{grid}$는 하루 중 가장 높은 전기 가격을 의미하며, $\beta_{grid}^{k}$는 시간 단계 k의 전기 가격, $\beta_{grid}^{\min }$는 하루 중 가장 낮은 전기 가격을 의미한다. 이 가격은 계통에서 계약한 요금제를 따른다.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전일 예측(day-ahead)을 통해 하루의 PV 발전기 출력과 건물의 부하 수요를 미리 알 수 있다. PV 발전기의 출력이 건물의 필요 부하보다 많을 경우,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EV의 충전 및 방전 가격을 낮게 조정하여 잉여전력을 통한 EV의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V의 충전을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잉여전력을 $P^{rem}$(kW)으로 정의하여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발전량이 건물의 부하 수요보다 $P^{rem}$이상 많은 경우 가격을 $\beta^{rem}$(kW/won)으로 조정하도록 하였다.

4.3 최적 스케줄링을 위한 제약조건

DC 나노그리드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을 구하기 위해서 먼저 다음을 가정한다. 첫 번째는 EV 소유자가 충전 및 방전 권한을 나노그리드 운영자에게 맡긴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EV 소유자가 충전소를 떠나기 위해 정해놓은 최소한의 목표 SoC로 정의한 $So C^{dep}_{n}$ 내에서 필요에 따라 EV의 충전과 방전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건물에 설치된 충전기가 나노그리드 운영자의 소유라는 것이다. 이는 운영자가 직접 EV 사용자와의 약정을 통해 충전 및 방전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3.1 전력 수급 균형 조건

전력 시스템에서 전력의 수요와 공급량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전력 공급이 불균형해지고 전압 및 주파수 등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력 수급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식 (15)와 같이 정의한다.

(15)
$\sum_{n=1}^{N}s^{c,\:k}_{n}P^{\max}_{n}+P_{Load}+P^{sell}_{grid}=\sum_{n=1}^{N}s^{d}_{n}P^{\max}_{n}+P_{PV}+ P^{buy}_{grid}$

4.3.2 다중 EV 사이의 에너지 교환 제한 조건

본 논문에서는 충전소에 여러 EV가 연결되어있을 때, EV 간의 전력 교환을 금지한다. 이는 같은 충전소에서 다른 충전기에 EV가 연결되어있을 경우, 한 EV가 충전한다면 동시에 다른 EV는 방전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조건을 나타낸다. 이 조건은 충·방전 권한을 가진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EV의 동작을 결정할 때 사용되며 충전소에 2대 이상의 EV가 연결되어있을 때만 작용한다. 현재 연결된 EV의 수는 식 (16)을 통해 구할 수 있다.

(16)
$\delta^{k}_{tot}=\sum_{n=1}^{N}\delta^{k}_{n}$

$\delta^{k}_{tot}$의 값이 2보다 크다면 여러 대의 EV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EV의 반대 동작에 대한 제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의 기준이 되는 EV를 선정하고, 다른 EV는 기준 EV를 따라 같은 동작을 하거나 충전 또는 방전을 중지하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기준 EV의 선정은 남은 충전 시간 $t^{rem}_{n}$을 기준으로 하며, 연결된 EV 중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충전소를 떠나는 EV를 기준으로 선정한다. 만약 같은 시간에 떠나는 EV가 존재할 경우 목표 충전량($So C^{dep}_{n}$)과 현재 SoC($So C^{k}_{n}$)의 차가 가장 큰 EV를 기준으로 삼는다. 이 값이 음수일 경우 방전하는 EV, 양수일 경우는 충전하는 EV를 나타내며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통해 충전을 더 우선시하여 EV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한다.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기준 EV에 Q의 번호를 부여하고 식 (17)을 통해 제약조건을 정의한다.

(17)
$\left\{\begin{array}{l}s_{n}^{c, k}=0\left(\text { if } s_{Q}^{d, k}>0, n \neq Q\right) \\ s_{n}^{d, k}=0\left(\text { if } s_{Q}^{c, k}>0, n \neq Q\right)\end{array}\right.$

위 식을 통해 기준 EV가 충전한다면 다른 EV의 방전 비율을 0으로 설정하여 기준 EV를 따르거나 동작을 멈추고 다음 시간을 기다리게 한다. 반대인 기준 EV가 방전하는 상황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제약조건이 작용한다.

4.3.3 충전 및 방전 비율 제약조건

충전 및 방전 비율을 나타내는 최적화 변수인 $s^{c,\:k}_{n}$과 $s^{d,\:k}_{n}$은 $s^{c,\:k}_{n}P^{\max}$, $s^{d,\:k}_{n}P^{\max}$의 식을 통해 충전과 방전 전력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 두 변수는 항상 0과 1 사이의 값을 가져야 하며 이는 EV가 충전소에 연결된 시간 동안에 값을 갖는다. 이와 관련한 식 (18), (19)와 같이 정의한다.

(18)
$s^{c,\:k}_{n}\le\delta^{k}_{n}$

(19)
$s^{d,\:k}_{n}\le\delta^{k}_{n}$

또한, 모든 EV는 동시에 충전과 방전할 수 없으므로 식 (20)(21)의 두 식을 추가로 정의한다.

(20)
$s^{c,\:k}_{n}\le u^{k}_{n}$

(21)
$s^{d,\:k}_{n}\le(1-u^{k}_{n})$

위 식에서 $u^{k}_{n}$은 최적화 이진변수로 EV의 충전과 방전을 결정한다. $u^{k}_{n}$가 1의 값을 가지면 EV가 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0을 갖는다면 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같은 시간에 여러 EV가 연결되어있는 경우에는 식 (17)이 우선적으로 작용하고 해당 EV 한 대만 충전소에 남아있을 때 식 (18)식 (19)가 적용된다.

4.3.4 전력 구매 및 판매 용량 제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빌딩에서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전력의 총량은 제한 용량을 초과할 수 없으며 두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이를 위해 다음 식 (22)식 (23)의 두 가지 제약조건을 정의한다.

(22)
$P^{buy,\:k}_{grid}\le u^{k}_{grid}P^{\max}_{grid}$

(23)
$P^{buy,\:k}_{grid}\le(1-u^{k}_{grid})P^{\max}_{grid}$

$u^{k}_{grid}$는 $u^{k}_{n}$과 마찬가지로 최적화 이진 변수로 나노그리드에서 전력의 구매와 판매를 결정한다. 이 값이 1이면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구매하며 0이면 잉여전력을 계통에 판매한다.

4.3.5 SoC 제약조건

모든 EV의 충전과 방전 동작은 해당 EV가 가진 최대, 최소 SoC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현재시간 단계에서 EV가 충전이나 방전을 수행하더라도 다음 시간 단계에서 최대 SoC를 넘길 수 없으며 최소 SoC보다 낮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약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식 (24)(25)를 정의한다.

(24)
$So C^{k}_{n}+\dfrac{\eta^{c}_{n}P^{\max}_{n}s^{c,\:k}_{n}}{E^{cap}_{n}}-\dfrac{\eta^{d}_{n}P^{\max}_{n}s^{d,\:k}_{n}}{E^{cap}_{n}}\ge So C^{\min}_{n}$

(25)
$So C^{k}_{n}+\dfrac{\eta^{c}_{n}P^{\max}_{n}s^{c,\:k}_{n}}{E^{cap}_{n}}-\dfrac{\eta^{d}_{n}P^{\max}_{n}s^{d,\:k}_{n}}{E^{cap}_{n}}\le So C^{\max}_{n}$

위 식에서 $\eta^{c}_{n}$과 $\eta^{d}_{n}$은 각각 EV의 충전 및 방전 효율(%)을 나타내며 $So C^{\max}_{n}$과 $So C^{\min}_{n}$은 EV의 최대 및 최소 SoC 제한(%)을 의미한다.

EV 사용자는 자신의 차를 충전 및 방전하는 권한을 DC 나노그리드 운영자에게 맡기는 대신 충전 스테이션을 떠나기 전 충전되어 있어야 할 최소한의 SoC에 대해 요구를 할 수 있다.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EV 사용자가 요구한 최소 SoC를 만족시키는 선에서 충전과 방전 유동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식 (26)과 같은 제약조건을 정의한다.

(26)
$So C^{k}_{n}+\dfrac{\eta^{c}_{n}P^{\max}_{n}s^{c,\:k}_{n}}{E^{cap}}-\dfrac{\eta^{d}_{n}P^{\max}_{n}s^{d,\:k}_{n}}{E^{cap}}\ge So C^{dep}_{n}-\dfrac{\eta^{c}_{n}P^{\max}_{n}(t^{rem}_{n}-1)}{E^{cap}} $

위 식을 통해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각 시간 단계에서 최소한 충전 되어있어야 할 한계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충전과 방전을 진행한다.

DC 나노그리드의 최적운영 스케불링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 7과 같다. 전체적인 알고리즘은 예측 계층과 최적화 계층의 두 단계로 나뉘어있다. 예측 계층에서는 먼저 지난 데이터를

그림 7 DC 나노그리드의 최적 운영 스케줄링 순서도

Fig. 7 Flowchart of optimal operation scheduling of DC nanogrid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7.png

통해 RNN-LSTM 예측 모델을 학습시켜 다음 날의 부하 및 PV 발전량 데이터를 예측한다. DC 나노그리드 운영자는 다음날의 예측 데이터를 통해 PV 발전량이 많은 시간대를 미리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시간에서의 가격을 설정한다. 최적화 계층에서는 EV 소유주가 충전소에 접속 시 충전 시간과 최소 목표 SoC를 나노그리드 운영자에게 알리며 운영자는 이 데이터를 통해 제약 조건과 한계 내에서 EV 충·방전 스케줄링을 계획할 수 있다.

5. 시뮬레이션 검증

5.1 시뮬레이션 환경의 구성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C 나노그리드의 최적운영을 위한 EV 충방전 스케줄링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세 가지 시나리오에서 시뮬레이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 1은 빌딩 나노그리드의 충전소가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였고, 시나리오 2는 빌딩 나노그리드에서 사용하는 EV가 회사의 차량으로 출장 등의 업무 시간 외에는 항시 충전소에 주차되어 있는 상황을 모의하였다. 시나리오 1과 2는 여름의 데이터를 시나리오 3은 겨울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은 모두 9월의 부하, 일사량 및 전기요금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부하와 일사량 데이터는 RNN-LSTM 예측모델을 통한 전일 예측(Day-ahead forecasting)으로 계산한다. 두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EV 모델은 대중적인 EV 중 하나인 테슬라 모델 3 이며 차량의 제원에 따라 $E^{cap}_{n}$와 $P^{\max}_{n}$의 값은 각각 50kWh와 7.7kW로 가정하였으며, $\eta^{c}_{n}$과 $\eta^{d}_{n}$은 모두 95%로 정의하였다. 빌딩 나노그리드에 설치된 PV의 용량은 80kW로 가정하였고, $P^{rem}$은 7kW, $\beta^{rem}$은 120원/kW로 정의하였다. 모든 시뮬레이션은 Matlab 2019b 환경에서 Inverse Problem 사의 Opti toolbox를 사용하여 MILP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5.2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설정

5.2.1 시나리오 1

시나리오 1은 빌딩 나노그리드의 충전소가 모든 EV 사용자에게 개방되어있는 상황으로 가정하였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DC 나노그리드의 충전소에는 2대의 충전 장비가 있으며, 하루 동안 총 5대의 EV가 접속하며 충전과 방전을 진행한다. 각 EV가 가지는 초기 SoC 값과 최소 목표 SoC, 충전소에 도착하는 시간과 떠나는 시간을 다음 표 4에 기술하였으며, 각 충전기에 EV가 연결되는 시간은 그림 8에 표시하였다.

그림 9에서 첫 번째 그래프는 RNN-LSTM 예측모델을 사용하여 전일 예측한 건물의 수요 부하와 PV 발전기의 출력을 나타낸다. 수요 부하는 OpenEI에서 제공하는 9월의 일반적인 건물 부하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PV 발전기의 출력을 계산하는데 사용한 일사량 데이터는 Solar Radiation Research Laboratory의 데이터와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16)(17). 두 번째 그래프는 시간대 사용 전기 요금제(ToU)를 나타낸 것이며, 한국 전력 공사의 일반용(을) - 고압 A 선택 I를 적용하였다.

표 4 시나리오 1의 EV 프로필

Table 4 EVs profile in Scenario 1

EV

Arrival Time [h]

Departure Time [h]

Initial SoC [%]

Departure SoC [%]

1

6

12

40

60

2

10

13

45

55

3

13

15

55

60

4

14

18

60

80

5

16

18

75

80

그림 8 EV의 충전소 도착, 출발 시간 - 시나리오 1

Fig. 8 Arrival and departure time of EVs - Senario 1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8.png

그림 9 여름의 부하 및 PV 출력과 전기요금

Fig. 9 Load, PV and electricity tariff at September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9.png

5.2.2 시나리오 2

시나리오 2는 빌딩 나노그리드의 충전소에 회사 차량이 주차되어있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시나리오 1과 마찬가지로 충전소는 2대의 충전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두 차량의 모델은 테슬라 모델 3 EV이고 출장 등의 사유로 충전소를 떠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충전소에 항시 주차되어있다고 가정하였다. 본 시나리오에서 EV의 초기 SoC는 00시에 보유한 배터리 잔량이며, 각각 50, 55%로 설정하였다. 또한, 출장 시간 동안 사용할 최소 SoC 유지만을 필요로 하므로 최소 목표 SoC인 $So C^{dep}_{n}$는 모두 60%로 정의하였고 최소 SoC 제한인 $So C^{\min}_{n}$은 30%로 설정하였다. 해당 EV 모델의 운전 거리당 전력사용비가 16kWh/100km인 점을 참작하여, 총 출장 시간의 1/4을 이동시간, 시속 60km로 일정하게 주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충전소를 벗어나 있는 동안 소비하는 전력을 9.6kW/h로 산정하였다. 각 EV의 프로필은 표 5와 같으며, 건물의 수요 부하와 PV 발전기의 출력 예측 데이터, 전기 요금제는 시나리오 1과 동일하다.

표 5 시나리오 2의 EV 프로필

Table 5 EVs profile in Scenario 2

EV

Departure Time [h]

Arrival Time [h]

Maximum

SoC [%]

Minimum

SoC [%]

1

9

12

95

30

2

14

18

95

30

그림 10은 시나리오 2에서 EV가 건물의 충전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부하의 수요가 많지 않으며 비교적 요금이 저렴하며 건물 운영자가 퇴근한 밤-새벽 시간대에는 EV 배터리의 보호와 무분별한 충전 및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장비와 EV의 연결을 해제하고, 건물 운영자가 출근하는 오전 8시에 다시 연결한다고 가정한다. EV 1은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3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으며, EV 2는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4시간의 출장이 있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그림 10 시나리오 2의 EV가 충전소에 머무르는 시간

Fig. 10 Time the EV stays at the charging station in Scenario 2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0.png

5.2.3 시나리오 3

시나리오 3은 여름의 데이터를 사용한 시나리오 1, 2와 비교하기 위해 겨울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본 시나리오에서 사용한 EV는 총 3대로서 프로필은 표 6과 같다. 부하와 일사량 데이터는 예측 모델을 통해 도출한 1월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그림 11은 충전기에 EV가 접속하는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표 6. 시나리오 3의 EV 프로필

Table 6. EVs profile in Scenario 3

EV

Arrival Time [h]

Departure Time [h]

Initial SoC [%]

Departure SoC [%]

1

6

12

40

60

2

10

13

45

75

3

13

20

50

40

시나리오 3에 사용된 부하와 PV 발전량, 전기 가격을 그림 12에 도시하였다. 전체적인 PV의 발전량이 여름에 비해 줄어들었으며, 전기 가격은 시나리오 1,2와 같은 요금제에서 겨울철 요금 부과시간을 적용하였다.

그림 11 시나리오 3의 EV가 충전소에 도착 및 출발 시간

Fig. 11 Arrival and departure time of EVs in Scenario 3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2.png

그림 12 겨울의 부하 및 PV출력 및 전력 요금

Fig. 12 Load, PV and electricity tariff iJanuary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3.png

5.3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5.3.1 시나리오 1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13은 시나리오 1에서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여 각 EV의 충전 및 방전 동작과 SoC의 변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V 발전기의 출력이 없는 시간에는 각 EV가 현재 SoC, 최소 목표 SoC, 현재 전기요금을 기준으로 충·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PV 발전기의 출력이 건물의 필요 부하보다 많은 시간대인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제시한 낮은 충전 금액을 통해 EV의 충전을 장려하여 충전소에 연결된 EV들이 충전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14의 첫 번째 그림은 시나리오 1의 최종 결과를 정리한 그래프로 보라색 선은 EV 충·방전 스케줄링을 적용하기 전 DC 나노그리드의 수요 부하를 나타낸 것이며, 노란색 선으로 표기한 $P_{net}$는 최적 충·방전 스케줄링을 적용했을 때 DC 나노그리드의 순부하이며, $P^{k}_{net}= P^{k}_{Load}+ P^{k}_{PV}+ P^{k}_{EV}$를 통해 계산한다. 두 번째 그림은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전기 요금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파란색 선은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제시한 EV의 충전 및 방전 가격으로 PV 발전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beta^{rem}$의 요금을 사용하고 그 외에는 일반 전기 요금과 같은 요금을 부과한다.

그림 13 EV의 충전(+) 및 방전(-) 동작과 SoC 변화량 - 시나리오 1

Fig. 13 charging (positive) and discharging (negative) operation and SoC of EVs – Scenario 1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3.png

그림 14 하루 DC 나노그리드 스케줄링 결과 – 시나리오 1

Fig. 14 Daily DC nanogrid scheduling results – Scenario 1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4.png

5.3.2 시나리오 2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15는 시나리오 2에서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한 EV의 충전 및 방전 동작과 SoC 변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오전 8시에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출근하여 EV를 연결했을 때, EV 1은 9시에 예정된 출장을 위해 목표 SoC를 맞추려 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EV 배터리 간의 전력 교환을 막기 위해 동시에 다른 동작 수행은 허용하지 않았으므로, EV 2는 충전이 급한 EV 1의 동작을 따라 수행한 뒤 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어서 오전 11시부터는 EV 2가 오후 2시에 예정된 출장을 위해 잉여전력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EV 1은 충전소를 떠나 주행을 한 3시간 동안 총 7.2kW의 전력을 사용하였으며, EV 2는 오후 2시부터 6시까지의 4시간의 출장 시간 동안 9.6kW를 사용한 뒤 충전소에 연결되었다. 그림 16은 시나리오 2에서 하루의 DC 나노그리드 스케줄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5 EV의 충전(+) 및 방전(-) 동작과 SoC 변화량 - 시나리오 2

Fig. 15 charging (positive) and discharging (negative) operation and SoC of EVs – Scenario 2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5.png

그림 16 하루 DC 나노그리드 스케줄링 결과 – 시나리오 2

Fig. 16 Daily DC nanogrid scheduling results – Scenario 2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6.png

5.3.3 시나리오 3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17은 시나리오 3에서 스케줄링 후의 EV 충·방전 동작과 SoC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EV 1은 처음 연결된 시간인 오전 8시가 하루 중 가장 충전 요금이 저렴한 경부하 시간이기 때문에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어서 최대 부하, 중간 부하 시간인 9시와 10시에는 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싸므로 목표 SoC인 60%를 충족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방전한다. EV 2가 연결된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는 PV 발전량이 많은 시간으로, DC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제시한 저렴한 가격을 통해 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EV 3의 경우 오후 1시와 2시에 기준인 EV 2를 따라 충전을 수행하며, 남은 시간 동안 목표 SoC를 맞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방전을 수행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그림 17 EV의 충전(+) 및 방전(-) 동작과 SoC 변화량 - 시나리오 3

Fig. 17 charging (positive) and discharging (negative) operation and SoC of EVs – Scenario 3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7.png

그림 18 하루 DC 나노그리드 스케줄링 결과 – 시나리오 3

Fig. 18 Daily DC nanogrid scheduling results – Scenario 3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8.png

5.3.4 제안한 알고리즘과 대조군의 이득 비교

그림 19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득을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검증을 위한 대조군으로 DC 나노그리드 운영자가 가격을 조정하지 않고, 잉여전력을 EV의 충전이 아닌 상위 전력계통에 우선 판매하는 상황을 모의하였다. 전기자동차의 충·방전을 통한 이득을 계산하는 식은 (27), (28)로 정의하였다.

(27)
\begin{align*} \beta_{proposed}^{k}=(P^{rem}-\sum_{n=1}^{N}s_{n}^{c,\:k}P^{\max}+\sum_{n=1}^{N}s_{n}^{d,\:k}P^{\max})(SMP^{k}+\dfrac{REC}{1000})\\ +(\sum_{n=1}^{N}s_{n}^{c,\:k}P^{\max})\beta_{EV}^{k}-(\sum_{n=1}^{N}s_{n}^{d,\:k}P^{\max})\beta_{grid}^{k} \end{align*}

(28)
$\beta^{k}_{origin}=(P^{rem}+\sum_{n=1}^{N}s^{d,\:k}_{n}P^{\max})(SMP^{k}+REC/1000)$

식 (27)은 제안하는 스케줄링 기법의 이득을 계산하는 식으로 상위 계통으로의 잉여전력 판매가격과 EV 소유자로부터 지불 받는 충전 금액, EV를 충전하기 위해 계통으로부터 구매하는 전력의 합으로 나타낸다. EV 충전을 위해 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구매는 PV 발전량이 EV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보다 부족할 때 발생한다. 식 (28)은 잉여 전력을 통한 EV의 충전을 하지 않으므로 남은 전력은 모두 계통에 판매하며, 충·방전 가격이 전기가격과 같아 충전과 방전에 드는 비용이 삭제되었다. 두 식에서 변수 $SMP^{k},\:REC$는 각각 해당 시간의 SMP 가격과 REC 가격을 뜻하며, 1,000 kWh당 1 REC임을 고려하여 kWh 단위로 환산하였다. 검증에 사용된 SMP 데이터는 시나리오 1과 2는 2019년 9월 13일의 SMP 가격을 사용하였으며, 시나리오 3은 2020년 1월 25일의 SMP 가격을 사용하였다. 모든 시나리오에서 REC의 가격은 4만원으로 산정하였다 (19).

그림 19 제안한 스케줄링 기법을 통한 이득 – 시나리오 1

Fig. 19 Cost benefit of proposed scheduling method – Senario 1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19.png

그림 20 제안한 스케줄링 기법을 통한 이득 – 시나리오 2

Fig. 20 Cost benefit of proposed scheduling method –Senario 2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20.png

그림 21 제안한 스케줄링 기법을 통한 이득 – 시나리오 3

Fig. 21 Cost benefit of proposed scheduling method – Senario 3

../../Resources/kiee/KIEE.2020.69.6.808/fig21.png

6. 결 론

본 논문은 PV와 EV가 연계된 DC 나노그리드에서 EV의 최적 충전 및 방전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MILP를 사용하여 EV의 충전 및 방전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구현하였으며 PV의 출력을 이용하여 EV를 충전함과 동시에 나노그리드 운영자의 경제적 이득을 목표로 한다. 제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적화 목적함수를 정의하였으며 전력 수급 균형, 다중 EV의 동작, 충전 및 방전 전력의 비율, EV의 SoC에 대한 제약 조건을 고려하였다. 제안한 EV 충·방전 기법의 운영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나노그리드의 충전소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경우와 해당 건물이 소유한 EV에게만 개방한 경우의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모든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EV 모델은 테슬라 모델 3이며, PV 발전기 출력과 건물의 수요 부하는 순환신경망인 RNN-LSTM 예측 모델을 통해 하루 전에 예측하였다. 세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제약 조건 안에서 전기 가격과 EV의 SoC를 기반으로 각 시간대의 최적 EV 동작을 보여준다. PV 발전기의 발전량이 건물의 부하 수요보다 많은 시간대에는 잉여전력을 통한 EV의 충전으로 건물 운영자가 더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h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 (No.2019R1A2C1003880).

References

1 
December 201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roposalsGoogle Search
2 
November 201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nstitutional basis study of two-way electric power transmission using electric vehiclesGoogle Search
3 
Y. He, B. Venkatesh, L. Guan, September 2012, Optimal Scheduling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3, No. 3DOI
4 
L. Yao, Z. Damiran, W. Lim, April 2017, Optimal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for Electric Vehicles in a Parking Station with Photovoltaic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Energies, Vol. 2017, No. 10, pp. 550DOI
5 
H. Cai, Q. Chen, Z. Guan, J. Huang, April 2018, Day-ahead optimal charging/discharging scheduling for electric vehicles in microgrid, Protection and Control of Modern Power SystemDOI
6 
H. Lee, H. Shon, T. Ha, S. Lee, D. Kim, J. Bae, May 2011, Trends on V2G Technology and Demonstration, in 2011 KSAE Annual Spring ConferenceGoogle Search
7 
March 2016, KEPRI, V2G(Vehicle to Grid) Research on activation plan through empirical analysisGoogle Search
8 
N. Lu, T. Taylor, W. Jiang, J. Correia, L. R. Leung, P. C. Wong, August 2009,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the residential load and commercial building load, Power &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DOI
9 
M. Husein and I. Chung, May 2019, Day-Ahead Solar Irradiance Forecasting for Microgrids Using a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 A Deep Learning Approch, EnergiesDOI
10 
M. Z. C. DS and H. IA, November 2011, Decentralized charging control of large populations of plug-in electric vehicles, IEEE Transactio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DOI
11 
Q. Zhang, K. N. Ishihara, B. C. Mclellan, T. Tezuka, February 2012, Scenario analysis on future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in Japan, EnergyDOI
12 
S. Kim, J. Hwang, K. Song, October 2012, Economic Analysis of Power System Ancillary Service Using Vehicle-to-Grid, KIEE Power Engineering Society Annual ConferenceGoogle Search
13 
Available online: https://www.ev.or.kr/portal/main (accessed on 4 May 2020)Google Search
14 
Available online: https://evc.kepco.co.kr:4445/ (accessed on 4 May 2020),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Google Search
15 
Available online: https://chargehub.com/en/ (accessed on 4 May 2020), Chargehub Charging stationsGoogle Search
16 
Available online: https://openei.org/wiki/Main_Page (accessed on 4 May 2020), Open Energy Information(Open EI)Google Search
17 
Available online: https://data.kma.go.kr/cmmn/main.do (accessed on 4 May 2020)Google Search
18 
M. Choi, P.H. Trinh, H. Cho, I. Chung, J. Kim, J. Cho, July 2015, Development of DC Microgrid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lligent Agent Systems, in KIEE Summer ConferenceGoogle Search
19 
Available online: http://epsis.kpx.or.kr/ (accessed on 25 May 2020)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준기 (Jun-Gi Kim)
../../Resources/kiee/KIEE.2020.69.6.808/au1.png

He received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8.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his Master Degree in Smartgrid and Power System Laboratory, Kookmin Universit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intelligent control method for microgrids and control algorithms for renewable energy resources.

정일엽 (Il-Yop Chung)
../../Resources/kiee/KIEE.2020.69.6.808/au2.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9, 2001, and 2005, respectively.

He was a Postdoctoral Associate at Virginia Tech, Blacksburg, VA, USA from 2005 to 2007.

From 2007 to 2010, he worked for the Center for Advanced Power Systems at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USA as an Assistant Scholar Scientist.

Currently,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