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솔영
(Solyoung Jung)
1iD
오승찬
(Seungchan Oh)
1iD
송지영
(Jiyoung Song)
1iD
구현근
(Hyunkeun Ku)
1iD
신정훈
(Jeonghoon Shin)
1iD
이재걸
(Jaegul Lee)
†iD
-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BESS, Frequency Stability, Generation Constraint, SPS
1. 서 론
우리나라 서해안, 동해안지역은 765kV 송전선로 고장 시 대규모의 발전력을 탈락시키는 SPS가 운영 중인데, 이에 따른 주파수 하락이 저주파수계전기(Under
Frequency Relay, UFR) 1단계 동작수준인 59.2Hz 보다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최저주파수를 이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대규모
발전단지에 대하여 발전기 제약운전을 시행하고 있다. 대규모 발전단지 제약운전으로 인한 제약비용은 서해안지역의 당진화력의 제약비용만 고려하였을 때,
2018년에 약 4,700억원, 2019년에 약 4,600억원이 발생하고 있고 2023년에 당진TP-신송산765kV 송전선로가 건설되면 2,700억원으로
감소될 예정이다. 이러한 발전단지 발전제약 비용은 향후 송전선로 보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할 전망이고, 민원 등으로 인하여 송전선로
보강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매년 수천억 규모의 발전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제약비용을 감소 및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1).
최근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가격이 낮아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시도되고 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BESS를 다양한 목적에 따라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전력계통 분야에서는 BESS를 전력계통 주파수를 상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주파수조정용(Frequency Regulation,
FR) ESS로 활용하며, 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에 단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 변동성완화용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한 재생에너지 피크제어에
기여하여 재생에너지원의 수용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적용한다(2),(3). 뿐만 아니라 BESS는 응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과도안정도 개선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BESS를 적용하여 대규모 발전력 탈락
시 전력계통의 주파수하락에 빠르게 응동하여 최저주파수를 향상시키고, 발전제약량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발전제약 완화용 ESS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2장에서 대규모 발전력 탈락 시 전력계통의 최저주파수가 UFR 동작 수준보다 높게 운전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는 발전제약완화용 ESS의
구성과 제어전략을 제시하고, 3장에서 ESS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2022년 최대 및 최소 부하 계통을 대상으로 서해안지역에 발생하는 발전제약 완화효과를
분석하였다.
2. 발전단지 발전제약과 BESS
2.1 서해안 발전단지 발전제약
서해안의 당진과 태안화력 발전단지는 총 12.1GW의 발전설비(각각 6GW와 6.1GW)가 운영 중이며 이 발전단지들은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신서산-신중부 765kV 2회선 및 아산-화성 345kV 2회선의 송전선로로 연계되어 수도권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계통의 구성 때문에
신서산-신중부 765kV 2회선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발전기가 가속이 되어 동기탈조가 발생할 수 있다(1).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발전기 탈락 고장파급방지장치(Special Protection System, SPS)를 적용하여 최대 8기의 발전기를 동시에
탈락 시킨다. 하지만 순간적으로 너무 큰 발전력이 계통에서 탈락하면서 계통의 주파수가 UFR 1단계 수준(59.2Hz) 이하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탈락 대상 발전기에 대한 발전출력을 상시에 제약하여 SPS가 동작하더라도 UFR이 동작하지 않도록 계통을 운영하고 있다. 이 발전제약으로 인해서 연간
수천억 규모의 발전비용이 증가하고 있고 향후 송전선로 보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발전제약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당진 및 태안 발전단지 연계선로 구성
Fig. 1. Transmission Network Configuration of Dangjin and Taean Power Plant
그러나 발전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신규 송전선로의 건설은 인허가 및 민원의 문제로 인해서 지연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술적인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발전제약 완화를 위해서 BESS를 이용하는 방안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2.2 발전제약완화용 ESS 구성 및 제어전략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BESS를 다양한 목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BESS를 발전제약완화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구성과 제어전략을 제안하였다.
발전제약완화용 ESS의 구성은 그림 2와 같다. 연계모선의 변압기를 통해서 개별 전력변환장치(Power Conditioning System, PCS)가 2 ~ 4개씩 연계가 되며 전체
PCS들을 종합 제어하는 기능은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에 설치된다. PMS는 연계모선의 전압과 주파수를
측정하여 전체 ESS의 출력 수준을 결정하고 이를 개별 배터리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고려하여 개발 PCS의 출력을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림. 2. BESS의 구성도
Fig. 2. Configuration of BESS
발전제약완화용 ESS의 제어전략은 그림 3과 같이 3가지 모드로 구분되며, 그림 4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수행된다. 각각의 제어모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4).
그림. 3. 발전제약완화용 ESS의 제어모드
Fig. 3. Control Mode of Generation Constraint ESS
그림. 4. 발전제약완화용 ESS의 제어알고리즘
Fig. 4. Algorithm of Generation Constraint ESS
① 정상모드
전력계통 주파수가 불감대의 하한(f1) 이상이고 주파수변화율(Rate of Change of Frequency, RoCoF)가 기준 이하인 조건에서는
정상모드로 제어한다. 정상모드에서는 별도로 주파수 유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다만 상시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일정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저속 충/방전제어 및 과도모드 제어 시 빠른 응답을 확보하기 위한 시동(Idling)제어를 수행한다.
② 주파수 조정모드
전력계통 주파수가 불감대의 하한(f1) 이하이고 RoCoF가 기준 이하인 조건에서는 주파수 조정모드로 제어한다. 주파수 조정모드에서는 주파수오차에
대한 비례(Droop)제어를 통해서 전력계통의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만 과도모드 제어를 대비해서 SOC 수준을 80 ~ 90% 수준으로 유지하는
제어도 병행한다.
③ 과도모드
전력계통 주파수가 일정수준(f2)이하로 낮아지거나 주파수와 무관하게 RoCoF가 기준 이상인 조건에서는 과도모드로 제어한다. 과도모드에서는 최대속도로
방전하여 주파수를 회복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발전제약 완화용 ESS가 과도모드로 제어되는 동안은 충전수준(SOC)을 유지하기 위한 충/방전제어는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RoCoF가 일정 시간 이상동안 양의 값을 유지하고, 주파수가 불감대의 하한값 이상이면 출구모드가 동작하여 다시 정상모드로
동작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발전제약 완화용 ESS는 기존의 ESS와는 다르게 주파수가 급격하게 하락하는 과도 상황에서 ESS가 최대 방전을 함으로써 계통의
최저주파수 상승에 기여하여 상시 발생하는 발전제약을 완화하는 목적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ESS보다 상시 충전상태를 높게 유지하여야 하며(약
80~90% 수준), 상시 주파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불감대 영역을 더 크게 설정해도 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3. 사례연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발전제약 완화용 ESS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2022년 최대 및 최소 전력수요의 전력계통 조건에 대한 안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약 발전기는 서해안에 위치한 당진 및 태안화력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765kV 당진-신서산 송전선로 2회선 고장 시 ESS 용량 증가에 따른 제약발전량
감소 효과를 PSS/E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3.1 전제조건
3.1.1 운영예비력 및 전력수요의 주파수 응동 특성
본 검토에서는 당진 및 태안화력 발전소에 대한 위상각 안정도와 주파수 안정도를 함께 검토해야하기 때문에 표 1과 같이 현행 운영예비력 확보 기준에 준하여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발전기 탈락으로 인한 전력계통 주파수 특성(최저주파수, RoCof)을
실적과 유사한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서 운영예비력 확보 수준을 일부 조정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주파수제어 예비력과 주파수회복 1차 및 2차 예비력 일부를
합한 수준(1,700 ~ 3,100MW)으로 운영예비력을 조정하여 분석에 반영하였다. 운영예비력을 산정할 때는 원자력발전소와 발전제약 대상 발전기는
제외하였으며, 운영예비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운영예비력을 제공하는 발전기들에 대해 경제급전 우선순위(Merit order)에 따라서 발전력을
배분하였다.
표 1. 현행 운영예비력 확보기준
Table 1. Reliability Criteria for Operational Reserve
항목
|
확보량
[MW]
|
응답
방법
|
응동
시간
|
유지
시간
|
운영예비력
|
주파수제어
|
700이상
|
AGC
|
5분
|
30분
|
주파수
회복
|
1차
|
1,000이상
|
G/F
|
10초
|
5분
|
2차
|
1,400이상
|
AGC
|
10분
|
30분
|
3차
|
1,400이상
|
급전전화
|
30분
|
-
|
소계
|
4,500이상
|
|
|
|
속응성자원
|
2,000
|
급전전화
|
20분
|
4시간
|
합계
|
6,500
|
|
|
|
전력계통의 주파수 모의 시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력수요의 주파수 응동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계통해석 툴(PSS/E)에서 제공하는 주파수 응동 부하모델(LFGRAL)을
적용하였다. 이 모델은 전력계통 주파수 변화에 Exponential한 부하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데 본 분석에서는 전체 전력계통에 동일한 부하특성(약
1.6[%/Hz]수준)을 고려하였다.
3.1.2 발전제약완화용 ESS 모델
발전제약완화용 ESS는 전력계통 주파수가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충전수준(SOC)을 유지하기 위한 충/방전제어를 수행하지만 주파수가 일정수준
이하 또는 일정속도 이상으로 하락하는 경우 최대속도로 방전을 시행하여 전력계통의 주파수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력계통 주파수 모의를
위하여 발전제약완화용 ESS 모델은 PSS/E에서 제공하는 발전기 모델인 CBEST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발전제약완화용 ESS의 동작 특성을 다음과
같이 반영하였다. 다음과 같은 동작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별도의 Python 코드를 활용하여 주파수를 측정하고 제어 모드에 맞는 ESS 출력을 낼
수 있도록 모델링 하였다.
ESS의 설치위치는 154kV 변전소 5개소에 동일한 용량으로 나누어 투입하였으며, 각각 100MW씩 증가시키면서 총 1,500MW까지 분석하였다.
설치한 변전소는 신남원, 인동, 서안성, 신옥천 그리고 신파주이다.
3.2 검토 시나리오
본 사례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총 4단계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우선 ESS가 투입되지 않은 Basecase에서 제약발전량과 탈락량을 산정하고,
765kV 당진-신서산 송전선로 2회선 고장 모의를 수행한다. 이 때 발전기 위상각 안정화 여부와 전압이 신뢰도 조건을 위반하지 않는지 확인하고,
최저주파수가 59.2Hz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는 ESS 용량을 500MW 단위로 증가하여 765kV 2회선 고장시 최저주파수가 상승하는
효과를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ESS 투입에 따른 제약발전량 감소량을 산정한다.
3.3 분석결과
3.3.1 2022년 최소부하 전력계통 분석결과
2022년 최소부하 계통에 대해 ESS의 적용에 따른 당진 및 태안화력 발전단지의 발전제약 감소효과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ESS가 투입되지 않은 Basecase에 대해서 765kV 2회선 고장 시 최저주파수 59.2Hz 이상을 만족시키는 서해안 발전단지의 제약발전량은
1,740MW로 산정되었으며, ESS 투입량을 500MW 단위로 증가시킨 후 감소되는 제약발전량을 산정하였다.
표 2. 최저주파수 모의결과(22년 최소부하)
Table 2. Simulation results of lowest frequency (‘22 off-peak)
발전제약
[MW]
ESS 출력
[MW]
|
1,740
|
1,310
(△430)
|
850
(△890)
|
410
(△1,330)
|
0
|
59.20
|
59.00
|
58.77
|
58.52
|
500
|
-
|
59.21
|
-
|
-
|
1,000
|
-
|
-
|
59.20
|
-
|
1,500
|
-
|
-
|
-
|
59.20
|
ESS를 500MW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약발전량이 1,310MW로 430MW의 제약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S 1,000MW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총 890MW의 제약이 감소하고, ESS 1,500MW 적용 시에는 총 1,330MW의 제약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5는 ESS 최대출력을 500MW 단위로 1.5GW까지 증가시키면서 최저주파수의 상승효과를 모의한 결과이고, 아래의 그림 6은 ESS 최대출력을 500MW 단위로 1.5GW까지 증가시키면서 최저주파수가 59.2Hz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발전제약을 감소시키면서 모의한 결과이다.
그림. 5. ESS 출력에 따른 주파수 모의 결과(22년 최소부하)
Fig. 5.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ESS output(’22 off-peak)
그림. 6. ESS 출력 및 발전제약감소에 따른 주파수 모의 결과(22년 최소부하)
Fig. 6.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ESS output and reduction of generation
constraints (‘22 off-peak)
그림 7은 각 Case별로 ESS 최대출력 수준에 따른 765kV 송전선로 고장 및 발전기 탈락 시 ESS의 출력변화를 모의한 결과이다. 아래의 그림은 신남원,
인동, 서안성, 신옥천, 신파주 154kV 모선 중 서안성에 투입된 ESS의 출력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7. ESS 출력 및 발전제약감소에 따른 주파수 모의 결과(22년 최소부하)
Fig. 7.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ESS output and reduction of generation
constraints (‘22 off-peak)
3.3.2 2022년 최대부하 전력계통 분석결과
2022년 최대부하 계통에 대해 ESS의 적용에 따른 당진 및 태안화력 발전단지의 발전제약 감소효과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ESS가 투입되지 않은 Basecase에 대해서 765kV 2회선 고장 시 최저주파수 59.2Hz 이상을 만족시키는 서해안 발전단지의 제약발전량은
1,040MW로 산정되었으며, ESS 투입량을 500MW 단위로 증가시킨 후 감소되는 제약발전량을 산정하였다.
표 3. 최저주파수 모의결과(22년 최대부하)
Table 3. Simulation results of lowest frequency(‘22 peak)
발전제약
[MW]
ESS 출력
[MW]
|
1,040
|
600
(△440)
|
150
(△890)
|
0
(△1,040)
|
0
|
59.21
|
59.06
|
58.90
|
58.85
|
500
|
-
|
59.21
|
-
|
-
|
1,000
|
-
|
-
|
59.21
|
-
|
1,170
|
-
|
-
|
-
|
59.21
|
ESS를 500MW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약발전량이 600MW로 440MW의 제약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SS 1,000MW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총 890MW의 제약이 감소하며 발전제약량이 150MW까지 감소하였다. 그리고 ESS 1,500MW 적용 시에는 발전제약량이 완전히 해소되며,
1,170MW만 투입하여도 발전제약량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8은 ESS 최대출력을 500MW 단위로 1.5GW까지 증가시키면서 최저주파수의 상승효과를 모의한 결과이고, 아래의 그림 9는 ESS 최대출력을 500MW, 1GW, 1.17GW로 증가시키면서 최저주파수가 59.2Hz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발전제약을 감소시키면서 모의한 결과이다.
그림. 8. ESS 출력에 따른 주파수 모의 결과(22년 최대부하)
Fig. 8.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ESS output(’22 peak)
그림. 9. ESS 출력 및 발전제약감소에 따른 주파수 모의 결과(22년 최대부하)
Fig. 9.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ESS output and reduction of generation
constraints(‘22 off-peak)
그림 10은 각 Case별로 ESS 최대출력 수준에 따른 765kV 송전선로 고장 및 발전기 탈락 시 ESS의 출력변화를 모의한 결과이다. 아래의 그림은 신남원,
인동, 서안성, 신옥천, 신파주 154kV 모선 중 서안성에 투입된 ESS의 출력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0. ESS 출력 및 발전제약감소에 따른 주파수 모의 결과(22년 최소부하)
Fig. 10.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ESS output and reduction of generation
constraints (‘22 off-peak)
2022년 최대 및 최소 계통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의 표 4와 같다. ESS 적용 효율은 ESS가 1MW 투입되었을 때 발전제약이 감소하는 비율을 산정하여 나타내었다.
표 4. SS 적용에 따른 발전제약 감소효과 분석결과 (종합)
Table 4. Effect of ESS Application (Summary)
Case
|
ESS 미 적용
|
ESS 적용
|
ESS적용
효율$^{1)}$
|
제약량
(A)
|
탈락량
|
ESS
(B)
|
제약량
(A')
|
탈락량
|
최저
주파수
|
2022
|
최소부하
|
1.74GW
|
3.30GW
|
0.5GW
|
1.31GW
|
3.73GW
|
59.21Hz
|
86.00%
|
1.0GW
|
0.85GW
|
4.19GW
|
59.20Hz
|
89.00%
|
1.5GW
|
0.41GW
|
4.63GW
|
59.20Hz
|
88.67%
|
최대부하
|
1.04GW
|
4.0GW
|
0.5GW
|
0.60GW
|
4.44GW
|
59.21Hz
|
88.00%
|
1.0GW
|
0.15GW
|
4.89GW
|
59.21Hz
|
89.00%
|
1.17GW
|
0GW
|
5.04GW
|
59.21Hz
|
88.89%
|
1) ESS 1MW 적용 시, 발전제약 감소에 대한 비율 (=(A-A’)/(B))
2022년 최소부하 계통의 경우에는 ESS 적용 효율이 86 ~ 89%로 산정되었고, 최대부하 계통의 경우에는 88~89%로 산정되었다. 이는 2022년
계통의 경우 ESS의 전력변환장치(PCS) 1MW 용량에 대비 86~89MW의 발전제약 감소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BESS를 발전제약완화용으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 발전제약완화용 ESS 적용시 발전제약 완화 효과를 서해안 지역 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다. 2022년 계통을 대상으로 ESS를 투입하면 86~89%로 발전제약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22년 최대부하의
경우에는 ESS를 사용하여 모든 제약량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BESS를 적용하여 송전선로가 확충되기 전까지 상시 발생하는 발전제약을 완화 또는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에는
발전제약 완화용 ESS를 상세하게 검토할 수 있는 PSS/E 모델을 개발 및 적용하여 ESS의 설치 위치와 용량 분배에 따른 제약발전 완화 효과에
대해서 분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References
Jong-Keun Park, May 14-16, 2001, Power System And Technical Issues In South Korea,
Workshop on Power Grid Interconnection in Northeast Asia, Hotel New Ohtani, Beijing,
China
SeungIl Mun, 2013, Evaluation of utilization plan and economic feasibility of grid-connected
large-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 (ESS),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ISSN 1226-0665,
Vol. 442, pp. 44-48
Geon-Pyo Lim, 2014, 4MW Demonstration to Operate and Control Frequency Regulation
of Power System by 4MW Energy Storage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p, No. 3, pp. 169-177
Jaegul Lee, June 2020, A Study on Energy Storage System(ESS) Application for Dynamic
Stability Improvement and Gene- ration Constraint Reduc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6, pp. 838-845
저자소개
She recived her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angMyung Univ,
Seoul, Korea in 2015 and 2017.
At present, she is a researcher in Power Grid Group of KEPCO Research Institute.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study and FACTS planning.
Tel: 042-865-5824, Fax: 042-865-5829
E-mail : solyoung.jung@kepco.co.kr
He recived his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 Incheon,
Korea in 2011 and 2018.
At present, he is a senior researcher in Power Grid Group of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HVDC operation strategy.
Tel: 042-865-5828, Fax: 042-865-5828
E-mail : seungchan.oh@kepco.co.kr
He received his B.S and M.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8 and 2010.
At present he is senior researcher in Power Grid Group of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system analy- sis, impact study, and HVDC/FACTS dynamic
performance testing.
Tel: 042-865-5825, Fax: 042-865-5825
E-mail : jy.song@kepco.co.kr
He received his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 Busan, Korea in 2009 and 201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Power Grid Group of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generally include HVDC/ FACTS, controls, and power electronics
in power system.
Tel: 042-865-5836, Fax: 042-865-5825
E-mail : hyunkeun.ku@kepco.co.kr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1993, 1995, and 2006, respectively.
Since 1995,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KEPRI),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and leads the Power System Group in power system
laboratory, KEPRI.
From March 2003 to February 2004,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Palo Alto, CA, US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wide area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s
based on synchro-phasor data, hierarchical voltage controls, real-time digital simulations,
and transient/ dynamic stability studies.
Tel: 042-865-5810, Fax: 042-865-5829
E-mail : jeonghoon.shin@kepco.co.kr
He rec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National
Univ, Incheon, Korea in 2002 and 2004.
At present, he is a principal researcher in Power Grid Group of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HVDC and FACTS planning.
Tel: 042-865-5822, Fax: 042-865-5829
E-mail : jaegul.lee@kepc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