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Electropedia(1)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 trotechnical Commission) 에서 운영하는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전기・전자분야 용어(terms) 및 정의(definitions) 온라인 데이터베이스(DB)로서, 전기・전자기술 분야의 용어 및 정의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기기의 용도, 사용법 등의 인용 시에 Elec- tropedia 참조가 권장되고 있으며, 현재 영어와 프랑스어로만 정의, 즉 뜻풀이가 제공되고 있다.
2018년 IEC 기술위원회 1(TC 1, Technical Committees 1)내 한국인이 컨비너를 수임하고 있는 작업 그룹 1(WG 1, Working
Group 1)에서 주도한 설문 조사에서 “Electropedia에 영어, 불어 이외 다른 나라 언어로 정의를 추가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생각하는가?”이라는
질문에 응답자 645명 중 70.54%가 유익하다고 하였다. 2018년 IEC TC 1 결정사항(2)으로 TC 1에서 각 국가 위원회(NC, National Committees)에 영어, 불어 이외 다른 나라 언어로 정의 추가를 희망하는지에 대한
의견 수렴 후 IEC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팀에 각 나라 정의를 등재하도록 요청하기로 하였다.
현재 Electropedia에 등재된 국제전기기술용어(IEV,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Vocabulary)는 22,000여
개로 2018년 ‘IEV 한국어 용어 등재사업’(3,4)에서 20,766개의 한국어 용어를 Elec- tropedia에 등재하였다. IEV 한국어 용어 등재사업에 이은 연속사업으로 2019년에서 2020년까지
수행한 ‘IEV 한국어 용어 뜻풀이 등재사업’(5)에서 예산 및 시간 부족으로 21,222개 IEV 한국어 용어의 정의 작업을 ‘유의 수준 1, 2, 3,’ 및 ‘미확정 용어’ 까지만 수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이 낮을수록 용어의 정의 완성도는 높으므로 ‘유의 수준 0’으로 업그레이드 작업이 추후 필요하다.
또한, 2018년 이후 Electropedia에 추가된 IEV 600여 개에 대한 한국어 용어 및 정의 등재 작업도 필요하다. IEV 검증 절차로
지속해서 운영되는 TC 1 VT60050(Validation Team 60050) CR(Change Request) 은 1년 평균 15개 과제로 2018년
이후 추가로 등재된 IEV 용어 600여 개에 대한 표준화, 순화 및 용어의 정의 부합화 작업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를 위한 대책도 마련하여야 한다.
Electropedia에서 IEV 정의는 영어와 프랑스어로만 제공되고 있어 한국 측이 TC 1 WG 1 컨비너로 수임하면서 영어와 프랑스어 이외 다른
언어로의 제공을 지속해서 주장, 2021년 표준화 관리위원회(SMB, Standardization Management Board)에 보고될 예정인
데이터베이스 참조 그룹_057(DBRG_057, Database Reference Group_057)에 각 나라에서 서버를 구축하여 IEC에 연계하는
방안을 포함하는 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DBRG_057에 부응하여 IEC Electropedia 연계(link)용 한국형 Electropedia
구축으로 적극적인 한국어 용어 정의 수정 및 보완의 효용성 향상을 통하여 Electropedia 콘텐츠 향상을 지속해서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토타입의 한국어 Electropedia 홈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과 개발시스템 환경을 제안한 바 있다(6).
본 논문에서는 IEV 한국어 용어 뜻풀이 등재사업(6)의 결과로 IEC 한국어 용어를 표준화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절차를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업 시스템을 새롭게 제안하여 한국어 변환 작업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IEV 한국어 용어 정의 DB 구축 방법, 작업 템플릿 및 IEC Electropedia 연계용 한국형 Electropedia 구축 내용을
제안한다. 이는 향후 전문용어의 통일화를 위한 우리나라 표준 절차로 다른 분야에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미국 및 프랑스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
이용할수록 IEC TC1을 통하여 널리 알려야 하므로, 사례연구로 IEV 21,222개를 전체를 대상으로 유의 수준이 미확정이었던 상태에서 제안한
작업 시스템을 사용하여 미확정 용어 및 추가되는 용어에도 유의 수준을 모두 부여하였고 이 중 일부의 정의 완성도를 향상해 유의 수준을 높이는 작업
시스템을 구축, 적용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2. IEV 한국어 용어 정의 DB 및 유의 수준 구축
영어, 프랑스어 이외의 추가적인 IEV 언어로서 “동등한 용어(equivalent terms) 및 속성(attributes)”을 정의하기 위하여 IEC
TC 1에서 제공한 집필 지침(instructions)(7)은 IEV 용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 들어있는 안내서, “용어와 속성의 예”는 다양한 언어로 된 용어와 동의어의 예와 속성을 포함하는
안내서, 그리고 “동등한 용어 및 속성”은 한국어 언어에 대한 전문용어 데이터를 작성하기를 원하는 안내서이다. IEC TC 1에서 제공한 지침과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용어 사전 전문용어, 약어에 대한 주요 집필지침(8)을 준수하여 Electropedia에 등재하기 위한 한국어 용어 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진이 편찬한 전기전자용어사전(9), 스마트그리드 용어사전(10),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용어 사전(11) 구축 경험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204개 IEC TC에서 제공 92개 분야 21,000여 개 영어 정의와 이미 번역된 143,000 용어
정의, 즉,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번역 작업한 IEC 60050 표준 5개, 1,176개 용어 정의, IEC 부합화 한국표준(KS C
IEC) 60050에 사용된 용어 정의, 전기전자용어사전/스마트그리드용어사전/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용어사전 등에 등재된 전문용어를 참조한다.
용어 전문위원회 구성, IEV 한국어 용어 정의 현황 조사, IEV 한국어 용어 정의 DB 및 탬플릿 구축, IEV 한국어 용어 정의 완성도 평가
및 정의 작업, 중간 검토, 정의 없는 IEV 한국어 용어에 대한 정의 작업, 최종 검토 순으로 진행한다.
한국어 용어 정의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단계: 용어 정의 통합 작업(Work) DB 구축
- 기존 한국어 용어 정의 DB화 작업
- Electropedia의 영문 용어 정의 발췌 DB화 작업
- 영문 용어에 대한 기존 한국어 용어 정의 부합화 및 통합 작업 DB 구축
▪ 2단계: 전문가 작업
- 할당된 용어에 대한 전문가들의 용어 작업
- 영문의 한국어 정의 유사도에 따른 유의 수준(level) 0, 1, 2, 3 지정
- 유의 수준에 따라 전문가들의 교차 수정 작업
▪ 3단계: 보고서 출력 및 추후 시스템 연구
- 통합 작업 DB에서 연구보고서 출력
- 추후 한국어 용어 정의 활용 한국형 Electropedia 설계: IEC Electropedia와 연계
- 한국형 Electropedia 시스템 구축 방안 제시
프로토타입에서 제안된 유의 수준 0, 1, 2, 3 이외에 작업을 시행하면서 나타난 확정이 어려운 용어와 새롭게 추가되어 향후 작업이 필요한 용어
등이 나타나면서 유의 수준을 다음과 같이 보강하였다. 최고의 수준은 유의 수준 0으로 하고 최하 수준을 유의 수준 4로 추가하였다. 새롭게 추가된
유의 수준 4에 대한 용어부터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 작업한 결과, 정의에 대한 미확정 용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IEC에서 새롭게 추가하여 작업이 필요하며 용어 자체는 한국어 부합화는 되어 있을 수 있는 수준
∙ IEV의 정의가 있는데도 그대로 이용하기에는 매우 모호한 상태이고, 다른 기존 용어 사전(전기전자용어사전, 스마트그리드용어사전 등)에 정의가
없어서 인용 불가능하여 관련 조사와 작업이 필요한 수준
∙ 우리나라에서는 용어에 대한 정의가 공인화되어 있는 것이나 IEV에는 정의가 없어서 이를 국제화하여 국가 간 교류 시 소통이 원활하도록 IEV에
등재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서 이 경우는 다른 형태의 용어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서 주의하여야 하는 수준
∙ 기타 정의를 확정할 수 없는 수준
- : 용어 부합화는 끝난 상태로 IEV 정의는 원문 그대로 있으나, 기존 우리나라에서 정의가 있는데 원문보다 기존 국내 용어 사전의 정의가 우리에게
더 적합한 수준. 기존 용어사전의 정의내용을 IEV의 정의 형태와 부합화하여 이해하기 좋도록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수준
- : 용어의 정의가 IEV 정의를 영어로 충실하게 번역한 정도 수준으로 우리가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한 상태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의 지식을 넣어야 하고
용어 전문가들의 다른 분야의 중복성 점검과 정의 내에 기술되는 용어의 전문성 수준을 이해가 쉽게 될 수 있는 대로 낮추는 작업이 필요한 수준
- : IEV 한국어 정의가 분야 전문가들이 이해하기에는 혼동의 우려가 있는 상태로, 영어 자체는 분야 전문가들이 이해가 되나, 제대로 된 국어로의
표현이 모호한 수준
- : IEC 부합화 한국 산업 표준(KS C IEC) 등의 용어 정의가 IEV의 정의에 부합된 것으로 기술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용어 표준화와 국어
순화가 완벽한 수준이면서 IEV 자체로 이해하기가 미흡한 부분까지도 우리가 확보한 자료와 전문성으로 보완 후 이를 영어로 작성하여 IEV에 제안할
수 있는 수준
한국어 용어의 정의 작업 흐름도는 참고문헌 (5)에 제시되어 있고, 단계 2에 해당하는 전문가가 수행하는 유의 수준 향상을 위한 작업을 구체화한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1 유의 수준 향상 작업 흐름도
Fig. 1 Workflow diagram of Korean terms enhancement
3. 제안된 한국어 변환을 위한 용어 정의 작업 시스템
2018년 IEC Electropedia에 등재된 20,766개 한국어 용어 사업(3)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은 이전 지속해온 용어 사전 작업과 이를 DB화하고 전산 시스템으로 검색, 사전 변환시킬 수 있었으며(약 46% 사전 변환),
온라인 공동 작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공동 작업을 하면서 상호 교차 검증을 할 수 있었던 점이다. 용어
작업에 활용한 온라인 공동 작업 시스템을 용어 정의 작업으로 확장하여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림 2는 작업자 전공을 고려하여 할당한 용어 정의 작업 수 및 유의 수준별 작업 개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잔여 용어 수는 유의 수준 4에 해당한다.
그림 2 한국어 용어의 정의 작업자 업무 할당
Fig. 2 Worker assignments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그림 3은 작업 시스템으로서 통합 Work DB 란에서 작업할 용어를 마우스로 선택하면 오른쪽에 난에는 Electropedia 정의가 보이고 한국어 용어의
정의를 편집할 수 있는 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 한국어 용어의 정의 작업 시스템
Fig. 3 Working system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그림 4는 한국어 용어의 정의 1차 작업 시스템으로, 유의 수준(예, level 3)을 선택하여 작업할 용어를 마우스로 선택하면 오른쪽 Electropedia
난에 해당 용어 정의가 보이고, 그 정의를 마우스로 선택하면 현재는 파파고 변역 란에 번역 문장이 보이고 그 번역을 참조하여 한국어 정의를 Electropedia
영문 정의를 직역 수준(level 2)으로 저장한다.
그림 4 한국어 용어의 정의 1차 작업
Fig. 4 Primary work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그림 5 한국어 용어의 정의 2차 작업
Fig. 5 Secondary work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그림 6 한국어 용어의 정의 ‘유의 수준 0’ 작업
Fig. 6 ‘Level 0’ work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그림 5는 유의 수준을 상향시키는 작업 시스템으로 유의 수준2에서 유의 수준 1로 하거나 유의 수준 1에서 유의 수준 0으로 전환하는 한국어 용어 정의 2차
작업 과정을 나타낸다.
그림 6은 이렇게 완성된 ‘유의 수준 0’의 작업 예로 향후 작업이 필요한 작업 시스템이다.
21,222개 한국어 용어의 정의 작업 결과, 유의 수준 1, 유의 수준 2, 유의 수준 3에 해당하는 용어의 정의는 각각 12,139개, 3,480개,
5,603개이며, 유의 수준 0에 해당하는 용어의 정의는 없었다. 그리고 미확정 용어 224개 정의는 작업을 통하여 유의 수준 4로 하였다.
그림 7의 용어의 정의 작업 양식 주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원용어 출처 ID : 용어의 고유 번호 (IEC 규격 번호에 발췌 순서대로 번호를 붙임)
- 원용어(K) : IEC 규격의 영어 용어와 이에 상응하는 국어 표현
- 원용어 영어 원문 : IEC 규격에서 나온 영어원문, 없는 경우는 생략
- 원문 직역 : 원문의 한국어 번역
- 용어팀 정의 : 직역 내용을 참고로 재정비한 해설 내용
- 정의의 만족도: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미비함으로 표시
그림 7 한국어 용어의 정의 작업 양식
Fig. 7 Work template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Electropedia의 용어에 대한 정의 원문은 HTML 형식 또는 PDF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수식이나 도형 등의 비정형의 문서(text)를 정형의
text와 같이 한국어로 번역하고 저장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추후 한국어 정의를 어떤 시스템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느냐에 따라서 DB 구성
및 관리의 복잡성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의 모바일 환경에서 쉽게 접근성이 높도록 모바일 앱(App)이나 웹(Web)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DB가 설치된 서버(가칭 한국형 Electropedia)를 공기관 주도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Electropedia와 연계하여 변경되는 사항을 즉시 반영하고 이를 한국어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인적 및 물적 구성의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물적 구성으로는 영문 Electropedia의 한국어 용어에 대한 연계를 한국형 Electropedia 서버로 연결하도록 하여 한국어 용어와 정의를
제공하고, 동적으로 변경되는 용어 및 정의의 변경을 위하여 온라인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전문가 위원회용 소프트웨어 제공이 필요하며,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모바일 App이나 Web 프로그램의 작성이 필요하다. 인적 구성으로는 수시로 변경되는 영문 Electropedia의 영문 용어와 정의에 대하여
한국어 부합화 및 용어 정의 번역을 담당하는 전문가 위원회의 상시 운영이 필요하다.
용어 표준화를 위한 국가기술표준원에 요청할 시스템으로는 많은 TC 용어가 Electropedia에 등재되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 있는
TC에서 용어를 일차적으로 작업하고 용어위원회에 올려 검토를 받은 후 합동회의를 통하여 확정하고, IEC Electropedia에 올라가 있지 않은
것은 등재 상정을 하고, 우리 표현으로 완성된 표제어와 정의는 국내 대표 사전에 올리도록 한다. 장기적으로 한국어가 Electropedia에 지속해서
수록 및 업데이트 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IEC에 바라는 점은 Electropedia에 더 많은 용어를 실을 수 있도록 SMB에서 각 TC에 지시해야 하며, 스마트그리드, 능동생활지원, 전기자동차,
드론 등 융복합 관련 TC의 용어 팀에게 이와 같은 전략을 같이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용어 관점에서 국가에 바라는 점은 IEC 용어와 국립국어원 ‘우리말샘’을 통합을 해서 한국의 많은 전문가들이 여러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해놓은
동일한 개념과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형 Electropedia를 구축한 후 많은 TC 용어를 한국어로 한국형 Electropedia에
먼저 등록하고 이후 현 IEC Electropedia에 연계해야 한다.
그림 8 및 그림 9는 구축할 한국형 Electropedia 화면, 한국어 용어 정의 보기 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2021년 SMB에 보고될 DBRG_057에 따르면,
각 NC는 번역한 콘텐츠를 게시하기 위한 자체 서버를 보유할 수 있으며 NC 전용 콘텐츠가 영어와 프랑스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된 정의로 Electropedia에
등재하기 위하여 NC 사이트에 연결하게 되어 있어, IEC Electropedia 연계용 응용 서비스 제공자(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를 활용한 한국형 Electropedia 구축이 필요하며 구축 내용으로는 한국형 Electropedia를 위한 IEV 한국어 용어
및 정의 데이터베이스 정비, 한국형 Electropedia 서버 구축(전문가 활용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전문가 활용 모바일 앱 개발 포함)이
요구된다. 한국형 Electropedia를 IEV 한국어 용어 및 정의 수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한국 TC 1 위원들을 위한 온라인 회의 시스템으로
신속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회의 결과를 한국어 전문용어 및 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할 수 있고, 추가로 기존 용어에서 미비한 용어 표준화
및 순화 작업에 활용이 되어야 한다.
그림 8 한국형 Electropedia 프로토타입 화면
Fig. 8 Korean Electropedia Prototype Screen
그림 9 한국어 용어 정의 보기 화면
Fig. 9 View screen for definitions of Korean terms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2018 IEC TC 1 Decision 사항에 대한 이행으로 IEV 21,222개 한국어 용어의 정의를 Electropedia에 등재하기
위하여 IEC 한국어 용어를 표준화 할 수 있도록 개발한 IEV 한국어 용어 정의 DB 구축 방법, 작업 템플릿 및 IEC Electropedia
연계용 한국형 Electropedia 구축 내용을 완성하여 제안했다. 2021년 Electropedia에 한국어 용어 정의 등재를 목표로 현재 TC
1에서 IEC IT 팀과 조율 중으로 IEC Electro- pedia에 등재 또는 한국형 Electropedia 구축을 통해 IEC Electropedia와
연계하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2019년 ‘IEV 한국어 용어 뜻풀이 등재 사업’에서 수행한 21,222개 ‘유의 수준 0, 1, 2, 3’ IEV 한국어 용어의 정의에서 유의
수준이 높을수록 용어의 정의 완성도는 낮으므로 ‘유의 수준 0’으로 업그레이드 작업이 필요하다. 향후 작업이 필요한 용어를 수집할 목적으로 작업하다
발생한 미확정 용어와 향후 계속 추가될 용어 등을 대비하여 ‘유의 수준 4’를 만들어 추후 유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비용이 투자될 때 정량화
시킬 수 있도록 도모하였다. 앞으로 예산을 확보하여 Electropedia에 등재된 IEV 한국어 용어의 정의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기대 효과로는, Electropedia에 등재할 IEV 한국어 용어 및 정의의 유의 수준 향상을 통하여 우리나라 전문가들에게 올바르게 표준화된 용어
및 정의를 이해하기 좋으면서 전문성 있는 용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표준 중의 표준’인 용어의 한국 브랜드(brand)에 대해 국민과 전문가에게 자긍심을
높이고 영어, 프랑스어 제외한 언어별 용어의 정의 서비스 순위에서 1번째로 한국어 용어를 한국형 Electropedia에 등재하여 다른 나라에 인프라와
IT 강국이라는 이미지를 부각하고 IEC Electropedia 와 연계 서비스를 실현하여 다른 나라도 등재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한국이 주도하여 IEC
국제화를 도모하게 된다.
한국형 Electropedia의 구축으로 인하여 한국어 전문용어에 대한 한국어 정의를 활용하는 계기가 되고, 국내 전문가들의 IEC Electropedia와의
연계 시스템 활용 확대로 TC 1에서의 한국 위상 격상, 표준화된 전문용어의 활용도를 높여 표준 개념의 확대 기여, 지속적인 한국어 전문용어와 정의의
수정을 통해 용어에 대한 신뢰 유지 및 시스템화된 용어 관리를 통하여 TC1 활동의 활성화 및 국제 위상 격상을 이루게 된다.
활용방안으로는 IEC에 제공되는 22,000여 개의 용어 정의 한국어 DB를 한국 전기・전자 분야 기술용어 정의 표준 DB, KS(안) 작성 DB,
신산업의 국내 및 국제표준 기고 문건 및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등에서 표준(안) 작성 시 용어 정의 표준 DB, 기술용어 정의 표준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개발 자료로 각각 활용하고, 공급자・중간자・사용자 중심의 기술용어 검색, 보급 및 확산 속도 향상, 신산업 관련 융복합 기술들에 대한
표준화 단계별 상황 파악에 활용하며 한국형 Elec- tropedia 시스템을 대한전기학회 등 수십 개 관련 학회 또는 협회 등 국가 관련 기관 아래
이전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paper (exhibition, book) was partially supported by the Hongik University Academic
Research Promotion Fund for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n Agency of Technology and Standards in support
of the 2019 academic research service project, and we thank the relevant departments.
References
IEC Electropedia, http://www.electropedia.org
Humor Hwang, 2018 10, 2018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Conference Participation
Report, Humor Hwang, KSA
2017, Research Report for IEC TC 1 Next Generation Electropedia Implementation and
Registering Korean Terms, KIEE, KATS
Humor Hwang, Jung Hoon Kim, Bong Hee Moon, Su Goog Shon, 2019 aug., IEV Korean Terms
Registered in IEC Elec- tropedia, Transactions of the KIEE, Vol. 8, No. 68, pp. 943-950
2019, Research Report for IEV Korean Terms to be registered in IEC Electropedia, KIEE,
KATS
Bonghee Moon, Feb 2020,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Translation of Korean Definition
of IEV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Electropedia, KSCI, Vol. 25, No. 2, pp. 141-148
IEC TC 1, Instructions for IEV Electropedia
2016, NIKL, Instructions for Terminology Writing
2004, KIEE, Standard Dictionary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Terms
2011, KIEE, Dictionary of Smart Grid
NIKL, https://opendict.korean.go.kr/
저자소개
1956년 10월 15일생.
1980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6년 Texas A&M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1년 Polytechnic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1991년~1994년 삼성전자 기술총괄 신호처리연구소수석연구원.
1994~present, Pro- fesso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 neering Dept. at
Myongji University.
대한전기학회 용어위원회 부위원장.
전기산업연구원 이사. IEC TC 1 WG 1/AG 1 Convenor
Tel: 031)330-6767, Fax : 031)321-6478
E-mail : E-mail: hmhwang@mju.ac.kr
1955년 9월 13일생.
1978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5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1981~ present, Professor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School at Hongik
University.
대한전기학회 전력기술부문회 회장 및 용어위원회 위원장.
기초전력연구원 전력중앙교육센터장
Tel: 02)320-1621, Fax : 02)320-1193
E-mail : kimjh@hongik.ac.kr
1959년 7월 15일생.
1982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4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6년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ECE(박사),
2003~Present, Professo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chool at Suwon
University, 한국전기연구소 선임연구원, 삼성 SDS 수석정보컨설턴트, VTEL(USA) Assistant Tech. Adm., 전국산학연협의회
학술편집이사, 모바일학회 이사.
1984년 울산대학교 전임강사.
1985년~현재 숙명여대 컴퓨터과학부 교수
Tel: 031)220-2615
E-mail : sshon@suw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