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Behind-the-Meter Generation, Fuzzy Linear Regression, Short-Term Load Forecasting, Special Days

1. 서 론

전력수요예측은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력계통의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단기 전력수요예측의 경우 전력시장 및 전력계통의 운영을 위해 익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전력수요는 일 전력수요의 패턴에 따라 월요일, 화요일부터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특수일 및 특수경부하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1). 여기서, 특수일이란 법정 공휴일 및 임시 공휴일을 의미하며, 특수경부하기간은 설날 및 추석을 포함하여 전・후 7일간과 하계휴가 집중기간을 의미한다(2).

특수일의 전력수요는 평상일의 전력수요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적고, 전력수요의 패턴이 불규칙하며, 예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과거 데이터의 수가 제한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음력을 따르는 특수일의 경우 매년 특수일의 양력상 위치가 달라지므로 계절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특수일의 전력수요는 신경회로망 기반의 예측 모형 학습에서 제외되거나, 평상일의 전력수요와 구분하여 예측된다(3).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전문가 기법, 신경회로망, 상대계수법, 퍼지 선형회귀분석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었다(4-7). 하지만 특수일의 불규칙한 전력수요 특징으로 인해 연중 전력수요예측 중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 오차는 평상일의 전력수요예측 오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8).

전력수요는 중・장기적으로 사회 및 경제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고, 단기적으로는 기상 요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전력수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 중 기온은 냉・난방부하 사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기온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이 전력수요예측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발전량이 실시간으로 계측되지 않는 미계량(Behind-the-Meter, BTM) 발전기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BTM 발전기의 대부분은 용량이 1MW 이하의 소용량 태양광 발전기이다. 태양광 발전기는 기상변화에 의한 출력의 변동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기상변화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전력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9).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평일 전력수요예측에 관한 연구이며,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10-11). 따라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시간별로 달라지는 기온의 영향과 연도별로 증가하는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특수일 시간별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목표로 한다.

2. 기온 및 BTM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

특수일의 전력수요는 평상일의 전력수요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전력수요의 패턴과 크기가 상이하며, 예측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적이다. 특수일은 평일인 화요일부터 금요일에 위치하거나 일요일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토요일 또는 월요일에 위치하여 연휴가 될 수 있다(1). 따라서 과거 동일한 특수일임에도 불구하고 특수일이 위치한 요일의 유형에 따라 전력수요의 패턴이 다양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고문헌(12)는 퍼지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특수일의 시간별 전력수요예측 방법을 개발했다. 하지만 참고문헌(12)에서 개발된 예측 방법은 시간별로 달라지는 기온의 영향과 BTM 태양광 발전기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그림 1과 같이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 오차는 연도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림. 1. 연도별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 오차(12)

Fig. 1. Load forecast error for special days by year(12)

../../Resources/kiee/KIEE.2021.70.2.290/fig1.png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기온의 영향과 BTM 태양광 발전기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참고문헌(12)에서 개발된 퍼지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예측 방법을 참고한다. 기온의 영향을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과거 기온과 전력수요를 분석하여 기온민감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기온민감도란 단위 기온 변화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을 의미하며, 과거의 기온과 예측일의 기온 차이만큼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예측일의 BTM 태양광 발전량을 추정하여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한다. 그림 2는 제안하는 기온 및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 과정을 나타낸다.

그림. 2. 기온 및 BTM PV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 과정

Fig. 2. Load Forecast process on special days reflect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BTM PV generators

../../Resources/kiee/KIEE.2021.70.2.290/fig2.png

2.1 퍼지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참고문헌(12)에서 개발된 퍼지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예측 방법을 활용한다. 퍼지 선형회귀분석은 1차 선형회귀분석에 퍼지 이론을 도입한 방법이다. 퍼지 선형회귀분석은 입력변수와 회귀계수를 퍼지화하여 식(1)과 같이 표현한다.

(1)
$Y_{i}=A_{0}\oplus(A_{1}\otimes X_{i})$

여기서, $i$는 입력데이터의 시점, $X_{i}$는 $i$번째 입력, $Y_{i}$는 $i$번째 출력, $A_{0}$과 $A_{1}$은 회귀계수를 퍼지화한 퍼지넘버이며, $\oplus$와 $\otimes$는 각각 퍼지합과 퍼지곱을 의미한다. 식(1)에서 $A_{0}:(a_{0},\:\alpha_{0})$, $A_{1}:(a_{1},\:\alpha_{1})$는 퍼지 선형회귀분석의 계수로 중심이 $a_{0}$, $a_{1}$이고, 스프레드는 $\alpha_{0}$, $\alpha_{1}$이다. 변수 $X_{i}$와 $Y_{i}$는 $(x_{i},\:\sigma_{i})$와 $(y_{i},\:e_{i})$로 나타나며, $x_{i}$, $y_{i}$는 평균, $\sigma_{i}$, $e_{i}$는 표준편차로 하는 대칭형 삼각 퍼지넘버이다. 식(2)와 같이 선형계획법을 이용해 주어진 $x_{i}$, $y_{i}$, $\sigma_{i}$, $e_{i}$를 퍼지 선형회귀분석 모형에 입력하여 회귀계수인 $A_{0}:(a_{0},\:\alpha_{0})$와 $A_{1}:(a_{1},\:\alpha_{1})$를 추정한다. 이때 삼각 퍼지넘버인 변수의 대칭삼각형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제약조건으로 한다(13).

(2)
$\begin{aligned} \text { Minimize } & J(a, \alpha) \\=&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1}, \alpha_{1}\left|x_{1}\right|\right) \\+&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2}, \alpha_{1}\left|x_{2}\right|\right) \\ \vdots \\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i}, \alpha_{1}\left|x_{i}\right|\right) \end{aligned}$ Subject to $\left|y_{1}-\left(a_{0}+a_{1} x_{1}\right)\right| \leq \frac{1}{2}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1}, a_{1}\left|x_{1}\right|\right)-\frac{1}{2} e_{1}$ $\left|y_{1}-\left(a_{0}+a_{1} x_{2}\right)\right| \leq \frac{1}{2}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2}, a_{1}\left|x_{2}\right|\right)-\frac{1}{2} e_{2}$ $\vdots$ $\left|y_{1}-\left(a_{0}+a_{1} x_{i}\right)\right| \leq \frac{1}{2}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i}, a_{1}\left|x_{i}\right|\right)-\frac{1}{2} e_{i}$ $\alpha_{0}, a_{1} \geq 0$

퍼지 선형회귀분석 모형의 회귀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 전력수요와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전력수요를 사용하여 퍼지 선형회귀분석 모형을 추정하고, 추정된 모형을 이용해 특수일의 최대 및 최소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또한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로부터 최대・최소 정규화 된 24시간 전력수요패턴을 예측한 뒤 예측된 최대 및 최소 전력수요를 사용하여 24시간 특수일 전력수요를 예측한다(12).

2.2 기온민감도를 이용한 특수일의 전력수요 보정

전력수요의 여러 변동 요인 중 기온은 냉・난방부하 사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할 때 기온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동일한 특수일이라도 과거와 다른 기온으로 인해 예측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데이터는 퍼지 선형회귀분석의 회귀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와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퍼지 선형회귀분석의 회귀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과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전력수요이며,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전력수요이다. 기온에 의한 특수일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예측하고자 하는 특수일의 예보기온과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기온 차이를 계산하고, 과거 특수일과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기온 차이를 계산하여 두 값의 차이만큼 퍼지 선형회귀분석으로 예측된 전력수요를 보정한다. 단, 예측일의 기온이 냉・난방 기준기온인 18℃와 26℃ 사이에 속하는 경우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 판단하여 전력수요를 보정하지 않는다(14). 특수일 전력수요 보정 수식은 식(3)과 같다(15).

(3)
$\begin{aligned} L_{t}^{*}=& L_{t}+B L_{m, p} \\ & \times \delta_{s p c, p}\left[\left(T_{s p c t}-T_{a r r, t}\right)-\left(P T_{s p c t}-P T_{a r r, t}\right)\right] \end{aligned}$

여기서, $p$는 1, 2, $\cdots$, 7, 8구간을 의미하며, $p$가 1인 경우 1시부터 3시까지, $p$가 2인 경우 4시부터 6시까지, $\cdots$, $p$가 7인 경우 19시부터 21시까지, $p$가 8인 경우 22시부터 24시까지를 의미한다. $m$은 특수일이 위치한 월, $t$는 시간, $L_{t}^{*}$는 기온 차이만큼 보정된 특수일 $t$시의 전력수요예측 값, $L_{t}$는 특수일 $t$시의 전력수요예측 값, $\delta_{spc,\:p}$는 특수일 $p$구간의 기온민감도, $BL_{m,\:p}$은 $m$월 $p$구간의 기본 전력수요, $T_{spc,\:t}$는 특수일 $t$시의 예보기온, $T_{avr,\:t}$는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t$시 기온 평균값, $PT_{spc,\:t}$는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 $t$시의 기온 평균값, $PT_{avr,\:t}$는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t$시 기온 평균값을 의미한다.

특수일의 전력수요 보정을 위해 산출된 기온민감도는 단위 기온 변화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을 의미하며, 시간대별로 다른 기온의 영향을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시간별로 산출된다(16). 참고문헌(16)은 특수일의 기온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 기본전력수요를 산출한다. 여기서, 기본전력수요란 국내총생산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은 반영되고, 기온과 기타 인자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은 제외된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산출된 기본전력수요를 이용해 전력수요를 정규화 한 다음 기온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기온민감도를 산출한다. 특수일의 기온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 참고문헌(16)에서 제안된 시간별 기온민감도 산출방법을 활용한다. 산출된 기온민감도는 식(4)와 같다.

(4)
$\delta_{special,\:p}=\dfrac{NL_{spcieal,\:p}-NL_{average ,\:p}}{Temp_{special,\:p}-Temp_{average ,\:p}}$

여기서, $p$는 3시간 단위의 8개 구간을 의미하며, $\delta_{p}$는 특수일의 3시간 단위 기온민감도, $NL_{special,\:p}$는 기본전력수요로 정규화 된 $p$구간의 특수일 전력수요, $NL_{average ,\:p}$는 기본전력수요로 정규화 된 $p$구간의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전력수요 평균, $Temp_{special,\:p}$는 $p$구간의 특수일 기온, $Temp_{average ,\:p}$는 $p$구간의 특수일 이전 평일 4일의 기온 평균을 의미한다.

2.3 BTM 태양광 발전량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태양광 발전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는 BTM 태양광 발전기가 증가하고 있다. 산업부에 고시된 ‘소규모 신・재생에너지발전전력 등의 거래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기 중 설비용량이 1MW를 초과하는 사업자는 전력시장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하며, 1MW 이하의 사업자는 선택적으로 전력시장에 참여한다(17).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태양광 발전기의 경우 전력거래소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판매하며, 실시간으로 계량된다. 전력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태양광 발전기 중 일부는 한국전력과 전력수급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를 체결하여 전력을 직접 판매하거나 자가소비하고 있다. 그 외의 전력시장에 참여하지 않고 전력수급계약도 체결하지 않은 태양광 발전기를 기타 태양광 발전기로 분류한다. 계약형태에 따라 태양광 발전기를 분류하면 표 1과 같다.

표 1. 태양광 발전기의 계약형태 별 설비용량 및 실시간 발전량 취득 여부

Table 1. Whether to acquire data for capacity and real-time power generation by contract type of solar PV generation

분류

설비용량

취득 여부

실시간 발전량

취득 여부

전력시장 참여

태양광 발전기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

기타

태양광 발전기

표 1과 같이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와 기타 태양광 발전기는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량되지 않으며, 이러한 발전기를 BTM 태양광 발전기로 분류한다. BTM 태양광 발전기의 시간별 발전량을 추정하기 위해 설비용량과 실시간 발전량 모두 취득되고 있는 전력시장 참여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과 시간별 발전량 정보를 이용한다. 이때 BTM 태양광 발전기 중 일부는 위치, 효율, 설치연도 등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BTM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 효율이 전력시장 참여 태양광 발전기와 유사하다 가정하며, 향후 연구를 통해 BTM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 특징을 고려한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이 필요하다. BTM 태양광 발전기의 시간별 발전량은 식(5)와 같이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과 발전량 간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5)
$\hat BTMSG_{d,\:t}\approx\dfrac{KPXSG_{d,\:t}}{SC_{d}^{KPX}}\times\hat SC_{d}^{BTM}$

여기서, $d$는 날짜, $t$는 시간, $\hat BTMSG_{d,\:t}$는 $d$일 $t$시의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 $KPXSG_{d,\:t}$는 $d$일 $t$시의 전력시장 참여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 $SC_{d}^{KPX}$는 $d$일의 전력시장 참여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hat SC_{d}^{BTM}$는 $d$일의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추정치를 의미한다. 식(5)와 같이 BTM 태양광 발전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이 필요하며,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은 식(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6)
$\hat SC_{d}^{BTM}=SC_{d}^{PPA}+\hat SC_{d}^{etc}$

여기서, $\hat SC_{d}^{BTM}$는 $d$일의 BTM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 추정치, $SC_{d}^{PPA}$는 $d$일의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 $\hat SC_{d}^{etc}$는 $d$일의 기타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 추정치를 의미한다.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중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은 취득되고 있지만,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은 취득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다.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4월과 5월, 9월과 10월 중 평일 낮 시간의 전력수요 차이는 BTM 태양광 발전량에 의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4월과 5월 또는 9월과 10월의 평일 데이터가 사용된다. 전력계통의 운영을 위해 사용 중인 발전단 전력수요는 현재 발전기의 출력단자에서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는 BTM 태양광 발전량은 전력수요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사용된 데이터 중 태양광 발전량이 많은 맑은 날의 낮 시간 전력수요는 흐린 날의 낮 시간 전력수요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전력수요에 BTM 태양광 발전량을 더하여 BTM 태양광 발전기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반영한다면 맑은 날과 흐린 날의 낮 시간 전력수요 편차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변경해가며, 맑은 날과 흐린 날의 낮 시간 전력수요 편차가 최소가 되는 지점의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탐색한다. 그림 3은 4월과 5월의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의사 코드이며, 9월과 10월의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된다.

(7)
$\hat SC_{d}^{etc}=SC_{d}^{PPA}\times ratio$

(8)
$RL_{d,\:t}=Load_{d,\:t}+\hat BTMSG_{d,\:t}$

(9)
$Std_{13}=\sqrt{\dfrac{\sum_{i=1}^{n}(RL_{i,\:13}-\bar{RL_{13}})}{n}}$

그림. 3. BTM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 추정 방법의 의사 코드

Fig. 3. Pseudo code of BTM solar PV generator capacity estimation method

../../Resources/kiee/KIEE.2021.70.2.290/fig3.png

여기서, $ratio$는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대비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비율을 의미하며, $r_{\min}$(0%)에서 $r_{\max}$(100%)까지의 값을 갖는다. $\hat SC_{d}^{etc}$, $SC_{d}^{PPA}$는 각각 $d$일의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추정치와 PPA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RL_{d,\:t}$는 $d$일 $t$시의 전력수요 $Load_{d,\:t}$에 $d$일 $t$시의 추정된 BTM 태양광 발전량 $\hat BTMSG_{d,\:t}$이 더해진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n$은 4월과 5월 중 평일의 개수를 의미하며, 맑은 날과 흐린 날은 각각 한 개 이상씩 존재해야한다. $\bar{RL_{13}}$는 $n$개의 BTM 태양광 발전량이 더해진 전력수요 중 13시의 평균값, $Std_{13}$는 $n$개의 BTM 태양광 발전량이 더해진 전력수요 중 13시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며, 기타 태양광 설비용량 추정은 태양광 발전량이 최대인 13시를 기준으로 한다. 즉, BTM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을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 대비 비율로 계산하고, 이 비율을 변경해가며 BTM 태양광 발전량이 더해진 전력수요의 13시 편차가 최소가 되는 지점의 비율을 탐색한다. 분석 결과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이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의 50%일 때 낮 시간의 전력수요 편차가 최소가 되었다. 따라서 한국전력 PPA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의 50%를 기타 태양광 발전기의 설비용량으로 한다.

BTM 태양광 발전의 영향을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식(10)과 같이 예측일의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와 과거 3년의 동일 특수일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두 값의 차이만큼 예측일의 전력수요를 감소시킨다. 이때 BTM 설비용량의 연도별 증가를 고려하기 위해 BTM의 시간별 발전량을 설비용량으로 정규화 후 사용한다.

(10)
$L_{t}^{**}=L_{t}^{*}-SC_{spc}^{BTM}\times(PV_{spc,\:t}-PPV_{avr,\: t})$

여기서, $t$는 시간, $L_{t}^{**}$는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이 반영된 특수일 $t$시간의 전력수요예측 값, $L_{t}^{*}$는 기온에 의한 영향이 반영된 특수일 $t$시간의 전력수요예측 값, $SC_{spc}^{BTM}$는 특수일의 BTM 태양광 설비용량 추정치, $PV_{spc,\: t}$는 설비용량으로 정규화 된 특수일 $t$시의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 $PPV_{avr,\: t}$는 설비용량으로 정규화 된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 $t$시의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만약 예측일이 맑은 날인 경우 예측일의 BTM 태양광 발전량이 과거의 BTM 태양광 발전량보다 많으므로 전력수요가 하향 조정되며, 예측일이 흐린 날인 경우 예측일의 BTM 태양광 발전량이 과거의 BTM 태양광 발전량보다 적으므로 전력수요가 상향 조정된다.

3. 사례연구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시간별로 달라지는 기온의 영향과 연도별로 증가하는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에 대해 반영할 수 있는 특수일 시간별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참고문헌(12)에서 개발된 퍼지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해 특수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예측하며, 시간별로 달라지는 기온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기온민감도를 산출하여 예측된 전력수요를 보정한다. 또한 증가하는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국내 BTM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 및 발전량을 추정하여 반영한다. 제안된 기온민감도 및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해 2019년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이때 설날 및 추석 연휴, 대체공휴일, 선거일 등은 특수일의 달력상 위치가 연도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예측 대상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신정, 삼일절, 어린이날,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성탄절의 전력수요를 예측대상으로 한다.

기온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 예측 대상일로부터 과거 10개년의 동일 특수일과 특수일 이전 평상일 데이터가 사용된다. 여기서, 기온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의 기간은 예측이 가장 정확했던 과거 10개년을 사용한다. 단, 한글날의 경우 2013년부터 공휴일로 재지정 되었기 때문에 과거 10개년을 사용할 경우 공휴일이 아니었던 한글날의 데이터가 사용되어 정확한 기온민감도가 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글날의 기온민감도를 추정하기 위해 과거 6개년을 사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기존 퍼지 선형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해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특수일의 시간별 전력수요예측 오차는 식(11)의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를 사용한다.

(11)
$M A P E(\%)=\frac{100}{n} \sum_{t=1}^{n} \mid \frac{L_{t}^{M \text { easured }}-L_{t}^{\text {Forecast }}}{L_{t}^{\text {Meaoured }} }\mid$

여기서, $n$은 시점의 개수, $L_{t}^{Measured}$는 $t$시점의 계측된 전력수요, $L_{t}^{Forecast}$는 $t$시점의 예측된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사례연구를 위해 Intel i7-9700F CPU, NVIDIA GeForce RTX 2060 SUPER, Python 3.7.7의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이 구현된다.

표2는 2019년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를 나타내며,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알고리즘A는 퍼지 선형회귀분석법, 알고리즘B는 기온민감도를 적용한 퍼지 선형회귀분석법, 알고리즘P는 기온민감도 및 BTM 태양광 발전량을 반영한 퍼지 선형회귀분석법을 사용한다.

표 2. 2019년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

Table 2.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of special day load forecast in 2019

알고리즘A

알고리즘B

알고리즘P

신정

3.46%

2.32%

1.94%

삼일절

4.82%

3.90%

3.76%

어린이날

3.02%

3.02%

2.49%

현충일

0.95%

0.95%

0.75%

광복절

3.32%

3.30%

2.92%

개천절

1.65%

1.65%

1.80%

한글날

9.27%

3.08%

2.64%

성탄절

1.93%

2.54%

2.63%

전체 오차

3.55%

2.61%

2.38%

표 2와 같이 개천절과 성탄절의 전력수요예측 오차를 제외하면 기온민감도 및 BTM 태양광 발전량을 반영한 알고리즘P가 알고리즘A, 알고리즘B 보다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정확히 예측한다. 이때, 어린이날, 현충일, 개천절의 경우 기온이 냉・난방 기준기온인 18℃와 26℃ 사이에 속하기 때문에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의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어린이날, 현충일, 개천절의 전력수요예측 결과는 알고리즘A와 알고리즘B가 동일하다. 신정, 삼일절, 한글날의 경우 기온이 냉・난방 기준기온인 18℃와 26℃ 사이에 속하지 않으며, 전력수요예측에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반영되어 알고리즘A 보다 알고리즘B의 예측 오차가 작다. 특히, 한글날의 경우 과거 한글날과 한글날 이전 평상일의 기온 차이보다 예측연도의 한글날과 한글날 이전 평상일의 기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기온 변화에 의한 전력수요의 보정이 많이 이루어지고,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가 가장 많이 개선된다. 성탄절은 겨울에 해당되는 특수일로 일반적으로 성탄절의 전력수요는 기온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2019년 성탄절의 기온이 과거 성탄절의 기온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전력수요가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기온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는 경우 과소예측을 하였고, 기온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기 전보다 예측 오차가 증가하였다.

2019년 개천절은 전국에 걸쳐 비가 오고, 날씨가 흐렸으며, 이로 인해 2019년 개천절의 태양광 발전량은 과거 개천절의 태양광 발전량보다 적다. 따라서 2019년 개천절의 예측된 전력수요는 과거 개천절과 2019년 개천절의 태양광 발전량 차이만큼 상향 조정된다. 하지만 과거 개천절에 비해 예측연도의 태양광 발전량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전 시간대의 전력수요가 낮아 오차가 컸다. 이는 실제 전력수요의 변동 요인에는 기온과 BTM 발전량 이외의 요인들이 있기 때문이며, 향후 전력수요의 변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특수일 전체의 전력수요예측 오차를 비교하면 알고리즘A는 3.55%, 알고리즘B는 2.61%, 알고리즘P는 2.38%로 제안된 알고리즘P가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가장 정확히 예측함을 알 수 있다.

4. 결 론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시간별로 다른 기온의 영향과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특수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퍼지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한다. 기온에 의한 특수일의 전력수요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해 과거 특수일과 특수일 이전 평일의 전력수요와 기온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온민감도를 산출했다. 산출된 기온민감도를 이용해 퍼지 선형회귀분석법으로 예측된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보정했다. 또한 증가하는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BTM 태양광 발전기 설비용량과 발전량을 추정하여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했다. 2019년 특수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한 결과 기온과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반영한 퍼지 선형 회귀분석 기반 예측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특수일의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가 퍼지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한 예측 방법보다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중 전력수요예측 오차가 높은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를 개선시킴으로써 전력계통과 전력시장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gsil University Research Fund(Convergence Research) of 2020 and was supported by "Human Resources Program in Energy Technology"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ed financial resource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 (No. 20184010201690)

References

1 
Korea Power Exchange, Nov 2011, A Study on Short-term Load Forecas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ech. ReportGoogle Search
2 
Korea Power Exchange, Apr. 2019, Electricity Market RulesGoogle Search
3 
B. Kwon, R. Park, K. Song, Jul 2020, Short-Term Load Forecasting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Using LSTM Layer,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5, No. 4, pp. 1501-1509DOI
4 
S. Rahman, R. Bhatnagar, May 1988, An Expert System Based Algorithm for Short-Term Load Forecast,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3, No. 2, pp. 392-399DOI
5 
K. Kim, May 2000, Short-Load Forecasting for Special Days in Anomalous Load Conditions Using Neural Networks and Fuzzy Inference Method,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15, No. 2, pp. 559-565DOI
6 
Y. Nam, H. Jo, Dec 2019, Prediction of Special Day’s Hourly Load : Relative Coefficient Method vs Adjusted Coefficient Method, The Trans. of KIEE, Vol. 68, No. 12, pp. 1523-1533Google Search
7 
K. Song, B. Ku, Y. Baek, Mar 2002, An Improved Algorithm of the Daily Peak Load Forecasting for the Holidays, The Trans. of KIEE, Vol. 51a, No. 3, pp. 109-117Google Search
8 
K. Kim, Jul 1998, Development of Fuzzy Expert System for Short-term Load Forecasting on Special Days, The Trans. of KIEE, Vol. 47, No. 7, pp. 886-891Google Search
9 
B. Kwon, R. Park, K. Song, Jul 2020, Analysis of the Effect of Weather Factors for Short-Term Load Forecasting, The Trans. of KIEE, Vol. 69, No. 7, pp. 985-992DOI
10 
C. Moon, B. Kwon, D. Bae, K. Song, Jun 2020, Load Forecasting Algorithm on Weekdays Using Solar Radiation Weight, Journal of KIIEIE, Vol. 34, No. 6, pp. 40-47Google Search
11 
D. Bae, B. Kwon, C. Moon, S. Woo, K. Song, , Short- Term Load Forecasting Algorithm on Weekdays consi- dering the Amount of Behind-The-Meter Generations, Preparing on Journal of KIIEIE.Google Search
12 
K. Song, Y. Baek, D. Hong, G. Jang, Feb 2005, Short-Term Load Forecasting for the Holidays Using Fuzzy Linear Regression Method,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20, No. 1, pp. 96-101DOI
13 
D. Hong, S. Lee, H. Do, Sep 2001, Fuzzy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fuzzy input-output data using shape-preserving oper- ations, Fuzzy Sets and Systems, Vol. 122, No. 3, pp. 513-526Google Search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p. 2020, http://kma.go.kr/Google Search
15 
S. Jo, R. Park, K. Song, Jun 2019, Jeju Island’s Special Day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Dong-Nae Weather Forecasting, Journal of KIIEIE, Vol. 33, No. 6, pp. 1-8Google Search
16 
S. Jo, R. Park, K. Kim, B. Kwon, K. Song, Aug 2018, Sensitivity Analysis of Temperature on Special Day Electricity Demand in Jeju Island, The Trans. of KIEE, Vol. 67, No. 8, pp. 1019-1023DOI
1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ar. 2018., The Standard of the transaction of small capacity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Google Search

저자소개

Bo-Sung Kwon
../../Resources/kiee/KIEE.2021.70.2.290/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Korea, in 2018.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bosung1994@naver.com

Dong-Jin Bae
../../Resources/kiee/KIEE.2021.70.2.290/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ehdwls7191@naver.com

Chan-Ho Moon
../../Resources/kiee/KIEE.2021.70.2.290/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mch9293@naver.com

Kyung-Bin Song
../../Resources/kiee/KIEE.2021.70.2.290/au4.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Korea,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as in 1995.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oad forecasting, load modeling, power system operation and power system economics.

E-mail : kbsong@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