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석
(Moo-Seok Goh)
1iD
최승수
(Seung-Soo Choi)
2iD
김인동
(In-Dong Kim)
†iD
-
(Green Power Co., Ltd, Korea.)
-
(Gaon Co., Ltd,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Induction heating, Current source converter, Current source inverter, Power factor, 3-phase 3-switch PWM current source rectifier
1. 서 론
그림. 1. 유도가열의 원리
Fig. 1. Principle of induction heating.
유도가열은
그림 1과 같이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금속체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도체인 피가열체에 유도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다. 열전달 매질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변환 효율이 높고 짧은 시간 동안 피가열체에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전달 할 수 있으므로 큰 용량의
피가열체를 급속가열 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의 가열, 단조, 용해, 표면경화, 용접 등 철강과 기계 산업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1). 또한, 화석연료를 대체하여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장치의 디지털화 및 정밀제어로 인해 품질관리가 용이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피가열체를 가열하기 위해 유도가열을 주로 사용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주요한 장비는 유도가열 전원장치이다.
유도가열 전원 장치를 위해서 공진회로를 구성해야 한다. 공진회로의 구성 방식은 직렬공진회로 방식과 병렬공진회로 방식이 있다. 직렬공진회로 방식은 전압원
인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 하지만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같은 전류가 인버터에 흐르기 때문에 저용량의 전원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반면, 병렬공진회로 방식은 전류원 인버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며 가열 코일에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의 Q배에 해당하는 큰 전류를 흘리므로 인버터 소자의
전류 용량이 줄어들어 대용량의 전원 장치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대용량의 전원 장치가 필요한 대부분의 단조 전문회사는 병렬공진회로 방식의 유도가열 전원
장치를 대부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2).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기본 구성은 그림 2와 같다. 즉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원 컨버터와 유도가열용 공진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원 인버터로 구성된다. 그림 3(a)는 전류원 컨버터를 구현하기 위해 위상제어 SCR 정류기를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이다(3).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위상제어 정류기의 지연각을 제어하여 원하는 값의 직류 전류원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부하의 변동에 따라 지연각이 가변하며,
출력전압이 낮을수록 지연각이 커지므로, 역률 특성이 좋지 않으며 높은 전류 THD로 인하여 유도장해 현상을 발생시킨다.
그림. 2.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기본 구성
Fig. 2. Configuration of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for forging applications
그림. 3. 기존의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 전력회로도
Fig. 3. Conventional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for forging applications
그림 3(b)는 다이오드 정류기와 초퍼를 이용한 유도가열 전원장치이다. 초퍼를 이용하여 직류 전류를 제어하므로 위상제어를 사용하는 SCR 정류기에
비해 좋은 역률 특성을 가진다. 또한, 초퍼의 듀티 사이클만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가 간단하다. 하지만 스위칭으로 인한 높은 입력 전류 THD 때문에
역률을 크게 개선하기 힘들다. THD를 개선하기 위해 입력 필터를 추가하면 출력 용량에 따라 입력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생겨 역률이 변하게 된다.
그림. 4. 3상 6스위치 PWM 정류기 + IGBT 인버터
Fig. 4. Three-phase 6-switch PWM rectifier + IGBT inverter
이와 같은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연구 진행 중인 회로는
그림 4와 같이 6개 IGBT 스위치로 된 PWM 정류기를 이용한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 회로이다
(4).
그림 4의 3상 6스위치 PWM 정류기는 전류 위상의 제어 가능 범위가 전원 상전압 기준으로 ±90º이므로, 넓은 범위의 역률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입력 전원의 높은 역률과 낮은 입력 전류 THD 특성을 갖는 유도가열 전원 장치이며 역률과 THD 특성을 개선하였기 때문에 필터의 용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스위치 소자의 개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대폭 증가하고, 제어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DC link 전류의 환류 루프가 없어
시스템 안정성이 낮다.
그림. 5. 제안된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 + IGBT 인버터
Fig. 5. Proposed three-phase three-switch PWM rectifier + IGBT inverter
이러한 기존의 유도가열 전원 장치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그림 5와 같은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를 이용한 새로운 고역률 유도가열 전원 장치를 제안한다. 기존의 3상 6스위치 PWM 정류기와 비교하여 제어가
간단하고, 스위치 소자의 개수가 감소하여 가격이 싼 유도가열 전원 장치이다. 전류 위상의 제어 가능 범위가 전원 상전압 기준으로 ±30º로 제한적이지만
(5), 입력단의 역률이 1에 가깝게 유지되며 좋은 THD 특성을 갖는다. 환류 다이오드의 추가로 소자의 도통 손실을 줄이고, 사고로 인하여 제어 불능
상태에서도 전류의 환류 루프를 확보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SOGI PLL & FLL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전류원 인버터가 부하 공진 전압의 주파수와
위상을 잘 추종한다.
2. 제안하는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
2.1 시스템 구성
제안한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장치는 그림 5와 같이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 IGBT 인버터, 공진탱크회로로 구성된다.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를 이용하여 입력단의 역률과 DC 링크
인덕터의 직류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한다. 또한 전류원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로 하여금 공진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공진 전압의 위상과 주파수의
검출을 통해 공진 전압의 영점에서 인버터를 상보 스위칭해서, 인버터에서 본 부하의 역률을 항상 1이 되게 하여 최적의 가열조건과 효율을 유지한다.
2.2 부하 특성
유도가열 부하는 코일의 내부저항, 히스테리시스 손, 와전류손으로 인한 저항성분을 직렬 등가 저항 $R_{T}$로 표현하고, 콘덴서의 내부저항은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였다. $L_{T}$는 유도가열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이며, $C_{T}$는 공진용 콘덴서의 커패시턴스이며, 공진 주파수 $f_{o}$는
$L_{T}$, $C_{T}$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때 공진회로의 어드미턴스 값은 식(1)로 표현 할 수 있고,
공진 주파수 $f_{o}$는
식(2)와 같다.
그림. 6. 정상동작시 인버터 동작 파형
Fig. 6. Inverter operating waveform during normal operation
2.3 IGBT 인버터
병렬공진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류원 인버터 토플로지를 사용한다. 출력 공진 전압을 검지하여 Zero Crossing Point에서 극성의 변화에
따라 각 폴의 스위치를 상보로 동작시킨다. 기동상태에서 Zero Crossing Point를 만들기 위하여 인버터의 폴을 단락시킨 상태에서 DC 링크의
전류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가시킨 다음에 이 전류를 공진탱크에 강제로 주입시키며, Q factor는 2.54 이상이 되게 $L_{T}$와 $C_{T}$를
설계한다(6). 정상동작 상태에서 직류 전류 $I_{dc}$, 인버터 입력 전압 $V_{i n v}$, 공진 전압 $V_{o}$, 공진 전류 $I_{o}$는 그림 6과 같다.
2.4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
단방향의 강압형 PWM 정류기이며 회로 동작은 2개 이상의 스위치가 on 상태인 경우 선전류는 $I_{dc}$ 또는 $-I_{dc}$가 흐르며, 상전압의
크기 차이에 따라 극성이 결정된다. 반대로 2개 이상의 스위치가 off 상태인 경우 선전류는 0이고 환류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그림 7은 a상과 b상의 Pole 스위치를 on했을 경우 전압의 크기 차이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보이며, 모든 스위치가 off 상태인 경우 환류 다이오드를
통해 환류되는 것을 알 수 있다(7).
스위칭 알고리즘은 스위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SVPWM 방법을 사용한다. 각 폴의 스위치 상태에 따라서 7가지의 스위칭 상태를 갖는다.
표 1은 7가지 스위치 상태를 0벡터인 경우와 유효벡터를 갖는 스위치 상태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림. 7.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의 동작 원리
Fig. 7. Operation principle of 3-Phase 3-Switch PWM rectifier circuit
표 1. 스위치 상태에 따른 Space Vector
Table 1. Space vectors according to switching state
구분
|
스위칭 상태
[$S_{a}$ $S_{b}$ $S_{c}$]
|
Space Vector
|
Zero State
|
[000]
|
0
|
[001]
|
[010]
|
[100]
|
Active State
|
[011]
|
$I_{1}$, $I_{4}$
|
[101]
|
$I_{2}$, $I_{5}$
|
[110]
|
$I_{3}$, $I_{6}$
|
그림. 8. Space Vector 다이어그램
Fig. 8. Space Vector diagram
그림. 9. $\vec{I_{1}}$, $\vec{I_{2}}$, $\vec{I_{0}}$에 의한 $\vec{I_{ref}}$의 합성
Fig. 9. Composition of $\vec{I_{ref}}$ by $\vec{I_{1}}$, $\vec{I_{2}}$, $\vec{I_{0}}$
그림. 10. 섹터별 각 폴의 스위치 상태 (t: Overlapping time)
Fig. 10. Switching state of each pole according to sector (t: Overlapping time)
0벡터 상태는 모든 폴의 스위치가 off 상태 이거나, 단 하나의 폴의 스위치만 on상태일 경우이다.
표 1을 이용하여
그림 8과 같이 Space Vector 다이어그램을 나타낼 수 있다.
$\vec{I_{ref}}$는 스위칭 주기 $T_{s}$동안 2개의 인접 유효 벡터 및 0벡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9와 같이 섹터 1에 있는 경우 $\vec{I_{ref}}$는 $\vec{I_{1}}$, $\vec{I_{2}}$, $\vec{I_{0}}$벡터로 합성
할 수 있다. $T_{s}$는 식(3)과 같다.
이때 $T_{1}$과 $T_{2}$를 변조지수 $m_{a}$와 같이 나타내면
식(4)와 같이 나타낸다.
스위칭 패턴의 경우 스위칭 성분에 따른 고조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효벡터를 스위칭 주기의 정중앙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최종적인 SVPWM 스위칭
패턴은
그림 8을 참고하여
식(3),
식(4)를 계산하여 섹터별로
그림 10과 같이 제어한다.
3.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전력회로 설계
3.1 전력회로 해석
전원 장치의 설계 조건은 표 2와 같다. 전원 장치의 전력회로설계 시 컨버터와 인버터의 전압 및 전류의 계산상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8).
입력 전압은 순수 정현파이며 3상 평형이다.
$I_{dc}$는 일정하게 제어된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스위칭 주파수를 주 입력 전원 주파수보다 매우 높게 설정한다.
정류기는 SVPWM 방식의 스위칭 기법을 사용하며 최대 평균 출력전압$V_{rec.avg.\max}$은 식(5)와 같다.
인버터 입력전압 $V_{i n v}$의 평균값과 정류기 출력전압의 평균값은 같으므로
식(6)으로 나타내며,
정격 출력 40kW일 때 직류 전류의 최솟값$I_{dc.\min}$은 인버터 효율을 0.97로 가정 시
식(7)과 같다.
3.2 DC Inductor Design
$I_{dc}$의 리플 성분 $\triangle I_{dc}$는 $V_{i n v}$에 의한 리플 성분이 주로 나타난다. $V_{i n v}$의 최저차
리플 성분은 공진 주파수 $f_{o}$의 2차 고조파 성분이며 식(8)과 식(9)로 나타낸다(4).
이때 전류의 리플을 공진 주파수가 3[kHz]일 때 $I_{dc.\min}$의 5\%로 제한한다면 $L_{dc}$는
식(10)으로 계산한다.
그림 11은 부하전력 $P_{o}$가 40kW로 일정할 때 부하 특성곡선이다. $I_{dc.\max}$는 200A로 설계하였고 전류 리플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에 인덕터의 포화전류 또한 200A로 설계한다.
그림. 11. 부하 특성곡선
Fig. 11. Load characteristic curve
3.3 AC Filter Design
그림 12는 입력 AC Filter의 회로도이다. 입력 전원의 기본 주파수$f_{s}$는 60Hz이고 스위칭 주파수 $f_{sw}$는 5kHz이다. 필터의
차단주파수는 기본파 주파수에서의 위상지연을 최소화하고 스위칭 주파수로 인한 고조파 성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본파 주파수보다 10배 이상 크고 스위칭
주파수보다 작게 선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필터의 차단주파수 $f_{cuttoff}$를 900[Hz]로 선정하여 설계한다.
(a) $C_{f}$설계
$C_{f}$에 흐르는 무효전류로 인한 무효전력을 전체 유효전력의 10\%로 설계하여 식(11)로 계산한다(8).
(b) $L_{f}$설계
선정한 $C_{f}$를 이용하여 식(12)을 이용하여 $L_{f}$를 선정한다.
표 2.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설계 사양
Table 2. Design specification of proposed power supply
사양 항목
|
상세 규격
|
정격 전력 ($P_{o}$)
|
40 [kW]
|
입력 전압 ($V_{s."l\in e"}$)
|
380 [Vrms]
|
입력 주파수 ($f_{s}$)
|
60 [Hz]
|
공진 주파수 ($f_{o}$)
|
3~7 [kHz]
|
컨버터 스위칭 주파수 ($f_{sw}$)
|
5 [kHz]
|
그림. 12. 입력 전원의 AC Filter 회로
Fig. 12. Circuit topology of the AC Filter
그림. 13. AC Filter 전달함수 보드선도
Fig. 13. Magnitude and phase bode diagram of AC filter
(c) $R_{f}$설계
AC필터의 전달함수는 식(13)으로 나타내고 그림 13은 $R_{f}$값에 따른 설계한 필터 전달함수의 보드선도이다. 보드선도를 통해 스위칭 주파수에서의 이득은 낮고 공진주파수에서의 이득이 높지 않은
적절한 값을 선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R_{f}$값을 5Ω으로 선정하여 설계한다.
4.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제어회로 설계
4.1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전체 제어도
그림 14는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전체 제어도이다.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를 동작하기 위해서 3상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검출하여 제어기를 통해 SVPWM의
위상을 결정한다. 또한, 공진 전압과 전류를 검지하여 외각의 전력 제어루프를 통해 내각의 직류 전류 제어루프의 명령치를 주어 SVPWM의 Ma를 결정한다.
이때 직류 전류 제어루프의 대역폭은 IGBT 인버터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20kHz로 설계하였고 외각의 전력 제어루프는 200Hz로
설계하였다(9). IGBT 인버터는 출력 공진 전압의 위상과 주파수를 검출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도 추종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림. 14. 제안하는 단조용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제어도
Fig. 14. Control circuit diagram of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for forging applications
4.2 SOGI(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본 논문에서는 SOGI를 계통 3상 전원의 전압과 전류의 정상분 추출기법인 PSC(Positive Sequence Components)와 주파수 추종을
위한 FLL, 그리고 위상 검출을 위한 PLL에 사용한다. 그리고 부하의 공진 전압의 주파수를 추종하고 위상을 검출하여 IGBT 인버터를 Zero
Point에서 동작시킨다. 기존의 PLL(Phase Locked Loop)의 경우 단상의 경우 기본 파형의 90°지연된 파형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만들기가 어렵다. 또한, 3상의 경우도 고조파 성분에 취약하여 스위칭 주파수에 의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SOGI를
사용하여 PLL 하였고 FLL(Frequency Locked Loop) 루프를 추가하여 위상과 주파수를 검출하는 제어도를 간소화하였다.
그림 15는 SOGI의 블록선도이다. SOGI는 입출력 전달함수는 2차 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식(14)와 90도 지연된 파형에 대해서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식(15)로 나타낸다(10).
그림. 15. SOGI 블록선도
Fig. 15. SOGI block diagram
그림. 16. DSOGI PSC 블록선도
Fig. 16. DSOGI PSC block diagram
4.4 PLL&FLL
그림 17은 SOGI를 이용한 FLL 제어 블록선도이다. 기본이 되는 주파수 $\omega_{ref}$에서 변동하는 에러값을 SOGI Loop를 반복하며 적분기를
거쳐 주파수를 추종하게 된다(12). 그림 18은 dq변환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는 PLL 제어 블록선도이다(13). 위상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dq변환을 하기위한 $V_{a}$와 $V_{\beta}$가 고조파가 섞여 있지 않은 기본파 성분만 있어야 하고
$V_{\beta}$가 $V_{a}$보다 90도 뒤처진 파형이어야 한다. 또한 $\omega$가 $V_{a}$의 주파수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90도
뒤처진 파형을 추출하기 위한 SOGI와 주파수를 추종 하기위한 FLL을 해야 한다.
이때 FLL 제어기의 대역폭은 기본 주파수 주기와 동일하게 설계하여 3상 전원의 경우 60Hz, 공진 주파수의 경우 4kHz로 대역폭을 설계하였다.
PLL 제어기의 경우 FLL의 대역폭보다 20배 높게 설정하여 3상 PLL은 2kHz, 공진 주파수 PLL의 경우 80kHz로 PI제어기를 설계하였다.
그림. 17. FLL 블록선도
Fig. 17. FLL block diagram
그림. 18. PLL 블록선도
Fig. 18. PLL block diagram
4.5 계통 전원과 공진전압 위상 및 주파수 검출 루프
그림 19와 20은 최종적인 SOGI를 이용한 PSC, PLL, FLL 제어 블록이다. 그림 19는 3상 계통 전원의 전압과 전류에 사용하여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를 이용하여 위상제어를 하고 그림 20은 공진 전압에 사용하여 IGBT 인버터를 Zero Point에서 동작시킨다.
그림. 19. 계통 전원의 DSOGI PLL & FLL 블록선도
Fig. 19. DSOGI PLL & FLL block diagram of grid power
그림. 20. 공진 전압의 SOGI PLL & FLL 블록선도
Fig. 20. SOGI PLL & FLL block diagram of resonant voltage
5. 실험 결과
5.1 파라미터 사양 및 실험 회로
본 논문에서 설계한 파라미터 값과 비슷한 제품의 값으로 변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파라미터 값은 표 3과 같다. 실험을 위한 제어 보드의 MCU는 TI사의 TMS320F28075를 사용하였다. 그림 21은 제작한 유도가열 전원 장치이다.
표 3.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실험 파라미터
Table 3. Experimental parameter specification
Parameter
|
Symbol
|
Value
|
Unit
|
입력 계통 전압
|
$V_{LL}$
|
380
|
V
|
정류기 스위칭 주파수
|
$f_{sw}$
|
5
|
$k Hz$
|
공진회로 주파수
|
$\omega_{o}$
|
3$\sim$7
|
$k Hz$
|
AC필터 인덕터
|
$L_{f}$
|
470
|
$\mu H$
|
AC필터 커패시터
|
$C_{f}$
|
75
|
$\mu F$
|
AC필터 댐핑 저항
|
$R_{f}$
|
5
|
$Ω$
|
DC 인덕터
|
$L_{dc}$
|
1
|
$m H$
|
스너버 커패시터
|
$C_{s\nu bber}$
|
160
|
$p F$
|
스너버 저항
|
$R_{s\nu bber}$
|
3.3
|
$mΩ$
|
공진회로 커패시터
|
$C_{T}$
|
65
|
$\mu F$
|
공진회로 인덕터
|
$L_{T}$
|
26
|
$\mu H$
|
공진회로 저항
|
$R_{T}$
|
0.155
|
$Ω$
|
그림. 21. 제작된 유도가열 전원 장치
Fig. 21. Manufactured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5.2 입력 전원 전류의 필터 실험
PWM 정류기의 스위칭 주파수로 인한 입력 전원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LC필터를 이용하여 차단하였다. 이때 LC필터의 차단주파수 $f_{cuttoff}$는
850Hz이다. 그림 22는 실험 결과이며 고조파 성분이 상당히 줄어들어 입력 전원 전류의 THD 특성이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다.
5.3 인버터 입력 전압과 직류 전류 실험
인버터 입력 전압은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의 2배 고조파 성분이 정류된 파형으로 값이 최고 전압에서 0전압까지 변동한다. 그림 23에서 인버터 입력 전압의 변동에도 직류 전류는 제어기를 통해 일정한 전류로 제어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22. $I_{a}$와 $I_{i n}$ 파형 (Scales: 100 [A]/div, 5 [msec]/div)
Fig. 22. $I_{a}$ and $I_{i n}$ waveform (Scales: 100 [A]/div, 5 [msec]/div)
5.4 입력 전원 전압과 전류 실험
그림 24는 입력 3상 전원 전압과 전류 파형이다. 부하전력이 10kW와 40kW일 때 위상제어를 통해 전압과 전류를 동상으로 제어했다. 전류 파형은 정현파에
가까운 파형으로 고조파 성분이 낮고 부하전력이 정격에 가까울수록 낮은 THD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5.5 공진 전압과 전류 실험
그림 25는 공진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 파형이다. 이때 부하전력은 10kW와 40kW이며 공진전압의 Zero Point에서 IGBT 인버터를 동작시켜
전압과 전류를 동상으로 동작시켜 효율을 극대화했다. PLL과 FLL을 통해 주파수의 변동에도 추종하여 정확한 동작을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23. $V_{\in v}$와 $I_{dc}$ 파형 (Scales: 200 [V]/div, 50 [A]/div, 50[µsec]/div)
Fig. 23. $V_{\in v}$ and $I_{dc}$ waveform. (Scales: 200 [V]/div, 50 [A]/div, 50[µsec]/div)
그림. 24. $V_{a}$와 $I_{a}$ 파형 (Scales: 100 [V]/div, 50 [A]/div, 5[msec]/div)
Fig. 24. $V_{a}$ and $I_{a}$ waveform. (Scales: 100 [V]/div, 50 [A]/div, 5[msec]/div)
그림. 25. $V_{o}$와 $I_{o}$ 파형 (Scales: 200 [V]/div, 100 [A]/div, 50[µsec]/div)
Fig. 25. $V_{o}$ and $I_{o}$ waveform. (Scales: 200 [V]/div, 100 [A]/div, 50[µsec]/div)
그림 26은 부하전력의 변동에 따른 입력 전원의 역률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역률이 1에 가깝게 측정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27은 AC 필터 앞단의 입력 전력을 측정하고 인버터의 출력을 측정하여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정격전력에 가까워질수록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4는 유도가열 전원 장치의 컨버터 토폴로지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전체적인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그림 5의 토폴로지 방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림. 26.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측정된 역률
Fig. 26. Measured input power factor according to output power of the proposed power
supply
그림. 27. 제안하는 전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측정된 효율
Fig. 27. Efficiency according to output power of the proposed power supply
표 4. 컨버터 토폴로지 특성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converter topologies
토폴로지
|
역률
|
입력 전류 THD
|
제어의 복잡성
|
가격
|
SCR 위상제어 정류기
|
낮음
|
높음
|
중간
|
중간
|
다이오드 정류기+초퍼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3상 6스위치 PWM 정류기
|
높음
|
낮음
|
높음
|
높음
|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
|
높음
|
낮음
|
중간
|
중간
|
6. 결 론
기존의 SCR 위상제어 정류기와 다이오드 정류기를 사용한 유도가열 전원 장치는 낮은 역률 특성과 높은 입력 전원 전류 THD 특성을 가진다. 또한
이를 개선한 기존의 3상 6스위치 PWM 정류기를 사용한 유도가열 전원 장치는 높은 역률 특성과 낮은 전류 THD 특성을 가지지만 제어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를 사용하여 유도가열 전원 장치를 제안한다. 기존의 3상 6스위치 PWM 정류기와
비교하여 제어가 간단하고 가격이 싼 유도가열 전원 장치이다. 입력단의 역률이 1에 가깝게 유지되며 부하 전압의 변동과 관계없이 직류 전류가 일정하게
잘 제어된다. 또한 SOGI PLL & FLL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전류원 인버터가 부하 공진 전압의 주파수와 위상을 잘 추종한다. 정격 전력 40kW의
유도가열 전원 장치를 설계/제작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상 3스위치 PWM 정류기를 이용한 유도가열 전원
장치는 단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19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Lucia Oscar, Maussion Pascal, J. Dede Enrique, M. Burdio Jose, May 2014, Induction
Heat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Past Developments, Current Technology, and
Future Challenges,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1, No. 5, pp. 2509-2520
P. Dawson Francis, K. Jain Praveen, July 1991, A Comparison of Load Commutated Inverter
Systems for Induction Heating and Melting Application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6, No. 3, pp. 430-441
R. Namadmalan A., Abdi B., S. Moghani J., September 2011, A Current-Fed Parallel Resonant
Push-Pull Inverter with a New Cascaded Coil Flux Control for Induction Heating Applications,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 11, No. 5, pp. 632-638
Seung-Soo Choi, Chang-Woo Lee, In-Dong Kim, December 2018, Design of New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for Forging Applications Using Current-Source PWM Converter and
Invert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12, pp. 1602-1610
M. Salo, Jun 12 2005, A three-switch current-source PWM rectifier with active filter
function, in Proc. 36th IEEE Power Electron. Spec. Conf., pp. 2230-2236
A. P. Hu, G. A. Covic, J. T. Boys, May 2006, Direct ZVS start-up of a current-fed
resonant inverter,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1, No. 3, pp. 809-812
T. Nussbaumer, J. W. Kolar, Jun 15-19 2003, Advanced modulation scheme for three-phase
three-switch buck-type PWM rectifier preventing mains current distortion originating
from sliding input filter capacitor voltage intersections, in Proc. 34th IEEE Power
Electron. Spec. Conf., Acapulco, Mexico, Vol. 3, pp. 1086-1091
Nussbaumer Thomas, Baumann Martina, W. Kolar Johann, March 2007, Comprehensive Design
of a Three-Phase Three-Switch Buck-Type PWM Rectifier,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2, No. 2, pp. 551-562
Sang-Hoon Kim, 2018, Motor Control, Bogdoo publisher
Mozdzynski Kamil, Rafal Krzysztof, 2004, Application of the 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in digital control systems, Archives of Electrical Engineering, Vol. 63,
No. 3, pp. 423-437
Rodriguez P., Teodorescu R., Candela I., V. Timbus A., Liserre M., Blaabjerg F., June
2006, New positive-sequence voltage detector for grid synchronization of power converters
under faulty grid conditions, in Proc. 37th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pp. 18-22
Yan Qingzeng, Zhao Rende, Yuan Xibo, Ma Wenzhong, He Jinkui, March 2019, A DSOGI-FLL-Based
Dead-Time Elimination PWM for Three-Phase Power Co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4, No. 3, pp. 2805-2818
Ciobotaru Mihai, Teodorescu Remus, Blaabjerg Frede, June 2006, A new single-phase
PLL structure based on 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in Proc. 37th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pp. 18-22
저자소개
2018년 부경대 공대 전기공학과 졸업.
2020년 부경대 공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20년~현재 ㈜그린파워 주임연구원
2013년 부경대 공대 전기공학과 졸업.
2015년 부경대 공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7년 부경대 공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수료.
2020년 부경대 공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2020년~현재 ㈜가온 선임연구원
1984년 서울대 공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7년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졸업(석사).
1991년 동 대학원 졸업(공박).
1991년~1996년 ㈜대우중공업 철도차량연구소 책임연구원.
1997년~1998년 미국 Univ. of Tennessee Post Doc.
2004년~2005년 미국 Virginia Tech 방문교수.
2012년∼2013년 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방문 교수.
1996년~현재 부경대 공대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idkim@pk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