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Korea.)
  2.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Korea.)
  3.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Republic of Korea Naval Academy, Korea.)



electric propulsion system, energy storage system, fuel cost, generation system design, integrated power system, shipboard power system

1. 서 론

최근 국제해사기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선박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에 대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황산화물($SO_{X}$) 규제를 위해 모든 선박에 대해 연료유의 황 함유량을 현행 3.5%에서 0.5%로 제한한다. 황산화물은 산성비 및 초미세먼지 발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대기 중의 이산화황($SO_{2}$)은 수용성이 커 인체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1). 이에 환경규제 및 고압 전력전자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많은 선박에서 친환경, 고효율 추진방식으로 기존의 기계식 추진을 대체하여 전기추진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대형 전력 부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함정/상선 등에서 기존의 엔진을 이용한 기계식 추진방식을 대체하여 발전기와 전동기를 이용한 전기추진 선박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전기추진 선박은 높은 연료 효율, 저소음, 저진동 및 신속한 제어 응답성 등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기계식 추진 선박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2). 특히 전기추진 선박에서는 기존의 기계식 추진방식 대비 선박 내에 발전기의 구성과 설치 위치 선정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선박의 생존성과 신뢰성, 경제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전자식 무기체계를 도입하고 있는 함정에 전기추진이 적용되는데 차세대 구축함이라고 불리는 영국 Type 45 및 미국 DDG-1000 등에서 전기추진체계가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3).

선박에 전기추진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연료 효율의 향상, 생존성 및 신뢰성의 극대화 및 운영비용 감소 등의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기추진 선박의 경우, 선내 전력 부하의 변동이 급격한 지역에서의 운항 시 요구 부하를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 운영을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기계식 추진방식에 비해 기어박스/축 손실을 저감하는 등 연료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기존의 기계식 추진체계와 비교했을 때 높은 경제성을 가진다.

전기추진체계는 모든 속력에서 전기추진으로 추진하는 통합 전기추진(IFEP: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방식과 일정 속력 이상에서는 기계식 추진기관과 병용하는 복합식 전기추진(HEP: Hybrid Electric Propulsion)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1은 복합식 및 통합식 전기추진체계 발전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림 1 복합식 및 통합식 전기추진체계의 개념도 (a) 복합식 추진체계, (b) 통합 전기추진체계

Fig. 1 Concept of hybrid and electric propulsion system (a) Hybrid propulsion (b)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png

그림 1(a)의 복합식 전기추진체계 개념도를 보면 추진용 프로펠러는 가스터빈 엔진뿐만 아니라 전동기와도 연결되어 있어 추진 부하 및 운영 방법에 따라 기계식과 전기식 추진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복합식 전기추진체계의 경우 기계식 추진과 전기식 추진 모드 간 전환이 필요하므로, 모든 부하를 전기식으로 통합하여 공급하는 통합식 전기추진체계보다 복잡한 운용개념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기계식 추진체계의 구조를 거의 유지하기 때문에 선박의 관리 및 운용에 있어서 통합 전기추진 체계에 비해 변화가 적다.

그림 1(b)의 통합식 전기추진체계는 추진용 프로펠러는 전동기로 구동되며 이를 포함한 모든 전기 부하가 주 배전반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기계식 추진 엔진이 존재하지 않고 가스터빈 또는 디젤 엔진과 연결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해 추진 전동기 및 서비스 부하를 모두 공급하도록 한다. 통합전기 추진체계는 기계식 엔진에 비해 제어성능이 뛰어난 전동기를 이용한 전기추진을 통해 선박의 운항성능 및 정지거리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최근 선박에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대형 전기전자식 부하의 탑재 시 추가 발전기 설치없이 효과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식 및 통합 전기추진체계를 모두 대상으로 하며 연료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개선을 위한 발전시스템 최적 설계 방법과 그 효과를 분석한다. 선박의 예상 운항조건 및 부하 프로파일 등 운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발전시스템 구성 설계 방안을 도출한다. 선박은 건조 후 25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므로(4) 발전시스템의 설계 시, 설치 비용뿐 아니라 연료비 등 운영비를 고려한 생애주기 비용(LCC: Life Cycle Cost)을 고려한 설계 방식을 적용한다. 또한, 전기추진 선박의 경우 발전시스템의 고장은 승조원의 안전 및 생존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발전시스템의 운영에 따른 신뢰도를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식 및 통합식 전기추진체계의 발전시스템 구성 방식에 따른 발전기 운용 스케줄링을 도출하고 각 사례의 연료비용을 분석하여 가장 경제적인 연료비용을 갖는 발전시스템 구성사례를 분석한다. 전기추진 선박은 다양한 용량의 발전기 설치 및 병렬 운전이 가능하여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 발전시스템 설계 및 운용 시 공간의 제한 및 발전기 선정 범위의 제한 등 여러 설계 요건의 제한이 있어 모든 운항조건에서 최적의 연비 효율을 갖도록 설계하기는 어렵다(5). 또한, 선박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운항 조건에서 발전기 단독 운전(SGO, Single Generator Operation)이 제한됨에 따라 발전기가 낮은 부하율로 운전하는 경우가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시스템에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적용하여 일정 수준의 운전 예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전기 단독운전(SGO)을 허용하고 발전시스템 운영의 유연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도 검토한다.

2. 선박 발전시스템의 경제성 기반 최적 설계 기법

2.1 생애주기 비용을 고려한 발전시스템 경제성 분석

전기추진 선박의 발전기 구성의 경우 명확한 기준이 정의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추진 부하의 전력공급을 위한 대형 발전기와 서비스 부하 공급을 위한 소형 발전기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하지만 통합 전기추진 체계에서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발전기의 용량을 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성에 근거한 합리적인 발전기 용량설계가 가능하다. 즉, 다양한 용량의 발전기 설치가 가능하고 발전기 급전이 비교적 유연한 전기추진 선박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상 부하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함 생애주기 동안의 비용을 고려하여 설계한다면 더욱 경제적인 발전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발전시스템 설계 시, 발전기의 초기 설치비, 연료비, 유지보수 비용 등에 대한 통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에 의해 황산화물 비중이 낮은 저유황유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과거에 사용하던 벙커C유보다 약 50%의 연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연료비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 전력시스템의 설치비, 연료비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박의 생애주기 비용(LCC: Life Cycle Cost)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선박의 LCC는 선박의 수명(통상 약 25년)동안 발생하는 모든 획득(acquisition), 설치, 운영,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및 해체에 필요한 비용을 포함한다(7).

LCC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크게 순현가비용(NPC, Net Present Cost) 분석 방법 및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 분석 방법이 있다. 순현가비용(NPC)은 구성 요소를 설치・운영하는 모든 비용의 현재 가치에서 선박의 수명 동안 획득한 모든 수익의 현재 가치를 뺀 값으로, 전 기간 현금 흐름도(cash flow)를 생성하여 발생하는 모든 수익은 음수, 비용 발생은 양수로 계산한다. 미래 비용을 할인율(discount rate)과 이자율(interest rate)을 사용하여 현재 비용으로 환산하여 계산하며 장래 발생 편익의 현재 비용을 제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내부수익률(IRR)은 선박의 수명 동안 발생하는 편익의 현재 가치와 비용의 현재 가치를 일치시켜 순현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로 산정된다. 내부수익률과 할인율을 비교하여 내부수익률이 할인율보다 크면 경제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8-9].

순현가비용(NPC)은 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8). 여기서 $n$은 사업의 전체 기간, $r$은 할인율, $C_{t}$는 시간 $t$에서의 순 현금흐름(cash flow)을 나타낸다. 이때, 식 (1)의 우변 첫 번째 항은 비용의 현재 가치(Present Value)이며 $I_{0}$는 초기 투자비용이다. 내부수익률(IRR)은 식 (2)를 만족시키는 $r$(할인율)의 값을 찾음으로써 구할 수 있다(9).

(1)
$NPC=\left(\sum_{t=1}^{n}\dfrac{C_{t}}{(1+r)^{t}}\right)-I_{0}$

(2)
$IRR=\text{r when NPC}=\left(\sum_{t=1}^{n}\dfrac{C_{t}}{(1+r)^{t}}\right)-I_{0}=0$

그림 2는 선박 LCC의 구성 요소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이다(7). 선박의 LCC는 크게 초기 비용(initial/acquisition cost)과 유지 비용(sustaining/future cost)으로 구성된다. 초기 비용은 선박 획득까지 필요한 비용으로, 선박 설계에 필요한 모든 비용과 구성 요소의 설치 비용 및 승조원들의 초기 교육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유지 비용은 선박 획득 이후 폐기까지 필요한 비용으로, 임금과 연료비, 유지보수 비용, 관리 비용, 설비 교체 및 처분 비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선박의 초기 비용은 전체 LCC의 약 20~40%이며 유지 비용은 약 60~80%로 전체 LCC에서 유지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7).

그림 3은 4,000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급 컨테이너선 요코하마-함부르크를 운항하는 데 소요된 비용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10). 연료 비용이 전체 비용의 57%를 차지하고, 그 외에 항구 비용(19%), 초기 자본비용(10%), 운하 수수료(10%)와 승무원 비용, 유지보수 비용 및 보험 비용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선박 LCC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유지 비용 중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갖는 연료비용을 최소화한다면 선박 운용의 경제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선박의 연료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있었는데 참고문헌 (11)은 실제 해상에서 선속 대비 연료소모량 계측을 바탕으로 대상 선박의 연료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운항 속력과 엔진의 회전수(rpm)를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12)에서는 추진 프로펠러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효율을 높이는 부가장치의 설치, ALS(Air Lubricated System), 선형 최적화, 선박 운항 최적화 등을 제안하였으며 마찰 저항의 최소화, 속력 손실 최소화의 기능과 관련한 연료비 절감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오도료(Anti-fouling paint)의 적용에 따른 연료비 절감액의 추정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참고문헌 (13)에서는 추진 효율을 높여 연료를 절감하는 방법 및 투자되는 비용과 투자금 회수 기간 등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선박의 연료 절감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의 오류로써, 설계・설치 비용 및 유지비를 누락한 점과 연구결과에 따른 효율의 절대적 수치만을 발표한 점 등을 지적하였다.

그림 2 선박의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 구성 요소 (7)

Fig. 2 Components of the life cycle cost of a ship (7)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2.png

그림 3 선박 운항에 소요되는 비용 분석 사례 (요코하마-함부르크) (10)

Fig. 3 Example of cost breakdown of ship (Yokohama- Hamburg) (10)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3.png

본 논문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참고문헌 (11)-(13)과 차별하여 선박의 연료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발전시스템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용량에 따른 발전기의 연료 효율 곡선을 이용하여 함 운항조건에 따른 연료비용을 계산한다. 특히, 함정의 예상 부하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발전시스템 구성 조합을 도출하여 이 조합들에 대해 연료비용 기반의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다.

2.2 ESS를 고려한 발전시스템 운영비용 개선 방안

선박은 외부세계와 독립된 전력계통으로 선박 내의 급격한 부하변동 또는 설비고장 시, 전력 수급의 안정성 및 전압・주파수 변동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4). 최근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선박의 전력시스템에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도입하고 있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로는 배터리, 플라이휠(flywheel), 울트라 캐패시터(ultra capacitor) 등이 있으며 선박에서는 전력밀도가 높고 응답성이 빠른 리튬이온 기반의 배터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선박 발전시스템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적용하는 목적은 주로 중요 부하에 대한 무정전 전원 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UPS) 기능, 발전기 고장 시 대기 중이던 발전기가 가동하여 모선에 동기화될 때까지 예비 전력(reserve power)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 데드쉽(dead-ship) 상태에서 비상 발전기를 대신하여 원동기의 시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 및 차세대 수상함 등에 도입이 예상되는 수 MW급의 고출력 펄스 부하 운용을 위한 목적 등이 있다(5). 추후 대용량의 전기전자부하의 적용이 광범위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 적용 기술은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15).

해상에서의 선박의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해 발전기 운영 시 발전기 단독운전(SGO, Single Generator Operation)을 금지하는 제약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발전기 한 대가 고장 등으로 트립(trip)되어도 나머지 운전 중인 발전기들이 중요 부하를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발전기 단독운전을 금지하는 경우 발전시스템의 신뢰성은 향상할 수 있지만, 저부하 시에 복수의 발전기가 최적 부하율 이하로 운전하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연료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ESS를 사용하여 발전기 트립 시 예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업 전력으로 활용함으로써 발전기 단독운전을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그 효과를 경제성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3. 발전시스템 구성 설계에 따른 연료비용 기반 경제성 비교・분석 방법

발전시스템 구성 조합별로 연료비용 기반을 기반으로 하여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전기 종류별 연비 데이터, 함 운항에 따른 부하 데이터, 연료 가격 및 기타 재무변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연비 데이터로서 실제 선박에 사용되는 발전기 모델의 SFC(Specific Fuel Consumption)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부하 데이터로는 전형적인 항해 프로파일(16)을 바탕으로 1년(8,760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최대부하 48MW급 선박을 가정하여 스케일링하였다. 각 발전기에 사용되는 연료는 선박용 경유로 설정하여 가격은 0.95 $/L(한국석유공사 Opinet 기준, 2020년 10월)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순현가비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할인율 등의 재무변수가 필요하지만, 1년 분석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반영하지 않았다.

그림 4는 예상 부하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N$개의 발전시스템 구성에 대한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를 계산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예상되는 선박의 부하 프로파일을 정의한 후, 발전기의 용량, 최소・최대 출력, SFC 특성곡선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모든 시간대의 부하를 만족할 수 있는 발전기 조합으로 구성된 발전시스템 구성을 도출한다 (총 발전시스템 구성 조합의 개수는 $N$개). 그 후, 각 발전시스템 구성에 대해 1년 (8,760시간)에서의 발전기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모든 발전시스템 구성에 대해 총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kWh)를 계산하여 가장 낮은 연료 단가를 갖는 발전시스템 구성을 최적의 구성안으로 도출한다. 이때, 발전기 스케줄링 및 연료 단가 계산은 전력계통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인 HOMER Pro와 이에서 제공하는 MATLAB Link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수행하였다(17).

그림 4 연료비용 기반의 발전시스템 경제성 분석 과정 흐름도

Fig. 4 Flow chart of fuel cost-based power generation system economics analysis process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4.png

3.1 함정 운항에 따른 부하 데이터

부하 데이터는 약 2주간의 운용 부하 데이터를 취득하여 1시간 단위의 최대 전력 값으로 정리하고 1년(8,760시간) 데이터로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원 데이터는 초 단위로 측정된 데이터이나, 측정 간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1시간 단위로 정리하였다. 추진 부하는 약 48,000kW (peak) 기준으로, 서비스 부하는 약 4,000kW (peak) 기준으로 스케일링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5는 약 2주간의 운용 부하 프로파일을 1시간 단위의 최대 전력 값으로 정리한 것을 나타내며, 그림 6그림 5의 데이터를 1년 데이터로 확장한 것이다. 부하 프로파일은 함 추진을 위해 공급되어야 하는 추진 부하(propulsion load)와 함 내 서비스 부하(service load)로 구성되어 있다. 연중 부하 데이터를 살펴보면 추진 부하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대는 정박 상태로, 선박 내 필수 전력설비를 위한 부하만이 요구된다. 연료비용 기반 경제성 비교 분석 지표로는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kWh)를 사용하였으며,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는 발전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의 kWh당 평균 연료비용으로서 계산하였다.

그림 5 운용 부하 프로파일 예 (약 2주)

Fig. 5 Operating load profile (About 2 weeks)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5.png

그림 6 연중 운용 부하 프로파일 가정

Fig. 6 Assuming a year-round operating load profile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6.png

3.2 발전기 연비 데이터

그림 7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발전기 SFC 및 연료 효율 데이터이다. 평균 서비스 부하 약 3MW인 선박을 가정하였으므로 서비스 부하를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인 3MW 디젤발전기(DG, Diesel Generator), 3~4MW 가스터빈 발전기(GTG, Gas- Turbine Generator), 15MW 가스터빈 발전기(GTG) 및 25MW 가스터빈 발전기(GTG)를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이때, 최대부하가 약 48MW인 선박을 가정하였으므로, 이를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 조합으로 사례를 구성하였다.

그림 7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보통 가스터빈 발전기보다 디젤발전기가 부하율에 따른 연료 소비량이 적고 연료 효율이 높다. 연료 효율은 연료의 저위발열량 및 밀도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전기마다 계산한 값으로, 식 (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림 7 연구에 사용된 발전기 데이터 (a) SFC(Specific Fuel Consumption) 특성 (b) 연료 효율 특성

Fig. 7 Generator data used in the study (a) Specific fue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 Fuel efficiency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7.png

(3)
$\eta_{g en}=\dfrac{3600\cdot p_{g en}}{\rho_{fuel}(F_{0}+F_{1}\cdot p_{g en})\cdot LHV_{fuel}}$

이때 $\eta_{g en}$은 연료 효율(%)을 나타내며, $p_{g en}$은 발전기의 출력을 해당 발전기의 정격용량으로 나눈 값(p.u), $\rho_{fuel}$은 연료 밀도($kg/m^{3}$), $F_{0}$는 연료 소모 특성을 L/hr 단위로 표현하고 1차 근사화한 함수의 Y 절편값, $F_{1}$은 기울기를 나타낸다. $LHV_{fuel}$은 연료의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MJ/kg)이다.

3.3 경제성 분석 방법

선박 발전시스템의 연료비용 기반 경제성 분석을 위해 독립형 전력계통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한 상용 소프트웨어인 HOMER Pro를 사용하였다. 발전시스템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제약조건을 포함하는 발전기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HOMER Pro에서 제공하는 MATLAB Link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인 각 발전시스템 구성사례에 대한 모델을 생성한 후, HOMER Pro로부터 실시간 시뮬레이션 변수 및 상태를 받아 MATLAB 코드로 구현한 발전기 급전(dispatch)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기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림 8은 HOMER Pro의 MATLAB Link를 사용하여 발전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그림 8 HOMER Pro와 MATLAB Link를 사용한 스케줄링 과정 개념도

Fig. 8 Schematic diagram of scheduling process using HOMER Pro and MATLAB Link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8.png

발전시스템 운영에 대한 제약조건은 발전기 단독운전인 SGO (Single Generator Operation)를 금지하며 동일 용량의 발전기 운전 시 동일 부하율을 부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함에 적정한 용량의 ESS가 설치된다면 발전기의 SGO를 허락한다. 발전기 스케줄링에 적용되는 비용함수 및 제약조건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식 (4)~(7)과 같다.

(4)
$J =\min\left(C_{"\cap al"}+C_{fuel}+C_{o&m}+C_{s tart-up}\right)$

(5)
$\sum_{i=1}^{N_{g en}}P_{i}^{t}=P_{load}^{t}$

(6)
$P_{i}^{\min}\le P_{i}^{t}\le P_{i}^{\max}$

(7)
$\sum_{i=1}^{N_{g en}}U_{i}^{t}\ge 2$

식 (4)는 발전기 스케줄링에 적용되는 비용함수이다. $C_{c a\pi tal}$은 초기 자본비용($), $C_{fuel}$은 연료 비용($), $C_{o&m}$은 유지보수(O&M, Operation and Maintenance) 비용($)이며 $C_{s tart-up}$은 발전기의 기동 비용($)을 나타낸다. 식 (5)는 총 $N_{g en}$개의 발전기에 대하여 모든 발전기의 $t$ 시간대의 총 출력은 해당 시간대의 부하의 크기와 같아야 함을 의미하며, $P_{i}^{t}$은 $i$번째 발전기의 $t$ 시간대의 출력, $P_{load}^{t}$는 $t$ 시간대의 부하를 나타낸다. 식 (6)은 각 발전기의 출력은 최소 출력과 최대 출력 사이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P_{i}^{\min}$은 $i$번째 발전기의 최소 출력, $P_{i}^{\max}$은 $i$번째 발전기의 최대 출력을, $P_{i}^{t}$은 $i$번째 발전기의 $t$ 시간대의 출력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식 (7)은 $N_{g en}$개의 발전기 중 최소 2대 이상의 발전기가 운전해야 함을 의미한다. $U_{i}^{t}$는 $i$번째 발전기의 $t$ 시간대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며 운전 상태일 경우 1, 정지 상태일 경우 0으로 표현한다.

4. 사례 연구

연료비용 기반 경제성 분석의 대상으로서 복합식 및 통합 전기추진체계에 대한 발전시스템 구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복합식 전기추진체계의 경우, CODLOG (COmbined Diesel-eLectric Or Gas-turbine) 방식의 Case1과 COGLOG (COmbined Gas- turbine eLectric Or Gas-turbine) 방식의 Case2로 구성하였으며, 통합 전기추진체계의 경우 서로 다른 발전기 조합으로 총 5가지 사례(Case3~Case7)를 구성하였다. 복합식 전기추진체계 중 하나인 CODLOG는 저속 시에는 디젤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전동기를 이용해 추진하고, 고속 시에는 고출력 기관인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기계식 추진으로 운항한다. 영국의 Type 23 호위함이 CODLOG 체계를 적용한 대표적인 실적 함정이다(18). COGLOG 방식은 저속 시에는 소형 가스터빈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전동기를 이용해 추진하고, 고속 시에는 CODLOG 방식처럼 대형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운항한다.

표 1 복합식 전기추진체계: 발전시스템 구성사례

Table 1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Cases of power generation system configuration

Generator / Engine Type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Case1

(CODLOG)

Case2

(COGLOG)

Small Diesel Generator (SDG)

3MW × 4

-

Small Gas-Turbine Generator (SGTG)

-

3MW × 4

Large Gas-Turbine Engine (LGT)

25MW × 2

25MW × 2

Total Power Generation Capacity

62 MW

62 MW

표 2 통합 전기추진체계: 발전시스템 구성사례

Table 2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Cases of power generation system configuration

Generator / Engine Type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Case3

Case4

Case5

Case6

Case7

Small Diesel Generator (SDG)

3MW×2

3MW×3

-

-

-

Small Gas-Turbine Generator (SGTG)

-

-

3MW×3

4MW×3

-

Large Gas-Turbine Generator (LGTG)

25MW×2

25MW×2

25MW×2

25MW×2

15MW×4

Total Power Generation Capacity

56 MW

59 MW

59 MW

62 MW

60 MW

표 1은 복합식 전기추진체계의 발전시스템 구성사례를 가정한 것을 나타내며, 표 2는 통합 전기추진체계의 발전시스템 구성사례를 가정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SDG(Small Diesel Generator)는 소형 디젤 발전기, SGTG(Small Gas-Turbine Gener- ator)는 소형 가스터빈 발전기, LGT(Large Gas-Turbine)는 대형 가스터빈 엔진, LGTG(Large Gas-Turbine Generator)는 대형 가스터빈 발전기를 나타낸다.

표 1표 2는 모의 부하의 최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하였으며, 어떤 발전기 조합이 더 낮은 발전단가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선박의 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방식인 소형 발전기와 대형 발전기(또는 엔진)의 조합으로 구성한 방식과 중간 용량을 갖는 발전기 4대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각 사례에 대해 본 논문에서 적용한 제약조건을 포함하는 발전기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 연료비용 기반의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4.1 복합식 전기추진 발전시스템 구성사례 분석 결과

표 3은 복합식 전기추진체계의 발전시스템 구성사례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Case1과 Case2의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는 각각 0.2638 $/kWh, 0.3556 $/kWh로, Case1이 Case2보다 약 26% 낮은 발전단가를 가진다. 이는 Case1이 상대적으로 연료소모량이 적은 소형 디젤발전기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림 9는 복합식 전기추진체계 구성사례의 연중 운용 부하 중 어느 특정한 이틀에 대한 발전기 스케줄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복합식 전기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부하를 공급하기 위해 소형 발전기 2대가 항상 기동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일정 속력까지는 추진 부하를 소형 발전기를 통해 공급하고, 일정 속력 이상부터는 가스터빈 엔진으로 추진한다. 두 Case의 경우 동일한 발전기 용량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발전 스케줄링이 도출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연료소모량이 적은 소형 디젤발전기를 포함하는 Case1이 비교적 낮은 발전단가를 가진다.

표 3 복합식 전기추진 구성사례별 분석 결과 요약

Table 3 Summary of analysis results for each case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Items of cost analysis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Case1 (CODLOG)

Case2 (COGLOG)

Fuel cost compared to power generation ($/kWh)

0.2638

0.3556

Total fuel consumption (L/year)

20,139,046

27,152,200

Fuel cost - LGT ($/year)

7,723,771

7,723,771

Fuel cost - SDG ($/year)

11,408,322

-

Fuel cost – SGTG($/year)

-

18,071,103

그림 9 복합식 전기추진 구성사례별 발전기 스케줄링그래프 (a) Case1 (CODLOG) (b) Case2 (COGLOG)

Fig. 9 Generation scheduling graph for each case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a) Case1 (CODLOG) (b) Case2 (COGLOG)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9.png

4.2 통합 전기추진 발전시스템 구성사례 분석 결과

표 4는 통합 전기추진체계의 발전시스템 구성사례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Case7이 0.3768 $/kWh로 가장 높은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를 갖는다. 가장 낮은 연료 단가를 갖는 사례는 Case 7보다 약 30% 낮은 연료 단가를 가지는 Case4 (0.2639 $/kWh)이다.

그림 10은 전기추진체계의 사례별로 그림 9와 같은 부하조건에서 통합전기 추진체계의 발전기 스케줄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배가 정박하여 서비스 부하만 존재하는 시간대(각 사례 우측의 06~24시)에는 복합식 전기추진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부하는 소형 발전기 두 대가 병렬로 나누어 공급한다. 추진 시 일정 속력까지만 소형 발전기로 공급하는 복합식 전기추진과 다르게 통합 전기추진은 일정 속력 이상에서도 소형 발전기가 대형 가스터빈 발전기와 함께 공급한다. 따라서, 통합 전기추진 방식의 경우 복합식 전기추진 방식보다 유연한 발전기 운영이 가능하므로 각 엔진이 효율적인 운전점에 가까운 지점에서 운전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 예시로 좌측 그래프의 18시부터 우측 그래프의 2시까지의 구간을 볼 수 있다.

그림 9의 복합식 전기추진 구성사례별 발전기 스케줄링은 소형 발전기를 통해 서비스 부하를 공급하고 가스터빈 엔진을 통해 추진 프로펠러를 구동한다. 그러나 그림 10의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별 발전기 스케줄링의 경우, 해당 구간에서 대형 가스터빈 발전기를 통해 모든 전력수요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대형 가스터빈 엔진 및 발전기가 복합식 전기추진 방식의 스케줄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부하율에서 운전하게 되어 효율적인 발전기 운영이 가능하다.

표 4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별 분석 결과 요약

Table 4 Summary of analysis results for each case of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Items of cost

analysis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Case3

Case4

Case5

Case6

Case7

Fuel cost compared to power generation ($/kWh)

0.3097

0.2639

0.3384

0.3505

0.3768

Total fuel consumption

(L/year)

23,647,853

20,148,559

25,838,540

26,762,447

28,766,513

Fuel cost: LGTG

($/year)

16,847,867

9,660,559

9,660,559

6,556,499

27,328,190

Fuel cost: SDG

($/year)

5,617,592

9,480,571

-

-

-

Fuel cost:

SGTG

($/year)

-

-

14,886,054

18,867,824

-

그림 11은 전기추진체계의 구성사례별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Case1 및 Case4가 비교적 낮은 연료 단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사례는 소형 디젤발전기를 많이 포함하는 사례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또한, 두 사례를 비교하였을 때 Case1이 Case4보다 더 많은 소형 디젤발전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더 낮은 연료 단가를 갖는다. Case1은 복합식 전기추진체계를 적용한 또 다른 사례인 Case2보다 약 25.8% 낮은 연료 단가를 가지며, Case4의 경우 동일하게 통합 전기추진체계를 갖는 사례들과 비교했을 때 약 14.8%~ 30%가량 낮은 연료 단가를 가진다. 분석 결과, 소형 디젤발전기를 많이 포함하는 사례가 낮은 연료 단가를 갖지만 발전시스템 구성 설비의 대수 증가로 인한 초기 설치비용, 유지보수 비용 및 교체 비용 등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생애주기 비용 분석이 필요하다.

그림 10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별 발전기 스케줄링그래프 (a) Case3 (b) Case4 (c) Case5 (d) Case6 (e) Case7

Fig. 10 Generation scheduling graph for each case of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a) Case3 (b) Case4 (c) Case5 (d) Case6 (e) Case7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0-1.png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0-2.png

4.3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에 ESS 적용 시 효용성 분석

그림 12는 발전기 단독운전을 금지 및 허용하는 경우의 발전기 스케줄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 표시된 부분을 보면 좌측 그래프는 SGO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 발전기 한 대로 충분히 공급 가능한 부하에서도 소형 발전기와 병용하지만, 우측 그래프의 경우 SGO를 허용하기 때문에 대형 발전기 한 대만 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볼 수 있다. 통합 전기추진체계의 각 구성사례에 ESS를 적용하여 백업 전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에 적용한 발전기 단독운전(SGO) 금지 제약조건을 허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11 전기추진체계 구성사례별 발전출력 대비 연료단가 ($/kWh) 비교

Fig. 11 Fuel cost compared to power generation($/kWh) comparison by case of electric propulsion system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1.png

그림 12 발전기 단독운전(SGO)을 금지(좌) 또는 허용(우)하는 경우의 발전기 스케줄링 패턴

Fig. 12 Generation scheduling patterns in case of prohibiting (left) or allowing (right) Single Generator Operation (SGO)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2.png

선박의 전력계통에 적용할 ESS의 용량 산정은 ESS의 수명을 고려하는 최대 방전 심도(DoD, Depth of Discharge), 공급량과 공급시간, 방전률(C-rate)을 고려하며 다음 식 (8)과 같이 계산하였다.

(8)
$C_{ESS}=\dfrac{P_{"sup"}\times T_{"sup"}}{Do D^{\max}}$

여기서 $C_{ESS}$는 ESS의 용량(MWh), $P_{"sup"}$은 출력 전력(MW)이며 $Do D^{\max}$는 최대 방전 심도를 의미한다. $T_{"sup"}$은 공급시간(h)을 나타내는데, 방전률(C-rate)의 역수로서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대 방전 심도가 80%를 적용하고, 서비스 부하 약 5MW를 15분간 공급(4 C-rate)할 수 있도록 1.25 MWh의 용량을 갖는 ESS를 적용하며 발전기 고장 시 운전 예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백업 전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표 5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에 ESS를 적용한 경우의 분석 결과 요약

Table 5 Summary of analysis results when ESS is applied to the case of the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Items of cost analysis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 ESS

Case3

+ESS

Case4

+ESS

Case5

+ESS

Case6

+ESS

Case7

+ESS

Fuel cost compared to power generation ($/kWh)

0.3071

0.2587

0.3216

0.3223

0.3047

Total fuel consumption (L/year)

23,448,059

19,754,524

24,556,240

24,607,323

23,261,755

Fuel cost – LGT ($/year)

20,161,569

9,945,657

20,212,701

20,212,701

22,098,667

Fuel cost – SDG ($/year)

2,114,086

8,821,140

-

-

-

Fuel cost – SGTG ($/year)

-

-

3,115,727

3,164,255

-

표 5는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에 ESS가 적용되었을 때의 경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ESS 적용 전과 마찬가지로 소형 디젤발전기가 가장 많이 포함된 Case4가 가장 낮은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를 가진다. 가장 높은 연료 단가를 갖는 사례는 Case6 이다. 이는 가장 낮은 연료 단가를 갖는 Case4보다 약 24%가량 높은 연료 단가를 가진다. 이때, 표 4에서 가장 높은 연료 단가를 갖는 Case7의 경우, ESS 적용 후에는 Case4 다음으로 낮은 연료 단가를 가진다. 이는 해당 사례에 ESS를 적용함으로써 발전기 단독운전이 허용되어 보다 효율적인 발전기 스케줄링이 가능해졌음을 보여준다.

그림 13은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에 ESS를 적용한 경우의 발전기 스케줄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ESS는 발전시스템에서 발전기 고장 시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업 전력으로 사용하여 발전기 단독 운전(SGO)를 허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기존 발전시스템은 발전기 운용 제약조건으로 인해 서비스 부하를 소형 발전기 2대를 병렬로 운전하여 공급하지만, ESS를 적용한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부하를 소형 발전기 1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대형 가스터빈 발전기 1대로 충분히 추진 부하와 서비스 부하를 공급할 수 있는 경우에는 1대만으로 공급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그림 14는 통합 전기추진체계의 각 구성사례에 ESS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사례에서 ESS 적용 후에 연료 단가가 감소하였다. 이때, 소형 가스터빈발전기가 디젤발전기보다 연료 효율이 낮으므로 ESS를 적용하여 발전기 단독운전이 허용되었을 때 Case 3, 4 (소형 디젤발전기 포함)보다 Case 5, 6, 7 (소형 가스터빈 발전기 포함)가 더 큰 연료 단가 감소세를 보인다. 특히 Case7의 경우 가장 큰 연료 단가 감소 폭을 갖는데, 이를 통해 Case7의 구성이 ESS가 포함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다른 사례보다 경제적으로 불리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ESS 적용 후에는 소형 가스터빈 발전기가 포함된 Case 5, 6보다 낮은 연료 단가를 가지므로, 설계할 발전시스템의 ESS 포함 여부에 따라 발전기 조합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이 발전시스템의 경제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 13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에 ESS를 적용한 경우의 발전기 스케줄링 그래프 (a) Case3 (b) Case4 (c) Case5 (d) Case6 (e) Case7

Fig. 13 Generation scheduling graph when ESS is applied to the case of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a) Case3 (b) Case4 (c) Case5 (d) Case6 (e) Case7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3-1.png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3-2.png

그림 14 통합 전기추진 구성사례 ESS 적용 전・후의 연료 단가 비교

Fig. 14 Comparison of fuel cost compared to power generatio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ESS in the case of integrated full electric propulsion system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1.70.8.1156/fig14.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기추진 선박의 발전시스템 설계 시 선박의 운용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료비용을 고려하기 위하여, 설계 대상 선박의 예상 부하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하여 연료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약조건을 포함하는 발전기 스케줄링 수행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로써 통합식/복합 전기추진체계의 발전시스템 구성사례를 가정하고, 사례별 발전기 스케줄링 수행 후 연료비용 기반의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형 디젤발전기가 많이 포함된 사례인 Case1(복합식) 및 Case4(통합식)가 비교적 높은 경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 소형 디젤발전기가 가장 많이 포함된 Case1의 경우 가장 낮은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를 갖지만, 펄스 부하 등 미래 도입이 예상되는 고출력 부하를 고려하면 통합 전기추진체계가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형 디젤발전기가 많이 포함된 사례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연료비용을 갖지만, 발전시스템의 설비 대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에 따르는 초기 설치 비용, 유지보수 비용 및 교체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정밀한 생애주기 비용의 분석이 필요하다.

통합 전기추진체계의 구성방안에 ESS를 도입해 백업 전력으로 사용하여 발전기 단독운전을 허용할 경우, 모든 구성사례에서 발전출력 대비 연료 단가가 감소하였다. 가장 낮은 연료 단가를 갖는 Case4의 경우 기존보다 연간 연료비용이 약 1.97% 감소하였다. Case7의 경우 ESS 도입 전에는 가장 높은 연료 단가를 보였으나, ESS 도입 후 연간 연료비용이 약 19.13%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박의 발전시스템 설계 시 예상 운항조건, 부하 프로파일 및 ESS의 도입 여부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가능한 발전시스템 구성안에 대해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다면 보다 낮은 연료 비용을 필요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은 발전기, ESS 등 설비 및 기기의 무게에 영향을 받아 변화하게 된다. 선박의 중량이 달라지면 같은 속도로 항해하더라도 선체 저항과 추진 부하가 변화하며, ITTC 1957의 2차원 저항 해석법을 적용해 선체 저항 및 추진 전동기의 출력을 구함으로써 추진 부하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19). 이를 고려하여 전기추진 선박 설계 시, 대상 선박 내 구체적인 설비의 무게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후속 연구로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추후 발전기 단가, 유지보수 비용, 기동/정지 비용 등을 고려한다면 할인율, 인플레이션율 등의 재무변수를 포함하는 선박의 수명주기 동안의 생애주기 비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발전기 부피, 공간 등의 제약조건을 포함하여 더욱 면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Defense Industry Technology Center Foundation (Contract Number UC200011D).

References

1 
Air pollutant emissions, National Air Emission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Available online: https://airemiss.nier.go.kr/mbshome/mbs/airemiss/subview.do?id=airemiss_020200000000 (Accessed on 6 January 2021)Google Search
2 
Tae-young Kim, 2018, Optimal Dispatch and Unit Commitment Strategies for Electric Propulsion Shipboard Power System Using Dynamic Programming,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DOI
3 
GE Power Conversion, GE Marine, August 2019, Global Trends of Naval Electric Propulsion System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OKN Destroyer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23, No. 4, pp. 112-123Google Search
4 
Shipping News Net, February 2017, Shipping and shipbuilding industry, look into the next two yearsGoogle Search
5 
So-yeon Kim, 2014, Design of Shipboard Energy Storage System and Operation for Voltage/Frequency Compensation in Naval Integrated Power System,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istyGoogle Search
6 
Hankyung, July 2019, Fuel costs reduction - special order issued to global shipping companiesGoogle Search
7 
Ship’s Lifle Cycle Cost, 2013.01, Available online: https://tkays.com/2013/01/31/ships-life-cycle-costing/(Accessed on 6 January 2021)Google Search
8 
Net Present Value (NPV), Corporate Finance Institute, Available online: https://corporatefinanceinstitute.com/resources/knowledge/valuation/net-present-value-npv/ (Accessed on 6 January 2021)Google Search
9 
Internal Rate of Return (IRR), Corporate Finance Institute, Available online: https://corporatefinanceinstitute.com/resources/knowledge/finance/internal-rate-return-irr/ (Accessed on 6 January 2021)Google Search
10 
Masahiko Furuichi, Ryuichi Shibasaki, August 2015, Cascade strategy of container termianls to maximize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apacity, IAME ConferenceGoogle Search
11 
Soon-Kap Kim, Yun-Sok Lee, Gil-Young Kong, Jong-Pil Kim, Chang-Hyun Jung, February 2012, A Study on the Ship’s Speed for Reducing the Fuel Oil Cosumption in Actual Shi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1, pp. 41-47DOI
12 
JaeHyeok Kim, YongWoon Kim, DongKwon Lee, June 2020, The Study on Economic Evaluation of Anti Fouling Coatings based on Ship’s Speed Loss in Accordance with ISO 19030 Standard,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57, No. 3, pp. 124-132DOI
13 
Go-ryong Park, Kwon-hae Cho, November 2014,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effects and application of marine fuel reduction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8, No. 9, pp. 1057-1063DOI
14 
Hyun-Keun Ku, Hye-Rim Seo, Jang-Mok Kim, August 2015, Lithium-io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Power Quality Improve- ment in Electrical Propulsion Ship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0, No. 4, pp. 351-355DOI
15 
Hun-seok Lee,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hip Energy Efficiency through ESS(Energy Storage System), Master’s thesi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Google Search
16 
So-Yeon Kim, February 2019, A Study on the Adoption of Power Take Off Operation Mode and Fuel-Saving Effect in the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for a Warship,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ionics, Vol. 24, No. 1, pp. 40-48DOI
17 
HOMER Pro. Available online: https://www.homerenergy.com/products/pro/index.html(Accessed on 6 January 2021)Google Search
18 
Hyung-Min Lee, Byung-Jin Cho, September 2011, Analysis of Develop- ment Trend for the Integrated Power System of Naval Vessels to Perform the High-Power and Energy Mission Load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5, No. 6, pp. 796-801DOI
19 
Young-Kwang Son, Sehwa Choe, Seung-Yong Lee, So- Yeon Kim, Seung-Ki Sul, August 2017, Application of DC distribution IPS to a 10t Class Fishing Boa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2, No. 4, pp. 353-359DOI

저자소개

정다원 (Da-Won Jung)
../../Resources/kiee/KIEE.2021.70.8.1156/au1.png

She received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 neering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S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her master degree in Smartgrid Laboratory at Kookmin University.

심재성 (Jae-Sung Sim)
../../Resources/kiee/KIEE.2021.70.8.1156/au2.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and 202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Solution Team at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EPRI), Dae- jeon, Korea.

김소연 (So-Yeon Kim)
../../Resources/kiee/KIEE.2021.70.8.1156/au3.png

S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 neering from Republic of Korea Naval Academy, Changwon, Korea, in 2003, and M.S. and Ph. 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7 and 2014, respectively.

S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at Republic of Korea Naval Academy, since 2014.

정일엽 (Il-Yop Chung)
../../Resources/kiee/KIEE.2021.70.8.1156/au4.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9, 2001, and 2005, respectively.

He was a postdoctoral associate at Virginia Tech, Blacksburg, VA, USA from 2005 to 2007.

From 2007 to 2010, he worked for the Center for Advanced Power Systems at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USA as an assistant scholar scientist.

Currently,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