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복합전력계통의 유효부하지속곡선(CMELDC)
발전계통만을 대상으로 한 HLI(Hierarchical Level I)에서의 유효부하지속곡선(Effective Load Duration Curve;
ELDC)은 1967년에 Baleriaux와 Jamoulle가 처음으로 제시하여, 발전계통의 확률론적인 발전시뮬레이션이나 신뢰도 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3). 이를 보이면 그림 3과 같다.
그림. 3. HLI에서의 유효부하(Effective Load)
Fig. 3. Effective Load model for HLI
그 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전원개발계획이나 발전계통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등에 적용되면서 개선을 거듭하였으나, 발전계통 및 송전선로의 사고율과
같은 송전계통의 불확실성까지 포함한 복합전력계통의 신뢰도 평가개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근래에 발전계통 및 송전계통의 불확실성까지 고려한
복합전력계통에 대한 각 부하지점별 유효부하지속곡선(Composite power system Equivalent Load Duration Curve;
CMELDC)을 이용하여 발전기 및 송전계통의 사고율과 같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복합전력계통에서의 각 부하지점별 확률론적 발전비용 산정 및 신뢰도 지수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유효부하 모델이 개발되어 제시되었다(6).
3.1 HLII에서의 유효부하모형
그림 3의 왼쪽부분의 실계통은 그림 3의 오른쪽처럼 등가화할 수 있다. 전력계통내에 용량 $C_{i}$[MW]와 사고율(Forced Outage Rate; FOR) $q_{i}$인 i번째
발전기가 존재한다는 것은 원래 부하에 #i 발전기의 용량 $C_{i}$[MW]를 가지고 출현확률이 $q_{i}$인 가상부하가 존재한다는 것과 동일하다.
이때 확률적 계통부하와 발전기 사고에 기인한 확률적 사고부하를 합하여 유효부하라 정의한다. 여기서는 송전계통의 사고율을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HLI에서의
유효부하이다(7).
HLI에서의 유효부하개념을 확장하여 발전계통 및 송전선로의 사고율 등과 같은 불확실성까지 고려한 그림 4와 같은 일반적인 복합전력계통이 있다. 그림 4의 CG와 CT는 발전기 및 송전선로의 용량을 나타내며 q와 ql은 각각 발전기와 송전선로의 사고율을 나타낸다.
그림 5와 같이 각 발전기의 존재를 완전히 무시하는 대신 임의의 부하지점에 용량이 $AP_{ij}$[MW]이며 사고상태 발생확률이 q‘인 가상발전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등가화한다. 여기서 j는 k부하지점에서 j번째 사고상태를 뜻한다. 그림 5의 $_{k}f_{osi}$는 k부하지점에서의 #1 발전기부터 #i 발전기까지 운전된 경우의 종합적인 가상발전기(Synthesized fictitious
generator)의 사고용량확률분포 함수를 나타낸다.
그림. 4. 복합전력계통의 실제 계통의 모델
Fig. 4. Actual system model
그림. 5. 계통의 가상 등가 발전기
Fig. 5. Synthesized fictitious generator
그림. 6. HLII에서의 유효부하모델
Fig. 6. Equivalent system for HLII
그러므로 발전계통에서의 유효부하개념을 도입하여 그림 5를 그림 6처럼 크기가 CG[MW]이고 사고율이 0인 발전기가 발전모선에 존재하고 q’인 출현확률을 갖고 크기가 $AP_{ij}$[MW]인 가상부하와 그 부하지점에서의
확률적 계통부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으로 등가화 할 수 있다. 이때 확률적 계통부하와 사고상태를 갖는 최대공급전력에 기인한 확률적 사고부하를 합하여
복합전력계통의 유효부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의 확률변수를 정식화하면 식(1)과 같다(8).
여기서,
$_{k}x_{e}
$ : k부하지점에서 복합전력계통의 유효부하 확률변수
$_{k}x_{L}
$ : k부하지점에서 확률적 계통부하의 확률변수
$_{k}x_{oj}
$ : k부하지점에서 j번째 사고상태에서 최대공급전력에 의한 확률적 사고부하의 확률변수
NS : 계통상태의 총수
3.2 HLII에서의 유효부하지속곡선과 신뢰도지수
본 연구에서 복합전력계통의 신뢰도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개발한 하루 동안의 부하에 대한 유효부하모형을 이용하여 작성한 유효부하지속곡선을 나타내면 그림 7과 같다.
그림. 7. #k 모선에서의 CMELDC와 신뢰도지수
Fig. 7. CMELDC and reliability index
그러므로 발전기 #1부터 #i번째 발전기까지 투입된 후의 k부하지점에서의 유효부하지속곡선의 확률분포함수
$_{k}Φ_{i}(x_{e})
$는 식(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단, $\otimes$ : 상승적분을 의미하는 연산자
$
_{k}Φ_{o}
$ : k부하지점에서의 역부하지속곡선(Inverted Load Duration Curve; ILDC)
$
_{k}f_{osi}
$ : #k 모선에서 #1부터 #i 발전기까지를 동시에 고려한 등가가상발전기(Synthesized fictitious generator)의 사고용량확률분포함수
그러므로 발전기 #1 부터 #i까지 투입되고 난 후의 k부하지점의 CMELDC($
_{k}Φ_{i}(x_{e})
$)를 이용하여 그 모선에서의 신뢰도 지수인 전력부족시간 기대치(Loss of Load Expectation; LOLE)와 공급지장전력량의 기대치(Expected
Energy Not Served; EENS)를 식(3)과 식(4)처럼 계산할 수 있다. 그림 7은 이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L$_{pk}$와 AP$_{ik}$는 각각 발전기 #1 부터 #i까지 투입되고 난 후의 k부하지점의 최대부하와 최대공급전력(Maximum
arrival power)을 의미한다.
3.3 부하지점별 확률론적 신뢰도 지수
복합전력계통에서의 신뢰도 지수는 계통전체 및 각 모선별 신뢰도 지수들을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k부하지점에서의 모선별 신뢰도 지수를 유효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하여 식(5)와 식(6)처럼 계산할 수 있다.
단, L$_{pk}$ : 부하지점 k에서의 최대부하치 [MW]
AP$_{k}$ : 부하지점 k에서의 최고도달전력 [MW]
3.4 전체계통의 확률론적 신뢰도 평가
전체 계통의 EENS$_{HLII}$는 각 연계계통별 EENS$_{k}$의 합과 같다. 그러나 LOLE$_{HLII}$는 그렇지 않으므로 아래와 같이
ELC를 매개변수로 이용하여 평균치 개념을 갖는 LOLE$_{HLII}$를 식(8), (9)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대적 신뢰도 지수인 EIR(Energy Index of Reliability)은 식(10)으로 계산한다(9).
여기서,
$NL$ : 총 부하 개수
$ELC_{k}$ : EENS$_{k}$ / LOLEk
$DENG_{k}$ : 모선 k에서의 수요에너지
참고로 여기서는 하루 동안의 부하에 대한 유효부하모형을 이용하여 작성한 유효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경우이다. 1년 동안의 부하에 대한 유효부하모형을
이용할 경우 앞에서 제시한 식들의 단위가 day에서 year로 바뀐다.
5. Sample Case Study
기존발전기와 풍력발전기를 각각 1대씩 갖는 그림 11과 같은 수 작업도 가능한 간단한 샘플계통 I을 제시한다. 여기서 송전선로 용량은 각각 20[MW]이며 사고율은 0.003이다. 본 계통은 그림 12와 같은 최대부하가 20[MW]인 역부하지속곡선(Inverted Load Duration Curve; ILDC)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그림. 11. 풍력발전기를 포함하는 복합전력계통(샘플계통 I)
Fig. 11. Composite power system including WTG (Sample system I)
그림. 12. 샘플계통 I의 역부하지속곡선
Fig. 12. Inverted Load duration curve of the sample system I
기존발전기는 사고율이 0.1인 2개상태를 가지며 풍력발전기는 풍속모델과 풍력발전기의 출력모형에서 산정되어 5개의 사고상태 공간모형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풍속과 풍력발전기의 특성자료는 표 1과 같다고 가정한다.
풍속모델은 개발된 공통풍속모델(Common wind speed model)을 사용한다. 풍속의 평균($\mu$)과 표준편차($\sigma$)를 갖는
정규 확률분포로 가정하며, 풍속분포는 최저풍속에서 최대풍속까지 10$\sigma$내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표 1. 풍속과 풍력발전기의 특성자료
Table 1. Wind speed and characteristics of WTG
풍속
|
풍력발전기(WTG)
|
Wind speed range
|
0~35m/sec
|
WTG capacity
|
10MW
|
Mean wind speed(μ)
|
10m/sec
|
Cut-in speed(V$_{ci}$)
|
5 m/sec
|
Standard deviation(σ)
|
8m/sec
|
Rated speed(V$_{R}$)
|
15 m/sec
|
Cut-out speed(V$_{co}$)
|
25 m/sec
|
1m/sec 단위로 $\mu -5\sigma$(-30m/sec)에서 $\mu +5\sigma$(50m/sec)까지 81개의 번호로 설정하고 이때의
풍속모형과 풍력발전기의 출력모형을 결합하여 가용용량(AP)별 확률분포함수를 구하면 표 2와 같다.
표 3은 풍속모형과 풍력발전기의 출력모형을 결합하여 가용용량별 확률분포함수를 구한 후 미리 상정한 5개의 가용용량별 운전상태 공간으로 확률분포값을 선형분할분배하는
것을 보인다. 표 4는 얻어진 가용용량상태확률분포를 사고용량상태확률분포로 정리한 것을 보인 것이다. 이때, 송전선로 T1, T2의 사고율은 0.003으로 가정한다.
표 2. 풍력발전기의 가용용량별 확률분포
Table 2. Available power and probability of WTG
풍속밴드의 번호
|
WTG Available power(P$_{SWbi}$)
|
Probability
(PB$_{SWbi}$)
|
1,…,36 and 57,…,81
|
0
|
0.3131
|
37
|
0.2667
|
0.0440
|
38
|
0.6963
|
0.0465
|
39
|
1.2889
|
0.0483
|
40
|
2.0444
|
0.0495
|
41
|
2.9630
|
0.0499
|
42
|
4.044
|
0.0495
|
43
|
5.2889
|
0.0483
|
44
|
6.6963
|
0.0465
|
45
|
8.2667
|
0.0440
|
46,…,56
|
10
|
0.2604
|
|
Total
|
1.000
|
표 3. 풍력발전기의 가용용량확률분포의 선형분할배분
Table 3. Linear rounding of available capacity probability distribution of WTG
AP
[MW]
|
AC
Prob.
|
0MW
|
3MW
|
5MW
|
7MW
|
10MW
|
0.0
|
0.3131
|
0.3131
|
-
|
-
|
-
|
-
|
0.2667
|
0.0440
|
0.0401
|
0.0039
|
-
|
-
|
-
|
0.6963
|
0.0465
|
0.0357
|
0.0108
|
-
|
-
|
-
|
1.2889
|
0.0483
|
0.0275
|
0.0208
|
-
|
-
|
-
|
2.0444
|
0.0495
|
0.0158
|
0.0337
|
-
|
-
|
-
|
2.9630
|
0.0499
|
0.0006
|
0.0493
|
-
|
-
|
-
|
4.0444
|
0.0495
|
-
|
0.0237
|
0.0258
|
-
|
-
|
5.2889
|
0.0483
|
-
|
-
|
0.0413
|
0.0070
|
-
|
6.6963
|
0.0465
|
-
|
-
|
0.0071
|
0.0394
|
-
|
8.2667
|
0.044
|
-
|
-
|
-
|
0.0254
|
0.0186
|
10.0
|
0.2604
|
-
|
-
|
-
|
-
|
0.2604
|
Total
|
1.000
|
0.4328
|
0.1422
|
0.0742
|
0.0718
|
0.2790
|
표 4. 풍력발전기의 사고용량확률함수값
Table 4. The outage capacity and corresponding probability of WTG
OC[MW]
|
0
|
3
|
5
|
7
|
10
|
FOR
|
0.2790
|
0.0718
|
0.0742
|
0.1422
|
0.4328
|
첫 번째 방법은 표 4에서 정리한 풍력발전기의 사고용량확률함수값을 이용하여 샘플계통 I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확률에 따라 나타내면 표 5와 같다. 표 5에서 T1, T2의 2는 송전선로 2개가 정상상태임을 의미하며, 1은 송전선
표 5. 모의계통의 상태확률분포표 및 신뢰도
Table 5. State probability distribution table and reliability of the simulated system
state
|
G1
|
WTG
|
T1, T2
|
Prob.
|
AP
|
OC
|
LOL
|
LOLE[hours/day]
|
EENS[MWh/day]
|
1
|
30
|
0
|
2
|
0.9×0.4328×0.997×0.997 = 0.38718638568
|
20
|
0
|
0
|
0
|
0
|
2
|
30
|
3
|
2
|
0.9×0.1422×0.997×0.997 = 0.12721327182
|
20
|
0
|
0
|
0
|
0
|
3
|
30
|
5
|
2
|
0.9×0.0742×0.997×0.997 = 0.06637992102
|
20
|
0
|
0
|
0
|
0
|
4
|
30
|
7
|
2
|
0.9×0.0718×0.997×0.997 = 0.06423286158
|
20
|
0
|
0
|
0
|
0
|
5
|
30
|
10
|
2
|
0.9×0.279×0.997×0.997 = 0.24959565990
|
20
|
0
|
0
|
0
|
0
|
6
|
0
|
0
|
2
|
0.1×0.4328×0.997×0.997 = 0.04302070952
|
0
|
20
|
24
|
1.0324970285
|
14.627041237
|
7
|
0
|
3
|
2
|
0.1×0.1422×0.997×0.997 = 0.01413480798
|
3
|
17
|
24
|
0.3392353915
|
3.788128539
|
8
|
0
|
5
|
2
|
0.1×0.0742×0.997×0.997 = 0.00737554678
|
5
|
15
|
24
|
0.1770131227
|
1.622620292
|
9
|
0
|
7
|
2
|
0.1×0.0718×0.997×0.997 = 0.00713698462
|
7
|
13
|
24
|
0.1712876309
|
1.227561355
|
10
|
0
|
10
|
2
|
0.1×0.279×0.997×0.997 = 0.02773285110
|
10
|
10
|
10
|
0.2773285110
|
2.773285110
|
11
|
30
|
0
|
1
|
0.9×0.4328×0.997×0.003×2 = 0.00233010864
|
20
|
0
|
0
|
0
|
0
|
12
|
30
|
3
|
1
|
0.9×0.1422×0.997×0.003×2 = 0.00076557636
|
20
|
0
|
0
|
0
|
0
|
13
|
30
|
5
|
1
|
0.9×0.0742×0.997×0.003×2 = 0.00039947796
|
20
|
0
|
0
|
0
|
0
|
14
|
30
|
7
|
1
|
0.9×0.0718×0.997×0.003×2 = 0.00038655684
|
20
|
0
|
0
|
0
|
0
|
15
|
30
|
10
|
1
|
0.9×0.279×0.997×0.003×2 = 0.00150208020
|
20
|
0
|
0
|
0
|
0
|
16
|
0
|
0
|
1
|
0.1×0.4328×0.997×0.003×2 = 0.00025890096
|
0
|
20
|
24
|
0.0062136230
|
0.088026326
|
17
|
0
|
3
|
1
|
0.1×0.1422×0.997×0.003×2 = 0.00008506404
|
3
|
17
|
24
|
0.0020415370
|
0.022797163
|
18
|
0
|
5
|
1
|
0.1×0.0742×0.997×0.003×2 = 0.00004438644
|
5
|
15
|
24
|
0.0010652746
|
0.009765017
|
19
|
0
|
7
|
1
|
0.1×0.0718×0.997×0.003×2 = 0.00004295076
|
7
|
13
|
24
|
0.0010308182
|
0.007387531
|
20
|
0
|
10
|
1
|
0.1×0.279×0.997×0.003×2 = 0.00016689780
|
10
|
10
|
10
|
0.0016689780
|
0.016689780
|
21
|
30
|
0
|
0
|
0.9×0.4328×0.003×0.003 = 0.00000350568
|
0
|
20
|
24
|
0.0000841363
|
0.001191931
|
22
|
30
|
3
|
0
|
0.9×0.1422×0.003×0.003 = 0.00000115182
|
0
|
20
|
24
|
0.0000276437
|
0.000391619
|
23
|
30
|
5
|
0
|
0.9×0.0742×0.003×0.003 = 0.00000060102
|
0
|
20
|
24
|
0.0000144245
|
0.000204347
|
24
|
30
|
7
|
0
|
0.9×0.0718×0.003×0.003 = 0.00000058158
|
0
|
20
|
24
|
0.0000139579
|
0.000197737
|
25
|
30
|
10
|
0
|
0.9×0.279×0.003×0.003 = 0.00000225990
|
0
|
20
|
24
|
0.0000542376
|
0.000768366
|
26
|
0
|
0
|
0
|
0.1×0.4328×0.003×0.003 = 0.00000038952
|
0
|
20
|
24
|
0.0000093485
|
0.000132437
|
27
|
0
|
3
|
0
|
0.1×0.1422×0.003×0.003 = 0.00000012798
|
0
|
20
|
24
|
0.0000030715
|
0.000043513
|
28
|
0
|
5
|
0
|
0.1×0.0742×0.003×0.003 = 0.00000006678
|
0
|
20
|
24
|
0.0000016027
|
0.000022705
|
29
|
0
|
7
|
0
|
0.1×0.0718×0.003×0.003 = 0.00000006462
|
0
|
20
|
24
|
0.0000015509
|
0.000021971
|
30
|
0
|
10
|
0
|
0.1×0.279×0.003×0.003 = 0.00000025110
|
0
|
20
|
24
|
0.0000060264
|
0.000085374
|
total
|
|
|
|
1
|
|
|
|
2.0095979154
|
24.186362348
|
로 1개가 고장, 0은 송전선로 2개가 고장상태임을 나타낸다. AP(Available Power)는 부하지점에서 최고도달전력을 의미한다. OC(Outage
capacity)는 사고용량을 의미한다. LOL은 해당 상태의 정전시간을 의미한다. 각 상태의 LOLE는 상태확률값과 LOL의 곱이다. 각 상태의
EENS는 j사고상태의 최고도달전력이 최대부하보다 클 경우 0이다. j사고상태의 최고도달전력이 최대부하보다 작을 경우 역부하지속곡선의 최고도달전력에서
최대부하까지 면적 값에 발생확률값을 곱한 값이 j사고상태의 EENS이다. 모든 상태의 LOLE 값을 더하면 해당 모델계통의 LOLE 값이 되며, 모든
상태의 EENS 값을 더하면 해당 모델계통의 EENS 값이 된다.
두 번째 방법은 복합전력계통의 유효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방법이다. 표 4에서 풍력발전기의 사고용량상태확률분포를 구하는 단계까지는 같다. 부하모선에서의 가상등가발전기의 사고용량확률함수는 표 6과 같다.
유효부하를 주어진 역부하지속곡선과 상승적분하면 기존발전기와 풍력발전기가 고려된 복합전력계통의 부하모선에서의 유효부하지속곡선이 된다. 그림 13은 기존발전기 및 풍력발전기 투입 후의 CMELDC($_{k}Φ_{2}$)를 나타낸다. 표 7은 상승적분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과정이다.
표 7과 같이 수작업으로 한 결과 LOLE는 2.009598[hours/day], EENS는 24.18636[MWh/day]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6. 풍력발전기의 가용용량별 확률분포
Table 6. The outage capacity pdf($_{k}f_{os2}$) of SFG
AP$_{j}$ [MW]
|
$OP_{j}$ [MW]
|
pdf of SFG
|
20
|
0
|
0.899992
|
10
|
10
|
0.0279
|
7
|
13
|
0.00718
|
5
|
15
|
0.00742
|
3
|
17
|
0.01422
|
0
|
20
|
0.043289
|
Total
|
1
|
그림. 13. 모델계통의 유효부하지속곡선
Fig. 13. CMELDC($_{k}Φ_{2}$)
표 7. 모의계통의 상태확률분포표 및 신뢰도
Table 7. Convolution of outage capacity pdf($_{k}f_{os2}$) and ILDC($_{k}Φ_{0}$)
$OP_{j}$
Load
|
0
|
10
|
13
|
15
|
17
|
20
|
CMELDC
($_{k}Φ_{2}$)
|
0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1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2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3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4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5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6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7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8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9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10
|
21.59981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4
|
11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2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3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4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5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6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7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8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19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20
|
8.999919
|
0.669594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1.40011
|
21
|
|
0.278997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009598
(LOLE)
|
22
|
|
0.278997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009598
|
23
|
|
0.278997
|
0.172318
|
0.178078
|
0.341277
|
1.038927
|
2.009598
|
24
|
|
0.278997
|
0.071799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909079
|
25
|
|
0.278997
|
0.071799
|
0.178078
|
0.341277
|
1.038927
|
1.909079
|
26
|
|
0.278997
|
0.071799
|
0.074199
|
0.341277
|
1.038927
|
1.8052
|
27
|
|
0.278997
|
0.071799
|
0.074199
|
0.341277
|
1.038927
|
1.8052
|
28
|
|
0.278997
|
0.071799
|
0.074199
|
0.142199
|
1.038927
|
1.606122
|
29
|
|
0.278997
|
0.071799
|
0.074199
|
0.142199
|
1.038927
|
1.606122
|
30
|
|
0.278997
|
0.071799
|
0.074199
|
0.142199
|
1.038927
|
1.606122
|
31
|
|
|
0.071799
|
0.074199
|
0.142199
|
0.432886
|
0.721084
|
32
|
|
|
0.071799
|
0.074199
|
0.142199
|
0.432886
|
0.721084
|
33
|
|
|
0.071799
|
0.074199
|
0.142199
|
0.432886
|
0.721084
|
34
|
|
|
|
0.074199
|
0.142199
|
0.432886
|
0.649284
|
35
|
|
|
|
0.074199
|
0.142199
|
0.432886
|
0.649284
|
36
|
|
|
|
|
0.142199
|
0.432886
|
0.575085
|
37
|
|
|
|
|
0.142199
|
0.432886
|
0.575085
|
38
|
|
|
|
|
|
0.432886
|
0.432886
|
39
|
|
|
|
|
|
0.432886
|
0.432886
|
40
|
|
|
|
|
|
0.432886
|
0.432886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부하개소가 2개인 다른 샘플계통 II를 부록에 제시하고 그 계산 방법도 보인다.
7. 사례연구 결과
먼저 Base case에서 프로그램을 통해 각 부하지점별 신뢰도 지수와 계통 신뢰도 지수를 계산하였다. 계산결과는 표 13과 같다. Base case의 LOLE를 보면 현재 제주 모의계통의 LOLE는 3.60557 [Hrs/year]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공급신뢰도
확보 기준(0.3일/년)을 충족하고 있다.
표 13. 기준 사례의 신뢰도 지수
Table 13. PRI(Probability Reliability Index) of Base case
Bus
|
일최대부하
[MW]
|
LOLE
[Hrs/year]
|
EENS
[MWh/year]
|
EIR
[p.u.]
|
2
|
237
|
3.669050
|
483.692
|
0.999640
|
3
|
286
|
3.811220
|
588.531
|
0.999637
|
7
|
164
|
3.450500
|
334.978
|
0.999640
|
8
|
101
|
3.509370
|
207.260
|
0.999638
|
9
|
110
|
3.679000
|
226.822
|
0.999636
|
4
|
28
|
3.171680
|
56.595
|
0.999643
|
11
|
83
|
3.290740
|
169.073
|
0.999641
|
LOLE$_{sys}$=3.60557
|
EENS$_{sys}$=2066.95
|
EIR$_{sys}$=0.999639
|
그림 14의 제주 모의계통을 보면 1번 모선에서 HVDC까지 포함하였을 때 발전단지의 용량이 793[MW]이다. 그에 비해 2, 3, 11번의 최대부하의 합은
606[MW]이다. 제주 모의계통 약 60%의 부하가 2, 3, 11번 모선 지역에 있다. 이를 보았을 때 1번 모선이나 4번 모선에 발전단지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론 2, 3번 모선에 발전단지가 지어지면 공급신뢰도 측면에서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주민들의 반대나 건설부지 등을
생각하였을 때 사실상 어렵다고 가정하고 본 연구에서는 발전단지가 있던 모선에만 발전단지를 증설하기로 한다. 그리고 송전선로가 있는 곳을 활용하여 증설하였을
때와 신설하였을 때 어디에 증설하면 공급신뢰도 측면에서 가장 좋을 지를 시나리오를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재생에너지원은 급속히 증가할 전망이다. 2034년 재생에너지원은 설비용량 4,456[MW]이 계획될 전망이다.
따라서 시나리오 I은 송전선로를 증설하지 않고, 풍력발전단지의 용량을 늘렸을 때 부하지점별 신뢰도 지수가 포화가 되는 지점을 확인한다.
시나리오 II는 시나리오 I에서 풍력발전단지의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풍력발전단지 주변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다양한 경우를 통해 최적의 시나리오를 찾고자
한다.
시나리오 I은 총 5가지 경우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S1C1(시나리오 I, 사례연구 1), S1C2, S1C3, S1C4, S1C5는 4번 한림풍력발전단지(HLM),
9번 성산풍력발전단지(SSN), 10번 행원풍력발전단지(HWN)의 설비 용량을 2, 3, 5, 7, 10배로 올려보았다.
표 14는 시나리오 I의 사례연구들의 계통 신뢰도 지수를 나타낸다.
표 14. 시나리오 I의 신뢰도 지수
Table 14. PRI of Scenario I cases
|
LOLE
[Hrs/year]
|
EENS
[MWh/year]
|
EIR
[p.u.]
|
Base Case
|
3.60557
|
2066.95
|
0.999639
|
S1C1
(풍력발전단지
용량 2배)
|
3.20459
|
2042.78
|
0.999643
|
S1C2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6058
|
2039.84
|
0.999643
|
S1C3
(풍력발전단지
용량 5배)
|
3.14379
|
2038.18
|
0.999644
|
S1C4
(풍력발전단지
용량 7배)
|
3.13822
|
2037.48
|
0.999644
|
S1C5
(풍력발전단지
용량 10배)
|
3.13484
|
2037.15
|
0.999644
|
표 14의 시나리오 I의 사례연구별 계통 신뢰도 지수를 보았을 때 4, 9, 10번 풍력발전단지 설비용량이 5배가 넘어가면서부터 계통 신뢰도 지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모선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로들의 용량이 각각 200[MW]이지만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이 각 지점별 625[MW],
500[MW], 375[MW]이 되어서야 포화가 된 이유는 풍력발전기를 모델링할 때 자원공급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가용용량을 확률론적으로 나타내어
실제 설비용량보다 가용용량이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제주도 전력계통에서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이 5, 7, 10배 더 늘어난다면 송전선로의 과부하율을
고려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나리오 II는 2023년 제주도 풍력발전단지 설비용량이 1,015[MW]가 될 전망에 따라 가장 비슷한 S1C2를 기준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S1C2에서
4번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은 375[MW], 9번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은 300[MW], 10번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은 225[MW]이다. 그러므로
송전선로의 용량에 비해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이 크다고 판단하여 시나리오 II는 풍력발전단지 주변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경우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S2C1, S2C2, S2C3는 4번 모선과 연결되어 나오는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사례연구이다. S2C1과 S2C2는 2, 3, 11번 부하지역을 고려하여
송전선로를 보강하였고, S2C3는 7, 8번 부하지역을 고려하여 송전선로를 보강하였다. S2C1은 4번과 3번, 3번과 1번 사이의 송전선로를 2회선
증설하였고, S2C2는 4번과 2번, 2번과 1번 사이의 송전선로를 2회선 증설하였다.
S2C3은 4번과 6번, 6번과 7번 사이의 송전선로를 2회선 증설하였다.
그림 16, 17, 18은 S2C1, S2C2, S2C3의 제주 모의계통을 나타낸다. 표 15는 4번 모선과 연결되어 나오는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사례연구들의 계통 신뢰도 지수를 나타낸다.
그림. 16. 제주 모의계통 S2C1
Fig. 16. Jeju model power system of S2C1
그림. 17. 제주 모의계통 S2C2
Fig. 17. Jeju model power system of S2C2
그림. 18. 제주 모의계통 S2C3
Fig. 18. Jeju model power system of S2C3
표 15. 시나리오 II-1,2,3의 신뢰도 지수
Table 15. PRI of Scenario II-1,2,3cases
|
LOLE
[Hrs/year]
|
EENS
[MWh/year]
|
EIR
[p.u.]
|
S1C2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6058
|
2039.84
|
0.999643
|
S2C1
(4-3, 3-1 송전선로 2회선 증설,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5927
|
2039.05
|
0.999643
|
S2C2
(4-2, 2-1 송전선로 2회선 증설,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5941
|
2039.13
|
0.999643
|
S2C3
(4-6, 6-7 송전선로 2회선 증설,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4496
|
2029.71
|
0.999645
|
앞선 S1C3에서 부하지점별 신뢰도지수를 확인하였을 때 제주 남동쪽 지역(7, 8번 모선)에 비해 부하량이 많고, 신뢰도지수가 좋지 않았던 제주 북쪽지역(2,
3, 11번 모선)으로 송전선로를 더 보강하였을 때 신뢰도 지수가 더 좋을 것이라 가정하고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통해 S2C1,
S2C2와 S2C3의 신뢰도 지수를 계산하여 비교하였을 때 제주 모의계통 남동쪽으로 송전선로를 보강한 S2C3의 계통 신뢰도 지수가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2C1과 S2C2의 경우 송전선로를 증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S1C3와 신뢰도 지수가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시나리오 II 4번 모선과 연결되어 나오는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사례연구들의 부하지점별 신뢰도 지수를 나타내면 표 16, 17, 18과 같다, 그림 19는 시나리오 II의 1-3번 사례연구들의 계통 LOLE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그림 20은 시나리오 II의 1-3번 사례연구들의 계통 EENS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다. 그림 21은 시나리오 II의 1-3번 사례연구들의 계통 EIR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다.
그림. 19. 시나리오 II-1,2,3 LOLE$_{sys}$[Hrs/year]
Fig. 19. LOLE$_{sys}$[Hrs/year] by Scenario II-1,2,3
표 16. 부하모선별 LOLE S2C1, S2C2, S2C3
Table 16. Load bus LOLE in Scenario II-1,2,3
부하 모선 번호
|
S1C2
[Hrs/year]
|
S2C1
[Hrs/year]
|
S2C2
[Hrs/year]
|
S2C3
[Hrs/year]
|
Bus 2
|
3.15160
|
3.15033
|
3.15045
|
3.15063
|
Bus 3
|
3.17739
|
3.17603
|
3.17619
|
3.15725
|
Bus 7
|
3.15418
|
3.15286
|
3.15302
|
3.13408
|
Bus 8
|
3.15877
|
3.15745
|
3.15761
|
3.13867
|
Bus 9
|
3.16778
|
3.16644
|
3.16660
|
3.14766
|
Bus 4
|
3.13320
|
3.13195
|
3.13208
|
3.11314
|
Bus 11
|
3.14318
|
3.14190
|
3.14205
|
3.12311
|
LOLE$_{sys}$
|
3.16058
|
3.15927
|
3.15941
|
3.14496
|
그림. 20. 시나리오 II-1,2,3 EENS$_{sys}$[MWh/year]
Fig. 20. EENS$_{sys}$[MWh/year] by Scenario II-1,2,3
표 17. 부하모선별 EENS S2C1, S2C2, S2C3
Table 17. Load bus EENS in Scenario II-1,2,3
부하 모선 번호
|
S1C2
[MWh/year]
|
S2C1
[MWh/year]
|
S2C2
[MWh/year]
|
S2C3
[MWh/year]
|
Bus 2
|
477.078
|
476.897
|
476.913
|
476.942
|
Bus 3
|
579.513
|
579.286
|
579.308
|
575.806
|
Bus 7
|
331.717
|
331.587
|
331.599
|
329.594
|
Bus 8
|
204.537
|
204.457
|
204.465
|
203.229
|
Bus 9
|
222.962
|
222.875
|
222.883
|
221.536
|
Bus 4
|
56.309
|
56.287
|
56.289
|
55.948
|
Bus 11
|
167.729
|
167.663
|
167.669
|
166.655
|
EENS$_{sys}$
|
2039.84
|
2039.05
|
2039.13
|
2029.71
|
그림. 21. 시나리오 II-1,2,3 EIR$_{sys}$[p.u.]
Fig. 21. EIR$_{sys}$[p.u.] by Scenario II-1,2,3
표 18. 부하모선별 EIR S2C1, S2C2, S2C3
Table 18. Load bus EIR in Scenario II-1,2,3
부하 모선 번호
|
S1C2
[p.u.]
|
S2C1
[p.u.]
|
S2C2
[p.u.]
|
S2C3
[p.u.]
|
Bus 2
|
0.999645
|
0.999645
|
0.999645
|
0.999645
|
Bus 3
|
0.999642
|
0.999643
|
0.999643
|
0.999645
|
Bus 7
|
0.999643
|
0.999643
|
0.999643
|
0.999645
|
Bus 8
|
0.999643
|
0.999643
|
0.999643
|
0.999645
|
Bus 9
|
0.999642
|
0.999642
|
0.999642
|
0.999645
|
Bus 4
|
0.999645
|
0.999645
|
0.999645
|
0.999647
|
Bus 11
|
0.999643
|
0.999644
|
0.999644
|
0.999646
|
EIR$_{sys}$
|
0.999643
|
0.999643
|
0.999643
|
0.999645
|
S2C1, S2C2, S2C3의 부하지점별 LOLE와 EENS를 비교하였을 때 3번 모선의 신뢰도 지수는 오히려 제주 남동쪽으로 향하는 송전선로를
증설하였을 때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2C3에서 4-6번 사이의 송전선로가 증설되어 5번과 6번 모선의 발전단지의 영향으로 4번 모선의
신뢰도가 좋아졌으며, 6-7번 사이의 송전선로가 증설되어 제주 남동쪽 지역의 신뢰도 지수가 좋아졌다.
S2C3의 계통 신뢰도 지수가 단순히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을 5배 증가한 경우인 S1C3의 계통 신뢰도 지수와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S2C4, S2C5, S2C6는 9번이나 10번 모선에서 나오는 송전선로를 보강한 경우이다. S2C4과 S2C5는 2, 3, 11번 부하지역을
고려하여 송전선로를 보강하였고, S2C6는 7, 8번 부하지역을 고려하여 송전선로를 보강하였다. S2C4는 9번과 1번 사이의 송전선로를 2회선 증설하였고,
S2C5는 9번과 10번, 10번과 1번 사이의 송전선로를 2회선 증설하였다. S2C6는 9번과 8번, 8번과 7번 송전선로를 2회선 증설하였다.
그림 22, 23, 24은 S2C1, S2C2, S2C3의 제주 모의계통을 나타낸다. 표 19는 9번이나 10번 모선과 연결되어 나오는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사례연구들의 계통 신뢰도 지수를 나타낸다.
앞선 S1C3에서 부하지점별 신뢰도지수를 확인하였을 때 3번 모선 다음으로 신뢰도 지수가 좋지 않았던 지역이 9번 모선이다.
그림. 22. 제주 모의계통 S2C4
Fig. 22. Jeju model power system of S2C4
그림. 23. 제주 모의계통 S2C5
Fig. 23. Jeju model power system of S2C5
그림. 24. 제주 모의계통 S2C6
Fig. 24. Jeju model power system of S2C6
2, 3, 11번 부하지점을 고려하여 송전선로를 보강한 S2C4와 S2C5는 계통 신뢰도 지수의 정도가 풍력발전단지 설비용량이 5배 늘린 경우의 계통
신뢰도 지수와 결과값이 나왔다.
7, 8번 부하지점을 고려하여 송전선로를 보강한 S2C6는 계통 신뢰도 지수가 단순히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을 10배 늘린 것보다 계통 신뢰도 지수가
좋게 나왔다. 물론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이 10배가 늘어난다고 부하지점까지 도달하는 전력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지만 단순히 발전단지만 늘리는 것보다
송전선로를 증설할 때 더 신뢰도 지수가 좋아질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주 모의계통 남동쪽의 송전선로가 증설되었을 때 신뢰도 지수가
많이 좋아졌다는 의미는 제주 모의계통 남동쪽의 송전선로가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표 19. 시나리오 II-4,5,6의 신뢰도 지수
Table 19. PRI of Scenario II-4,5,6cases
|
LOLE
[Hrs/year]
|
EENS
[MWh/year]
|
EIR
[p.u.]
|
S1C2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6058
|
2039.84
|
0.999643
|
S2C4
(1-9 송전선로 2회선 증설,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4746
|
2033.64
|
0.999644
|
S2C5
(1-10, 10-9 송전선로 2회선 증설,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4777
|
2033.83
|
0.999644
|
S2C6
(9-8, 8-7 송전선로 2회선 증설, 풍력발전단지
용량 3배)
|
3.13287
|
2024.11
|
0.999646
|
그림. 25. 시나리오II-4,5,6 LOLE$_{sys}$[Hrs/year]
Fig. 25. LOLE$_{sys}$[Hrs/year] by Scenario II-4,5,6
표 20. 부하모선별 LOLE S2C4, S2C5, S2C6
Table 20. Load bus LOLE in Scenario II-4,5,6
부하 모선 번호
|
S1C2
[Hrs/year]
|
S2C4
[Hrs/year]
|
S2C5
[Hrs/year]
|
S2C6
[Hrs/year]
|
Bus 2
|
3.15160
|
3.13845
|
3.13877
|
3.13846
|
Bus 3
|
3.17739
|
3.16412
|
3.16443
|
3.14507
|
Bus 7
|
3.15418
|
3.14102
|
3.14132
|
3.12194
|
Bus 8
|
3.15877
|
3.14574
|
3.14604
|
3.12667
|
Bus 9
|
3.16778
|
3.15470
|
3.15501
|
3.13564
|
Bus 4
|
3.13320
|
3.12101
|
3.12131
|
3.10191
|
Bus 11
|
3.14318
|
3.13023
|
3.13053
|
3.11114
|
LOLE$_{sys}$
|
3.16058
|
3.14746
|
3.14777
|
3.13287
|
그림. 26. 시나리오 II-4,5,6 EENS$_{sys}$[MWh/year]
Fig. 26. EENS$_{sys}$[MWh/year] by Scenario II-4,5,6
표 21. 부하모선별 EENS S2C4, S2C5, S2C6
Table 21. Load bus EENS in Scenario II-4,5,6
부하 모선 번호
|
S1C2
[MWh/year]
|
S2C4
[MWh/year]
|
S2C5
[MWh/year]
|
S2C6
[MWh/year]
|
Bus 2
|
477.078
|
475.630
|
475.677
|
475.627
|
Bus 3
|
579.513
|
577.749
|
577.804
|
574.217
|
Bus 7
|
331.717
|
330.707
|
330.739
|
328.685
|
Bus 8
|
204.537
|
203.914
|
203.934
|
202.668
|
Bus 9
|
222.962
|
222.283
|
222.304
|
220.924
|
Bus 4
|
56.309
|
56.137
|
56.143
|
55.794
|
Bus 11
|
167.729
|
167.218
|
167.234
|
166.195
|
EENS$_{sys}$
|
2039.84
|
2033.64
|
2033.83
|
2024.11
|
그림. 27. 시나리오 II-4,5,6 EIR$_{sys}$[p.u.]
Fig. 27. EIR$_{sys}$[p.u.] by Scenario II-4,5,6
표 22. 부하모선별 EIR S2C4, S2C5, S2C6
Table 22. Load bus EIR in Scenario II-4,5,6
부하 모선 번호
|
S1C2
[p.u.]
|
S2C4
[p.u.]
|
S2C5
[p.u.]
|
S2C6
[p.u.]
|
Bus 2
|
0.999645
|
0.999646
|
0.999646
|
0.999646
|
Bus 3
|
0.999642
|
0.999644
|
0.999644
|
0.999646
|
Bus 7
|
0.999643
|
0.999644
|
0.999644
|
0.999646
|
Bus 8
|
0.999643
|
0.999644
|
0.999644
|
0.999646
|
Bus 9
|
0.999642
|
0.999643
|
0.999643
|
0.999646
|
Bus 4
|
0.999645
|
0.999646
|
0.999646
|
0.999648
|
Bus 11
|
0.999643
|
0.999645
|
0.999644
|
0.999647
|
EIR$_{sys}$
|
0.999643
|
0.999644
|
0.999644
|
0.999646
|
시나리오 II 9번이나 10번 모선과 연결되어 나오는 송전선로를 보강하는 사례연구들의 부하지점별 신뢰도 지수를 나타내면 표 20, 21, 22와 같다, 그림 25는 시나리오 II의 4-6번 사례연구들의 계통 LOLE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그림 26은 시나리오 II의 4-6번 사례연구들의 계통 EENS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다. 그림 27은 시나리오 II의 4-6번 사례연구들의 계통 EIR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다.
제주 모의계통 특성상 가운데 한라산이 있어 송전선로를 한라산을 통과해서 신설한다는 것은 큰 비용이 예상되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예를
들면 한라산을 통과하는 1번과 7번 사이에 송전선로를 신설하는 경우이며, 송전계통 확장계획에서 제외하였다. 제주 모의계통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한라산을
주변으로 환형태의 전력계통을 보인다. 그러한 이유로 송전선로에 사고발생시 수용가에서 필요한 전력을 우회해서 공급해야한다. 차후 연구 시 우회 루트에
관한 것도 고려하여 모의하는 방법도 생각해 봐야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전력계통의 과거 부하데이터를 이용해 과거를 기준으로 하여 신뢰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각 부하지점별 신뢰도 지수를 통해 신뢰도
지수가 다른 모선에 비해 좋지 않은 지역을 기준으로 발전설비가 필요할지, 송전설비가 필요할지 등을 가설을 세운다. 다음으로는 어느 지역에 발전설비를
지을지, 송전선로를 증설할지 등의 가설을 세우고, 사례연구에서 진행한 것처럼 다양하게 모의한다. 다양한 모의를 통해 공급신뢰도가 가장 좋아지는 순위가
나올 것이고, 이 순위를 토대로 계통 계획을 진행한다. 차후 제주도에서 특정 지역의 부하 증가가 다소 크게 발생한다면 먼저 현재 전력계통에서의 평가를
진행한 후 계통 계획을 어떻게 갖고 가야하는가는 이러한 모의 등을 통하여 선정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출력제어가 어려운 재생에너지원의 계통 투입이 증가하면서 한 가지 고려해야할 점은 송전선로의 과부하율이다. 앞의 사례연구에서 풍력발전단지의 설비용량이
5배, 7배, 10배 되었을 때 실제 계통에서 정격출력을 내는 경우 해당 모선과 연결된 송전선로는 과부하로 인해 사고가 일어날지도 모른다. 이번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은 태양광발전원을 생각할 경우 밤에는 발전량이 적어 송전선로의 이용율이 내려가게 된다. 즉 실 계통에서 계통 계획을 한다고 가정하면, 투자
대비 효율도 고려해 봐야할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급신뢰도 측면에서의 계통계획방법이다. 실 계통에서의 계통계획은 최적의 비용에서 적정 공급신뢰도
확보 기준을 만족할 때의 두 경우를 고려한 최고의 만족도를 이끌어 내는 것이 핵심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