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VFT(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LFO(Low frequency Oscillation), Grid-interConnection, PSS(Power System Stabilizer), FLC(Frequency Limit Control),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DC grid

1.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다양한 에너지 전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석탄발전의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의 비율을 늘리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국내의 재생에너지 비율을 2030년 기준 총발전량의 20.8%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1). 그러나 기존 발전원을 대체할 재생에너지원은 간헐전원이라는 문제점으로 인해 기저 발전원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분산전원의 지리적 요건에 따라 발전원과 부하의 불균형한 분배에 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국내 계통이 분산형 에너지시스템으로 전환되면서 전원 변동성 증가로 계통 불안정성이 증대되었으며 전력계통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HVDC, HVAC 등 장거리 대용량 전력전송기술 기반 비동기 계통연계,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에 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2-3).

전력계통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차 복잡해지는 전력계통의 구조는 계통의 비선형성을 증가시키며 전체 시스템의 안정도를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계통운영이 필수적이다. 특히 비동기식 전력망의 경우 AC 전력망의 주파수 특성이 분할되며 일부 지역에서 저주파수 진동(LFO : Low Frequency Oscillation)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4-5).

전력계통의 미소신호 안정도는 계통에 외란 발생 시 계통의 동기발전기가 동기화를 유지하는 정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전력계통에 연결된 여러 동기발전기가 전기적 토크와 기계적 토크 사이의 평형을 유지하는 능력에 달려 있으며 전기적 토크의 변화를 억제하는 댐핑 토크가 부족하면 계통에 저주파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전력계통에서의 저주파 진동은 0.1- 2.0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진동이며 1-2Hz 사이의 지역 모드(Local mode), 1Hz 미만의 광역 모드(Inter-area mode) 진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저주파수 진동의 주원인은 수요와 공급 전력 간의 불균형, 단락 및 지락 등 송전선로 고장이며 초기에 저주파 진동을 막지 못하면 전력계통에 광역 정전 등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림. 1. 광역 모드 진동 – WSCC(1996)[6]

Fig. 1. Inter-area mode oscillation –WSCC(1966)[6]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png

그림 1은 저주파수 진동의 대표적인 사례로 1996년 미국 서부계통(WSCC)에서 캘리포니아주와 오리건주의 광역모드 저주파수 진동이며 약 3조원에 달하는 사회 및 경제적 피해를 겪었다. 이러한 사례는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인도 등에서도 존재하며 중국에서도 ULFO(Ultra-Low Frequency Oscillation) 현상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9).

이러한 저주파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발전기 시스템의 PSS(Power System Stabilizer), DC 전력계통의 FLC(Frequency Limit Control),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 등을 활용한 이론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하여 계통 간 전력 교환을 통해 계통의 진동억제가 가능함을 증명하였다(10-18).

그림. 2. 회전형 변압기 비동기 계통연계 방식

Fig. 2. Asynchronous Grid Connection by VFT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2.png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저주파수 진동억제 설비로 전기기기형 전력변환설비인 회전형 변압기 방식을 제안한다. 회전형 변압기는 2000년대 후반부터 ABB, Siemens 등에서 비동기 계통연계 설비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관련 계통연계 실증단지가 운영되고 있다. 회전형 변압기는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같은 구조로 회전자 권선과 고정자 권선에 각각 계통이 연결되어 계통 간 주파수의 차이만큼 회전자를 회전하여 계통을 동기화하는 기기이다. 비교적 간단한 모터의 속도 및 토크 제어를 통해 회전자의 회전 방향과 위치를 제어하여 원하는 주파수로의 가변 및 양방향 전력 전송이 가능하며, 회전기기이기 때문에 고조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19-22). 그림 2는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계통연계 방식을 표현하고 있다.

2. 회전형 변압기 동작 원리 및 모델링

2.1 회전형 변압기 구조 및 동작 원리

그림. 3. 회전형 변압기 동작 원리

Fig. 3. Operation principles of VFT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3.png

회전형 변압기의 구조는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매우 유사하며, 고정자 권선에는 1차 계통이 연결되고 회전자 권선에는 2차 계통이 연결된다. 회전자의 축은 회전형 변압기 구동용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로 회전함으로써 1차 계통과 2차 계통의 비동기 계통연계를 수행한다.

그림 3은 회전형 변압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고정자 측에 60Hz의 1차 계통이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자를 $\omega_{m}$의 속도로 회전시켜 회전자 측에 연결된 2차 계통의 주파수와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2차 계통에 출력되는 전력은 회전자의 속도와 방향에 따라 고정자에 형성된 회전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출력 주파수는 감소하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출력 주파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해볼 때 전기기기형 전력변환장치인 회전형 변압기는 회전기기로 이루어져 있어 고조파 발생이 없고 회전 관성에 의해 부하의 급격한 변화나 계통 외란에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병렬 설치를 통해 용량 확장에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도전동기와 유사한 형태로 인해 로터와 회전자에서 무효전력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2.2 회전형 변압기 모델링

그림. 4. 회전형 변압기에 의한 비동기 계통연계 구성도

Fig. 4. Asynchronous Grid Connection diagram by VFT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4.png

그림 4는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AC 2 계통연계 시스템을 표현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회전형 변압기 계통연계 시스템의 전송전력은 수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
\begin{align*} P_{VFT}=\dfrac{V_{s}V_{r}}{X_{sr}}\sin(\theta_{s}-(\theta_{r}+\theta_{rs})\\ =\dfrac{V_{s}V_{r}}{X_{sr}}\sin\theta_{VFT} \end{align*}

$P_{VFT}$ =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VFT from stator to rotor

$\theta_{s}$ = Phase-angle of ac voltage on stato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hasor

$\theta_{r}$ = Phase-angle of ac voltage on roto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hasor

$\theta_{rs}$ = Phase-angle of the machine rotor with respect to stator

$V_{s}$ = Voltage magnitude on stator terminal

$V_{r}$ = Voltage magnitude on rotor therminal

$X_{sr}$ = Total reactance between stator and rotor terminals.

회전형 변압기 시스템의 역률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 $-90^{\circ}<\theta_{VFT}<90^{\circ}$ 범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회전형 변압기를 통해 1차 및 2차 계통에 전달되는 전력과 구동용 모터를 통해 발생하는 기계적인 힘과의 관계를 표현하면 식(2)와 같다.

(2)
$P_{D}=P_{s}+P_{r}$

$P_{s}$ = Electrical power to the stator windings

$P_{r}$ = Electrical power to the rotor windings

$P_{D}$ = Mechanical power from the drive system

회전형 변압기는 1차 및 2차 리액턴스로 구성된 변압기와 같은 법칙을 따르게 되므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되어야 한다.

(3)
$N_{s}I_{s}=-N_{r}I_{r}$

$N_{s}$ = Number of turns on stator winding

$N_{r}$ = Number of turns on rotor winding

$I_{s}$ = Current out of stator winding

$I_{r}$ = Current out of rotor winding

고정자와 회전자는 모두 동일한 자속을 연결하기 때문에 주파수에 따라서 전압도 동일한 비율로 변화한다. 이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4)
\begin{align*} V_{s}=N_{s}f_{s}\psi_{a}\\ V_{r}=N_{r}f_{r}\psi_{a} \end{align*}

$f_{s}$ = Frequency of voltage on stator winding

$f_{r}$ = Frequency of voltage on rotor winding

$\psi_{a}$ = Air-gap flux

식(4)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5)
$\dfrac{V_{r}}{N_{r}}=\dfrac{V_{s}}{N_{s}}\times\dfrac{f_{r}}{f_{s}}$

회전형 변압기의 동작 원리에서 설명했듯이 구동용 모터의 주파수는 고정자 주파수와 회전자 주파수 차이 $f_{m}$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수식을 얻을 수 있다.

(6)
\begin{align*} f_{m}=f_{s}-f_{r}\\ \omega_{m}=f_{m}\dfrac{120}{P} \end{align*}

$P$ = Number of poles in the machine

$f_{m}$ = Rotor mechanical speed in electrical frequency

$\omega_{m}$ = Rotor mechanical speed in rpm

식(2)와 (5)를 이용하여 식을 정리하면 구동용 모터의 기계적인 힘과 회전형 변압기를 통해 계통에 전달되는 전력에 관한 관계식을 식(7)과 (8)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알 수 있듯이 구동용 모터의 전력은 고정자와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와 관계가 있으며, 최종적으로 구동용 모터를 통해 인가되는 토크를 나타내면 식(9)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구동용 모터에 인가하는 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AC 계통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7)
\begin{align*} P_{D}=P_{s}+P_{r}=V_{s}I_{s}+V_{r}I_{r}\\ =V_{s}I_{s}-\left(N_{r}\dfrac{V_{s}}{N_{s}}\dfrac{f_{r}}{f_{s}}\right)\left(N_{s}\dfrac{I_{s}}{N_{r}}\right)\\ =V_{s}I_{s}\left(1-\dfrac{f_{r}}{f_{s}}\right)=P_{s}\left(1-\dfrac{f_{r}}{f_{s}}\right) \end{align*}

(8)
\begin{align*} P_{D}=P_{s}+P_{r}=V_{s}I_{s}+V_{r}I_{r}\\ =-\left(N_{s}\dfrac{V_{r}}{N_{r}}\dfrac{f_{s}}{f_{r}}\right)\left(N_{r}\dfrac{I_{r}}{N_{s}}\right)+V_{r}I_{r}\\ =V_{r}I_{r}\left(1-\dfrac{f_{s}}{f_{r}}\right)=P_{r}\left(1-\dfrac{f_{s}}{f_{r}}\right) \end{align*}

(9)
\begin{align*} T_{D}=\dfrac{P_{D}}{f_{m}}=V_{s}I_{s}\dfrac{\left(f_{s}-f_{r}\right)/f_{s}}{f_{s}-f_{r}}\\ =V_{s}\dfrac{I_{s}}{f_{s}}=N_{s}f_{s}\psi_{s}\dfrac{I_{s}}{f_{s}}=N_{s}I_{s}\psi_{s} \end{align*}

$T_{D}$ = Torque from drive system

3. 회전형 변압기 제어기 설계

3.1 회전형 변압기 속도 제어기 설계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계통연계를 위해서는 1차 계통과 2차 계통 사이의 주파수 차이만큼 구동용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야 한다. 회전형 변압기의 구동용 모터로는 속도제어에 편이성이 있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DC 모터를 사용하였다. 그림 5는 DC 모터 속도 제어기의 구조이다.

DC 모터의 속도 제어기는 그림 5와 같이 내부 루프에 전류 제어기가 존재하고 바깥 루프에 속도 제어기를 위치시켜 사용하며 이런 경우 전류 제어기의 대역폭을 충분히 크게 선정하여 전류 제어기가 속도 제어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속도제어의 응답성이나 안정성이 향상된다(23).

그림. 5. 회전형 변압기 속도 제어기 구조

Fig. 5. Structure of VFT Speed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5.png

$\omega_{m,\:ref}$ = Refernce value of angular frequency

$I_{a,\:ref}$ = Refernce value of armature current

$V_{a}$ = Armature voltage

$T_{e}$ = Electrical torque

$T_{L}$ = Load torque

$K_{T}$ = Torque constant

$J$ = Inertia constant

$L_{a}$ = Armature inductance

$R_{a}$ = Armature resistance

회전형 변압기의 속도제어는 회전자 속도와 속도 지령치를 비교하여 전기자 전류 지령치를 산출, 실제 전기자 전류와 비교하고 DC 모터 시스템을 통과하여 전기적 토크를 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최종적으로 회전형 변압기에 인가되는 부하 토크와 기계적인 관성을 통해 실제 속도가 나오게 되고 폐루프 제어시스템으로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속도 제어기 설계에는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례적분 제어기를 사용하였다. 전체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구하기 위해 먼저 그림 5를 바탕으로 전류 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0)
\begin{align*} G_{c}(s)=\left(K_{pc}+\dfrac{K_{ic}}{s}\right)\left(\dfrac{1}{L_{a}s+R_{a}}\right)\\ =K_{pc}\dfrac{s+\dfrac{K_{ic}}{K_{pc}}}{s}\dfrac{\dfrac{1}{L_{a}}}{s+\dfrac{R_{a}}{L_{a}}} \end{align*}

$G_{c}(s)$ = Transfer function of current controller

$K_{pc}$ = Proportional gain of current controller

$K_{ic}$ = Integral gain of current controller

여기에서 비례적분 제어기의 영점은 $-K_{ic}$/$K_{pc}$이며 모터 시스템의 극점은 $-R_{a}$/$L_{a}$ 이 된다. 전달함수를 간편화하기 위해 비례적분 제어기의 영점과 극점을 같게 설정하면,

(11)
$\dfrac{K_{ic}}{K_{pc}}=\dfrac{R_{a}}{L_{a}}$

전류 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를 다음과 같이 간단히 할 수 있다.

(12)
$G_{c}(s)=\dfrac{1}{\dfrac{L_{a}}{K_{pc}}s}$

이러한 기법을 Pole-Zero 상쇄라 한다.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전동기 자체의 특성을 제거하고 제어기 이득으로만 전류 제어 특성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전달함수의 형태는 시스템 타입이 1이므로 최종값 정리를 통해 정상상태 오차가 0이 됨을 알 수 있다.

개루프 전달함수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살펴보면 이득이 0 dB를 통과하는 주파수인 교차각 주파수 $\omega_{cc}$는 다음과 같다.

(13)
\begin{align*} \left | G_{c}(jw_{cc})\right | =\left |\dfrac{1}{\dfrac{L_{a}}{K_{pc}}j\omega_{cc}}\right | =1\\ \omega_{cc}=\dfrac{K_{pc}}{L_{a}} \end{align*}

교차각 주파수 $\omega_{cc}$는 폐루프 전달함수의 차단 주파수가 되며 비례적분 제어기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볼 수 있다. 전류 제어기의 폐루프 전달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4)
$M_{c}(s)=\dfrac{G_{c}(s)}{1+G_{c}(s)}=\dfrac{1}{\dfrac{L_{a}}{K_{pc}}s+1}=\dfrac{\omega_{cc}}{s+\omega_{cc}}$

폐루프 전달함수를 통해 직류 이득이 1이고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지는 1차 지연 요소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응답이 1/$\omega_{cc}$만큼 지연을 가지지만 대역폭을 충분히 크게 하면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제어 대역폭이 정해지면 비례 및 적분 이득은 Pole-Zero 상쇄 조건인 식(11)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15)
\begin{align*} K_{pc}=L_{a}\omega_{cc}\\ K_{ic}=R_{a}\omega_{cc} \end{align*}

전체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구하기 위해 비례적분 속도 제어기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개루프 전달함수를 그림 5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6)
$G_{s}(s)=\left(K_{ps}+\dfrac{K_{is}}{s}\right)\left(\dfrac{\omega_{cc}}{s+\omega_{cc}}\right)\left(\dfrac{K_{T}}{Js}\right)$

$G_{s}(s)$ = Transfer function of speed controller

$K_{ps}$ = Proportional gain of speed controller

$K_{is}$ = Integral gain of speed controller

전류 제어기의 대역폭 $\omega_{cc}$를 속도 제어기의 대역폭보다 5배 이상 크게 선정한다면 전류 제어가 속도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속도 제어기의 응답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전류 제어기의 이득을 간략화할 수 있다.

(17)
$\dfrac{\omega_{cc}}{s+\omega_{cc}}\cong 1$

통상적으로 비례적분 제어기의 절점 주파수($\omega_{p i}=K_{is}/K_{ps}$)는 속도 제어기의 대역폭 $\omega_{cs}$의 1/5 정도로 선정하게 되며 이 경우 $\omega_{cs}$근처 주파수에서 비례적분 제어기의 전달함수를 간략화할 수 있다.

(18)
$G_{p i}(s)=K_{ps}+\dfrac{K_{is}}{s}\cong K_{ps}$

식(17)과 (18)로부터 전체 시스템의 개루프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간략화 된다.

(19)
$G_{s}(s)\cong K_{ps}\dfrac{K_{T}}{Js}$

속도 제어기의 주파수 대역폭을 원하는 값으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omega_{cs}$에서 개루프 전달함수의 이득 크기가 0dB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따라 속도 제어기의 비례 및 적분 이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0)
\begin{align*} K_{ps}=\dfrac{J\omega_{cs}}{K_{T}}\\ K_{is}=K_{ps}\omega_{p i}=K_{ps}\dfrac{\omega_{cs}}{5}=\dfrac{J\omega_{cs}^{2}}{5K_{T}} \end{align*}

4. 전력계통 저주파수 진동억제 시뮬레이션

4.1 저주파수 진동억제 제어기 설계

그림 6은 회전형 변압기의 저주파수 진동억제 제어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회전형 변압기는 계통의 진동이 없는 경우 계통연계 장치로서 동작하고 있다가 계통에 사고나 부하 변동이 발생하여 진동이 감지되면 그에 맞는 댐핑토크를 생성하여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T^{\omega}_{VFT}$는 회전형 변압기에 인가되는 토크이다.

그림. 6.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수 진동억제 제어기 구조

Fig. 6. Structure of VFT LFO suppression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6.png

그림. 7. 회전형 변압기 계통연계 2Area - 2Machine 모델

Fig. 7. VFT Grid Connection 2Area - 2Machine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7.png

4.2 저주파수 진동억제 시뮬레이션

그림 7은 회전형 변압기 계통연계 시스템의 가장 간단한 모델인 2Area – 2Machine 모델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저주파수 진동억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Area1과 Area2 연계선로에 회전형 변압기를 설치, Matlab Simulink 모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모의시험 환경을 구축하였다.

그림. 8. 전력계통 저주파수 진동억제 시뮬레이션 모델

Fig. 8. Grid LFO suppression simula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8.png

시뮬레이션은 전력계통의 저주파 진동을 모의하기 위해 Steam 터빈 거버너와 동기발전기를 사용하여 PV Bus를 구성하였으며 3상 Source를 Swing Bus로 사용하였다. 외란 발생 시 진동 저감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Swing Bus에 Fault generator를 설치, 고장을 가정하였다. 그림 8은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수 진동억제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델, 표 1과 2는 각각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계통 파라미터와 제어기 파라미터이다.

표 1. 저주파수 진동억제 시뮬레이션 계통 파라미터

Table 1. LFO suppression simulation grid parameter

정격용량(MVA)

정격전압(kVA)

Swing Bus

200

25

PV bus

50

25

VFT

50

25

Load 1

5

25

Load 2

10

25

표 2. 저주파수 진동억제 시뮬레이션 제어기 파라미터

Table 2. LFO suppression simulation controller parameter

$R_{a}$

0.5[Ω]

$K_{ic}$

1256.63

$L_{a}$

0.012[H]

$K_{ps}$

223.4

$K_{t}$

1.8

$K_{is}$

22458.4

$J$

0.8

$\omega_{cc}$

2513.27

$K_{pc}$

30.16

$\omega_{cs}$

502.65

Case 1. 60Hz 계통연계 – 3상 지락 고장

Case 1은 Area 1과 Area 2의 주파수 차이가 없이 연계된 상태에서 Swing bus 측의 고장을 가정하여 전력계통의 외란 시 전력계통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능력을 검증하였다. Case 1은 양측 전원이 60Hz이며 고장은 3상 지락을 가정하였다.

그림. 9. Case 1 : PV bus 출력 전력

Fig. 9. Case 1 : PV bus power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9-1.png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9-2.png

그림. 10. Case 1 : PV bus 출력 전류

Fig. 10. Case 1 : PV bus current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0.png

시뮬레이션은 4초에 0.1초 동안 Swing bus측에 3상 지락 사고가 발생한 이후 계통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림 9는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 진동억제 제어기의 유무에 따른 PV bus의 출력 전력을 나타낸다. 4초에 3상 지락 사고 발생 후 제어기가 없는 경우 계통의 전력이 수렴하지 못하고 발산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 진동억제 제어기가 있는 경우 3상 지락 사고 발생 이후 2초 이내에 저주파 진동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 진동억제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림. 11. Case 1 : PV bus 회전자 속도

Fig. 11. Case 1 : PV bus rotor speed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1.png

그림. 12. Case 1 : PV bus 출력 전력 비교

Fig. 12. Case 1 : PV bus power comparison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2.png

그림. 13. Case 1 : PV bus 회전자 속도 비교

Fig. 13. Case 1 : PV bus rotor speed comparison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3.png

그림 10와 11은 각각 회전형 변압기 진동억제 제어기의 유무에 따른 PV bus 전류와 발전기 회전자 속도를 나타낸다. 회전형 변압기 진동억제 제어기가 없는 경우 회전자 속도가 점점 진동하며 발산하며 제어기가 있는 경우 2초 이내에 회전자 속도가 1pu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전형 변압기의 진동억제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구축한 Steam 터빈 거버너와 동기발전기의 위상제어를 통해 전력계통의 PSS 시스템을 모의하였다. 그림 12와 13은 회전형 변압기의 저주파 진동억제 제어기와 발전기의 위상제어기를 사용했을 때의 PV bus 출력 전력과 회전자 속도를 나타낸다. 두 제어기 모두 계통의 저주파 진동 발생 시 발산하지 않으며 2초 이내에 진동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ase 2. 57Hz 계통연계 – 3상 지락 고장

그림. 14. Case 2 : 계통 주파수

Fig. 14. Case 2 : Grid Frequency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4.png

그림. 15. Case 2 : 구동용 모터 속도

Fig. 15. Case 2 : Drive motor speed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5.png

Case 2는 주파수 차이가 있는 비동기 계통 Area 1과 Area 2가 연계된 상태에서 Swing bus 측의 고장을 가정하여 전력계통의 외란 시 전력계통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능력을 검증하였다. 주파수 차이는 국내 송전용 전기설비 성능 기준 및 해외 실증 사례를 고려하여 3Hz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Case 2의 PV bus는 주파수가 57Hz이며 고장은 3상 지락을 가정하였다. 그림 14는 각 지역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57Hz로 발전하는 PV bus와 60Hz로 발전하는 Swing bus를 연계하기 위해 회전형 변압기 연계지점의 주파수가 57Hz로 동기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5는 구동용 모터의 회전속도를 나타낸다. 회전형 변압기를 2극으로 모델링 하였기 때문에 3π(≅9.42)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6. Case 2 : PV bus 출력 전력

Fig. 16. Case 2 : PV bus power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6.png

그림. 17. Case 2 : PV bus 출력 전류

Fig. 17. Case 2 : PV bus current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7.png

그림. 18. Case 2 : PV bus 회전자 속도

Fig. 18. Case 2 : PV bus rotor speed

../../Resources/kiee/KIEE.2022.71.5.675/fig18.png

시뮬레이션은 Case 1과 마찬가지로 4초에 0.1초 동안 Swing bus측에 3상 지락 사고가 발생한 이후 계통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림 16은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 진동억제 제어기의 유무에 따른 PV bus의 출력 전력을 나타낸다. 4초에 3상 지락 사고 발생 후 제어기가 있는 경우 계통의 전력이 발산하지 않고 수렴하는 모습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동기 계통연계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저주파 진동억제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17와 18은 각각 PV bus의 출력전류와 PV bus의 회전자 속도를 나타낸다. 제어기가 없는 경우 전류는 0.7[pu], 로터 스피드는 1[pu]의 정상값에서 점차 진동이 증폭되어 발산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제어기의 진동억제 성능을 확인하였다.

5. 결 론

회전형 변압기는 전기기기형 전력변환설비로 비동기 계통연계를 통해 신재생발전원 증가에 따른 전력 자원 및 부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회전 관성이 존재하여 점차 복잡해지는 계통의 안정성 향상을 기대해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 계통연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계통 저주파수 진동의 해결방안으로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계통 저주파수 진동억제 방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Matlab Simulink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전력계통 저주파수 진동은 비동기 계통연계 시스템의 소신호 안정도 분석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초기에 억제하지 않으면 대규모 정전사태를 야기할 수 있어 전력계통 연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제안하는 회전형 변압기 저주파수 진동억제 방식은 비교적 간단한 모터의 속도제어를 통해 전력계통의 저주파수 진동을 억제하고 비동기 계통연계를 수행할 수 있어 추후 전력계통연계 방식 또는 진동억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과제(결과물)는 2021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입니다(2021RIS-002)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NRF-2022R1A2C1013445)

References

1 
A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0, The 9th Basic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Google Search
2 
Zhou AHongyang, Su Yinsheng, Chen Yiping, Ma Qian, Mo Weike, July-Aug 2016, The China Southern Power Grid: Solutions to Operation Risks and Planning Challenges, IEEE Power and Energy Magazine, Vol. 14, No. 4DOI
3 
ASu-Young Han,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HVDC Transmission System to Interconnect Large-scale Power Generation Plants to Power Grid in Kore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12, pp. 1647-1656DOI
4 
Villegas Pico AHugo, D. McCalley James, Angel Andrea, Leon Ramon, J. Castrillon Neby, Nov 2012, Analysis of Very Low Frequency Oscillations in Hydro-Dominant Power Systems Using Multi-Unit Modeli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7, No. 4DOI
5 
Li AXianshan, Zhang Chunli, Zhu Jianguo, Hu Xiangyong, 2006, The Effect of Hydro Turbines and Governors on Power System Low Frequency Oscillations,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 TechnologyDOI
6 
AE. Allen, D. Kosterev, P. Pourbeik, 2010, Validation of power system models, in IEEE PES General Meeting, pp. 1-7DOI
7 
AENTSOE, 2017, Analysis of CE Inter-area oscillations of 1st December 2016Google Search
8 
APOSOCO, 2014, Report on power system oscillations experienced in Indian grid on 9th, 10th, 11th, and 12th August 2014Google Search
9 
Cheng ALiang, Wang Weiyuan, Xu Guang, Dou Fei, Wu Xuelian, Cheng Jinmin, 2019, Damping Analysis and Parameter Adjustment of Hydraulic Turbine Governor under Ultra-low Frequency Oscillation, 2019 IEEE 3rd Conference on Energy Internet and Energy System Integration (EI2)DOI
10 
P. Kundur, 1994, Power System Stability and Control, McGraw- Hill Professional PublishingGoogle Search
11 
L. Shi, K.Y. Lee, F. Wu, 2016, Robust ESS-Based Stabilizer Design for Damping Inter-area Oscillations in Multimachine Power systems, IEEE Trans. Power Systems, Vol. 31, No. 2, pp. 1395-1406DOI
12 
W. Du, H. F. Wang, J. Cao, S. Q. Bu, L Xiao, 2011, Effectiveness of Damping Control Implemented by an Energy Storage System as Affected by the Line Loading Conditions, IEEE Conference, Vol. power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p. 1-8DOI
13 
Xiangyi Chen, Chunyan Li, Yunli Wang, 2011, Analysis of the inter-area low frequency oscillations in large scale power systems, 2011 6th IEEE Conference on Industrial Electronics and ApplicationsDOI
14 
Chen Yiping, Liu Yingshang, Tang Zhuoyao, Hou Jun, Zhang Yong, Mo Weike, Chen Haoyong, 2017, Analysis of ultra-low frequency oscillation in yunnan asynchronous sending system, 2017 IEEE Power &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DOI
15 
F. Dussaud, 2015, An application of modal analysis in electric power systems to study inter-area oscillations, degree project, in electric power system, Vol. second level stockholm, No. sweden, pp. 2-25Google Search
16 
Hong Rao., 2021, Frequency control at the power sending side for HVDC asynchronous interconnections between yunnan power grid and the rest of CSG, CSEE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7, pp. 105-113DOI
17 
Vaclav Knap., 2016, Sizing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Grid Inertial Response and Primary Frequency Reserve,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1, pp. 3447-3456DOI
18 
Kun Jiang., 2020, A Practical Secondary Frequency Control Strategy for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1, pp. 2734-2736DOI
19 
Elizabeth R., 2010, First Multi-Channel VFT Application - The Linden Project, IEEE PES T&D 2010DOI
20 
Nadeau. Denis, 2007, A 100-MW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VFT) on the Hydro-Quebec TransEnergie Network - The Behavior during Disturbance, 2007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DOI
21 
J Piwko Richard, 2006,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 FACTS Technology for Asynchronous Power Transfer, 2005/ 2006 IEEE/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hibitionDOI
22 
B. Bagen, D. Jacobson, G. Lane, H. M. Turanli, 2007,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Back-to-Back HVDC Converter and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for Power Flow Control in a Weak Interconnection, 2007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DOI
23 
Sang-Hoon Kim, 2016, Motor Control-DC, AC, BLDCGoogle Search
24 
Byeong-Hyeon An, 20212, A Study on Speed Control of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for Suppressing Power System Oscill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120-121mGoogle Search

저자소개

안병현(Byeong-Hyeon An)
../../Resources/kiee/KIEE.2022.71.5.675/au1.png

안병현(Byeong-Hyeon An) received a BSEE and MSEE from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and he is currently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ince 2021.

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connec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design.

박재덕(Jae-Deok Park)
../../Resources/kiee/KIEE.2022.71.5.675/au2.png

박재덕(Jae-Deok Park) received His BSEE in 2019 and MSEE in 2021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connec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design.

김태훈(Tae-Hun Kim)
../../Resources/kiee/KIEE.2022.71.5.675/au3.png

김태훈(Tae-Hun Kim) received His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17.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채준수(Jun-Soo Che)
../../Resources/kiee/KIEE.2022.71.5.675/au4.png

채준수(Jun-Soo Che) Received His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19.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21.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표수한(Su-Han Pyo)
../../Resources/kiee/KIEE.2022.71.5.675/au5.png

표수한(Su-Han Pyo) received His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18.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