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실험 환경
격자 지도 획득을 위해 사용된 로봇 및 센서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로봇은 OMOROBOT 사의 R1 모델이었고, 2D LIDAR 센서는 SLAMTEC
사의 RPLIDAR였다. 격자 지도 획득은 ROS(Robot Operating System) Melodic 기반 Google Cartographer
(16)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은 건물 실내 2가지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두 환경에 대해 획득한 지도는 각각 그림 8및 그림 10과 같았다. 흰색 부분이 빈 공간이고, 검정색 부분이 구조물이 있는 공간이며, 회색 부분은 아직 센서 범위가 닿지 않은 공간을 의미한다. 첫 번째
환경에서 획득된 지도들은 중첩 영역이 비교적 많은 편이었고, 두 번째 환경에서 획득된 지도들은 중첩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각 실험에서
획득된 두 격자 지도들을 정확하게 병합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림. 8 첫 번째 환경에서 LIDAR 기반 SLAM에 의해 획득된 격자 지도
Fig. 8 Grid maps obtained by LIDAR-based SLAM in Environment #1
그림. 10 두 번째 환경에서 LIDAR 기반 SLAM에 의해 획득된 격자 지도
Fig. 10 Grid maps obtained by LIDAR-based SLAM in Environment #2
4.2 지도 병합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획득된 격자 지도를 이진화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그림 9및 그림 11과 같이 구조물에 해당되는 격자들만 남게 된다. 전처리된 이진 격자 지도들로부터 스펙트럼을 추출하고, 추출된 스펙트럼 간 계산된 교차상관관계는 그림 12및 그림 15와 같았다. 모든 수치는 정규화된(normalized) 수치이다.
그림. 9 첫 번째 환경에서 전처리 후 이진 격자 지도
Fig. 9 Binary grid maps after preprocessing in Environment #1
그림. 11 두 번째 환경에서 전처리 후 이진 격자 지도
Fig. 11 Binary grid maps after preprocessing in Environment #2
그림. 12 첫째 환경에서 Hough 스펙트럼 및 교차상관관계
Fig. 12 Hough spectra and their cross-correlation in Environment #1
그림. 15 둘째 환경에서 Hough 스펙트럼 및 교차상관관계
Fig. 15 Hough spectra and their cross-correlation in Environment #2
첫 번째 환경에서는 가장 높은 교차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각도인 9도가 지도 간 회전각도로 추정되었다. 두 번째 환경에서는 가장 높은 교차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각도인 99도가 지도 간 회전각도로 추정되었다. 추정된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두 번째 지도를 회전시킨 후, 다시 X축 및 Y축 방향 스펙트럼을
추출하고, 추출된 스펙트럼 간 계산된 교차상관관계는 각각
그림 13및
그림 14그리고
그림 15및
그림 16과 같다. 각도 추정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교차상관관계를 나타내는 X축 및 Y축 지점들이 해당 축 방향 이동량으로 추정된다.
그림. 13 첫째 환경에서 X축방향 스펙트럼 및 교차상관관계
Fig. 13 X-axis spectra and their cross-correlation in Environment #1
그림. 14 첫째 환경에서 Y축방향 스펙트럼 및 교차상관관계
Fig. 14 Y-axis spectra and their cross-correlation in Environment #1
그림. 16 둘째 환경에서 X축방향 스펙트럼 및 교차상관관계
Fig. 16 X-axis spectra and their cross-correlation in Environment #2
그림. 17 둘째 환경에서 Y축방향 스펙트럼 및 교차상관관계
Fig. 17 Y-axis spectra and their cross-correlation in Environment #2
획득된 지도 간 회전각도, X축 및 Y축 방향 이동량을 스펙트럼 정보와 PSO를 이용하여 지도 병합을 수행한, 제안된 기법 기반 지도병합 결과는
그림 18및
그림 19와 같다.
식(13)의 r과 c는 첫 번째 실험에서는 각각 1390 및 908이었고, 첫 번째 실험에서는 각각 1577 및 891이었다.
그림. 18 첫 번째 환경에서 제안된 기법 기반 지도병합 결과
Fig. 18 Map merging results with the proposed method in Environment #1
그림. 19 두 번째 환경에서 제안된 기법 기반 지도병합 결과
Fig. 19 Map merging results with the proposed method in Environment #2
녹색으로 표현된 Map 2가 알고리즘에 의해 변환된 것이 빨간색으로 표현된 Transformed Map 2이다. 파란색으로 표현된 Map 1과 Transformed
Map 2가 최대한 겹쳐져야 지도 병합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성공적으로 지도병합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제안된 기법 수행시 PSO의 수행 결과는
그림 20과 같았다. 표현상 편의를 위해 X축 및 Y축 방향 이동량에 대한 수렴 결과만을 표시하였다. 최종 수렴된 파티클들의 위치 중에서 최종 Swarm Best
$p_{SB}$를 최적 값으로 획득하여 적용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향상된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대상은 표 1에서 간접적 지도 병합 기법 중에서 기존 스펙트럼 기반 지도 병합 기법(SMM)(13)을 비롯하여 이미지 매칭 기법들 중 일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특징점 매칭 기법(SURF: Speeded Up Robust Features)(17), 모서리 매칭 기법(HCD: Harris Corner Detector)(18), 평균제곱오차(MSE: Mean Square Error) 기반 매칭 기법을 지도 병합에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기존 방법들에 의한 지도병합 결과는
그림 21및 그림 22와 같았다.
그림. 20 지도 병합을 위한 PSO 수행 결과
Fig. 20 PSO results for map merging
그림. 21 첫 번째 환경에서 기존 방법 기반 지도병합 결과
Fig. 21 Map merging results with the existing methods in Environment #1
그림. 22 두 번째 환경에서 기존 방법 기반 지도병합 결과
Fig. 22 Map merging results with the existing methods in Environment #2
스펙트럼 정보만을 이용하는 SMM은 지도 병합을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도 간 회전 각도는 성공적으로 추정하였으나, 축 방향
이동량에 대한 추정 정확도는 낮았다. 이는 중첩(overlapped) 영역이 부족하여 알고리즘이 국소 최저점에 빠졌기 때문이다. SURF 기반 지도병합의
경우, 지도 간 중첩영역이 상대적으로 충분한 첫 번째 환경에서는 잘 동작하였으나, 중첩영역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두 번째 환경에서는 정확도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이는 매칭에 필요한 공통 특징점의 개수가 적었기 때문이다. HCD 기반 지도병합 방법은 공통 코너 특징점의 개수가 적었기 때문에 두 환경
모두에서 낮은 지도병합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MSE 기반 지도병합 방법 역시 중첩 영역의 부족으로 두 환경 모두에 대해 낮은 지도병합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4.3 정량적 비교 결과
격자 지도 병합의 정확도 비교를 위해 중첩 격자의 개수를 다음과 같이 매칭 점수(score)로 설정하여 정량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여기서 $X_{\max}$과 $Y_{\max}$는 각각 두 지도의 점유 격자들의 X축 및 Y축 좌표들 중에서 가장 큰 값들이다. 두 환경에 대한 정량적
비교 결과는
표 3 및
표 4와 같이 요약되었고, 각 결과는 10회 평균값이다. 정량적 비교 결과 제안된 기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중첩 영역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두 번째 환경에서도 기존 기법들보다 높은 매칭 점수를 나타냄으로써 정확한 지도병합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단, PSO에 사용되는
파티클 개수와 반복 횟수에 따라 계산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 적용시 요구사항에 따른 적절한 파라미터 설정이 필요하다.
표 3 첫 번째 환경에서 지도 병합의 정량적 비교 결과
Table 3 Quantitative comparison results of map merging in Environment #1
Type
|
Proposed.
|
SMM
|
SURF
|
HCD
|
MSE
|
Score
|
2246.6
|
352.0
|
1784.1
|
68.2
|
31.0
|
표 4 두 번째 환경에서 지도 병합의 정량적 비교 결과
Table 4 Quantitative comparison results of map merging in Environment #2
Type
|
Proposed.
|
SMM
|
SURF
|
HCD
|
MSE
|
Score
|
1417.3
|
375.0
|
74.9
|
69.1
|
109.0
|
4.4 3대 이상의 로봇 지도 병합 결과
다중 로봇 SLAM을 위한 지도병합과 관련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 지도 간 매칭은 2개씩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3대의 로봇을 이용한 SLAM의
경우, 먼저 첫 번째 로봇 지도와 두 번째 로봇 지도 간 매칭을 수행하여 지도 간 변환행렬을 추정한다. 그리고 나서 두 번째 로봇 지도와 세 번째
로봇 지도 간 매칭을 수행하여 지도 간 변환 행렬을 추정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추정된 변환 행렬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전체 병합 지도를 획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3대 이상의 로봇 지도 병합에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 환경에서 제안된 기법을 이용한 두 번째 로봇
지도와 세 번째 로봇 지도의 병합 결과는 그림 23과 같았다. 여기서 추정된 변환 행렬을 앞서 추정된 변환 행렬과 함께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전체 지도 병합 결과를 그림 24과 같이 획득하였다. 제안된 기법에 의해 3대의 로봇 지도들이 성공적으로 병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3 두 번째 환경에서 제안된 기법을 이용한 두 번째 및 세 번째 로봇의 지도 병합 결과
Fig. 23 Map merging result of the robot 2 and robot 3 maps with the proposed method
in Environment #2
그림. 24 두 번째 환경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한 3대의 로봇 지도 병합 결과
Fig. 24 Map merging result of three robot maps with the proposed method in Environment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