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 전압보상장치가 없는 경우의 운용특성
음영이 발생되는 경우, 태양광 모듈의 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압보상장치가 없는 경우(Case I ~ Case III)에 의한
태양광전원 전압 및 출력 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5와 같다. 여기서, 그림 15(a)는 음영에 따른 스트링의 전압 변동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15(b)는 스트링의 출력과 인버터의 출력 변동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그림 15(a), (b)의 Case I과 같이 음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스트링의 전압은 246[V], 스트링의 출력은 1,640[W]가 발생된다.
하지만, 그림 15(a), (b)의 Case II와 같이,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50%만큼 발생하면 스트링 전압은 117[V], 스트링 출력은 821[W]로 감소하고, Case III와
같이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5/8만큼 발생하면 스트링의 전압은 인버터의 최소 동작전압범위(115[V])를 벗어나, 인버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출력은
0[W]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부분 음영으로 인하여 스트링은 인버터로부터 탈락되고, 태양광전원의 운용효율이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15. 기존방식의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특성(Case I ~ Case III)
Fig. 15. Output characteristics of PV string with existing method(Case I ~ Case III)
5.2.2 태양광모듈 전압보상장치를 이용한 운용특성
상기와 같이 부분음영에 의한 태양광 스트링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태양광모듈 전압보상장치의 운용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6과 같다. 여기서, 그림 16(a)는 음영에 따른 스트링의 전압, 그림 16(b)는 스트링의 출력과 인버터의 출력을 나타낸다. 즉, 그림 16(a), (b)의 Case IV과 같이 음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태양광 스트링의 전압은 246[V], 스트링의 출력은 1,640[W]정도 유지되지만, 그림 16(a), (b)의 Case V와 같이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50%정도 발생하면, 스트링의 전압 및 출력은 118[V], 823[W]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5/8만큼 발생하면 인버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출력이 0[W]로 감소하지만, 그림 16(a), (b)의 Case VI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압보상장치의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2대를 투입하면, 태양광 스트링의 전압은 74.8[V]로 감소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이 51.2[V]만큼 전압을 보상하여, 인버터의 입력전압은 134[V]까지 회복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은 563.6[W],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의 출력은 400.8[W]가 발생하여, 인버터 입력 측 전력은 두 값을 합산한 964.4[W]가 발생된다. 즉,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에 의하여 전압이 보상되어, 태양광 스트링이 저전압 현상으로 인버터에서 탈락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출력을 발생하여, 기존의 제어방식에 비하여 운용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그림 16(a), (b)의 Case VII과 같이,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5/8만큼 발생하고,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을 1대만 투입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이 태양광 스트링
전압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여, 인버터의 최소 동작전압범위(115[V])를 벗어나, 인버터가 동작을 정지하여 출력은 0[W]로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태양광 스트링 전압을 충분하게 보상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6. 제안한 방식의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특성(Case IV ~ Case VII)
Fig. 16. characteristics of PV string with proposed method(Case IV ~ Case VII)
한편,
그림 17(a),
(b)는 음영에 따른 스트링의 전압,
그림 17(b)는 스트링의 출력과 인버터의 출력을 나타내며, Case IV, Case V의 경우,
그림 15(a),
(b)의 Case IV, Case V와 동일한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6/8만큼 발생하면 인버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출력이
0[W]로 감소하지만,
그림 17(a),
(b)의 Case VIII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압보상장치의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3대를 투입하면, 태양광 스트링의 전압은 52.2[V]로 감소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이 76.8[V]만큼 전압을 보상하여, 인버터의 입력전압은 129[V]까지 회복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은 365.5[W],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의 출력은 520.9[W]가 발생하여, 인버터 입력 측 전력은 두 값을 합산한 886.4[W]가 발생된다. 즉,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에 의하여 전압이 보상되어, 태양광 스트링이 저전압 현상으로 인버터에서 탈락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출력을 발생하여, 기존의 제어방식에 비하여 운용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그림 17(a), (b)의 Case IX과 같이,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6/8만큼 발생하고,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을 2대만 투입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이 태양광 스트링 전압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여, 인버터의 최소 동작전압범위(115[V])를 벗어나, 인버터가 동작을 정지하여 출력은 0[W]로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태양광 스트링 전압을 충분하게 보상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7. 제안한 방식의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특성(Case IV ~ Case IX)
Fig. 17. Output characteristics of PV string with proposed method(Case IV ~ Case IX)
한편,
그림 18(a)는 음영에 따른 스트링의 전압,
그림 18(b)는 스트링의 출력과 인버터의 출력을 나타내며, Case IV, Case V의 경우,
그림 15(a),
(b)의 Case IV, Case V와 동일한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7/8만큼 발생하면 인버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출력이
0[W]로 감소하지만,
그림 18(a),
(b)의 Case X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압보상장치의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4대를 투입하면, 태양광 스트링의 전압은 19.6[V]로 감소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이 102.4[V]만큼 전압을 보상하여, 인버터의 입력전압은 122[V]까지 회복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은 126.8[W],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의 출력은 715.3[W]가 발생하여, 인버터 입력 측 전력은 두 값을 합산한 842.1[W]가 발생된다. 즉,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에 의하여 전압이 보상되어, 태양광 스트링이 저전압 현상으로 인버터에서 탈락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출력을 발생하여, 기존의 제어방식에 비하여 운용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그림 18(a), (b)의 Case XI과 같이, 음영이 스트링 면적의 7/8만큼 발생하고,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을 3대만 투입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이 태양광 스트링 전압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여, 인버터의 최소 동작전압범위(115[V])를 벗어나, 인버터가 동작을 정지하여 출력은 0[W]로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태양광 스트링 전압을 충분하게 보상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8. 제안한 방식의 태양광 스트링의 출력특성(Case IV ~ Case XI)
Fig. 18. Output characteristics of PV string with proposed method(Case IV ~ Case 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