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Korea.)



Sensorless, compressor, IF open-loop, Vibration reduction

1. 서 론

압축기 구동 시스템은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전동기의 구동 속도에 따라 냉매의 압축을 조절하여 냉난방을 위한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와 구동 전동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오일로 인하여 전동기에는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나 홀센서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형태로 구성되므로, 센서리스 제어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1-3). 최근의 센서리스 제어 방식에서는 정격속도의 5% 이하에서도 안정적인 제어 성능을 보이고 있으나 (4-6), 실제 제품의 적용에서는 적용된 전동기의 균일성에 따른 파라미터 오차와 전압 및 전류 검출 오차 등을 고려하여 정격속도의 약 10~20% 이상에서 센서리스 방식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지 상태에서 센서리스로 전환되기까지는 오픈 루프 구동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4-5). 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의 경우 정지 상태에서 저속구동에서도 고주파 주입 방식에 의해 회전자 위치 검출이 가능하지만, 고주파 주입에 따른 EMI 및 EMC 문제와 저속에서 높은 부하 변동에 대해서 회전자 검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높은 고주파 전압의 주입에 따른 이음(異音) 발생으로 전기차와 같이 높은 정숙성을 요구하는 응용에서 여전히 IF(Current – Frequency) 방식의 오픈 루프 구동 방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6-7).

IF 오픈 루프 구동 방식은 정지 상태에서 회전자 위치를 한 상에 고정하도록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자 위치를 고정하고, 오픈 루프 구동 속도를 상승시키며 구동 속도에 따라 전류를 주입하여 강제로 구동한다. 이때 구동 속도가 센서리스 전환 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류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회전자 위치가 오픈 루프 각도에 일치하게 되면, 폐 루프 센서리스 제어 방식으로 전환하게 된다. IF 방식의 오픈 루프 구동 상태에서 회전자 위치는 부하 상태에 따라 토크 각도가 변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본 논문의 압축기 응용에서 정지 및 기동 상태에서는 유체의 이동이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기 전의 상태로 유체 상태에 따른 부하의 변동으로 압축기의 속도가 정지 및 가속을 반복함에 따라, 회전 스크롤이 고정부에 접촉하여 기계적 진동과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전기차 등과 같이 고도의 정숙성을 요구하는 응용 분야에서의 적용을 매우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IF 오픈 루프 구동 방식을 적용하는 압축기에서 간단한 가변 토크 가속을 통해서 기계적 진동과 소음을 억제하는 기동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IF 기동 방식은 초기 회전자 위치 정렬 방식에서 회전자 위치 검출 방식을 적용하고, 최저 구동 토크와 최대 구동 토크 사이의 기울기를 기본으로 하여 추정된 속도와 오픈 루프 속도와의 히스테리시스 오차에 따라서 구동 전류의 크기를 가변 하는 방식으로, 압축기 압축기가 저속에서 정지 및 가속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저속영역에서 추정된 회전자 위치와 추정 속도는 제어에 직접 사용하기에는 정밀도가 높지 않고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간접적으로 간단히 전류의 크기를 가변 하는 것으로 센서리스가 가능한 속도까지 기동할 때 기계적 진동과 소음을 저감 할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은 2.2kW의 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로 구동되는 압축기의 센서리스 제어에 적용하여 기존 기동 방식과 소음 및 진동을 비교함으로써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비교 실험에서 제안된 방식은 초기 정지 상태에서 저속 기동과 폐 루프 센서리스 전환에 이르기까지 기계적 소음과 진동이 크게 저감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센서리스 구동방식의 압축기 시스템 모델

2.1 시스템의 기계적 구조

본 논문에서 적용된 압축기는 20cc의 용량을 가진 스크롤 방식의 압축기로 그림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그림. 1. 스크롤 압축기의 구조

Fig. 1. Mechanical structure of scroll compressor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1.png

그림 1에서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 회전 스크롤, 크랭크 축 및 모터 샤프트로 구성된다. 스크롤 압축기의 크랭크축은 하나의 원기둥 위에 직경과 길이가 다른 원기둥이 얹혀있는 형태로, 작은 원기둥의 중심선은 큰 원기둥의 중심선에 일치하지 않고 편심이 있다. 회전 스크롤은 크랭크축의 작은 원기둥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에 의해 크랭크축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 스크롤은 크랭크축 중심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8). 고정 스크롤은 회전 스크롤 상부에서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고정 스크롤의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은 회전 스크롤의 인벌류트 곡선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스크롤 내부에는 초승달 모양의 밀폐공간이 여러 개 존재하게 된다.

고정 스크롤의 원주 부분에 위치한 흡입구를 통하여 유체는 스크롤 내로 들어가며, 들어간 유체는 스크롤들에 의해 형성된 맨 바깥쪽 공간으로 이동된다. 그림 1에서 회전 스크롤이 1회전 하게 되면, 맨 바깥쪽 공간은 두 스크롤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고, 계속하여 회전 스크롤이 회전하면 밀폐공간은 스크롤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서, 밀폐공간의 체적은 적어지고 유체는 압축된다. 압축된 유체는 밀폐공간이 고정 스크롤의 중앙에 있는 토출구와 만나게 되면 아웃렛(outlet)으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된 유체가 다시 흡입구와 만나지 않으므로 재팽창 체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기 효율이 높다. 또한, 밸브가 없고 연속적으로 압축 유체를 토출함으로 연속운전에서 소음 및 진동이 적다 (9).

스크롤 방식의 압축기는 편심 구조와 섭동 속도의 제한으로 압축기 본체의 크기에는 제한이 있으나, 압축실이 연속적으로 여러 개 형성되므로 실시간 압력 차가 작고 선회 반경이 작아서 토크 변동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스크롤 방식의 압축기는 토크 변동이 낮은 장점 대신에 선회 스크롤을 구동하는 구동축은 스크롤 중심과 입력축 중심이 편심 되어 크랭크로 되며, 편심 중량과 회전 스크롤이 선회하기 때문에, 정지 상태에서 저속 구간에는 압축되는 냉매가 고정자와 선회 스크롤을 충분히 밀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편심 마찰이 발생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2.2 구동 모터의 센서리스 모델

표 1. 적용된 전동기의 사양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driven motor

Items

Value [Unit]

Max. Power

2.2 [kW]

Rated Speed

6,000 [r/min]

Rated Torque

3.5 [Nm]

DC Voltage

220 [V]

Max. Speed

7,000 [r/min]

Phase resistance

194 [mΩ](@20℃)

Ld

857 [uH]

Lq

1606 [uH]

본 논문에서 회전 스크롤은 구동하는 전동기는 220V-2.2kW의 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이며, 구체적인 전동기의 사양은 표 1과 같다.

적용된 압축기에서 아이들 속도는 1000 ~ 2000 r/min 사이이며, 압축 제어를 위한 제어 속도는 2000 ~ 7000 r/min까지 가변속 제어를 통해서 압축기 내부 냉매의 압력을 제어하여 냉각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그림. 2. 압축기 구동용 IPMSM 제어용 인버터 구조

Fig. 2. Voltage source inverter of IPMSM for compressor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2.png

그림 2는 본 논문에서 적용한 전동기와 3상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에서 6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전압형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고, 3상 션트(shunt) 저항을 이용한 전류 검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림 2에서 $Q_{AH}$, $Q_{BH}$ 및 $Q_{CH}$는 각 상의 상단 부 스위치를 의미하며, $Q_{AL}$, $Q_{BL}$ 및 $Q_{CL}$은 각 상의 하단 부 스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R_{m}$은 각 상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션트 저항이다. 그림 2에서 $i_{as}$, $i_{bs}$ 및 $i_{cs}$는 실제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이며, $i_{as}^{'}$, $i_{bs}^{'}$및 $i_{cs}^{'}$은 션트 저항과 절연형 증폭기를 통해 검출되는 각 상의 전류를 의미한다.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을 위한 적용된 전동기의 순시 전압 방정식은 다음과 표현될 수 있다(10-12).

(1)
\begin{align*} \left[\begin{aligned}V_{dr}\\ V_{qr}\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R_{s}+ p L_{d} & -\omega_{re}L_{q}\\\omega_{re}L_{d} & R_{s}+ p L_{q}\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i_{dr}\\ i_{qr}\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0\\\omega_{re}\lambda_{m}\end{aligned}\right] \end{align*}

단, $V_{dr}$, $V_{qr}$ 및 $i_{dr}$, $i_{qr}$은 회전자 중심 좌표축으로 표현된 전압과 전류이며, $R_{s}$는 상권선 저항이고, $L_{d}$와 $L_{q}$는 dq축 인덕턴스를 의미한다.

$\omega_{re}$는 회전자의 전기적 각속도이며, $\lambda_{m}$은 회전자의 영구자석 쇄교 자속의 크기를 의미한다.

회전자 좌표축의 전압 방정식을 고정자 좌표축으로 변환된 전압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확장 역기전력 모델이 포함된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begin{align*} \left[\begin{aligned}v_{\alpha s}\\ v_{\beta s}\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R_{s}+ p L_{d} & \omega_{re}(L_{d}- L_{q})\\\omega_{re}(L_{q}- L_{d}) & R_{s}+ p L_{d}\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i_{\alpha s}\\ i_{\beta s}\end{aligned}\right]\\ + E_{ex}\left[\begin{aligned}-\sin\theta_{re}\\\cos\theta_{re}\end{aligned}\right] \end{align*}

(3)
$E_{ex}=(L_{d}-L_{q})(\omega_{re}i_{dr}-pi_{qr})+\omega_{re}\lambda_{m}$

단, $v_{\alpha s}$, $v_{\beta s}$ 및 $i_{\alpha s}$, $i_{\beta s}$는 고정자 좌표축의 전압 및 전류를 나타내고 있으며, $E_{ex}$는 확장 역기전력을 나타내며, 이는 다음 식(4)과 같이 고정자 좌표축의 역기전력 성분 $e_{\alpha}$, $e_{\beta s}$으로 나타낼 수 있다(12).

(4)
\begin{align*} e=\left[\begin{aligned}e_{\alpha s}\\e_{\beta s}\end{aligned}\right]=E_{ex}\left[\begin{aligned}-\sin\theta_{re}\\\cos\theta_{re}\end{aligned}\right] \end{align*}

센서리스 제어를 위한 전동기 모델의 전압 방정식으로부터 추정되는 상전류는 전압 방정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표현 될 수 있다.

(5)
$$ \begin{aligned} & \left[\begin{array}{l} \dot{\hat{i}}_{\alpha s} \\ \dot{\hat{i}}_{\beta s} \end{array}\right]=\frac{1}{L_{d}}\left(\left[\begin{array}{c} v_{\alpha s} \\ v_{\beta s} \end{array}\right]\right.\\ & -\left[\begin{array}{cc} R_{s} & \hat{\omega}_{r e}\left(L_{d}-L_{q}\right) \\ \hat{\omega}_{r e}\left(L_{q}-L_{d}\right) & R_{s} \end{array}\right] \cdot\left[\begin{array}{l} \hat{i}_{\alpha s} \\ \hat{i}_{\beta s} \end{array}\right]\\ & -\left[\begin{array}{l} \hat{e}_{\alpha s} \\ \hat{e}_{\beta s} \end{array}\right] \end{aligned} $$

(6)
$$ \left[\begin{array}{l} \hat{i}_{\alpha s(k)} \\ \hat{i}_{\beta s(k)}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hat{i}_{\alpha s(k-1)} \\ \hat{i}_{\beta s(k-1)}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dot{\hat{i}}_{\alpha s(k)} \\ \dot{\hat{i}}_{\beta s(k)} \end{array}\right] T_{s} $$

식(5)에서 $\hat{}$ 첨자는 전동기 모델로부터 추정된 추정치를 의미하며, $T_{s}$는 샘플링 시간을 의미한다.

이때, 추정 역기전력은 추정 전류와 실제전류와의 오차로부터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7)
\begin{align*} \left[\begin{aligned}\hat e_{\alpha s}\\\hat e_{\beta s}\end{aligned}\right]=\left(G_{op}+\dfrac{G_{oi}}{s}\right)·\left[\begin{aligned}\hat i_{\alpha s}- i_{\alpha s}\\\hat i_{\beta s}- i_{\beta s}\end{aligned}\right] \end{align*}

단, $G_{op}$와 $G_{oi}$는 역기전력 추정을 위한 관측기의 이득을 나타내며, $s$는 라플라스 연산자이다.

추정된 역기전력으로부터 전동기의 회전자 각도와 속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8)
$\hat\theta_{re}=\tan^{-1}\left(-\dfrac{\hat e_{\alpha s}}{\hat e_{\beta s}}\right)$

(9)
$\hat\omega_{re}=\dfrac{\sqrt{\hat e_{\alpha s}^{2}+\hat e_{\beta s}^{2}}}{\lambda_{m}}$

이러한 역기전력 추정 방식의 센서리스 제어 방식은 일정 속도 이상에서 안정적인 회전자 각도 및 속도의 추정이 가능하지만, 정지 상태와 저속 운전 상태에서 역기전력이 영이거나 매우 낮아서, 추정 전류의 정밀도가 너무 낮아지므로 정지 및 저속 상태에서는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정지 및 저속 상태에서는 고조파 주입 또는 오픈 루프 기동 방식을 통해서 일정 속도까지 전동기를 가속 시킨 후 역기전력 추정 방식의 센서리스 방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3. 제안된 IF 기동 방식

일정한 속도까지 기동하기 위한 기동 방식으로는 고주파 주입 방식의 센서리스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고주파 주입 방식은 고주파 주입에 따른 이음 발생과 EMI/EMC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고, 저속에서 높은 가변 부하에 대해 매우 신뢰성 높은 설계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오픈 루프 기동 방식은 회전자의 속도 변동이 크고, 기동 시에 전력 소비가 높은 단점이 있지만, 저속에서 높은 부하 변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기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오픈 루프 기동 방식에서는 한 상에 회전자를 일치시키고, 오픈 루프 속도에 따라 전압을 상승시키면서 가속하는 VF 기동 방식과 전류의 크기를 상승시키면서 가속하는 IF 기동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VF 기동 방식은 회전자 속도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크게 변동하는 특성이 있어서, 많은 응용 분야에서 IF 기동 방식을 선호하여 적용하고 있다 (13). 본 논문에서는 IF 기동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기동 방식을 적용하고, 이를 개선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3.1 기존의 IF 오픈 루프 기동 방식

그림 3은 회전자 기준의 d축 전류를 통해 초기 정렬을 하고, q축 전류에 의해 기동하는 기존의 IF 오픈 루프 기동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그림 3에서 $t_{0}$~ $t_{1}$ 구간은 회전자의 정렬을 위한 구간으로 일정한 전압을 d축 지령 전류 $I_{dr}^{*}$을 인가함으로써, 회전자를 A상에 정렬하는 과정이다. 이때, 회전자의 정렬은 부하의 크기나 마찰상태 및 관성에 따라 다르게 되므로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 인가전압의 크기와 시간을 줄이게 되면, 회전자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전압과 정렬 시간을 증가하게 되면, 회전자 정렬은 확실하게 이루어지나,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t_{2}$ ~ $t_{3}$ 동안에 오픈 루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q축 지령전류 $I_{qr}^{*}$을 인가하여 정상상태 속도까지 기동하게 되며, 이때 기동 속도의 상승 시간은 시스템의 기계적 관성 및 최대 부하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스크롤 압축기를 기동시키기 위해 기동 전류는 정해진 값으로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급격한 토크 지령의 변동에서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류 지령의 상승 기울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고정된 크기의 q축 지령 전류로 오픈 루프 기동하는 경우, 실제 토크 각은 부하 상태에 따라 변동하며 안정 상태에서 토크 각이 90 이내로 회전하면 d축 전류는 양의 값의 상태로 구동된다. 그림 3에서 $t_{3}$ ~ $t_{4}$ 구간은 오픈 루프 구동 전류를 감소시키면서 오픈 루프 지령 각도와 센서리스로 추정된 회전자 각도와 동기화를 통해서 폐 루프 센서리스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그림 3에서 $I_{dr}^{*}$은 오픈 루프 기동 모드에서 토크 지령에 따른 동기화를 위한 d축 지령 전류의 크기이며, $\hat i_{dr}$은 센서리스 추정 각에 따른 d축 추정 전류이다. 이때, 부하가 안정된 상태에서 d축의 추정 전류가 양의 상태는 토크 각이 90도 이내에서 회전자가 회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지령 전류를 서서히 감소하게 되면, 오픈 루프 지령 전류의 회전각과 실제 회전자의 각도 차이가 감소하여 폐 루프 센서리스 제어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림. 3. 기존의 IF 오픈루프 기동 방식

Fig. 3. Conventional IF open-loop starting method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3.png

본 논문에서 적용하고 있는 스크롤 압축기는 정지 상태에서 고정 스크롤과 회전 스크롤이 접촉하고 있고, 회전상태에서 냉매의 압축을 통해 회전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 냉매가 위치하여 기계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저속 정지 상태에서 기동이 반복되는 구간에서 기계적 진동과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3.2 제안하는 IF 오픈루프 기동방식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동 방식은 스크롤 압축기의 기계적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속적인 회전이 가능한 기동 패턴을 구현하는 것으로, 기존 방식에서 단순한 가변 토크 제어기를 도입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루프의 기동은 전류의 크기 대신에 토크 지령 값으로 결정하고, 토크 지령 $T_{m}^{*}$의 크기에 따라, 실제 모터의 지령 전류 $I_{dr}^{*}$ 및 $I_{qr}^{*}$은 모터의 설계에 따른 룩-업(Look-up) 테이블에서 결정하도록 구현되었다. 이는 실제 센서리스 제어에서 IPMSM의 MTPA(Maximum Torque per Ampere)를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모터의 최대 토크를 발생하기 위한 dq축 전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적용하였으며, 전류 제어기의 구현에서 폐 루프 센서리스 전환에서 별도의 전압 변환 없이 오픈 루프 상태에서 폐 루프 상태로의 전환이 쉬운 장점이 있다.

그림 4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IF 기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4의 $t_{0}$ ~ $t_{1}$ 구간에서 인가 주파수에 따른 회전자 진동과 검출 전류의 한 샘플링 구간에서의 위상 변화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한 100Hz의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초기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였다. 초기 위치 검출 시 고정자 좌표축에 원을 그리는 고주파를 인가하면, 전류는 d축의 기울기를 가지는 타원 형상의 궤적을 그리게 된다(14). 이때, 고주파를 일정 시간동안 인가하게 되면, 자기포화에 따라 +d축과 –d축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합 벡터 크기가 서로 달라지며, 전류의 합 벡터 크기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검출하였다(15).

그림. 4. 제안된 IF 기동 방식의 기본 구조

Fig. 4. The basic concept of the proposed IF open-loop starting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4.png

그림 4에서 $t_{2}$ ~ $t_{3}$ 구간에서는 토크 지령 값을 최소 지령 토크 값 $T_{s t a r t}^{*}$와 $T_{open}^{*}$ 사이에서 토크 값 가속계수 $A_{Tm}$을 가지는 형태로 패턴을 구성하고 있고, $t_{2}$ ~ $t_{4}$ 구간에서는 오픈 루프 속도 값 $\omega_{s t a r t}^{*}$와 $\omega_{open}^{*}$ 사이에서 속도 가속계수 $A_{\omega m}$을 가지는 형태로 설계된다. 이때, 토크 증가 구간이 오픈 루프 지령 속도의 증가 구간보다 짧게 설계된 것은 스크롤 압축기의 차압(差壓)을 충분히 견디고 가속하기 위해서 전류 상승 구간이 짧게 설계되었다. 또한, 최소 지령 토크 $T_{s t a r t}^{*}$는 적용된 스크롤 압축기가 기계적 마찰을 극복하고, 회전을 시작하기 위한 최소의 토크 값으로 이는 설계된 압축기에 따라 상이하게 되지만, 적용된 모델에 대해서는 실험적 방법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 스크롤의 마찰을 극복하는 최소 토크 지령은 0.3Nm로 설정하였다. 기본 토크 지령치는 제안된 방식에서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10)
$T_{m(t)}^{*}= T_{"\star t"}^{*}+ A_{Tm}· t$

전류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는 IPMSM의 토크 발생을 위한 전류의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을 통해서 dq축 전류 지령 $I_{dr}^{*}$ 및 $I_{qr}^{*}$이 결정된다.

제안된 방식에서 오픈 루프 기동 속도는 최소속도 $\omega_{s t art}^{*}$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11)
$\omega_{m(t)}^{*}=\omega_{"\star t"}^{*}+ A_{\omega m}· t$

이때, $\omega_{s t a r t}^{*}$는 회전 스크롤의 편심으로 인하여 빠르게 마찰 구간을 극복하고 기동하기 위한 최저 속도로 이 속도에 따라 초기 기동상태에서의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저감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 방식을 통하여 10 ~ 100 r/min 사이의 비교를 통해 초기 기동 속도를 25 r/min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4의 제안된 IF 기동 패턴은 최소 토크 지령 값 $T_{s t a r t}^{*}$와 최소 지령 속도 $\omega_{s t a r t}^{*}$ 및 지령 토크의 기울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구조는 그림 3의 기존 방식과 유사하다. 실제 압축기의 운전에서는 저속 구간에서 제안된 그림 4의 기동 패턴에 대해서도 저속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저속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회전 스크롤의 속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가변 토크 기울기에 의해 토크 지령이 가변 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5는 제안된 가변 토크 기울기 방식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5. 제안된 소음 진동 저감을 위한 가변 토크 제어 방식

Fig. 5. The proposed variable open-loop torque control scheme for acoustic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5.png

그림 5에서, 속도 지령은 히스테리시스 대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 속도 대역 $\omega_{BW}$는 현재 지령 속도 $\omega_{m}^{*}$의 10\% 크기로 설정하였다. 센서리스로 추정된 속도 $\hat\omega_{m}$의 크기가 설정된 속도 대역 내에 있을 경우에는 식(10)과 같이 토크 지령이 결정되지만, 추정된 속도가 속도 대역을 벗어나게 되면, 토크 지령의 크기를 순시 가변하도록 하였다.

(12)
$\Delta\omega_{m}=\omega_{m}^{*}+\omega_{BW}-\hat\omega_{m}$ when, $\hat\omega_{m}$> $\omega_{m}^{*}+\omega_{BW}$

(13)
$\Delta\omega_{m}=\omega_{m}^{*}-\omega_{BW}-\hat\omega_{m}$ when, $\hat\omega_{m}$ < $\omega_{m}^{*}-\omega_{BW}$

이때, 추정 속도 $\hat\omega_{m}$이 속도 대역을 벗어나는 오차에 대해서, 토크 지령은 순시 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14)
$T_{m(k)}^{*}= T_{m(k-1)}^{*}+ K_{f}·\Delta\omega_{m}$

따라서, 순시 지령 토크는 그림 5와 같이 추정 속도가 정해진 속도 대역을 벗어나면 순시 적으로 가변되며, 기동 속도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동작하여 기계적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림 6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IF 기동방식의 블록 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6에서 각 토크 지령과 속도 지령은 그림 4의 패턴에 의해 결정되고, 순시 오픈루프 속도 지령과 센서리스 방식에서의 추정 속도와의 히스테리시스 오차에 대해서, 토크 지령치를 순시 적으로 수정하고 있다. 수정된 토크 지령을 통해서 전류 지령치 $I_{dr}^{*}$ 및 $I_{qr}^{*}$가 결정되고, 이에 의해 전류 제어기가 동작하게 된다.

그림. 6. 제안된 IF 기반의 오픈 루프 기동 방식 블록도

Fig. 6.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IF open-loop starting method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6.png

4. 실험결과

제안된 방식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실험 시스템을 제작하여 실제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림 7은 구성된 실험환경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에서 일체형으로 제작된 IPMSM과 스크롤 압축기가 냉매 배관에 연결되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condenser)에서 외부로 열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동 상태의 진동과 소음을 측정하기 위해서 RION사의 진동센서와 마이크(mic)를 설치하여 기동 상태의 소음과 진동을 측정하였다.

3상 전압형 인버터는 실제 전동기 뒤편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나, 실험과 모니터링을 위해서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그림. 7. 실험환경

Fig. 7. Experimental configurations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7.png

센서리스 제어를 위한 제어기는 RENESAS사의 RH85-120MHz 모델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최대 120 MIPS(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의 연산속도를 가지고 있다. 구동 전동기의 상전류는 션트 저항과 TI(Texas Instruments)사의 INA240A2 절연형 증폭기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센서리스 추정 알고리즘과 전류제어는 100μs의 샘플링 시간에서 이루어지며, 스위칭 주파수는 10kHz이다.

그림 8그림 9는 기존의 회전자 정렬과 기동 방식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8. 기존의 초기정렬과 IF 기동상태에서의 센서리스 전환

Fig. 8. Conventional rotor alignment and IF starting to sensorless transi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8.png

그림 8은 초기 회전자 정렬에서 오픈 루프 기동을 통해서 폐 루프 센서리스 제어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9는 적용된 스크롤 압축기에서 초기 기동 상태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소음 및 진동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8에서 초기

그림. 9. 기존 기동 방식에서의 진동과 소음 특성

Fig. 9. Acoustic noise and vibration of a conventional starting method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9.png

정렬은 40ms 동안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A상을 기준으로 정렬하였으며, 이에 따라 초기 기동 되는 회전자의 각도는 항상 영에서 시작한다. 1,500 r/min은 2.5초 동안 가속되며, 현재 속도를 유지 시키면서 오픈 루프 기동 전류를 감소시키면서, 오픈 루프 상태의 각도와 회전자 추정 각도의 동기화를 진행하여 정상상태 센서리스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그림 8에서 적용된 스크롤 압축기의 실험 결과를 보면, 초기 정렬과 저속영역에서 속도의 변동이 매우 크며, 정지와 기동 상태에서 회전 스크롤의 접촉으로 그림 9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해당 부분에서 매우 짧은 구간의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림 9의 소음과 진동 특성에서, 매우 낮은 속도에서 변동하는 압축 부하에 따라 정지 및 기동을 하는 구간에서 높음 소음을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저속에서 냉매의 흐름이 충분하지 못해서, 회전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의 마찰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는 센서리스 전환 속도인 1,500 r/min에서 토크 전류를 감소시키는 영역에서도 속도의 변화 폭이 크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른 기계적 편심으로 진동이 발생하지만, 실제 소음의 크기는 충분히 억제되고 있는데, 이는 냉매의 흐름이 기계적인 마찰을 저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 10. 제안된 IF 기동 상태에서의 센서리스 전환

Fig. 10. Proposed IF starting to sensorless transi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10.png

그림 10그림 11은 제안된 기동 방식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10은 초기 회전자 위치각 검출과 제안된 가변 토크 패턴에 의한 기동 방식으로 정지 상태에서 1,500 r/min까지 가속된 후, 전류를 감소시키며, 폐 루프 센서리스 제어 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10의 제안된 방식의 실험 결과에서, 초기 회전자 위치 검출은 동일하게 40ms 동안의 4회의 100Hz 사인파 전압의 인가에 의해, 초기 위치를 검출하고 있고, 검출된 초기 각도에 따라서 초기 기동 각도는 검출된 각도에서 시작되고 있음을 보인다. 기동 과정에서 최소 기동 속도 20 r/min에서 오픈 루프 속도가 가속하기 시작하여, 회전자 추정 속도가 오픈 루프 지령 속도의 10% 범위 이내에서 기동 될 수 있도록 토크 전류의 크기를 순시 변동함으로써, 정지 및 기동에 의한 기계적 마찰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인다.

그림 11의 초기 기동 상태의 실험 결과에서 회전자 추정 속도가 정지 상태와 기동의 반복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따른 기계적 진동과 소음이 크게 억제되고 있음을 보인다. 실제 비교 실험에서 제안된 방식은 기동 소음과 진동이 회전상태에 따른 기계적 소음과 진동을 제외하고 크게 억제되고 있음을 보인다.

그림. 11. 제안된 기동 방식에서의 진동과 소음 특성

Fig. 11. Acoustic noise and vibration of the proposed starting method

../../Resources/kiee/KIEE.2022.71.7.945/fig11.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센서리스 방식으로 제어되는 스크롤 압축기의 정지 상태에서 정상상태 센서리스 제어로 전환되기 전에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하는 IF 기동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적용된 압축기의 편심 중량 회전으로 저속 기동 상태에서 정지와 역회전이 발생하면 기계적 마찰에 의한 소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제안된 방식에서는 기동을 위한 속도 가속 패턴과 오픈 루프 지령 토크에 의한 전류 가속 패턴을 중심으로, 추정된 속도 변동에 따라 토크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때, 추정 속도는 정상상태 센서리스 제어를 위해 추정되는 속도로 직접 속도로 사용하지 않고, 오픈 루프 제어각 도에서 오픈 루프 기동 속도와 센서리스 추정 속도와의 히스테리시스 밴드 오차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기동을 위한 전류의 크기를 가변하여 제어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저속 정지와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하여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방식이다. 또한, 기존의 회전자 초기 정렬을 짧은 시간의 고조파 주입에 따른 초기위치 추정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초기 회전자 정렬에 따른 진동을 저감 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실제 제작된 전기자동차용 압축기 시스템의 실제 소음 및 진동을 비교 실험하였으며, 초기 정지 상태에서 정상상태 센서리스 방식으로 전환되기까지 소음과 진동이 크게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부산광역시 및 (재)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의 BB21플러스 사업과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 기술진흥협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KOITA-RND2-2022-3-01)

References

1 
K. W. Lee, J. H. Lee, J. Y. Choi, 2006, Position Sensorless Starting of BLDC Motor for Compress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1, No. 5, pp. 440-446Google Search
2 
G. S. Kim, 2005, Sensorless Control for Linear Compress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0, No. 5, pp. 421-427Google Search
3 
B. G. Gu, 2014, Online Load Torque Ripple Compensator for Single Rolling Piston Compress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9, No. 5, pp. 457-462DOI
4 
S. H. Kim, S. J. Kwon, M. G. Kim, Y. S. Jung, 2011, A Study on Startup-Characteristic of Sensorless Controlled IPMSM Employing Sliding Mode Observ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6, No. 1, pp. 38-43DOI
5 
H. S. Lee, K. Y. Cho, H. W. Kim, 2018, Sensorless Control Algorithm of a Surface Mounted PM Synchronous Motor Under Naturally Rotating by Load,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3, No. 1DOI
6 
G. M. Kim, B. G. Park, B. G. Goo, R. Y. Kim, D. S. Hyun, 2011, Simple Initial Rotor Position Estimation for Stable Startup of IPMSM Sensorless Contro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6, No. 6, pp. 602-609DOI
7 
Y. H. Cho, 2016, Improved Sensorless Control of Interior Permanent Magnet Sensorless Motors Using an Active Damping Control Strategy, Energies, Vol. 9, No. 3DOI
8 
H. W. Lee, G. A. Lee, J. B. Kim, 2014, Thermal Deformation of a Scroll Compressor for Automobi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4, No. 6, pp. 67-74DOI
9 
S. S. Yim, Y. S. Lee, S. Y. Park, K. B. Kim,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imulation Model for A Scroll Compress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5, pp. 1976-1982DOI
10 
G. Wang, R. Yang, D. Xu, 2013, DSP-based control of sensorless IPMSM drives for wide-speed-range operation, IEEE Trans.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2, pp. 720-727DOI
11 
Y. Zhao, W. Qiao, L. Wu, 2015, Dead-Time Effect Analysis and Compensation for a Sliding-Mode Position Observer-Based Sensorless IPMSM Control System,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1, No. 3, pp. 2528-2535DOI
12 
Z. Chen, M. Tomita, S. Doki, S. Okuma, 2003, An Extended Electromotive Force Model for Sensorless control of Interior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s, IEEE Trans. Industrial Electronics, Vol. 50, No. 2, pp. 288-295DOI
13 
D. U. Kim, S. M. Kim, 2019, Speed Controller Transitio Method for I-F Operation and Sensorless Operation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Journal of Inst. Korean Electron Engineering, Vol. 23, No. 2, pp. 543-551DOI
14 
J. M. Kim, S. K. Sul, 1998, Vector Control of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without a Shaft Sens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Journal of Inst. Korean Electron Engineering, Vol. 47, No. 11, pp. 1869-1876DOI
15 
S. C. Yoon, 2003. 12, Sensorless Control of PMSM in Low Speed Range using High Frequency Voltage Injection,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Google Search

저자소개

박준휘(JunHwi Park)
../../Resources/kiee/KIEE.2022.71.7.945/au1.png

JunHwi Park was born on November 14, 1989.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mechatronics engineering from Kyungsung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in 2014 and 201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이동희(Dong-Hee Lee)
../../Resources/kiee/KIEE.2022.71.7.945/au2.png

Dong-Hee Lee was born on November 11, 1970.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1996, 1998, and 2001, respectively.

During 2002 to 2005, he worked for LG-OTIS at servo R&D team.

He was invited professor of WEMPEC at 2012.

From 2005, he was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of Kyungsung University.

He is associate editor of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and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