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형
(Tae-Hyeong Kim)
1iD
윤범렬
(Bum-Ryeol Yoon)
1iD
이준희
(June-Hee Lee)
2iD
이준석
(June-Seok Lee)
†iD
-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
(Propulsion System Lab,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Flying capacitor dual inverter, DPWM(Discontinuous Pulse Width Modulation), Active and reactive power separation control, PF(Power factor)
1. 서 론
전기추진시스템의 사용 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인버터, 전동기와 같은 구성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1-6). 전동기 분야에서는 전기추진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에너지 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현재 전기 자동차와 철도차량 분야에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1-3). 또한, 전기추진시스템의 무게 절감 방안으로 전동기의 전류를 낮추고 전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3-5). 개방권선형 PMSM(Open End Winding PMSM, OEW-PMSM)을 이용하는 듀얼 인버터는 싱글 인버터 2개로 구성되며 dc-Link
전압을 증가시키지 않고 인버터의 출력전압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3-6). 이를 통해 듀얼 인버터는 싱글 인버터와 동일 전력을 출력할 때, 싱글 인버터 대비 전류의 크기가 감소하여 시스템의 손실 저감이 가능하다(7).
듀얼 인버터 토폴로지는 전원과 인버터의 연결 구성에 따라 나눠진다. 그림 1(a)는 단전원을 사용한 듀얼 인버터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단전원을 사용한 듀얼 인버터는 하나의 전원을 공유함으로써 영상전류가 발생한다(8). 순환 전류를 발생시키는 영상전류는 3차 고조파에 해당하며 전동기와 전력반도체소자에 손실을 유발한다(4), (8). 그림 1(b)는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는 단전원을 사용한 듀얼 인버터와 달리 전기적인 전원 분리로 인해
순환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영상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9), (10). 또한 플라잉 커패시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전압을 원하는 크기로 승압 및 강압이 가능하다. 그러나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을 승강압 또는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하다. 해당 제어 시 유효성분 전압이 출력되므로 1차측 인버터는 이를 포함한 유효전력, 2차측 인버터는 무효전력만 출력하는
전력 분리 제어가 존재하며 고속 영역에서 용이하다(9-12).
그림. 1. 듀얼 인버터 구조 (a) 단전원을 사용한 듀얼 인버터, (b)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
Fig. 1. Topology of dual inverter (a) Dual inverter with single voltage, (b) Flying
capacitor dual inverter
듀얼 인버터는 12개의 전력반도체소자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시스템의 손실 비중이 증가한다(14). 그러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버터의 손실 저감이 필수적이다. 스위칭 손실 저감은 PWM기법을 통해 구현 가능하며, (15)와 같이 클램핑 구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손실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15)는 전류의 기본파 한주기 동안 각 레그의 상단 혹은 하단 전력반도체소자만 클램핑되므로 소자 간의 손실 불평형이 나타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류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손실정도를 고려하여 옵셋전압을 이용하는 불연속 변조 기법(Discontinuous PWM, DPWM)이 있다. 이는 클램핑 구간을 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손실 저감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 토폴로지에서 각 인버터에 해당하는 최적의 DPWM을 적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며,
제안하는 PWM방법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분리 제어를 기반으로 검증한다. 1차측 인버터에서는 출력전압과 출력전류가 동상이며, 2차측 인버터에서는
90° 차이를 갖는다. 1차측 인버터는 전류의 크기가 가장 큰 60° 구간동안 출력전압을 클램핑하여 손실 최소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동일한 방법을
2차측 인버터에 적용 시 전류의 크기가 가장 작은 구간에서 클램핑되므로 손실 저감이 극대화 되지 않는다(17), (18). 2차측 인버터는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고려하여 최적의 클램핑 구간을 선정함으로써 효과적인 손실 저감이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증명한다.
2.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제어 방법
일반적인 듀얼 인버터의 출력전압($V_{AA}$’,$V_{BB}$’,$V_{CC}$’)은 1차측 인버터의 출력전압($V_{AO}$,$V_{BO}$,$V_{CO}$)과
2차측 인버터의 출력전압($V_{A’O’}$,$V_{B’O’}$,$V_{C’O’}$)의 차와 공통모드전압($V_{OO’}$)으로 생성되며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는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 제어가 요구되며, 본 장에서는 해당 제어를 고려하여 dc 전압원과 연결된 1차측 인버터에서는 유효전력,
플라잉 커패시터와 연결된 2차측 인버터에서는 무효전력을 출력하는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2.1 유효전력, 무효전력 분리 제어방법(11), (12)
OEW-PMSM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d축 고정자 전압($V_{d,motor}$), q축 고정자 전압($V_{q,motor}$)에 대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미분 d/dt, $I_{ds}^{e}$, $I_{qs}^{e}$는 동기좌표계 d축과 q축 고정자 전류, $w_{e}$은 OEW-PMSM
내부 영구자석의 전기적각속도, $φf$는 영구자석의 자속을 의미한다. $V_{d,motor}$, $V_{q,motor}$에 대한 방정식은 OEW-PMSM
양쪽에 연결된 1차측 인버터 출력전압($V_{d,inv1}$,$V_{q,inv1}$)과 2차측 인버터 출력전압($V_{d,inv2}$,$V_{q,inv2}$)
차에 의해 결정되며 다음과 같다.
유효성분으로 구성된 1차측 인버터의 출력전압은 식(2)에 의해 출력되며 $V_{d,inv1}$, $V_{q,inv1}$은 다음과 같다(12).
무효성분으로 구성된 2차측 인버터의 출력전압은 식(2)와 식(3)에 의해 출력되며 $V_{d,inv2}$, $V_{q,inv2}$는 다음과 같다(12).
그림. 2.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 시 듀얼 인버터의 전압과 전류 벡터도
Fig. 2. Vector diagram of voltage and current by active and reactive power separation
control in dual inverter
식(4)와 (5)를 이용한 1차측 인버터의 유효전력($P_{inv1}$)과 2차측 인버터의 무효전력($Q_{inv2}$)는 다음과 같다.
식(6)을 도식화하면 그림 1(b)의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전력 흐름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를 통해 1차측 인버터는 $P_{inv1}$, 2차측 인버터는
$Q_{inv2}$만을 출력함으로써 OEW-PMSM 구동이 가능하다(11).
그림 2는 전기각($θ_{e}$)로 회전하는 동기좌표계에서 표현된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를 위한 듀얼 인버터의 전압과 전류 벡터도이다. 벡터도 상에서 식(3)∼(5)의 출력전압벡터가 표시되어 있으며, 고정자 전압벡터($V_{dq,motor}$)는 전류제어기를 통해 출력되고 역률각($θ_{pf}$)은 $V_{dq,motor}$의
전압 위상각($θ_{v}$)과 고정자전류벡터($I_{dq}$)의 전류 위상각($θ_{i}$)의 차로 결정된다. 따라서 $θ_{pf}$와 $V_{dq,motor}$의
크기(|$V_{dq,motor}$|)를 통해 유효전력 성분을 갖는 1차측 인버터의 전압벡터($V_{dq,inv1}$), 무효전력 성분을 갖는 2차측
인버터의 전압벡터($V_{dq,inv2}$)로 표현이 가능하다. $V_{dq,inv1}$는 $I_{dq}$와 동위상이며, $V_{dq,inv2}$는
$I_{dq}$와 9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그림 2를 통해 식(4)와 식(5)를 재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3.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 및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 제어 블록도
Fig. 3. Block diagram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separation control and flying capacitor
voltage control
2.2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 제어방법(12),(13)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분리하는 제어뿐만 아니라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 제어가 필요하다. 이는 플라잉 커패시터에 대한
추가적인 제어기가 요구되며 (12)에서는 PI제어기를 이용하여 2차측 인버터의 추가적인 지령전압($V_{dc2,inv2}$)을 생성하며 다음과 같다.
여기서 $K_{p}$는 비례상수, $K_{i}$는 적분상수이다. $V_{dc2,inv2}$는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유효전력 성분을
나타내며, $V_{c ap}^{*}$, $V_{cap}$은 플라잉 커패시터의 지령전압과 실제전압을 나타낸다.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를 위해 유효전력성분인
$V_{dc2,inv2}$는 고정자전류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d축 전압($V_{d,cap,active}$)과 q축 전압($V_{q,cap,active}$)으로
나눠지며, 다음과 같다.
1차측 인버터의 출력전압은 전체 시스템의 유효전력 성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V_{d,cap,active}$,$V_{q,cap,active}$는
1차측 인버터의 출력전압에 포함되며, 변경된 1차측 인버터의 최종 출력전압($V_{d,active}$,$V_{q,active}$)과 2차측 인버터의
최종 출력전압($V_{d,reactive}$,$V_{q,reactive}$)은 다음과 같다.
이때, $V_{cap}$에 의한 2차측 인버터의 직류단 전압 감소는 스위칭 손실을 저감시킨다. 즉, 운전가능영역에서 최소한의 직류단 전압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스위칭 손실 저감이 가능하다. (13)에서는 선형변조영역에서 $V_{cap}$이 최소 전압으로 제어되도록 $V_{d,reactive}$,$V_{q,reactive}$을 통해 $V_{cap}^{*}$을
결정한다. $V_{cap}^{*}$은 2차측 최종 지령전압의 크기(|$V_{inv2}$|)보다 커야한다는 조건을 가지며 다음과 같다.
최종적으로 3상 좌표계로 변환된 1차측 인버터의 3상 지령전압($V_{A,inv1}$,$V_{B,inv1}$,$V_{C,inv1}$)과 2차측 인버터의
3상 지령전압($V_{A,inv2}$,$V_{B,inv2}$,$V_{C,inv2}$)은 식(12)와 같으며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 제어블록도는 그림 3과 같다.
3. DPWM을 적용한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전력 손실 저감
DPWM은 전력반도체소자를 클램핑하여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한 PWM 방식이다. DPWM을 싱글 인버터에 적용 시 3상 중 2상이 스위칭하므로 듀얼
인버터에서는 총 4상만이 스위칭하여 스위칭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지령 전압 한 주기동안 클램핑 구간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스위칭
손실 저감 정도가 달라진다. 스위칭 손실은 전류의 크기와 직결되므로 효과적인 손실 저감을 위해서는 이를 고려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효전력, 무효전력 분리 제어 시 전류의 위상과 크기를 고려하여 각 인버터에 최적의 클램핑 구간을 선정한다.
3.1 제안하는 1차측 인버터의 DPWM 방법
1차측 인버터는 식(7)과 식(9)을 통해 유효전력만을 출력하며 출력전압과 출력전류가 동상이다. 즉, 1차측 인버터는 단위역률을 가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클램핑 구간을 선정해야한다.
전류의 크기가 가장 큰 구간에서 클램핑 시 효과적인 손실 저감이 가능하므로 클램핑 구간은 $V_{A,inv1}$,$V_{B,inv1}$,$V_{C,inv1}$의
크기가 최대인 60° 구간이 선정되어야한다. 해당 구간에서 클램핑하기 위한 옵셋전압($V_{inv1,offset,DPWM}$)은 다음과 같다.
그림. 4. 제안하는 DPWM과 SVPWM의 A상 지령 전압 및 전류 (a) 1차측 인버터, (b) 2차측 인버터
Fig. 4. Reference voltage and current of A-phase with proposed DPWM and SVPWM (a)
In primary inverter, (b) In secondary inverter
여기서, $V_{dc}$는 1차측 인버터의 dc-Link 전압, $V_{max1}$, $V_{min1}$은 $V_{A,inv1}$, $V_{B,inv1}$,
$V_{C,inv1}$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나타낸다. 1차측 인버터는 출력전압(혹은 출력 전류)의 크기가 최대인 구간에서 60°씩 2번을 클램핑하여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식(12), 수식(13)을 이용하여 변경된 1차측 인버터의 3상 지령전압($V_{A,inv1,DPWM}$, $V_{B,inv1,DPWM}$, $V_{C,inv1,DPWM}$)은
다음과 같다.
그림 4의 (a)는 $V_{A,inv1,DPWM}$, 1차측 그림인버터의 SVPWM 지령전압($V_{A,inv1,SVPWM}$)과 A상 전류($I_{A}$)를 나타낸다.
유효전력만 출력하는 1차측 인버터는 $V_{A,inv1,DPWM}$과 $V_{A,inv1,SVPWM}$이 $I_{A}$와 동상으로 나타난다. $V_{A,inv1,DPWM}$은
전류의 크기가 가장 큰 60°동안 $V_{dc}$/2, -$V_{dc}$/2의 크기로 클램핑되며 이를 통해 스위칭 손실이 최대로 저감된다.
3.2 제안하는 2차측 인버터의 DPWM 방법
2차측 인버터는 식(10)을 통해 무효전력만을 출력하며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위상이 90° 차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1차측 인버터와 동일한 DPWM을 적용 시 전류의 크기가
가장 작은 구간에서 클램핑되므로 손실 저감이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전류의 크기가 최대인 구간을 클램핑하면 출력전압의 과변조로 인한 불평형이 나타난다.
이를 고려한 2차측 인버터의 클램
그림. 5. 전류 위상에 대한 클램핑 구간
Fig. 5. Clamping sector for current phase
그림. 6.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에서 제안하는 DPWM 블록도
Fig. 6.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DPWM for flying capacitor dual inverter
핑 구간은 $V_{A,inv2}$,$V_{B,inv2}$,$V_{C,inv2}$의 크기가 최대, 최소 60°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 선정되어야 한다.
해당 구간은 클램핑 가능한 구간 중 전류의 크기가 최대일 때이며 옵셋전압($V_{inv2,offset,DPWM}$)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V_{cap}$은 2차측 인버터의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 $V_{max2}$, $V_{min2}$는 $V_{A,inv2}$, $V_{B,inv2}$,
$V_{C,inv2}$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나타낸다. 식(14)를 적용한 2차측 인버터는 출력전압이 최대일 때의 60°를 제외한 구간에서 30°씩 4번을 클램핑하여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식(12), (15)를 이용하여 변경된 2차측 인버터의 3상 지령전압($V_{A,inv2,DPWM}$, $V_{B,inv2,DPWM}$, $V_{C,inv2,DPWM}$)은
다음과 같다.
그림 4의 (b)는 $V_{A,inv2,DPWM}$, 2차측 인버터의 SVPWM 지령전압($V_{A,inv2,SVPWM}$)과 $I_{A}$를 나타낸다.
표 1. SVPWM과 제안하는 DPWM의 A상 클램핑 구간
Table 1. Clamping sector of A-phase with SVPWM and proposed DPWM
Sector
|
SVPWM
|
proposed DPWM
|
Inverter
|
Primary&Secondary
|
Primary
|
Secondary
|
1
|
X
|
O
|
X
|
2
|
X
|
X
|
O
|
3
|
X
|
X
|
X
|
4
|
X
|
X
|
X
|
5
|
X
|
X
|
O
|
6
|
X
|
O
|
X
|
7
|
X
|
O
|
X
|
8
|
X
|
X
|
O
|
9
|
X
|
X
|
X
|
10
|
X
|
X
|
X
|
11
|
X
|
X
|
O
|
12
|
X
|
O
|
X
|
표 2.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Table 2. Parameters used for simulations
Parameter
|
Mark
|
Value
|
Unit
|
Stator resistance
|
Rs
|
0.201
|
$\Omega$
|
Stator d-axis inductance
|
Ld
|
4.89
|
$m H$
|
Stator q-axis inductance
|
Lq
|
5.77
|
$m H$
|
Pole
|
P
|
6
|
-
|
Rated Speed
|
nm
|
1750
|
$rpm$
|
Flying Capacitance
|
Cfly
|
2200
|
$\mu F$
|
Control frequency
|
fcont
|
10
|
$k Hz$
|
Switching frequency
|
fsw
|
10
|
$k Hz$
|
dc-Link Voltage
|
Vdc
|
300
|
$V$
|
무효전력만 출력하는 2차측 인버터는 $V_{A,inv2,DPWM}$과 $V_{A,inv2,SVPWM}$이 $I_{A}$와 90°만큼 지연된 위상차를
가진다. $V_{A,inv2,DPWM}$은 손실 저감 효율 및 과변조를 고려할 때, 클램핑 가능한 구간에서 전류의 크기가 가장 큰 30°동안 $V_{cap}$/2,
-$V_{cap}$/2의 크기로 클램핑되며 스위칭 손실이 최대로 저감된다.
3.3 SVPWM과 제안하는 DPWM 비교 및 분석
그림 5은 전류 위상을 30°씩 12개로 나눈 구간을 나타내며 해당 구간별 PWM 방식에 대한 인버터의 클램핑 여부는 표 1과 같다. 그림 5의 Sector 1과 Sector 12에서 전류의 크기가 최대값, Sector 6과 Sector 7에서 최소값을 가진다. 즉, A상 기준 1차측 인버터는
앞에 언급된 4개의 Sector에서 클램핑되며 2차측 인버터는 Sector 2과 Sector 5, Sector 8과 Sector 11에서 클램핑된다.
또한, 전 구간에서 스위칭하는 SVPWM과 달리 제안하는 DPWM은 각 인버터 레그에 존재하는 상단, 하단의 전력반도체소자가 한 번씩 클램핑된다.
B상과 C상의 경우 A상과 동일하게 한 번씩 클램핑되며 클램핑 구간은 120°의 위상차를 갖는다.
최종적으로 식(14)와 식(16)을 통해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제안하는 DPWM 블록도는 그림 6과 같다.
그림. 7. OEW-PMSM 구동을 위한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 시뮬레이션
Fig. 7. Simulation results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separation control for driving
OEW-PMSM
그림. 8. 유효무효전력 분리제어 시뮬레이션
Fig. 8. Simulation results of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separation control
그림. 9. 제안하는 PWM 방식에 따른 시뮬레이션
Fig. 9.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proposed PWM method
그림. 10.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와 OEW-PMSM 실험 세트
Fig. 10. Experiment setup for the flying capacitor dual inverter and OEW-PMSM
그림. 11. OEW-PMSM을 6 Nm으로 600 r/min에서 1200 r/min으로 구동 시 유효무효전력 분리 제어 실험 결과
Fig. 11. Experimental performance results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separation
control for driving OEW-PMSM accelerating from 600 r/min to 1200 r/min with 6 Nm
4. 시뮬레이션
본 장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OEW-PMSM의 파라미터와 조건은 표 2와 같다.
4.1 플라잉 듀얼인버터를 이용한 전동기 제어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토폴로지에서 MTPA와 전류 제어, 유효무효전력 분리 제어와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 제어를 모의하였다. 그림 7의 (a)∼(d)는 정격속도까지의 3상 전류($I_{A}$,$I_{B}$,$I_{C}$), 속도($n_{m}$), d-q축 전류($I_{d}, I_{q}$), 지령
을 포함한 플라잉 커패시터 전압($V_{cap}^{*}$,$V_{cap}$)을 나타낸다.
그림 8의 (a)∼(c)는 정격 속도로 운전 시 $I_{A}$, $V_{A,inv1}$,$V_{A,inv2}$와 유효성분 전압 및 무효성분 전압의 크기($V_{motor,Active}$,$V_{motor,Reactive}$)와
위상($θ_{v,inv1}$,$θ_{v,inv2}$)을 나타낸다. 그림 8(b)와 (c)를 통해 $V_{A,inv1}$,$V_{A,inv2}$의 크기는 $V_{motor,Active}$,$V_{motor,Reactive}$와 1.15배
차이를 가지며 $θ_{v,inv1}$,$θ_{v,inv2}$는 90° 위상차를 가지므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 1차측 인버터의 PWM 방식에 따른 지령전압 실험 결과
Fig. 12. Experimental results of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PWM method in the
primary inverter
그림. 13. 2차측 인버터의 PWM 방식에 따른 지령전압 실험 결과
Fig. 13. Experimental results of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PWM method in the
secondary inverter
4.2 PWM 방식에 따른 손실 저감 분석
A상에서 SVPWM과 제안하는 DPWM의 비교 시뮬레이션은 그림 9와 같다. 그림 9의 (b)∼(e)는 SVPWM과 제안하는 DPWM 적용 시의 1차측 인버터의 A상 극전압($V_{AO,SVPWM}$,$V_{AO,DPWM}$)와 2차측 인버터의 A상
극전압($V_{A’O’,SVPWM}$,$V_{A’O’,DPWM}$)을 나타낸다. 그림 9(a)에서 $V_{A,inv1,DPWM}$은 한 주기동안 $V_{A,inv1,SVPWM}$이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갖는 2번의 60° 구간 동안 클램핑되며,
$V_{A,inv2,DPWM}$은 $V_{A,inv1,DPWM}$의 클램핑 구간을 제외한 4번의 30° 구간동안 클램핑된다. 극전압은 해당 레그의
스위칭을 통해 나타나므로 스위칭 구간과 클램핑 구간의 판별이 가능하다. 그림 9(b), (c)와 같이 SVPWM은 모든 구간에서 스위칭하지만 그림 9(d), (e)와 같이 제안하는 DPWM은 $V_{AO,DPWM}$,$V_{A’O’,DPWM}$가 0.5$V_{dc}$(=0.5$V_{cap}$) 또는 –0.5$V_{dc}$(=-0.5$V_{cap}$)를
갖는 클램핑 구간에서 스위칭하지 않는다. 즉, 그림 9(b)∼(e)를 통해 SVPWM보다 제안하는 DPWM이 인버터의 스위칭 손실 저감 측면에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5. 실 험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제어를 위해 DSP TMS320F28377D를 이용하였다. 해당 토폴로지를 구현한 실험세트, 전동기 구동을 위한 OEW-PMSM은
그림 10과 같다. 실험조건은 표 2와 같으며 데드타임은 1[μs]를 인가하였다.
그림. 14. SVPWM 적용 시 A상 지령전압, 전류, 극전압 실험 결과
Fig. 14. Experimental results of A-phase reference voltage, current and pole voltage
using SVPWM method
그림. 15. 제안된 DPWM 적용 시 A상 지령전압, 전류 극전압 실험 결과
Fig. 15. Experimental results of A-phase reference voltage, current and pole voltage
using proposed DPWM method
그림. 16. PWM방식과 토크에 따른 전력 손실 분석
Fig. 16. Power loss analysis according to PWM method and torque
그림 11은 속도에 따라 OEW-PMSM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를 나타낸다. 6[Nm]으로 일정한 토크에서 속도($n_{m}$)을 600[rpm]∼1200[rpm],
$V_{cap}$은 $n_{m}$에 따라 최소전압으로 가변되며, $V_{N,inv1}$,$V_{N,inv2}$(N=A,B,C)이 3상으로 나타남으로써
정상적으로 제어됨을 확인 가능하다. 그림 12과 그림 13은 800[rpm]에서 SVPWM과 제안하는 DPWM을 적용 시 1차측 인버터와 2차측 인버터의 지령전압과 옵셋전압을 나타낸다. 옵셋전압의 크기는
SVPWM 시 직류단 전압에 의한 3상 지령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1차측 인버터와 2차측 인버터의 3상 지령전압은 결정된 각 옵셋전압을 통해
SVPWM에서 제안하는 DPWM으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4와 15는 800[rpm]에서 PWM방식에 따른 각 인버터의 A상 지령전압, 전류, 극전압을 나타낸다. 1차측 인버터에서 유효전력만을 출력하는 제어에 의해
$V_{A,inv1,SVPWM}$과 $V_{A,inv1,DPWM}$은 $I_{A}$와 동위상을 가지며 $V_{A,inv2,SVPWM}$과 $V_{A,inv2,DPWM}$는
90°의 위상차를 갖는다. $V_{A,inv1,DPWM}$와 $V_{A,inv2,DPWM}$는 클램핑 구간이 양의 값일 때 각 인버터의 A상 상단의
전력반도체소자, 음의 값일 때 하단의 전력반도체소자가 클램핑된다. 또한, 파형을 통해 각 지령전압과 극전압의 클램핑 구간이 동일하며 정상적으로 클램핑되어
스위칭 손실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6은 손실저감을 검증하기 위해 YOKOGAWA사의 WT 5000 전력분석기를 사용하여 PWM방식 별로 $T_{e}$ 변화에 따른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인버터의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OEW- PMSM을 1200[rpm]의 속도로 구동하였으며, $V_{cap}$은 최소전압으로 가변되도록 제어하였다. 그림 16과 같이 $T_{e}$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전류가 증가하여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손실 또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안하는
DPWM은 SVPWM에 비해 적은 손실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적용 시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의 전체 효율이 SVPWM보다 약 3%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플라잉 커패시터 듀얼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고, 제안하는 방법의 타당성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DPWM기법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분리하는 제어를 기반으로 하며, 전류의 위상과 크기를 고려하여 최적의 클램핑 구간을
선정한다. 유효전력만을 출력하는 1차측 인버터는 단위역률을 이용하며 무효전력만을 출력하는 2차측 인버터는 클램핑 가능한 구간을 고려하여 클램핑한다.
제안하는 DPWM 기법을 적용 시 각 인버터의 손실 저감 효과가 극대화되며, SVPWM과 비교하여 약 3%의 손실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지원하는 주요사업과제(PK 2204B1K)의 연구비 지원과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과제번호: 2020R1G1A1100297)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L. Rovere, G. L. Calzo, P. Zanchetta, T. Cox, Nov 2019, Zero-sequence voltage elimination
for dual-fed common DC-link open-end winding PMSM high-speed starter- generator-PartⅠ:Modulation,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5, No. 6, pp. 7804-7812
L. Rovere, A. Formentini, G. L. Calzo, P. Zanchetta, T. Cox, Nov 2019, Zero-sequence
voltage elimination for dual-fed common DC-link open-end winding PMSM high-speed starter-generator-PartⅡ:Deadtime
hysteresis control of zero-sequence current,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5, No. 6, pp. 7813-7821
J. S. Hong, H. K. Lee, K. H. Nam, Feb 2015, Charging method for the secondary battery
in dual-inverter drive systems for electric vehicle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2, pp. 909-921
Q. T. An, Z. Peng, L. Sun, L. Sun, Dec 2016, Dual-space vector control of open-end
winding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drive fed by dual inverter,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1, No. 12, pp. 8329-8342
S. Jain, A. K. Thopukara, R. Karampuri, V. T. Somasekhar, Sep 2015, A single-stage
photovoltaic system for a dual-inverter-fed open-end winding induction motor drive
for pumping application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9, pp. 4809-4818
A. K. Yadav, K. Gopakumar, K. Raj R, L. Umanand, K. Matsuse, H. Kubota, Mar 2019,
Instantaneous balancing of neutral-point voltages for stacked dc-link capacitors of
a multilevel inverter for dual-inverter-fed induction motor drive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4, No. 3, pp. 2505-2514
P. Naganathan, S. Srinivas, Apr 2021, Voltage-injected PWM variants for a dual two-level
inverter-fed open-end winding induction motor drive,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9, No. 2, pp. 1532-1540
V. T. Somasekhar, S. Srinivas, K. K. Kumar, June 2008, Effect of zero-vector placement
in a dual-inverter fed open-end winding induction-motor drive with a decoupled space-
vector PWM strategy,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5, No. 6, pp. 2497-2505
W. Zhao, P. Zhao, D. Xu., Z. Chen, J. Zhu, Mar. 2019., Hybrid modulation fault-tolerant
control of open-end windings linear vernier permanent-magnet motor with floating capacitor
inverter,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4, No. 3, pp. 2563-2572
Y. J. Lee, J. I, June 2015, Hybrid modulation of dual inverter for open-e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6, pp. 3286-3299
D. Sun, Z. Zheng, B. Lin, W. Zhou, M. Chen, Sep 2017, A hybrid PWM-based field weakening
strategy for a hybrid-inverter-driven open winding PMSM system, IEEE Trans. on Energy
Conversion, Vol. 32, No. 3, pp. 857-865
J. S. Park, K. H. Nam, Oct 2006, Dual inverter strategy for high speed operation of
HEV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n IEEE industry applications conference,
Vol. 1, No. 5, pp. 32-38
A. Amerise, M. Mengoni, L. Zarri, A. Tani, S. Rubino, R. Bojoi, Oct 2017, Open-ended
induction motor drive with a floationg capacitor bridge at variable DC link voltage,
in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pp. 3591-3597
A. Mizukoshi, H. Haga, Jul 2019, Control method for reducing the motor loss of dual-inverter
fed open-end winding induction motor in the low-speed region, IEEJ Journal of Industry
Applications, Vol. 9, No. 1, pp. 27-35
W. Hu, C. Ruan, H. Nian, D. Sun, May 2020, An Improved modulation technique with minimum
switching actions within one PWM cycle for open-end winding PMSM system with isolated
DC bus,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7, No. 5, pp. 4259-4264
M. G. Jeon, S. M. Kim, J. S. Lee, K. B. Lee, Nov 2017, Discontinuous PWM scheme for
switching losses reduction in modular multilevel converters,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 17, No. 6, pp. 1490-1499
j. Lyu, W. Hu, F. Wu, K. Yao, J. Wu, Sep 2015, A new DPWM method to suppress the low
frequency oscillation of the neutral-point voltage for NPC three-level inverters,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 15, No. 5, pp. 1207-1216
Y. S. Bak, K. B. Lee, Sep 2018, Reducing switching losses in indirect matrix converter
drives: discontinuous PWM method,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 18, No. 5, pp.
1325-1335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Dankook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in 2022.
Since 2022, he has been an M.S, student at Dankook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s high-power electric machine drive.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Dankook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in 2022.
Since 2022, he has been an M.S, student at Dankook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s high-power electric machine drive.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2013 and 2018, respectively.
Since 2018, he has been with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grid connected systems, high-power electric machine
drive, and power conversion systems.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2011, 2013, and 2015, respectively.
From 2015 to 2020, he was a Senior Researcher with the Propulsion System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In 2020, he joined the School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high-power electric machine drives, grid-connected
systems, multilevel inverter, and rel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