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오
(Jun Oh Kim)
1iD
김승완
(Seung Wan Kim)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Polymer insulator, Insulation level, Pollution level, Dry/wet flashover voltage test
1. 서 론
우리나라 배전선로의 폴리머 현수애자는 2021년 기준 전국에 설치된 2,412만 개의 현수애자 중 77.5 %인 1,868만 개를 점유하고 있으며
자기제 애자에 비해 가볍고 저렴하여 10년 전부터 전량 폴리머 애자를 사용하고 있다. 전력회사는 자기제 애자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한 누설전류 탐지,
광학장비를 이용한 파손여부 관찰 등을 통하여 열화된 애자를 교체함으로써 절연성능을 유지하고 있다(1). 폴리머 애자는 구조상 균열이 없어 절연체의 손상이 없으면 누설전류의 경로가 확대되지 않아 초음파 진단기의 활용이 어려우며 해외에서도 육안진단을
유일한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2)(3).
우리나라는 불량 폴리머 현수애자의 검출을 위하여 진단과 점검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확한 점검방법과 교체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본격적인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전선로에서 사용 중인 폴리머 현수애자의 사용연수에 따른 절연열화 시험을 바탕으로 잔여수명을 예측하고 외형손상과 열화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하여 손상도에 따른 절연성능을 시험하고 분석하여 외형손상에 따른 교체기준을 제시하였다.
2. 폴리머 애자의 도입과 열화검출 방법
2.1 폴리머 애자의 국내사용 현황
고분자 재료의 애자는 1959년 미국 GE사에서 Epoxy 재질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폴리머 애자가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트래킹과 침식
현상으로 장기 사용에 실패하였다. 이후 여러 고분자 재료 중 내후성과 내트래킹성, 성형 가공성 및 가격 등의 장점을 가진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과 실리콘 고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EPDM은 저렴하고 실리콘에 비해 강도가 높아 외물접촉 및 조류
등에 손상을 덜 받고 실리콘은 내후성과 발수성이 우수하여 불꽃방전에 강한 것이 장점이나 외부의 충격에 찢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4).
우리나라도 1990년대 폴리머 애자의 도입을 시작하여 일부 배전선로에 미국제품을 시험 사용한 결과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국산개발 과정을 거쳐 2001년부터
사용을 시작하였고 현재는 전량 폴리머 애자를 부설하고 있다.
2.2 폴리머 애자의 해외사용 현황
해외 주요기업 중 MacLean(미), NGKLocke(일)은 실리콘, Sediver, K-line(카)은 EPDM과 실리콘, Ohio Brass(미)는
EPDM/Silicone Alloy를 이용한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미국의 전력회사들은 해안의 오손지역에 배전급 실리콘 애자의 사용을 시작으로
1990년 이후에는 230 ㎸급 현수애자와 Line Post 애자를 송전계통에도 사용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EPDM 50∼55 %, Silicone
35∼40 %, 기타 5∼15 %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고분자 절연물질의 열화 판정 방법
2.3.1 폴리머 현수애자의 열화
폴리머는 자외선에 의하여 광분해가 일어나며, 표면이 각종 오염물질로 오손된 상태에서 습기가 제공되면 누설전류가 흐르고 방전에 의한 트래킹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내후성과 내트래킹성이 폴리머애자의 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그림 1 폴리머 현수애자의 일반적인 구조
Fig. 1 Typical configuration of polymer insulator
그림 1은 폴리머 현수애자의 일반적인 구조로 절연은 Shed와 코어를 감싸는 Sheath가 담당하고 있다. 절연성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절연물의 형상,
오손물질의 종류와 오손도, 절연물의 재질, 표면의 젖음 정도 등 다양하다. 절연물의 표면에 흐르는 누설전류의 크기는 표면이 건조할 때보다 젖어있을
때 많이 증가하며 불꽃방전에는 오손물질과 습기가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한다. 누설전류는 부분방전으로 이어지고 고분자를 분해하여 도전로를 형성하는 트래킹(Track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검출하는 방법은 표면특성분석, 가속열화시험, 육안점검이 있다.
2.3.2 표면특성분석
물방울이 표면에 접촉할 때 생기는 접촉각을 측정한다. 발수성이 저하되면 접촉각이 작아져 열화의 진행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나 운전 중인 상태에서 관찰하거나
시험하기에는 부적정하다.
2.3.3 가속열화 시험
챔버 내에 15 ㎸ 전압을 3,000 시간 인가하고 표면의 누설전류를 측정한다. 누설전류는 열화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표면에서는 국부적인 아크가 발생한다.
이 방법 역시 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운전 중인 상태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2.3.4 육안점검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은 육안점검이다. 애자의 파손과 변형을 관찰하여 교체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2.4 폴리머 현수애자 진단 해외 사례
폴리머 애자 진단의 오랜 연구경험을 가진 Arizona State University Rvi S. Gorur 교수의 연구 자료는 다음의 사항을 기술하고
있다(2).
① 폴리머 애자는 20∼30년간 사용할 수 있으며 20년 이상
사용된 애자도 성능상 문제가 발견되지 않는다.
② 폴리머 애자의 진단 방법은 광학카메라를 활용한 육안
점검이 가장 효과적이다.
③ 외관점검 상태판정의 고려사항으로 표 1의 기준을 제시한다.
표 1 폴리머 현수애자의 손상등급과 조치
Table 1 Damage level and action for polymer insulators
등 급
|
현 상
|
조 치
|
0
|
신 품
|
정 상
|
1
|
발수성 상실
|
2
|
가벼운 백화
|
3
|
Shed의 경미한 침식 또는 균열
|
4
|
심한 백화, 갈라짐 (Aligatoring)
|
요주의
|
5
|
과도한 곰팡이 번식
|
6
|
지지금구에서 Core 이탈
|
7
|
Core Tracking
|
8
|
Core / Shed 접합부 손상
|
즉시교체
|
9
|
Core 노출
|
10
|
절연파괴
|
EPRI(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USA)의 “Insulator Reference Book(2016)”은 육안점검이
유일하게 유용한 방법이며 폴리머 애자 손상의 종류를 4단계 등급으로 나누어 사례별 열화 판정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C 등급은 교체고려, D 등급은 즉시교체로
분류하였다(3).
표 2 폴리머 현수애자 손상의 형태와 조치
Table 2 Damage types of polymer suspension insulators and action
등급
|
손상형태
|
조 치
|
A
|
∎백화현상, 미세한 표면균열, 잔금
∎곰팡이 성장, 벌레 흔적, 발수성 저하
∎실리콘 그리스 누유
|
없 음
|
B
|
∎Sheath까지 진전되지 않은 경미한 손상
∎Shed에 총알관통 흔적
∎조류, 설치류에 의한 Shed 손상
∎금구의 단순부식
|
지속관찰
|
C
|
∎Sheath에 가까운 부분의 Shed 갈라짐
∎Shed가 Sheath 쪽으로 벌어지며 찢김
∎Shed에 총알이 박혔으나 Core 미노출
∎거친 표면균열
|
교체고려
|
D
|
∎Sheath 손상으로 Core 노출, 갈라짐
∎조립식 Shed의 이탈로 Core 노출
∎Sheath에 Tracking 발생, Sheath 침식
∎금구의 부식손상
|
즉시교체
|
EPRI 보고서 사례에 따르면 폴리머 현수애자의 손상 중 Core를 감싸고 있는 Sheath의 손상으로 인한 Core의 노출을 우선 교체할 대상으로
분류하였고 다음을 Shed의 손상을 제시하여 절연재료의 열화와 손상이 애자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림 2는 EPRI가 제시한 손상의 유형과 등급이다(3).
그림 2 EPRI guideline 애자의 손상에 따른 C, D등급
Fig. 2 Insulator damage level C, D of EPRI guidelines
2.4 폴리머 현수애자의 국제규격 비교
표 3은 KS C IEC/TS 608153이 제시한 사용지역별 폴리머 애자의 누설거리이며 22.9 ㎸-y 계통의 상전압 13.2 ㎸에 적용하면 배전선로용
애자의 최소 연면 누설거리가 된다(6).
표 3 폴리머 애자의 오손 지역별 누설거리
Table 3 Reference unified specific creepage distance for polymer insulators
오손도
누설거리
|
매우 경미
|
경미
|
보통
|
심함
|
매우
심함
|
최소 누설거리 (㎜/㎸)
|
22.0
|
27.8
|
34.7
|
43.3
|
53.7
|
22.9 ㎸-y 계통의
최소 누설거리 (㎜)
|
290
|
367
|
458
|
572
|
709
|
우리나라 배전선로에 부설되는 폴리머 현수애자 A형은 최소 누설거리가 760 ㎜ 이상으로 규정되어 오손도가 매우 심한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표 4는 정격전압에 따른 국내규격과 미국 ANSI C29.132000 Table 2 규격의 비교이다(7)(8).
표 4 한국전력공사 기준과 ANSI의 비교
Table 4 Design requirements of KEPCO std. and ANSI
규격
항목
|
ANSI DS15
|
KEPCO ES
|
ANSI DS28
|
ANSI DS35
|
ANSI DS46
|
A형
|
B형
|
계통최고전압(㎸)
|
15
|
25.8
|
25.8
|
28
|
35
|
46
|
최소 누설거리(mm)
|
355
|
760
|
580
|
550
|
730
|
900
|
상용주파 건조 섬락전압(㎸)
|
90
|
145
|
130
|
130
|
145
|
180
|
상용주파 주수 섬락전압(㎸)
|
65
|
130
|
110
|
100
|
130
|
145
|
뇌충격 내전압(㎸)
|
140
|
230
|
175
|
190
|
250
|
280
|
규정인장하중(kN)
|
70
|
69
|
69
|
70
|
70
|
90
|
우리나라 배전선로의 정격전압은 22.9 ㎸이고, 계통최고 전압은 25.8 ㎸이므로 이에 부합하는 ANSI 기준은 DS28이 다. Shed가 6개인
A형은 DS28과 비교하여 누설거리와 주수 섬락전압 시험 기준이 30 % 높은 수준이고 35 ㎸ 규격과 대등한 절연성능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 폴리머
애자의 절연성능은 22.9 ㎸ 계통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있다.
3. 폴리머 현수애자의 수명과 Shed 손상시험
3.1 폴리머 현수애자의 수명
배전선로에서 실사용한 폴리머 A형 현수애자 272개를 수거하여 절연성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5는 사용연수별 시료를 구분한 것이며 그림 3과 같이 시험하였다.
표 5 사용연수별 시험시료
Table 5 Test samples by years of use
사용연수
|
시료 수
|
사용연수
|
시료 수
|
사용연수
|
시료 수
|
1년
|
1개
|
8년
|
26개
|
15년
|
2개
|
2년
|
4개
|
9년
|
32개
|
16년
|
9개
|
3년
|
9개
|
10년
|
30개
|
17년
|
0개
|
4년
|
18개
|
11년
|
19개
|
18년
|
21개
|
5년
|
27개
|
12년
|
33개
|
19년
|
0개
|
6년
|
5개
|
13년
|
17개
|
20년
|
3개
|
7년
|
14개
|
14년
|
2개
|
계
|
272개
|
그림 3 폴리머 현수애자의 섬락전압 시험
Fig. 3 Flashover voltage test of polymer insulators
건조 섬락전압 시험보다 주수시험이 절연성능의 변화를 을 잘 보여주므로 주수 섬락전압 시험의 3회 측정 평균값 결과를 그림 4에 나타내었다. 사용연수는 표 5와 같이 1년에서 20년간 사용한 제품이며 연도별 제조사, 사용재료, 사용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어 확연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으나 개략적인 추세를 알
수 있다.
그림 4 사용연수별 주수 섬락전압 시험 결과
Fig. 4 Wet flashover voltage test by years of use
식 1은 사용연수에 따른 추세식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y는 주수 섬락전압(㎸)이며 x는 사용연수이다. 식 1에 의하면 24년 사용하였을 때 주수 섬락전압이 127 ㎸에 이르러 신품정격 130 ㎸ 이하로 저하하며 28년 사용 시 111 ㎸, 30년이 지나면
신품정격 대비 80 %인 102 ㎸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통계적으로는 30년 사용이 가능하다. 한전의 배전기자재 복합가속 열화시험 규정에 따르면
복합열화 가속시험 후 주수 섬락전압 시험값을 정격값의 80 %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신품정격의 80 %는 충분히 사용 가능한 절연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9).
3.2 오손에 따른 열화 시험
우리나라 폴리머 현수애자는 EPDM을 주로 사용하여 해외문헌의 Sillicon oil 유출에 의한 백화현상이 없으며 부설 1~2년 이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검게 보인다. 오염원이 절연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안지역과 공단지역의 애자를 수거하여 졀연성능을 측정하였다.
3.2.1 해안지역 사용품의 절연성능
해안지역의 염분오손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해가 심한 서산지역에서 사용한 애자 52개를 표 6과 같이 수거하여 주수 섬락전압 시험을 하였다.
표 6 연도별 해안지역 염분오손 영향시험 시료
Table 6 Test samples used in the coastal area
사용연수
|
시료 수
|
사용연수
|
시료 수
|
사용연수
|
시료 수
|
4
|
3
|
9
|
7
|
14
|
1
|
5
|
3
|
10
|
8
|
15
|
1
|
6
|
2
|
11
|
5
|
21
|
12
|
7
|
0
|
12
|
6
|
22
|
1
|
8
|
2
|
13
|
1
|
|
|
표 7 해안지역 사용 애자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결과 분포
Table 7 Wet flashover voltage of polluted insulators used in the coastal area
신품정격 대비 저하율
|
시료 수(개)
|
점유율
|
신품정격 이상
|
40
|
77 %
|
1~10 % 저하
|
5
|
9 %
|
11~20 % 저하
|
4
|
8 %
|
21~30 % 저하
|
3
|
6 %
|
계
|
52
|
100 %
|
표 7과 같이 10년 이상의 사용기간에도 대부분 양호한 절연성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20 % 이상 저하된 시료는 A제조사의 12년 사용품 2개, 8년 사용품
1개이고 이 회사의 제품은 일반지역에서도 타사에 비해 절연성능이 낮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3.2.2 공업지역 사용품의 절연성능
공업지역의 화학물질 오손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수 공단지역에서 112년간 사용한 오염이 심한 애자 15개를 수거하여 주수 섬락전압 시험을 하였다.
그림 5 심한 오손의 공단지역 시료 주수 섬락전압 시험결과
Fig. 5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heavily polluted insulators
시험결과 15개 시료 중 1개를 제외하고 그림 5의 붉은 선인 130 ㎸ 신품정격값 이상의 절연성능을 가지고 있어 공업지역 오염원에 의한 절연열화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 및 공단지역 사용품 시험에서 국산 폴리머 애자는 표면에 오염원이 쉽게 부착되나 제품의 설계상 여유도가 높아 사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폴리머 현수애자 Shed 손상 시험
4.1 시험의 목적
Core에 Sheath를 조립, 결합하는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 제조사는 고분자 재료를 Sheath와 Shed 함께 성형하여 Core에 입히는 방식으로,
해외 문헌에서 고장이 임박한 상황으로 제시하는 Sheath의 손상은 초기제품을 제외하고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C 등급으로 분류되는 Shed의
손상점검이 우리나라에서는 유효한 진단방법이며 Shed의 손상정도와 절연성능 저하의 상관관계를 밝혀 점검과 교체기준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4.2 Shed 인공손상 시험
Shed의 손상이 절연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품과 사용품 폴리머 애자에 인위적 손상을 가하고 절연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다. Shed의
일부 및 전부를 제거하고 전기적인 특성시험을 시행하였으며 시험방법은 A형의 8개 Shed를 각각 1 cm, 30 %, 50 %, 100 %씩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건조 섬락전압 시험, 주수 섬락전압 시험을 하였다. 그림 6은 인위적으로 손상을 가한 애자이다.
그림 6 절연성능 시험을 위한 Shed의 인공손상
Fig. 6 Artificial shed damage for insulation test
4.2.1 상용주파 건조 섬락전압 시험
건조 섬락전압 시험을 위한 시료는 표 8과 같이 신품 2개 사용품 2개로 선정하였다. 시험은 그림 6과 같이 Shed를 부분적,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각 3회씩 시행하였다.
표 8 건조 섬락전압 시험 인공손상 시료
Table 8 Shed damaged samples for dry flashover voltage test
시 료
|
제조사
|
구 분
|
사용연수
|
시험방법
|
#1
|
A사
|
신 품
|
미사용
|
건조
|
#2
|
B사
|
신 품
|
미사용
|
건조
|
#3
|
A사
|
사용품
|
15년
|
건조
|
#4
|
C사
|
사용품
|
10년
|
건조
|
표 9 인공손상 신품시료 #1, #2의 건조 섬락전압 시험 결과
Table 9 Dry flashover voltage test of damaged new insulators samples #1, #2
손상정도
손상 Shed
|
1cm
(㎸)
|
30 %
(㎸)
|
50 %
(㎸)
|
100 %
(㎸)
|
시료
#1
(신품)
|
무손상
|
218
|
218
|
218
|
218
|
1
|
197
|
193
|
199
|
194
|
1∼2
|
193
|
193
|
194
|
193
|
1∼3
|
195
|
194
|
195
|
191
|
1∼4
|
192
|
193
|
192
|
193
|
1∼5
|
199
|
202
|
195
|
192
|
1∼6
|
197
|
198
|
196
|
191
|
1∼7
|
197
|
194
|
195
|
186
|
1∼8
|
200
|
192
|
186
|
182
|
시료
#2
(신품)
|
무손상
|
217
|
217
|
217
|
217
|
1
|
204
|
204
|
196
|
192
|
1∼2
|
197
|
200
|
202
|
197
|
손상정도
손상 Shed
|
1cm
(㎸)
|
30 %
(㎸)
|
50 %
(㎸)
|
100 %
(㎸)
|
시료
#2
(신품)
|
1∼3
|
199
|
202
|
200
|
195
|
1∼4
|
196
|
201
|
199
|
197
|
1∼5
|
197
|
203
|
196
|
192
|
1∼6
|
199
|
199
|
196
|
191
|
1∼7
|
199
|
192
|
197
|
189
|
1∼8
|
203
|
193
|
189
|
180
|
표 9의 시험결과에서 손상 전 대비 Shed를 전부 제거하였을 때 #1 시료는 16.4 %, #2 시료는 17.0 %의 절연성능이 저하되었으나 신품정격
145 ㎸를 상회하여 건조상태에서는 Shed의 손상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용품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고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표 10 인공손상 사용품 시료 #3, #4의 건조 섬락전압 시험 결과
Table 10 Dry flashover voltage test of used samples #3, #4 with shed damage
손상정도
손상 Shed
|
1cm
(㎸)
|
30 %
(㎸)
|
50 %
(㎸)
|
100 %
(㎸)
|
시료
#3
(사용품)
|
무손상
|
209
|
208
|
211
|
208
|
1
|
209
|
203
|
201
|
198
|
1∼2
|
211
|
201
|
201
|
198
|
1∼3
|
208
|
201
|
200
|
197
|
1∼4
|
208
|
199
|
201
|
193
|
1∼5
|
210
|
201
|
199
|
193
|
1∼6
|
211
|
200
|
197
|
188
|
1∼7
|
210
|
199
|
195
|
188
|
1∼8
|
212
|
191
|
185
|
178
|
시료
#4
(사용품)
|
무손상
|
205
|
205
|
205
|
199
|
1
|
210
|
189
|
189
|
191
|
1∼2
|
208
|
196
|
189
|
191
|
1∼3
|
208
|
194
|
190
|
190
|
1∼4
|
208
|
196
|
190
|
188
|
1∼5
|
204
|
192
|
190
|
188
|
1∼6
|
208
|
192
|
191
|
187
|
1∼7
|
207
|
191
|
192
|
182
|
1∼8
|
206
|
182
|
191
|
175
|
신품 시험결과와 같이 Shed를 전부 제거하여도 신품정격145 ㎸ 이상의 절연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제거된 Shed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다소 저하하였다.
Shed 무손상 대비 100 % 제거했을 경우 시료 #3은 14.7 %, 시료 #4는 12.1 %의 절연성능이 저하되었다. 사용품도 건조상태에서는
Shed가 대부분 손상되어도 필요한 절연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2.2 상용주파 주수 섬락전압 시험
주수 섬락전압 시험을 위한 시료는 신품 2개 사용품 2개로 선정하였다. 시험은 그림 6과 같이 Shed를 부분적,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각 3회씩 시행하였다. 표 11은 시료명세이며 표 12는 시험결과이다.
표 11 주수 섬락전압 시험 인공손상 시료
Table 11 Shed damaged samples for wet flashover voltage test
시료
|
제조사
|
구분
|
사용연수
|
시험방법
|
#5
|
A사
|
신 품
|
미사용
|
주수
|
#6
|
B사
|
신 품
|
미사용
|
주수
|
#7
|
C사
|
사용품
|
11년
|
주수
|
#8
|
D사
|
사용품
|
11년
|
주수
|
표 12 인공손상 신품시료 #5, #6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 결과
Table 12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damaged new insulators samples #5, #6
손상정도
손상 Shed
|
1cm
(㎸)
|
30 %
(㎸)
|
50 %
(㎸)
|
100 %
(㎸)
|
시료
#5
(신품)
|
무손상
|
188
|
184
|
184
|
180
|
1
|
185
|
179
|
179
|
175
|
1∼2
|
178
|
172
|
174
|
168
|
1∼3
|
169
|
172
|
169
|
157
|
1∼4
|
167
|
169
|
166
|
151
|
1∼5
|
164
|
167
|
163
|
143
|
1∼6
|
164
|
160
|
160
|
134
|
1∼7
|
164
|
155
|
152
|
131
|
1∼8
|
155
|
137
|
143
|
106
|
시료
#6
(신품)
|
무손상
|
180
|
178
|
180
|
176
|
1
|
179
|
174
|
174
|
168
|
1∼2
|
173
|
173
|
173
|
159
|
1∼3
|
176
|
173
|
167
|
160
|
1∼4
|
172
|
168
|
164
|
153
|
1∼5
|
169
|
162
|
158
|
146
|
1∼6
|
164
|
158
|
154
|
143
|
1∼7
|
167
|
158
|
148
|
142
|
1∼8
|
151
|
147
|
127
|
123
|
그림 7 Shed 손상 시료 #5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결과
Fig. 7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shed damaged sample #5
그림 8 Shed 손상 시료 #6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결과
Fig. 8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shed damaged sample #6
그림 7, 8은 표 12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주수시험에서 시료 #5 Shed의 100 %를 제거하였을 때 무손상 대비 41.3 %, 시료 #6은 30.0 %
감소하여 애자의 표면이 젖은 상태에서는 Shed 손상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의 (d)와 같이 1 ㎝의 도전경로가 발생한 경우보다 손상의 넓이를 넓혀 갈수록 절연성능이 저하되는데 이는 여러 경로의 병렬도전로가 형성되어 섬락전압을
낮추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13 인공손상 사용품 시료 #7, #8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 결과
Table 13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used samples #7, #8 with shed damage
손상정도
손상 Shed
|
1cm
(㎸)
|
30 %
(㎸)
|
50 %
(㎸)
|
100 %
(㎸)
|
시료
#7
(사용품)
|
무손상
|
135
|
135
|
146
|
143
|
1
|
130
|
129
|
150
|
138
|
1∼2
|
120
|
135
|
137
|
139
|
1∼3
|
117
|
127
|
128
|
127
|
1∼4
|
114
|
120
|
116
|
116
|
1∼5
|
113
|
105
|
109
|
105
|
1∼6
|
99
|
99
|
99
|
91
|
1∼7
|
101
|
91
|
99
|
86
|
1∼8
|
87
|
74
|
84
|
54
|
시료
#8
(사용품)
|
무손상
|
167
|
164
|
182
|
167
|
1
|
167
|
155
|
168
|
163
|
1∼2
|
165
|
131
|
166
|
159
|
1∼3
|
166
|
145
|
163
|
147
|
1∼4
|
154
|
132
|
159
|
137
|
1∼5
|
152
|
121
|
155
|
129
|
1∼6
|
135
|
113
|
134
|
108
|
1∼7
|
111
|
110
|
127
|
99
|
1∼8
|
99
|
92
|
106
|
72
|
그림 9 Shed 손상 시료 #7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결과
Fig. 9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shed damaged sample #7
표 13의 시료 #7은 주수 섬락전압 시험에서 Shed의 약 30 %가 손상되었을 때 11 %의 절연성능이 저하하였고 50 %가 손상되었을 때 신품정격의
80 %로 저하하였다.
그림 10 Shed 손상 시료 #8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 결과
Fig. 10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shed damaged sample #8
시료 #8은 Shed의 약 50 %가 손상되었을 때 23 %의 절연성능이 저하하여 신품 정격값 130 ㎸ 이하인 127 ㎸가 되었으며 75 %가 손상되었을
때 107 ㎸ 이하로 저하였다.
이 시험은 11년 사용한 제품에 대해 시험한 것으로 식 1의 추정에 의하면 30년 사용 시 36 %의 자연적인 추가 절연감소가 발생하므로 Shed가 20 % 손상되었을 때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3 폴리머 현수애자 비정형 손상시험
애자가 그림 6과 같은 형태로 손상되는 경우보다 무작위로 손상이 진행되는 실제 선로의 폴리머 애자 상태와 유사하게 그림 11과 같이 비정형으로 제거하고 주수 섬락전압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방법은 Shed를 무작위로 5 % 단위로 최대 30 %를 제거하고 주수시험을 3회씩
하였다.
표 14 비정형 손상 사용품 주수 섬락전압 시험 시료
Table 14 Wet flashover voltage test samples with shed random damage
시료
|
제조사
|
구분
|
사용연수
|
시험방법
|
#9
|
A사
|
사용품
|
13년
|
주수
|
#10
|
A사
|
사용품
|
10년
|
주수
|
#11
|
A사
|
사용품
|
12년
|
주수
|
#12
|
A사
|
사용품
|
12년
|
주수
|
그림 11 시험 시료의 비정형 인공손상
Fig. 11 Random shed damage for test
그림 12 비정형 인공손상 시료의 주수 섬락전압 시험결과 (시료 #9 #12)
Fig. 12 Wet flashover voltage test of randomly shed damaged samples #9 #12
그림 12의 모든 시료가 10 % ~ 20 % Shed 손상 시 신품 정격값인 130 ㎸ 이하로 절연성능이 저하되었다. 이는 표 13의 시료 #7, #8의 시험결과와 유사하나 일직선의 도전로가 형성된 그림 5의 손상형태 보다는 그림 11의 불규칙한 손상형태가 누설거리 확보에 유리하고 절연성능 유지에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험결과에서 현장에서 운전 중인 A형 폴리머 현수애자는 30 % 이상의 Shed 손상이 발생하면 즉시 교체하고 10 % ~ 20 % 정도의 손상이
발생하면 요주의 상태로 관리하여 개별적인 교체보다는 정기적인 정비 시에 다른 기자재와 함께 교체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5. 폴리머 현수애자의 점검과 교체기준
코로나 측정과 같이 장비를 이용한 폴리머 현수애자 진단방법은 아직 실용화되지 않아 현재로서는 육안점검에 의한 외형변화 관찰에 의존하는 방법이 유효하며
문헌조사와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표 15와 같은 교체기준을 제안하였다. 관리기준의 설정은 현장에 많은 수량의 폴리머 애자가 설치되어 있고 현장 근무자의 자세한 관찰과 손상의 세분류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하여 다른 기자재 관리방법과 같은 3단계의 분류체계를 선정하였다.
표 15 폴리머 현수애자의 열화에 따른 교체기준
Table 15 Replacement guidelines for polymer suspension insulators
구 분
|
정 상
|
요주의
|
교 체
|
Core 손상,
Sheath 트래킹, 금구부식
|
없음
|
-
|
있음
|
Shed 절단, 갈라짐
|
0∼5 %
|
5∼20 %
|
20 % 초과
|
정상은 신품수준의 성능을 가진 상태로 계속 사용이고, 요주의는 손상의 진행을 지속 관찰하고 정기적인 정비나 다른 이유로 해당개소의 공사가 발생하였을
때 교체하는 관리방법이다. 교체는 고장이 임박하였으므로 즉시 공사계획을 수립하고 교체를 진행하여야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손상부분별 세부사항은 아래에
설명한다.
① Core에 트래킹이 발생하거나 손상이 있는 경우, 금속부품과 폴리머의 연결부위가 탈락하여 기밀불량이 발생한 경우는 애자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급격하게 전기적인 열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크므로 발견되면 교체한다.
② Shed의 찢김, 절단 시험결과 Shed의 찢김과 절단은 15 % ∼ 30 %가 손실되어도 신품정격 이상의 사용이 가능한 절연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기간, 사용환경의 차이가 있으므로 20 % 이상의 손상이 발견되면 교체한다.
③ 백화 및 오손 백화현상은 Silicon 재질의 초기 도입 미국제 제품에서 발생하며 오손은 국산 EPDM 제품에서 주로 발생한다. 시험결과 오손과
백화는 절연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서해안, 남해안, 도심 및 공업지역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오손과 백화현상에 의한 무분별한
교체는 지양한다.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현수애자의 점검 및 교체기준을 제안하기 위해 해외 사례를 검토하고 배전선로에서 실제 사용한 애자를 수거하여 절연성능 시험을 하고
열화정도를 평가하였다.
EPRI에서 고분자 재료의 애자는 육안점검이 현실적인 유일한 점검방법으로 제안하고 외관점검에 따른 위험등급을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설치제품에 해외기준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재질과 제조방법이 상이하여 오손과 Shed 손상이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검토되었다.
272개의 사용품 시료의 연도별 주수 섬락전압 시험을 통하여 30년 이상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손의 영향은 염해지역 52개 시료, 공단지역
15개 시료를 시험하여 우리나라 기준에 맞추어 생산된 애자는 오손에 대한 설계 여유도가 충분하여 30년 사용 전까지는 교체에 이를 정도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Shed 손상에 의한 영향은 신품과 사용품에 인위적으로 손상을 가하여 절연성능을 시험함으로써 Shed가 30 % 이상 손상되었을 때 사용연수에 따라
신품 정격값의 80 %에 도달하여 교체가 필요하다는 관리기준을 제시하였다. 향후 향상된 러닝머신을 이용한 영상인식 외관점검 기술과 코로나 측정을 이용한
열화탐지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이전까지는 5년마다 사용품의 절연성능 시험을 시행하여 급격한 절연열화에 따른 고장에 대비하는 준비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EPCO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project entitled
by “A Study for Diagnosis and Life Cycle Evaluation of Polymer Insulator”.
References
J. Y. Pak, Y. B. Shim, S. O. Jeong, 2022, Automatic Ultrasound Detection Exploiting
Spectral Energy Analysis for Power Facility Diagnosis, KIEE, Vol. 71, No. 5, pp. 776~782
Ravi S. Gorur, 2003, Condition assessment of polymer insulators, Department of Electric
Engineering, Arizona State University, USA
EPRI, Insulator Reference Book: 2016 Update
J. K. Kim, H. K. Lee, May 2001, Study on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silicone/EPDM
rubber blend, Polymer(Korea) vol 25. No 3
J. C. Cheon, 2002, The Estimation of Insulation in EPDM Insulator using Fractal Analysis,
Ph.D.‘s thesis
2021, KS C IEC TS 608153 Selection of high-voltage insulators intended for use in
polluted conditions Part 3 : Polymer insulators for a.c. systems
2017 Update, KEPCO Technical Std. ES59700013 Polymer Suspension Insulators
2000, ANSI/NEMA C29.13, Insulators Composite Distribution Deadend Type
2016, KEPCO Technical Std. ES59700020, Combined accelerate aging test for distribution
facilities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and 1991, respectively.
He is working as the head of Safety & Health Dept. of KEPCO.
He joined KEPCO in 1991 and has worked in the power distribution field.
He has work careers in head office, site, and KEPCO Research Institute.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2, and 2018, respectively.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ince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