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Volt/Var Optimization, Distributed Generation, OLTC, Conservation Voltage Reduction, Quadratic Programming, Distribution System

1. 서 론

신재생에너지인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및 소형 열병합 발전 같은 중소규모 전원을 분산 배치하는 분산전원(DG, Distributed Generation) 도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전형적인 배전계통의 인프라와 운영방식에서는 대용량 분산전원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다 (1-2). 이에 따라 발생 가능한 기술적 문제로 규정전압 이탈, 전기품질 저하와 같은 전압 문제가 발생한다 (3). 분산전원에 의한 국소적인 전압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4). 배전계통의 전력 품질 문제는 송·배전망 운영자가 책임이지만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추가될 때마다 전력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를 추가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신재생에너지의 계통 연계시 가장 많이 제한이 되는 사항은 연계기준 중에서 전압문제이므로 전압조정설비를 설치하거나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분산전원으로 인해 상승되는 전압은 분산전원이 무효전력을 흡수함으로써 낮출 수 있다. 인버터(Inverter)를 사용하여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것은 인버터의 용량과 출력관계에 의해 구현한다. 분산 전압 제어에 인버터를 활용한 무효전력 제어가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입증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효율성, 유연성, 안정성 및 확장성면에서 장점이 있다.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에 대한 몇 가지 무효전력 보상 기법과 비교하였다 (5). SVC와 STATCOM은 고정 캐패시터 뱅크와 결합할 때 전압 프로필을 더욱 잘 제어할 수 있다. 캐패시터 뱅크는 배전계통에서 무효 전력 보상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설비이다. 이 설비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연결하거나 연결을 끊을 수 있는 많은 캐패시터로 구성된다. 무효전력 보상 제어기기인 캐패시터 뱅크, SVC와 STATCOM의 성능 비교 연구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SVC와 STATCOM으로 제어하는 것이 캐패시터만을 이용한 제어보다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전압 보상 문제를 줄이기 위해 동적 보상 장치(Dynamic Var compensation device)를 포함한 여러 보상 설비를 배전계통에 설치한다. 단기 및 장기 전압 문제를 해결하는데 추가 션트 리액터가 사용되며 이러한 설비는 전압 조정 기능을 제공하며 능동 배전 시스템에 활용된다 (6). 이러한 다양한 전압 제어기기들을 활용하여 배전 계통의 신재생에너지를 수용률을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분산전원 연계는 전력 흐름을 변경하고 때때로 역방향 전력 흐름뿐만 아니라 연계 지점에서 전압 상승이 발생한다. 측정된 전압은 변압기 전류의 역률과 DG 및 부하의 전력 흐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7). OLTC를 제어하는 새로운 전압 제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8). 이 방법은 분산전원이 연결된 계통에서 LDC와 같은 전압 제어가 부정확하게 나오는 문제를 다룬다. 변전소 송출 전류와 분산전원의 전류를 계측하여 분산전원의 영향을 고려한 방안인 수정된 LDC 제어를 수행한다. 분산전원이 LDC를 이용한 OLTC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있다 (9). 세 가지 다른 피더 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피더 구조, LDC 파라미터와 DG 연계점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에서 각 피더 전류를 계측하여 최적의 OLTC 탭 위치를 결정하는 MLDC (Multiple Line Drop Compensation)를 제안하였다 (10). 많은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에서 Fuzzy logic기반의 OLTC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11). 이러한 방안들은 OLTC만을 이용한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제어에 한계가 있다.

Elkhatib 등은 각 DG와 션트 캐패시터에 설치된 RTU (Remote Terminal Unit)를 고려한 분산 형 무효전력 제어를 제안했다 (12). 통신 채널을 통한 RTU 간의 조정은 전압 프로파일을 조정하고 시스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Calderaro 등은 많은 DG 출력이 있을 때 전압 프로파일을 개선하기 위한 전압 제어에 분산 제어 기법을 적용하였다 (13). 또한, Carvalho 등은 분산 전원 연계로 인한 전압 상승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14). 컨트롤러는 DG에 의해 주입되는 무효 전력을 전압 위반을 방지하는 수준으로 최적으로 제한한다.

배전계통에서 최대 및 최소 전압을 기반으로 변전소 전압을 제어하는 것이다. 최대 및 최소 전압을 측정하거나 추정할 수 있다. 변전소 전압은 주변압기의 탭 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자동 전압 조정기 설정 지령치를 변경하여 제어된다. SVR과 SVC와 같은 제어 설비를 사용하면 배전계통의 전압을 허용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SVC는 무효전력을 주입하여 전압을 제어하며 SVR은 탭 위치를 변경하여 전압을 제어한다. 중앙 집중 제어(Centralized control)는 배전선로 계측기로 얻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어 변수를 계산하여 제어 설비가 동작한다 (15). GenAVC (Generator Automatic Voltage Control)는 전압 제어와 분산전원의 연계를 증가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이 방법은 제어기의 목표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상태 추정 기법을 사용하고 배전계통의 전압프로필을 예측한다 (16). 변전소에서 목표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통계적 상태 추정 알고리즘에 기반한 network voltage controller가 사용된다 (17). 상태 추정 알고리즘은 실시간 측정, 계통 데이터 및 부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모선에서 전압 크기를 추정한다. 상태추정 기반의 전압 제어 기법은 상태추정에 대한 복잡한 연산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고성능의 설비가 요구되어 진다.

지능형 기술은 투자 및 운영 비용 최소화, 분산전원 위치 및 용량산정, 전압 제어기기와 무효전력 제어기기간 협조제어와 같은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된다. 유전 알고리즘(GA, Genetic Algorithm), Tabu search, 인공 신경망(ANN, artficial neural network), 뿐만 아니라 fuzzy logic을 포함하는 지능형 기술을 사용하여 전압 제어 문제를 해결한다. 지능형 기술의 장점은 시스템의 다양한 조건과 요구에 따라 전압 문제에 대한 해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비용 함수와 제약 조건에 더욱 유연하고 비선형 혼합 정수 프로그래밍 문제를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수학 프로그래밍 기술에 비해 더 나은 솔루션을 제공한다 (18). 평균 고객 전압을 입력으로 사용하고 출력은 탭 제어기기 설정값을 도출하였다. ANN과 fuzzy logic이 적용된 변전소 OLTC와 SVC와 같은 무효전력 제어기기와의 협조제어를 개발하였다 (19). ULTC 변압기와 STATCOM 관리를 위한 ANN기반 제어 방법을 논의하였다 (20). 분산전원, ULTC 및 STATCOM 출력을 활용하면서 배전계통의 전압을 제어한다. Fuzzy logic을 적용하여 손실과 전압 프로필 개선을 위한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방안을 제안하였다 (21). 두 가지의 다른 fuzzy logic을 적용하는 실시간 전압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22). 하지만, 지능형 기술의 구현에는 더 많은 입력 데이터로 프로그래밍하는 몇 가지 기법이 필요하므로 성공적인 구현을 보장하기 위해 더 복잡한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수용률 향상을 위한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방안을 제안하였다. 빠른 연산을 위해 배전계통 전압제어기들의 전압 민감도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선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전압 민감도를 이용하여 선형식으로 표현하였으며 최종 전압은 중첩의 원리로부터 각 제어기기 합으로 나타내었다. 선형식으로 표현된 전압 방정식을 2차 계획법으로 정식화하였다. 각 제어기기 제어 지령치를 도출하기 위해 각 변수를 정의하고 그에 따른 식을 2차 계획법에 맞추어 정식화하였다. 그리고 최대, 최소 운영 전압을 이용하여 전압 제약조건을 설정하고 또한 각 제어기기의 제어 범위로부터 각 제어기기의 제약조건을 설정하였다. 2차 계획법으로 표현된 목적함수를 혼합 정수 비선형 계획법의 일반적인 해법을 이용하여 최적해을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 결과와 간략 선형식의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해에 가깝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정식화

최적 연산을 위해 배전 계통의 전압제어기들의 전압 제어 특성을 간략 선형식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를 이용하여 전압 제어기기의 제어 지령치를 결정한다. 최적화 방식으로는 2차 계획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을 일반화하였다.

배전계통의 전압은 선로 임피던스 및 유 · 무효 전력에 의해 결정되어 지면 이는 조류계산의 자코비안이 민감도로부터 전압을 도출할 수 있다.

배전 계통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전압 제어기의 특성을 도출 할 수 있다. 배전계통의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는 다양한 전압제어기기를 활용하여 제어한다. OLTC, SVR 같은 탭 제어기기는 그림 1과 같이 하위 구역 전압 전체를 제어 가능하며 무효전력 제어기기는 계통의 전압 강하 프로필을 변형한다(23).

그림. 1. 탭 제어기기 제어 영역

Fig. 1. Control area of tap control unit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fig1.png

제어기기를 전압 제어 특성별로 탭 제어기기, 분산전원, 캐패시터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분산전원과 캐패시터는 무효전력 제어기기로서, 분산전원은 연속적인 제어기기, 캐패시터는 불연속적인 제어기기이다.

2.1 전역계측을 활용한 전압 제어 정식화

전압 제어에서 전압 제어기기에 따른 전압 변동을 따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다. 계측 전압은 계측 시점의 분산전원이나 탭 제어기기 및 캐패시터 초기 상태의 전압 변동이 반영된 결과가 계측되어진다. 제어 후의 전압 변동은 제어 목적에 맞는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 변동치가 결정되고 이러한 변동치를 반영하기 위해 중첩의 원리를 이용해 제어 후 전압을 각 제어기기의 전압 변동과 계측된 전압으로부터 도출이 가능하다 (23). 제어 후 전압은 식(1)과 같이 각 제어기기 전압 변동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제어기기의 전압 변동은 중첩의 원리를 이용해 독립적으로 더하여 나타낼 수 있다 (24).

(1)
$\left[\begin{array}{c}V_1 \\ \vdots \\ V_i \\ \vdots \\ V_N\end{array}\right]=\left[\begin{array}{c}V_{\text {mea }, 1} \\ \vdots \\ V_{\text {mea }, i} \\ \vdots \\ V_{\text {mea }, N}\end{array}\right]+\Delta \mathrm{V}_{\mathrm{DG}}+\Delta \mathrm{V}_{\mathrm{tap}}+\Delta \mathrm{V}_{\mathrm{CAP}}$

여기에서,

$V_i: i$ 번 모선의 제어 후 전압

$V_{\text {mea,i }}: i$ 번 모선의 계측된 전압

$\Delta \mathrm{V}_{\mathrm{DG}}$ : 분산전원에 의한 전압변동

$\Delta \mathrm{V}_{\mathrm{tap}}$ : 탭 제어기기에 의한 전압 변동

$\Delta \mathrm{V}_{\mathrm{CAP}}$ : 캐패시터에 의한 전압 변동

배전계통에서도 조류계산식을 이용해 제어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도출할 수 있다(25).

(2)
$\Delta V=[J]^{-1} \cdot \Delta Q$

각 제어기기의 제어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각 제어기기의 민감도를 수학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어 후의 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 조류계산의 무효전력에 대한 전압 민감도 분석을 통해 전압 제어기기의 특성이 반영되어 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전압 계산식을 도출할 수 있다.

각 모선의 분산전원에 의한 전압 변동은 식(3)와 같이 각 분산전원 무효전력에 대한 민감도와 분산전원 제어 무효 전력 출력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Delta \mathrm{V}_{\mathrm{DG}}=\left[\begin{array}{ccccc}\frac{\partial V_1}{\partial Q_{D G, 1}} & \cdots & \frac{\partial V_1}{\partial Q_{D G, k}} & \cdots & \frac{\partial V_1}{\partial Q_{D G, K}} \\ \vdots & \ddots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V_i}{\partial Q_{D G, 1}} & \cdots & \frac{\partial V_i}{\partial Q_{D G, k}} & \cdots & \frac{\partial V_i}{\partial Q_{D G, K}} \\ \vdots & \ddots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V_N}{\partial Q_{D G, 1}} & \cdots & \frac{\partial V_N}{\partial Q_{D G, k}} & \cdots & \frac{\partial V_N}{\partial Q_{D G, K}}\end{array}\right] \cdot\left[\begin{array}{c}\Delta Q_{D G, 1} \\ \vdots \\ \Delta Q_{D G, k} \\ \vdots \\ \Delta Q_{D G, K}\end{array}\right]$

여기에서,

$\triangle Q_{D G k}: \mathrm{DG}$ 제어 무효전력

$\left[\frac{\partial V_i}{\partial Q_{D G k}}\right]$ : 분산전원의 무효전력에 대한 전압 민감도

각 모선의 탭 제어기기에 의한 전압변동은 식(4)과 같이 각 탭 제어기기의 전압 민감도와 탭 제어기기의 한 탭당 변동전압 및 제어 탭 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Delta \mathbf{V}_{\mathrm{t} \mathrm{ap}}=\left[\begin{array}{ccccc}\frac{\partial V_1}{\partial V_{\text {tap }, 1}} & \cdots & \frac{\partial V_1}{\partial V_{\text {tap }, l}} & \cdots & \frac{\partial V_1}{\partial V_{\text {tap }, L}} \\ \vdots & \ddots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 1}} & \cdots & \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 l}} & \cdots & \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 L}} \\ \vdots & \ddots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V_N}{\partial V_{\text {tap }, 1}} & \cdots & \frac{\partial V_N}{\partial V_{\text {tap }, l}} & \cdots & \frac{\partial V_N}{\partial V_{\text {tap }, L}}\end{array}\right] \cdot\left[\begin{array}{cc}\Delta V_{\text {tap }, 1} & \Delta \Delta \operatorname{tap}_1 \\ \vdots \\ \Delta V_{\text {tap }, l} & \vdots \Delta \operatorname{tap}_l \\ \vdots \\ \Delta V_{\text {tap }, L} & \cdot \Delta \operatorname{tap}_L\end{array}\right]$

여기에서,

$\Delta V_{t a p, l}$ : 한 탭 당 변동 전압

$\Delta t a p_l$ : 탭 제어 탭 수

$\left[\frac{\partial V_i}{\partial V_{t a p, l}}\right]$ : 뱁 제어기기 전압 민감도

캐패시터에 의한 전압 변동은 식(5)과 같이 각 캐패시터의 전압 민감도와 무효전력인 캐패시터 뱅크당 용량 및 캐패시터 제어 뱅크 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5)
$\Delta \mathbf{V}_{\mathbf{C A P}}=\left[\begin{array}{ccccc}\frac{\partial V_1}{\partial Q_{C A P, 1}} & \cdots & \frac{\partial V_1}{\partial Q_{C A P, m}} & \cdots & \frac{\partial V_1}{\partial Q_{C A P, M}} \\ \vdots & \ddots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V_i}{\partial Q_{C A P, 1}} & \cdots & \frac{\partial V_i}{\partial Q_{C A P, m}} & \cdots & \frac{\partial V_i}{\partial Q_{C A P, M}} \\ \vdots & \ddots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V_N}{\partial Q_{C A P 1}} & \cdots & \frac{\partial V_N}{\partial Q_{C A P, m}} & \cdots & \frac{\partial V_N}{\partial Q_{C A P, M}}\end{array}\right] \cdot\left[\begin{array}{c}Q_{C A P, 1} \cdot \Delta n_1 \\ \vdots \\ Q_{C A P, m} \\ \vdots \\ Q_{C A P, M} \cdot \Delta n_m\end{array}\right]$

여기에서,

$Q_{C A P, m}$ : 캐패시터 뱅크 당 용량

$\Delta n_{C A P, m}$ : 캐패시터 제어 뱅크 수

$\left[\frac{\partial V_i}{\partial Q_{C A P, m}}\right]$ : 캐패시터 전압 민감도

2.2 최적화를 위한 목적함수 정식화

제안한 식을 이용한 목적함수를 정식화 하였다. 배전 계통 전압 제어 운영 목적으로는 기본적으로 적정 전압 유지가 있다. 이는 수용가의 전압이 전압 위배가 없이 공칭 전압에 가깝게 제어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러므로 적정 전압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배전계통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CVR(Conservation Voltage Reduction)은 배전계통의 전압을 낮추는 제어를 하여 소비 부하 에너지를 감소하는 방법이다(26). CVR은 제어 대상 계통의 전체 전압을 전압 위배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저 운영 전압에 가장 가깝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갖는다. 제어 목적에 따라 목적 함수를 달리하여 최적화를 이용한 제어 지령값을 도출한다.

목적함수의 목표전압에 따라 운영 목적을 결정할 수 있다. 계통의 적정 전압 유지와 안정적 운영이 목적인 경우에는 목표전압을 공칭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면 CVR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최저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6)
$$ \min \sum_{i=1}^N\left(V_i-V_{\text {target }}\right)^2 $$

여기에서,

$V_{\text {target }}:$ 목표 전압

제약조건은 다음과 같이 4가지의 제약 조건을 갖는다(23). 분산전원 무효전력 출력 범위에 의한 제약조건은 식(7)과 같다.

(7)
$$ Q_{D G, \mathrm{~min}, k}-Q_{D G, k}^0 \leq \Delta Q_{D G, k} \leq Q_{D G, \mathrm{max}, k}-Q_{D G, k}^0 $$

여기에서,

$Q_{D G, \min , k}: k$ 번 DG 무효전력 출력 최저 제한

$Q_{D G, k}^0: k$ 번 DG 현재 무효전력 출력량

$Q_{D G ,\text { max }, k}: k$ 번 DG 무효전력 출력 최대 제한

탭 제어기기의 제어 범위에 의한 제약조건은 식(8)과 같다.

(8)
$$ \operatorname{tap}_{\min , l}-\operatorname{tap}_l^0 \leq \Delta \operatorname{tap}_l \leq \operatorname{tap}_{\max , l} -\operatorname{tap}_l^0 $$

여기에서,

$\operatorname{tap}_{\min . l}: l$ 번 탭 제어기기 최저 탭 위치

$\operatorname{tap}_l^0: l$ 번 탭 제어기기 현재 위치

$\operatorname{tap}_{\max , l}: l$ 번 탭 제어기기 최대 탭 위치

캐패시터 무효전력 출력 범위에 의한 제약조건은 식(9)와 같다.

(9)
$$ -n_{C A P, m}^0 \leq \Delta n_{C A P, m} \leq N_{C A P, m}-n_{C A P, m}^0 $$

여기에서,

$n_{C A P, m}^0$ : 현재 투입된 뱅크 수

$N_{C A P, m}$ : 최대 뱅크수

제약조건으로 전압 제어의 운영 범위에 의한 전압 제약 조건 을 식(10)로 나타내었다.

(10)
$$ V_{\min , l i m i t} \leq V_i \leq V_{\max , l i m i t} $$

2.3 2차 계획법 정식화

비선형 최적화를 이용하여 각 제어기기의 지령치를 도출하였다. 목적함수가 2차식으로 표현이 되므로 2차 계획법을 이용하여 풀이할 수 있다. 2차 계획법의 표준형을 다음과 같이 식(11)으로 나타낼 수 있다.

(11)
$\min \frac{1}{2} \mathrm{x}^{\mathrm{T}} \mathrm{Hx}+\mathrm{f}^{\mathrm{T}} \mathrm{x}$ $$S . T\left\{\begin{array}{l}A \cdot \mathbf{x} \leq \mathrm{b} \\ \text { Aeq } \cdot \mathbf{x}=\text { beq } \\ l \mathrm{~b} \leq \mathbf{x} \leq \mathrm{ub}\end{array}\right.$$

2차 계획법의 표준형을 제어 변수를 적용하여 다음 식(12)와 같이 일반화한다(23).

(12)
$\min \frac{1}{2} \Delta^T \mathrm{H} \Delta+\mathrm{f}^{\mathrm{T}} \Delta$ $$S . T\left\{\begin{array}{l}A \cdot \Delta \leq b \\ l b \leq \Delta \leq u b\end{array}\right.$$

여기에서,

$\triangle:$ 제어변수

주어진 조건에서 등식 제약조건은 존재하지 않으며 목적함수와 부등식 제약조건이 구성된다. 각 표준형을 주어진 조건에 맞추어 일반화 하였다. 제어 변수를 이용하여 일반화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23).

(13)
$$ \mathbf{x}^{\mathrm{T}} \mathrm{H} \mathbf{x}+\mathrm{f}^{\mathrm{T}} \mathbf{x}=\left[\begin{array}{c} \Delta Q_{D G, 1} \\ \vdots \\ \Delta Q_{D G, K} \\ \Delta \operatorname{tap}_1 \\ \vdots \\ \Delta \operatorname{tap}_L \\ \Delta n_{C A P, 1} \\ \vdots \\ \Delta n_{C A P, M} \end{array}\right] \mathrm{H}\left[\begin{array}{c} \Delta Q_{D G, 1} \\ \vdots \\ \Delta Q_{D G, K} \\ \Delta \operatorname{tap}_1 \\ \vdots \\ \Delta \operatorname{tap}_L \\ \Delta n_{C A P, 1} \\ \vdots \\ \Delta n_{C A P, M} \end{array}\right]+\mathrm{f}^{\mathrm{T}}\left[\begin{array}{c} \Delta Q_{D G, 1} \\ \vdots \\ \Delta Q_{D G, K} \\ \Delta \operatorname{tap}_1 \\ \vdots \\ \Delta \operatorname{tap}_L \\ \Delta n_{C A P, 1} \\ \vdots \\ \Delta n_{C A P, M} \end{array}\right] $$

헤시안(Hessian) 매트릭스인 $H$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진다. 각 제어기기의 전압 민감도로부터 구해진다. 헤시안 매트릭스는 제어기기 종류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되는데 각 제어기기의 전압민감도 곱으로 결정된다. 전압민감도로 결정되는 헤시안 매트릭스는 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식(14)와 같이 구분된다. 총 매트릭스 크기는 ($K+L+M$) X ($K+L+M$)인 크기를 갖는다(23).

(14)
$$ \begin{aligned} & {\left[\left[\frac{\partial V_i}{\partial Q_{D G}}\right]^2\left[\frac{\partial V_i}{\partial V_{t a \nu}} \frac{\partial V_i}{\partial V_{D G}}\right]\left[\frac{\partial V_i}{\partial V_{C A P}} \frac{\partial V_i}{\partial V_{D G}}\right]\right.} \\ & H=\left[\frac{\partial V_i}{\partial V_{D G}} \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right] \quad\left[\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right]^2 \quad\left[\frac{\partial V_i}{\partial V_{C A P}} \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right] \\ & \left.\left[\frac{\partial V_i}{\partial V_{D G}} \frac{\partial V_i}{\partial V_{C A P}}\right]\left[\frac{\partial V_i}{\partial V_{\text {tap }}} \frac{\partial V_i}{\partial V_{C A P}}\right] \quad\left[\frac{\partial V_i}{\partial V_{C A P}}\right]^2\right] \\ & \end{aligned} $$

f는 식(15)로 각 제어기기의 민감도, 계측된 전압과 목표 전압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식(16)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의 목적을 결정하는 요인을 포함한다(23).

(15)
$$ \mathbf{f}=\left[\begin{array}{c} \sum_{i=1}^N\left\{\frac{\partial V_i}{\partial Q_{D G, 1}}\left(V_{\text {mea,i }}-V_{\text {target }}\right)\right\} \\ \sum_{i=1}^N\left\{\frac{\partial V_i}{\partial Q_{D G, K}}\left(V_{\text {mea,i }}-V_{\text {target }}\right)\right\} \\ \sum_{i=1}^N\left\{\frac{\partial V_i}{\partial V_{t a p, 1}}\left(V_{\text {mea,i }}-V_{\text {target }}\right)\right\} \\ \sum_{i=1}^N\left\{\frac{\partial V_i}{\partial V_{t a p, L}}\left(V_{\text {mea,i }}-V_{\text {target }}\right)\right\} \\ \sum_{i=1}^N\left\{\frac{\partial V_i}{\partial Q_{C A P, 1}}\left(V_{\text {mea,i }}-V_{\text {target }}\right)\right\} \\ \sum_{i=1}^N\left\{\frac{\partial V_i}{\partial Q_{C A P, M}}\left(V_{\text {mea }, i}-V_{\text {target }}\right)\right\} \end{array}\right\} $$

각 모선의 전압 제약 조건을 일반화하여 나타내었다. 각 모선의 제어 후 전압을 전압 민감도에 의해 결정한다. 부등식 제약조건을 전압제어의 변수들로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다. 각 제어기기의 변동에 대한 전압 변동의 식으로 표현되며 식(16)에 나타내었다(23).

두 번째 제약조건은 각 제어기기의 제어 범위에 대해 제약 조건을 추가하였다. 식(17)은 제어 변수를 활용한 제약조건을 일반화하였다(23).

(16)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equ16.png

(17)
$$ \left[\begin{array}{c} Q_{D G, \mathrm{~min}, 1}-Q_{D G, 1}^0 \\ \vdots \\ Q_{D G, \min , K}-Q_{D G, K}^0 \\ \operatorname{tap}_{\mathrm{min}, 1}-\operatorname{tap}_1^0 \\ \vdots \\ \operatorname{tap}_{\min , L}-\operatorname{tap}_L^0 \\ -n_{C A P, 1}^0 \\ \vdots \\ -n_{C A P, M}^0 \end{array}\right] \leq\left[\begin{array}{c} \Delta Q_{D G, 1} \\ \vdots \\ \Delta Q_{D G, K} \\ \Delta t a p_1 \\ \vdots \\ \Delta t a p_L \\ \Delta n_{C A P, 1} \\ \vdots \\ \Delta n_{C A P, M} \end{array}\right] \leq\left[\begin{array}{c} Q_{D G, \max , 1}-Q_{D G, 1}^0 \\ \vdots \\ Q_{D G, \max , K}-Q_{D G, K}^0 \\ \operatorname{tap}_{\max , 1}-\operatorname{tap}_1^0 \\ \vdots \\ \operatorname{tap}_{\max , L}-\operatorname{tap}_L^0 \\ N_{C A P, 1}-n_{C A P, 1}^0 \\ \vdots \\ N_{C A P, M}-n_{C A P, M}^0 \end{array}\right] $$

3. 시뮬레이션

그림 2와 같이 참고문헌에서 사용한 모의 계통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24). 표 1은 계통 구성을 나타내며 총 부하는 10MVA, 지상역률 0.9PF이고 최대 전압강하가 10%가 되는 계통을 이용하였다. 탭 제어기기는 OLTC와 SVR이 있으며 OLTC는 한 탭당 0.0125p.u를 변동이 가능한 17탭의 탭 제어기기이고 SVR은 한 탭당 0.00625p.u를 변동이 가능한 33탭의 탭 제어기기이다.

그림. 2. 시뮬레이션 모의 계통

Fig. 2. The test system in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fig2.png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모의 계통에서 표 1과 같이 분산전원의 유효출력은 0.5MW이고 무효전력 제어 범위는 –2.0MVAR에서 2.0MVAR이다.

표 1. 사례연구의 모의 계통 구성

Table 1. System configuration in case study

구성

내용

부하

10MVA, 0.9PF 임의 분포, 최대 전압강하 10%

탭 제어기기

OLTC

-16~16 tap (초기 위치 : 0)

SVR

-8~8 tap (초기 위치 : 0)

분산전원

초기조건

유효전력 : 0.5MW

무효전력범위

-2.0~2.0MVAR

3.1 CVR 제어 시뮬레이션

표 2그림 3은 근사법에 의해 구해진 결과를 나타낸다. 혼합 정수 계획법에 의해 구해진 결과로 탭 제어기기인 OLTC 탭은 –3이고 SVR 탭은 1이다. 분산전원은 각각 2.0MVAR, 0.2691MVAR, 2.0MVAR이다. 목표함수 지수는 87.65×10-4이다.

표 2. CVR 제어 지령치

Table 2. CVR control setpoint

제어기기

제어 지령치

탭 제어기기

OLTC

-3

SVR

1

분산전원

DG1

2.0

DG2

0.2691

DG3

2.0

목표함수 지수

87.65x10-4

그림. 3. CVR을 위한 최종 지령치에 의한 전압 프로필

Fig. 3. The voltage profile by final setpoint for CVR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fig3.png

사례연구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전역 최적해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그림 4에 나타내었다.

표 3. CVR 제어 전역 최적해 지령치

Table 3. CVR control global optimum solution setpoint

제어기기

제어 지령치

탭 제어기기

OLTC

-3

SVR

1

분산전원

DG1

2.0

DG2

0.3497

DG3

2.0

목표함수 지수

77.27x10-4

그림. 4. 전역 최적해와 결과 비교

Fig. 4. Comparison of global optimal solution and proposed results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fig4.png

3.2 적정 전압 유지 제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 4그림 5에 나타내었다. 혼합 정수 계획법에 의해 구해진 결과로 탭 제어기기인 OLTC 탭은 1이고 SVR 탭은 2이다. 분산전원은 각각 2.0MVAR, 1.0800MVAR, 2.0MVAR이다. 목표함수 지수는 7.98이다.

표 4. 적정 전압 제어 지령치

Table 4. Appropriate voltage control setpoint

제어기기

제어 지령치

탭 제어기기

OLTC

1

SVR

2

분산전원

DG1

2.0

DG2

1.0800

DG3

1.9165

목표함수 지수

7.98x10-4

그림. 5. 적정 전압 제어를 위한 최종 지령치에 의한 전압 프로필

Fig. 5. Voltage profile by final setpoint for appropriate voltage control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fig5.png

전역 최적해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그림 6은 초기출력 조건과 전역 최적해 결과를 비교한 결과로 전역 최적해에 가깝게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 적정 전압 제어 전역 최적해 지령치

Table 5. Appropriate voltage control global optimum solution setpoint

제어기기

제어 지령치

탭 제어기기

OLTC

1

SVR

2

분산전원

DG1

2.0

DG2

1.0218

DG3

1.6889

목표함수 지수

6.95x10-4

그림. 6. 전역 최적해와 결과 비교

Fig. 6. Comparison of global optimal solution and proposed results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fig6.png

3.3 시뮬레이션 분석 고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간략 선형식으로 도출된 선형식으로부터 최적해를 도출하기 때문에 제어 결과가 전역 최적해와 약간의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은 실시간 제어용으로 실시간 전압제어에서는 비교적 짧은 주기로 반복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 주기에 따른 계통의 상태 변화가 작을 수밖에 없다. 계통의 상태 변화가 작으면 제어에 대한 변동도 작기 때문에 간략 계산식에 의한 오차를 무시할 수 있다. CVR 제어 결과를 보면 최대 오차를 보면 1%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최총 지령치와의 목표지수함수의 차이를 보시면 0.001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1% 오차에서는 무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수용률 향상을 위한 실시간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방안을 제안하였다. 계측된 정보로부터 계통의 전압 프로필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최적의 전압 프로필이 되도록 하는 제어 지령치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류계산의 자코비안 매트릭스로부터 각 제어기기의 민감도 매트릭스를 도출하여 이를 이용하여 정식화를 수행하였다. 정식화한 식을 이용하여 목적함수를 도출하고 선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일반적인 혼합 정수 2차 계획법을 이용하여 해를 도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최적해와 거의 동일할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은 시뮬레이션에서 볼 수 있듯이 최종 지령치와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을 실계통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ults was support by “Regional Innovation Strategy (RIS)” and “Leaders in INdustry-unversity Cooperation 3.0”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2022RIS-002)

References

1 
Jae-Min Park, Insu Kim, 2022, A study on Estimating the Local Capacity of Photovoltaic Gener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Renewable Penetration Leve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No. 1, pp. 009-022Google Search
2 
Bahng, Geumhwan, 2021, A Study on Eco-friendly Optimization of Renewable Energy in Microgrid Syste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5, No. 10, pp. 41-49Google Search
3 
Yun-Sik Oh, ,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coordinated control scheme for voltage regulation in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s, Diss.Applied Sciences :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Google Search
4 
Comfort, A. Reginald, A. Mansoor, 2001, Power quality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 effect on steady state voltage regulation, PQA 2001 North America Conference, PennsylvaniaGoogle Search
5 
M. Elnashar, 2008, Comparative evaluation of reactive power compensation methods for a stand-alone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Vol. PESC 2008. IEEE. IEEEDOI
6 
Currie, Robert AF, 2008, Actively managing wind farm power output,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3, No. 3, pp. 1523-1524DOI
7 
Thomson, 2000, Automatic voltage control relays and embedded generation, Power Engineering Journal, Vol. 14, No. 2, pp. 71-76DOI
8 
Hiscock, Jonathan, Hiscock Nick, 2007, Advanced voltage control for networks with distributed generation,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Google Search
9 
Viawan, Ferry A., Ambra Sannino, 2007, Voltage control with on-load tap changers in medium voltage feeders in presence of distributed generation,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77, No. 10, pp. 1314-1322DOI
10 
Choi, Joon-Ho, 2001, Advanced voltage regulation method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interconnected with dispersed storage and genera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329-334., Vol. 16, No. 2, pp. 329-334DOI
11 
Azzouz, A. Maher, Hany E. Farag, Ehab F. El-Saadany, 2013, Fuzzy-based control of on-load tap changers under high penetration of distributed generators, Electric Power and Energy Conversion Systems (EPECS), Vol. 2013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DOI
12 
Elkhatib, E. Mohamed, Ramadan El Shatshat, Magdy MA Salama, 2012, Decentralized reactive power control for advanced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3.3, pp. 1482-1490DOI
13 
Vito Calderaro, 2014, Optimal decentralized voltage control for distribution systems with inverter-based distributed generato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9.1, pp. 230-241DOI
14 
Carvalho, Pedro MS, Pedro F. Correia, Luís AFM Ferreira, 2008, Distributed reactive power generation control for voltage rise mitigation in distribution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3.2, pp. 766-772DOI
15 
Hatta, Hiroyuki, 2007, A study of centralized voltage control method fo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19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 (CIRED).Google Search
16 
Thornley, Vincent, 2008, Active network management of voltage leading to increased generation and improved network utilisation, CIRED Seminar, pp. 34-34DOI
17 
C. M. Hir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151.2 2004, Network voltage controller for distributed generation, IEE Proceedings-Generation, pp. 150-156DOI
18 
S. Santoso, Nitish Saraf, Ganesh K. Venayagamoorthy, 2007, Intelligent techniques for planning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DOI
19 
Ruey-Hsun Liang, Xian-Zong Liu, 2007, Neuro-fuzzy based coordination control in a distribution system with dispersed generation system, Intelligent Systems Applications to Power Systems, Vol. ISAP 2007, N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DOI
20 
Kim, Gwang Won, 2005, Coordination control of ULTC transformer and STATCOM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0.2, pp. 580-586DOI
21 
A. Rahideh, M. Gitizadeh, A. Rahideh, 2006, Fuzzy logic in real time voltage/reactive power control in FARS regional electric network.,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76, No. 11, pp. 996-1002DOI
22 
Spatti, Hernane Danilo, 2010, Real-time voltage regula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fuzzy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25.2 (2010): 1112-1123., Vol. 25.2, pp. 1112-1123DOI
23 
Seok-Il Go, 2020, Voltage and Reactive Power Optimization Using a Simplified Linear Equations at Distribution Networks with DG, energies 13, pp. 3334DOI
24 
Seok-Il Go, 2018, A study on Volt/VAR control based on real-time measurements of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Diss.Applied Sciences :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Google Search
25 
Hadi Saadat, 1999, Power System AnalysisGoogle Search
26 
Zhaoyu Wang, Wang Jianhui, 2014, Review o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nservation voltage reduct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9.3, pp. 1306-1315DOI

저자소개

고석일(Seok-Il Go)
../../Resources/kiee/KIEE.2022.71.11.1533/au1.png

2010년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호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 riseisgood@hona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