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유훈
(Yu Hoon Song)
1iD
양재영
(Jae Young Yang)
1iD
이윤영
(Youn Young Lee)
1iD
국경수
(Kyung Soo Kook)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Effective factor, Frequency regulation, Frequency response, Renewable Energy Source (RES), Primary Frequency Response (PFR), User Defined Model (UDM)
1. 서 론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국내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률은 더욱 급증하여 화력발전기 감소 시나리오에 따르면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은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70.8% 수준인 889.8 TWh까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1). 정부는 이와 같은 탄소중립 이행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재생에너지의 양적 요구량을 도출하여 전력계통에서 적극 수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제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르면 2034년 기준 재생에너지의 발전설비 비중은 5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2). 그러나, 재생에너지에 대한 별도의 계통연계 성능 요구조건이 부재할 경우 재생에너지의 수용률이 높은 전력계통은 주파수제어 성능의 경감을 회피하기
어렵고 국내 신뢰도 고시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파수 유지기준을 만족하는데 제한적일 수 있다(3). 이에 대해 국내 전력계통에서는 주파수조정을 위한 자원으로써 수백 MW 규모의 전기저장장치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를 송전계통에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전력시장 운영규칙에서는 이러한 송전사업자의 주파수조정용 BESS를 1차 예비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4).
한편, BESS는 이미 수많은 연구들을 통해 설비의 속응성과 유연성이 입증된 자원으로써 여러 계통운영기관에서는 주파수 안정도 확보를 위한 주파수 예비력
자원으로써 고려되고 있다(5). 영국의 주요 송전시스템 운영기관인 NGET (National Grid Electricity Transmission)에서는 계통주파수를 공칭주파수
50Hz에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 향상된 주파수응답 (Enhanced Frequency Response, EFR)서비스를 도입하여 BESS를 활용 중이다(6), (7). 또한, 미국 텍사스의 전력망 운영기관인 ERCOT (Electric reliability Council of Texas)에서는 주파수편차 발생
시 250ms 이내에 응동하여 15분간 유지 가능한 자원을 빠른 주파수응답 (Fast Frequency Response, FFR) 제공자원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FFR자원으로써 BESS가 운용되고 있다(8), (9). 다만, 주파수조정용 BESS가 적용되는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 및 운영 실정은 계통별로 상이함에 따라 주파수 안정도 확보를 위한 주파수조정용
BESS의 적용 시에는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주파수제어 자원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예비력 자원의 최적 구성 운영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방법에서는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에
따른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를 고려함으로써 향후 재생에너지의 수용용량이 급증된 전력계통에서 적용 시 방법의 실효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논문의
사례연구에서는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전망이 고려된 계통을 대상으로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하여 제안된 방법의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2. 국내 전력계통의 운영예비력 운영
계통주파수는 전력계통의 순시 전력수급 균형 여부를 판단하는 광역 파라미터로써 전력계통 운영기관은 이를 기준범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운영예비력을 확보하여
운영 중이다. 국내 전력계통의 운영예비력은 계통상태에 따라 주파수제어예비력과 주파수회복예비력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예비력 종류별 확보량은 아래 표와
같다(10).
표 1. 국내 전력계통 운영예비력 운영기준
Table 1. Operating reserve criteria in the Korean power system
Operating reserve
|
Capacity
(MW)
|
Resource
|
Max. Activating Time
|
Min. Duration Time
|
Frequency control
|
700
|
AGC
|
5min
|
30min
|
Frequency
restoration
|
PFR
|
1,000
|
GF+ESS
|
10s
|
5min
|
SFR
|
1,400
|
AGC+ESS
|
10min
|
30min
|
TFR
|
1,400
|
Manual
|
30min
|
-
|
이 중, 1차 예비력은 발전기 고장 등과 같은 이유로 계통에 급작스러운 전력수급의 불균형 발생에 대비하여 급격한 주파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확보하는
예비력으로써 계통 운영기관은 0.2 Hz 주파수편차에 대한 속도조정률 특성에 따른 기대 응동량으로 1,000 MW 이상의 1차 예비력을 확보하여 최대용량의
발전기 1기 고장 시에도 계통주파수가 59.7 Hz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운영하고 있다(11). 또한,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라 전력거래소는 예비력 수준을 고려할 때 석탄화력 이외의 발전기 및 BESS로 적정예비력이 우선 확보될 수 있도록 석탄화력은
입찰공급 가능용량의 95%~100%로 주파수조정용량을 배분할 수도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4). 즉, 송전사업자의 BESS에 의한 주파수조정 용량을 반영하여 발전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운영발전계획 수립절차에서는 필수운전 발전기와
송전사업자용 BESS의 1차 예비력 제공용량을 우선 반영하여 1차 예비력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현행 예비력 확보규정에서는 자원의 특성과 관계없이 0.2 Hz 주파수편차에 따른 기대 응동량으로 1차 예비력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양의
예비력을 확보하더라도 1차 예비력 제공 자원의 특성에 따라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운용중인 주파수조정용 BESS는 전력변환설비를 기반으로 빠른 주파수응답을 제공하는 자원으로써 1차 예비력 확보 시 기존 조속기응답과
동일한 양으로 대체할 경우에도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12). 더욱이,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된 시점에서는 현행 1차 예비력 확보규정을 따라 0.2 Hz 주파수편차를 기준으로 예비력을 계산하여 응답자원
간 주파수제어 성능 기여도를 평가하게 되면 1차 예비력 확보기준인 0.2 Hz 주파수편차에 대한 조속기응답 예상량으로 BESS의 주파수응답 성능을
평가하기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된 전력계통에서 최적 운영예비력 운영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에 따른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를 고려하여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정량화하여야 한다.
3. 국내 전력계통의 주파수조정용 BESS운영 현황 및 모델링
3.1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 설치 위치 및 용량
국내 송·배전사업자 한국전력공사 (KEPCO)는 지난 2014년부터 4년간 주파수조정을 위한 자원으로써 총 376 MW 규모의 Li-ion 기반 BESS를
송전망에 설치하였다.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상업운전은 배터리 화재로 인해 한동안 운영이 정지되었으나 제어 설정값 변경 등과 같은 설비보강과
함께 2021년부터 운영을 재개하여 국내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는 주파수조정용 BESS 40 MW를 제주도로 이전함에 따라 그림 1과 같이 국내 육지계통에서는 13개 변전소에서 총 336 MW의 주파수조정용 BESS를 운용하고 있다(13).
그림. 1. 국내 전력계통의 주파수조정용 BESS 설치 현황
Fig. 1. FR-BESS installation status in Korean power system
3.2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제어
국내에 설치된 주파수조정용 BESS는 계통 정상상태와 과도상태 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변동 특성을 반영하여 계통상태에 따라 제어모드를 구분하고 주파수제어를
수행하도록 아래 표 2와 같이 설계되어있다(14).
표 2.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제어전략
Table 2. Control strategy of BESS for frequency regulation in Korean power system
|
Control Mode
|
Steady State
|
Transient State
|
Control
Activation
|
Frequency
DeadBand
|
$|\Delta f | > 0.036 Hz$
|
RoCoF
|
\begin{align*}
| dt/df |\\
< 0.0279 Hz/s
\end{align*}
|
\begin{align*}
| dt/df |\\
> 0.0279 Hz/s
\end{align*}
|
Control Parameter
|
Speed Droop
=2%
|
Frequency bias
=787MW/0.1Hz
|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정상상태 제어모드는 계통주파수가 사전에 설정된 부동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동작하며 해당 제어조건에서는 2%의 속도조정률에
따른 주파수응답을 수행한다(15). 반면, 계통 내 발전기 고장 등과 같은 외란으로 인해 일정 주기 동안 측정된 주파수변화율 (Rate of Change of Frequency,
RoCoF)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인지기준을 5회 이상 초과할 경우 주파수조정용 BESS는 과도상태 제어모드로써 동작하게 되고 계통정수를 주파수편차에
대한 제어게인으로 적용하여 주파수응답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주파수조정용 BESS는 주파수 하락 초기에 정격출력으로써 계통에 유효전력을 공급하고 계통주파수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한다(16).
3.3 국내 전력계통 주파수조정용 BESS의 모델링
본 절에서는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제어 성능을 모의하기 위해 실제 운용현장에 구축되어있는 제어알고리즘을 대규모 전력계통 해석프로그램인
PSSⓇE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의 사용자 정의 모델(User Defined Model, UDM)로
모델링 하였다. UDM은 앞서 분석된 BESS의 주파수제어 전략을 Fortran 언어를 기반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Siemens PTI에서 제공하는
PSSⓇE User Model Compile/Link and Environment Manager를 통해 Compile 및 .dll file 생성 과정을
거쳐 구축하였다. 그림 2와 같이 모델링된 주파수조정용 BESS UDM은 동적 모의 이전에 Model Subroutine Library에 삽입되고 동적 모의 시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응답 성능을 모의계통에 반영하게 된다(17), (18).
그림. 2. PSSⓇE Dynamic simulation의 기본 구조
Fig. 2. Basic Program Structure of PSSⓇE Dynamic simulation with UDM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구축한 주파수조정용 BESS UDM의 동작 검증을 위해 주파수조정용 BESS가 설치된 실제 변전소 위치를 고려하여 13개의 개별
모선에 BESS UDM을 연계한 이후 발전기 탈락 시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응답 성능을 그림 3과 같이 검토하였다.
그림. 3. 13개 모선에 연계된 BESS_UDM 주파수제어 모의결과
Fig. 3. Frequency control simulation result of BESS_UDM connected to 13 buses
4.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방법
4.1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방법에서는 국내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 기준인 최소과도주파수로 1차 예비력
화보 자원인 주파수조정용 BESS와 조속기의 주파수제어 성능 기여도를 비교하기 위해 주파수조정용 BESS가 실제 운용현장에서 구현된 제어알고리즘으로
주파수응답 제공 시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을 때까지 대체 가능한 조속기응답량을 산정한다. 이후, 주파수조정용 BESS로 대체
가능한 조속기응답량은 투입된 주파수조정용 BESS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고 이를 주파수조정용 BESS의 유효용량지수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안하는
정량화 방법은 아래 그림 4의 순서도와 같다.
그림. 4. FR-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방법 순서도
Fig. 4. Flowchart of quantification method for the PFR substitution effect by FR-BESS
먼저,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분석대상이 되는 재생에너지 기반의 전력계통을 Base Case로 설정한다. Base
Case로 설정된 계통의 주파수제어는 동기발전기의 관성응답과 조속기응답만으로 수행되며, 해당 계통을 대상으로 최대용량의 발전기 1기 고장을 모의하여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최소과도주파수($f_{nadir,\: b ase case}$)와 최대 주파수편차($\Delta f_{nadir,\:
b ase case}$)를 도출한다. 이후 주파수조정용 BESS를 연계하여 동일한 상정고장을 모의하면 주파수조정용 BESS가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에
기여한 만큼 최소과도주파수($f_{nadir,\:i}$)는 $f_{nadir,\: b ase case}$대비 상승하게 된다. $f_{nadir,\:i}$와
$f_{nadir,\: b ase case}$의 비교과정을 통해 주파수조정용 BESS와 조속기응답에 대한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 기여도를 비교하고
$f_{nadir,\:i}$가 $f_{nadir,\: b ase case}$보다 높은 경우에 화력발전기의 조속기를 1대씩 off 하며 동일한 상정고장을
반복 모의한다. 이때 off 된 조속기 1대의 주파수응답 예상량($PFR_{gov_{-}off_{-}i}$) 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Base Case의 $\Delta f_{nadir,\: b ase case}$와 off 된 조속기의 속도조정률($SD_{i}$)
기반의 응답 예상량과 발전기 출력여유 중 작은 값으로 아래 식(1)과 같이 계산한다.
반복 모의 과정에서 off 된 조속기 수가 증가할수록 계통에 잔여 조속기응답량이 감소함에 따라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로 인해 동일한 상정고장 시에도
$f_{nadir,\:i}$가 감소하며, 만일 $f_{nadir,\:i}$가 $f_{nadir,\: b ase case}$을 위반하는 경우에는 투입된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제어 성능 기여도가 해당 시점까지 off 된 조속기들의 예상 기여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시점까지 off 된
조속기에 대한 총응답예상량($PFR_{gov_{-}off_{-}total}$)의 이전 값을 대체 가능한 조속기응답량($PFR_{gov_{-}subs}$)으로
산정한다. 결과적으로, $PFR_{gov_{-}subs}$는 초기 투입된 주파수조정용 BESS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고 이를 주파수조정용 BESS의
유효용량지수으로 나타내어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로써 정량화한다. 이때, BESS의 유효용량지수가 1 이상의 비율로 도출되는 경우
유효한 대체효과라고 할 수 있다.
4.2 재생에너지 수용증대를 고려한 발전기 조속기응답량 산정
국내 전력계통에서는 최대 용량의 발전기 1기 고장 시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을 최소과도주파수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0.2 Hz 주파수 편차에 대한 주파수응답
예상량을 1차 예비력으로 확보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시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로 인해 주파수 감쇠 폭이 커지고
최소과도주파수는 N-1 상정고장에 대한 주파수제어 성능 유지기준인 59.7 Hz에 근접하여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파수조정용 BESS는 고유한
제어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외란 직후에 주파수편차가 작을 때에도 정격출력 수준의 응답을 제공하고 주파수편차가 0.2 Hz 보다 커지더라도 확보된 설비용량만큼
출력이 유지되는 반면, 조속기응답은 사전에 설정된 속도조정률 특성에 따라 주파수편차에 비례하는 응답을 유지하여 주파수편차가 0.2 Hz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는 발전기의 출력에 여유가 있다면 확보된 예비력 이상으로 응답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된 시점에서는 1차 예비력
서비스 자원 간 주파수제어 성능 기여도 비교 시에 현행 예비력 확보규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속도조정률 특성에 따른 0.2 Hz 주파수편차에 대한 응답
예상량이 아닌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의 증대로 인해 상승한 주파수편차에 대한 응답예상량으로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정량화하는 것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응답 성능을 충분히 반영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즉,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에 따른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를 고려하지
않고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1차 예비려 확보기준인 0.2 Hz 주파수 편차에 대한 조속기응답 예상량으로 정량화하게 되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제어 성능 기여효과를 과소평가할 수 있으며, 과소평가된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응답 성능만큼 운영계획수립 시 계통의 유연성 확보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생에너지가 증대된 시점에서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Delta f_{nadir,\: b ase case}$에 대한 조속기응답 예상량으로 $PFR_{gov_{-}subs}$을
산정하여야 한다.
5. 사례연구
본 논문에서는 PSSⓇE로 구축된 ‘34년도 국내 계통계획 DB를 기반으로 미래 전력계통의 신재생발전원 출력수준에 따른 계통운전조건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앞서 4장에서 언급한 대체효과 정량화 방법을 기반으로 각 시나리오별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국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실제 운용현장에 적용된 제어알고리즘을 반영하여 구축한 PSSⓇE UDM을 모의에 활용함으로써 결과의 실용성을 제고하였다.
5.1 재생에너지 수용증대에 따른 계통운전조건 시나리오 설정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분석에 앞서 본 절에서는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수준에 따른 계통운전조건 시나리오 설정을 위해 국내
전력계통에서 2020년도에 운영된 태양광 및 풍력발전원의 설비용량 각각 13.6 GW, 1.4 GW에 대한 운전실적을 기반으로 그림 5와 같이 재생에너지 발전원 총 15 GW의 설비용량에 대한 춘·추기간 6개월간 시간대별 이용률을 분석하였다.
.
그림. 5. 2020년도 춘·추기간의 시간대별 재생에너지 이용률
Fig. 5. Renewable Energy Capacity Factor by time period during spring/autumn in Korean
power system in 2020
이력데이터 분석결과 재생에너지는 13시에 최대 81.7%의 이용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태양광 및 풍력발전원의 평균 이용률은
아래 그림 6과 같이 각각 57.1%, 20.8%로 확인되었다.
그림. 6. 2020년도 춘·추기간의 시간대별 PV 및 WTG 평균 이용률
Fig. 6. PV & WTG Average Capacity Factor by time period during spring/autumn in Korean
power system in 2020
이때, 태양광 및 풍력 발전원별로 도출된 평균 설비이용률을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수립된 2034년도 태양광 및 풍력발전원의 계획설비용량인 45.6
GW, 24.9 GW에 적용할 경우, ‘34년도 미래 전력계통에서 춘·추기간 중 설비이용률이 높은 시간대의 재생에너지 출력은 평균적으로 31.2 GW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절에서는 국내 춘·추기간의 peak 부하 시 전력수요를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출력 수준에 따른 계통운전조건 시나리오를 표 3과 같이 구성하였다.
표 3.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에 따른 계통운전조건 시나리오
Table 3. Operating condition scenarios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cenario
|
RES
Output Power
(GW)
|
Inertial Energy
(GWs)
|
Demand
(GW)
|
#1
|
19.2
|
349.1
|
79.2
|
#2
|
23.5
|
328.1
|
#3
|
27.5
|
308.7
|
#4
|
31.2
|
272.6
|
계통운전조건은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에 따라 총 4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특히 시나리오 4에서는 앞서 도출된 31.2 GW의 재생에너지 출력
조건을 가정하였다. 시나리오 구성 중 재생에너지의 출력 증대 시에는 동기발전원의 급전 제외로 인해 발전기 관성에너지 확보량이 감소하였으며, 주파수조정용
BESS와 발전기 조속기 간의 성능 차이를 명확히 비교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주파수조정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5.2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분석
본 절에서는 제안된 정량화 방법을 적용하여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수준별로 구분된 4가지 시나리오를 Base Case로 설정하고 국내 전력계통에
기설치된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정량화하였다.
먼저, 시나리오별 Base Case에서 1,520 MW 발전기 탈락 시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을 살펴보면 그림 7과 같다.
그림. 7. (Base Case) N-1 상정고장 시 시나리오별 계통주파수
Fig. 7. (Base Case) System frequency for each scenario in N-1 contingency
위 그림 7과 같이 재생에너지의 출력 비중이 높을수록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로 인해 발전기 탈락 시 $f_{nadir,\: b ase case}$는 점차
감소하고 $\Delta f_{nadir,\: b ase case}$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재생에너지 출력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4에서
$f_{nadir,\: b ase case}$와 $\Delta f_{nadir,\: b ase case}$는 각각 59.716 Hz, 0.284 Hz로
도출되어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된 국내 전력계통의 N-1 상정고장 시 최소과도주파수는 계통주파수 유지기준인 59.7 Hz에 근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조건에서 제안된 정량화 방법을 기반으로 분석된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시나리오별 FR-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분석결과
Table 4. Analysis result of PFR substitution effect by FR-BESS for each scenario
Index
|
Scenario #1
|
Scenario #2
|
Scenario #3
|
Scenario #4
|
Generator Trip
(MW)
|
1,520
|
$f_{nadir,\: b ase case}$
(Hz)
|
59.733
|
59.725
|
59.721
|
59.716
|
$\Delta f_{nadir,\: b ase case}$
(Hz)
|
0.267
|
0.275
|
0.279
|
0.284
|
$PFR_{gov_{-}subs}$
(MW)
|
498.0
|
512.9
|
520.3
|
529.7
|
BESS capacity
(MW)
|
336
|
FR-BESS
Effective Factor
|
1.482
|
1.526
|
1.549
|
1.576
|
위 표 4에서 정리된 바와 같이 총 336 MW의 주파수조정용 BESS에 대한 $PFR_{gov_{-}subs}$는 시나리오별로 각각 498.0, 512.9,
520.3, 529.7 MW로 산정되었으며, $PFR_{gov_{-}subs}$을 주파수조정용 BESS의 투입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 주파수조정용
BESS 1MW 투입 시 대체 가능한 조속기응답량을 유효용량지수로 환산함으로써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정량화하였다. 이때,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결과를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수준에 따라 나타내면 아래 그림 8과 같다.
그림. 8. 재생에너지 출력 수준에 따른 FR-BESS의 유효용량지수
Fig. 8. Effective factor of FR-BESS by RES output power
주파수조정용 BESS의 유효용량지수는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수준에 따라 1.482~1.576 사이에서 도출되었으며 검토된 시나리오 모두 1 이상의
값으로 산정되어 주파수조정용 BESS의 주파수응답 성능이 조속기응답 대비 우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가할수록 유효용량지수는
증가하였는데, 이는 계통 내 확보된 관성에너지가 낮을수록 주파수조정용 BESS의 빠른 주파수응답 성능이 급격한 주파수 하락에 크게 기여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 시에는 논문에서 제안된 정량화 방법을 통해 1차 예비력 구성 자원간 성능을 비교하고 필요한 1차 예비력량의
구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실효적인 운영예비력 운영을 위한 방법일 것으로 판단된다.
6. 결 론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국내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이 더욱 가속화되는 만큼 빠른 주파수응답 자원인 주파수조정용 BESS를 통한 주파수제어
성능 확보는 안정적인 계통운영에 중요한 요소이다. 다만, 국내 전력계통에서 주파수조정용 BESS는 기존 발전기 조속기와의 조합을 통해 1차 예비력으로써
운영되고 있음에 따라 주파수조정용 BESS를 실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1차 예비력 확보자원 간의 정량적인 성능 비교가 수행되어야 하며, 특히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된 계통에서는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 정량화 시 계통의 주파수제어 성능저하를 고려하여 조속기응답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된 조건에서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를 조속기응답 용량으로써
정량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에 따른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제안된 정량화 방법을 적용하여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수준별 BESS 단위용량당 대체 가능한 조속기응답량을 산정하여 정량화하였으며, 조속기응답 대비 주파수조정용 BESS의 1차 예비력 기여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증대됨에 따라 BESS의 1차 예비력 대체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재생에너지 수용용량이 급증된 전력계통의 운전조건 속에서는 BESS의 빠른 주파수응답을 통한 주파수 안정도 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BESS와 조속기응답의 조합으로 1차 예비력을 확보하여 주파수제어 성능을 확보하는 현행 운영예비력 운영체계에서는 더욱이 BESS의 1차 예비력 기여도를
조속기응답 용량으로 정량화하여 관리되어야 하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정량화 방법이 국내 전력계통의 운영예비력 최적 구성 운영에 있어 참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partially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OTI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id Code and Power Market System for Renewable Energy Expansion, 20193710100061)
References
Department of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Republic of Korea),
Dec. 2020., 2050 Carbon Neutral Scenario
Department of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Republic of Korea),
Dec. 2020., 9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 and Demand
F. Milano, F. Dörfler, G. Hug, D. J. Hill, G. Verbič, Aug 2018, Foundations and challenges
of low-inertia systems (Invited Paper), Power Systems Computation Conference (PSCC)
Korea Power Exchange (KPX), , Korean Electricity Market Operation Rules, Jun. 2022.
L. Meng, Mar 2020, Fast frequency response from energy storage systems—a review of
grid standards, projects and technical issues, in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1, No. 2, pp. 1566-1581
National Grid, Mar. 2016., Enhanced frequency response
B. Mantar Gundogdu, S. Nejad, D. T. Gladwin, M. P. Foster, D. A. Stone, Dec 2018,
A battery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UK enhanced frequency response and triad
avoidance,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5, No. 12, pp. 9509-9517
P. Du, N. V. Mago, W. Li, S. Sharma, Q. Hu, T. Ding, Sep 2020, New Ancillary Service
Market for ERCOT, in IEEE Access, Vol. 8, pp. 178391-178401
M. Garcia, R. Baldick, Jan 2022, Requirements for interdependent reserve types providing
primary frequency control,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7, No. 1,
pp. 51-64
Korea Power Exchange (KPX), Jul. 2022., Detailed Operating Regulations for System
Evaluation
Department of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Republic of Korea),
May. 2022., Power System Reliability and Electricity Quality Maintenance Standards
Hyeon Ok Lim, Woo Yeong Choi, Han Na Gwon, Kyung Soo Kook, Nov 2017, Effective Capacity
Calculation of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providing the Primary Frequency Control
Service based on the Contribution to the Frequency Response of Power Systems, in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1, pp. 1561-1567
Woo Yeong Choi, Kyung Soo Kook, Garam Yu, Oct 2020, Control Strategy of BESS for Providing
Both Virtual Inertia and Primary Frequency Response in the Korean Power System, in
Energies, Vol. 12, No. 21, pp. 4060
H. Jun Bum, Y. Garam Yu, Kyung Soo Kook, Byung Hoon Chang, Apr 2013,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Dynamic Control Mode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
Power Systems, in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4, pp. 444-450
Garam Yu, N. Tea-Kyun, C. Sang-Min, K. Jong-Hyuk, K. Jong-An, K. Yu-Won, Apr 2022,
A study on Operation Strategy Improvement and Standards Revision about FR-ESS, KIEE.
Conf, pp. 123-124
Jun Yeong Yun, Garam Yu, Kyung Soo Kook, Do Hwan Rho, Byung Hoon Chang, May 2014,
SOC-based Control Strategy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Power System Frequency
Regulation, in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5, pp. 622-628
2013, PSS®E 33.4 Program Operation Manual, Siemens Power Technologies
2013, PSS®E 33.4 Program Application Guide volume 2, Siemens Power Technologies
저자소개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in 2021.
He is currently a M.S. student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Frequency control, Renewable
Energy Source,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His e-mail address is syh4671@jbnu.ac.kr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M.S. student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Renewable Energy Source, and
Power System Inertia.
His e-mail address is wwep123@jbnu. ac.kr
S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in 2021.
She is currently a M.S. student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Automatic Generation Control,
and Renewable Energy Source.
Her e-mail address is young1001 @jbnu.ac.kr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in 1996 and 1998, respectively.
He obtained a Ph.D. degree in the same field from the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Virginia Tech.), USA, in 2007.
From 1998 to 2004 he was with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s a senior
researcher.
From 2007 to 2010, he was with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as a senior project
engineer.
In May 2010, he joined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s a faculty memb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Operations and Controls, Renewable Energy
Sources, Smart Grid, and Energy Storage Systems.
His e-mail address is kskook@jb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