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일
(Seongil Kim)
†iD
박영호
(Young-Ho Park)
1
-
(Dept. of Power System Research, Hyundai Electric & Energy Systems, Seongnam,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Filter banks, Harmonics, Power quality, Transient recovery voltage, Ungrounded system
1. 서 론
산업용 전력계통은 모터 구동용 인버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전기 아크로 등 다양한 비선형 부하를 포함하고 있다. 선형 부하와 달리, 비선형 부하는
전원 주파수 외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전류를 계통에 흐르게 한다. 즉, 전원 주파수인 기본파 전류 성분과 2차 이상의 고조파 전류를 비선형 부하가
소비한다. 최종적으로는 계통 용량과 고조파 전류의 곱에 해당하는 고조파 전압을 발생시켜 전압 왜형(또는 왜곡)을 초래한다. 규격에서는 기본파 전압
실효값에 대한 전체 고조파 전압 실효값 비율을 종합 고조파 왜형률로 정의하고, 그 값의 제한치를 설정하여 계통 연계점에 고조파 왜형률을 관리한다(2).
대표적인 비선형 부하인 전기 아크로는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 에너지로 철을 녹인다. 이때 전기 아크로는 무효전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다수의 저차 고조파 전류를 전력계통에 공급한다. 이는 전압강하와 고조파 같은 전력품질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전기 아크로를 포함하는 전력계통은 대용량의
필터뱅크를 반드시 포함한다. 전기 아크로와 필터뱅크는 그림 1과 같이 싸이리스터 구동 리액터(TCR: Thyristor-
그림. 1. 전기 아크로 전력계통 단선도[3]
Fig. 1. Single line diagram of electric arc furnace[3]
Controlled Reactor)와 병렬로 연결된 여러 차수의 단일동조 고조파 필터뱅크로 구성된다. TCR은 전기 아크로가 운전하기 전에 필터뱅크가
공급하는 무효전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TCR이 가장 먼저 가압된 상태에서 저차부터 고차 순으로 고조파 필터뱅크를 연계한다. 마지막으로 전기 아크로가
가동되고, 이와 동시에 TCR이 정지된다. 계통 정지는 이와 역순이다. 전기 아크로 정지와 TCR 운전이 동시에 이뤄지며, 고차부터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가
개방된다. 최종적으로 TCR이 개방되면, 전체 시스템 정지가 가능하다.
단일동조 고조파 필터뱅크는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가 직렬로 연계된 구성을 갖는다. 이들 파라미터는 선행된 고조파 해석을 통해 결정된 유효 필터뱅크 용량($Q_{EF}$)과
동조 고조파 차수($h_{F}$)를 기반으로 결정한다. 동일한 용량의 필터뱅크에 대해, 동조 고조파 차수가 높을수록 인덕턴스 값이 작아지고 차수가
낮을수록 인덕턴스 값이 커진다. 이 값이 중요한 이유는 필터뱅크를 구성하는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 비에 따라 필터뱅크의 과도 개폐특성이 명백하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고차 고조파 필터뱅크는 필터뱅크 병렬 연계 시 높은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 백투백 돌입전류가 발생(전극 손상 가능성 증가)한다.
이에 반해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는 백투백 돌입전류 영향은 적으나 회로 차단 시 차단기 양극에 높은 과도회복전압(TRV: Transient Recovery
Voltage)이 발생(재점호 과전압 발생 가능성 증가)한다(4).
이 논문은 필터뱅크를 포함하는 전력계통 설계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먼저 단일동조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 개방 시 높은 과도회복전압이 발생하는 이론적
원리와 전자계 과도현상 해석 결과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실제 전기 아크로 전력계통에 적용된 2차 고조파 필터뱅크(30 MVar, 33 kV)를 대상으로
과도회복전압 현장 측정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차단기 극간에 약 92 kV 수준의 매우 높은 과도회복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IEC
시험 기준이 실제 고조파 필터뱅크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에 대해 논의했다.
2. 단일동조 고조파 필터뱅크
수동형 필터뱅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동조 필터뱅크: 단일동조, 이중동조, 삼중동조
● 감쇄 필터뱅크: C타입, 일차 감쇄, 이차 감쇄, 삼차 감쇄
● 비동조 필터뱅크
C타입 필터뱅크는 다수의 고조파를 저감하는 광대역 필터이며, 초고압 직류송전(HVDC: High-Voltage Direct Current)에 주로
활용된다(5). 비동조 필터뱅크는 대용량 유도기(또는 다수의 소용량 유도기)가 설치된 계통에 역률 보상 목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캐패시턴스 용량의 6%를
갖는 인덕터(약 4차 고조파)를 설치한다(6).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단일동조 고조파 필터뱅크는 특정 주파수에 동조하도록 설계되며, 동조 차수에 대해서만 고조파를 저감하는 협대역 필터이다.
2.1 고조파 필터뱅크 설계
단일동조 고조파 필터뱅크 설계를 위해서는 필터뱅크의 유효 용량($Q_{EF}$)을 설정해야 한다. 이는 전기 아크로의 고조파 분석을 통해 선정된 고조파
차수별 보상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값이 결정되면 계통 선간전압($V_{LL}$)과의 관계식 (1)에 따라 필터뱅크 유효 리액턴스($X_{F}$)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은 동조 고조파 차수($h_{F}$)와 식(2)~(5)에 따라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리액턴스와 무효전력을 각각 계산한다.
여기서, $X_{C}$와 $Q_{C}$는 캐패시턴스의 리액턴스와 무효전력이며, $X_{L}$과 $Q_{L}$은 인덕턴스의 리액턴스와 무효전력이다.
식(1)~(5)를 활용하여 30 MVar, 33 kV 2차 고조파 필터뱅크 파라미터를 계산하면 표 1과 같다. 동조 고조파 차수는 과도한 공진 에너지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제로는 자연수 배수보다 약간 작은 값을 적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 고
표 1. 2차 고조파 필터뱅크 파라미터
Table 1. Parameters for second-order harmonic filter banks
Parameter
|
Unit
|
Value
|
$f_{SYS}$
|
Hz
|
60
|
$V_{LL}$ ($V_{\ln}$)
|
kV
|
33.0 (19.1)
|
$Q_{EF}$
|
MVar
|
30.0
|
$X_{F}$
|
Ω
|
36.3
|
$X_{C}$ ($C_{F}$)
|
Ω (μH)
|
51.1 (52.0)
|
$X_{L}$ ($L_{F}$)
|
Ω (mH)
|
-14.8 (39.1)
|
$Q_{C}$
|
MVar
|
42.2
|
$Q_{L}$
|
MVar
|
-12.2
|
$h_{F}$
|
n
|
1.86
|
$V_{C}$
|
kV
|
37.9
|
$V_{L}$
|
kV
|
-11.0
|
조파 필터뱅크에 적용되는 고조파 차수로 1.86을 적용하였고, 이때 필터뱅크에 적용되는 캐패시턴스($C_{F}$)와 인덕턴스($L_{F}$)는 각각
52.0 μH와 39.1 mH이다. 필터뱅크 유효 용량은 인덕턴스가 무효전력 12.2 MVar를 흡수하기 때문에 캐패시턴스에서 이를 보상한 42.2
MVar를 공급하여 설계값 30 MVar를 만족한다.
필터뱅크 내부의 캐패시터 전압($V_{C}$)과 인덕턴스 전압($V_{L}$)은 식(6)과 (7)로 계산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인덕턴스에 의해 큰 전압강하(-11.0 kV)가 인덕턴스 양단에 발생한다. 계통의 상-대지 전압의 피크(26.9 kV,
$\sqrt{2}V_{\ln}$)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캐패시터 전압은 37.9 kV(= 26.9 kV + 11.0 kV)가 된다. 이 캐패시터
전압은 식(6)으로도 동일하게 계산되며, 계통 피크 전압 26.9 kV의 약 141% 수준이다.
2.2 결선 조건 및 캐패시터 구성
필터뱅크는 델타 결선, 중성점이 접지된 와이 결선, 중성점이 접지되지 않은 와이 결선으로 구성 가능하다. 델타 결선은 동일한 캐패시턴스 값으로 와이
결선 대비 3배의 무효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하지만 캐패시터 양단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이 결선은 저압 계통에서만 사용된다.
고압 계통에는 와이 결선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와이 결선의 중성점 접지 여부는 캐패시터 뱅크 보호와 연관이 있다. 높은 용량을 갖는 단일 인덕터
제작이 가능한 것과는 달리, 캐패시터 뱅크는 작은 용량의 캐패시터를 직병렬로 구성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캐패시턴스 값을 제공한다. 다수의 캐패시터가
연계되기 때문에 확률을 감안할 때 캐패시터에 고장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림. 2. 고압 필터뱅크의 캐패시터 구성
Fig. 2. Capacitor assembly for high-voltage filter banks
그림. 3. 3상 비접지 필터뱅크 등가회로
Fig. 3. Equivalent circuit of three-phase ungrounded filter banks
단위 캐패시터 고장을 빠르고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해 그림 2와 같이 대칭구조를 갖는 2개의 비접지 와이 결선 캐패시터 구성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구조는 와이 결선의 3상 캐패시터 뱅크의 용량을 절반씩
나누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한 후 중성점을 서로 연계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 모든 캐패시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중성점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만약 특정 캐패시터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캐패시터 회로가 단락되며, 설정치 이상의 순환전류가 중성점에서 계측된다. 즉, 고압 필터뱅크에 적용되는
캐패시터는 2개의 3상 캐패시터 중성점에 설치한 변류기 2차 전류 값으로 캐패시터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보호동작을 실시한다.
3. 과도회복전압 이론 및 해석
차단기를 개방할 때 개방 이전에는 전위차가 없다가 개방과 동시에 계통에 연계된 극에는 계통 전압이, 부하에 연계된 극에는 부하회로의 공진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이들의 전위차가 과도회복전압이며, 과도회복전압 크기와 급준도는 회로 차단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참고로 3.1절의 이론적 접근은
참고문헌 (7)의 3상 비접지 계통의 과도현상 이론을 기반으로 함을 밝힌다.
3.1 이론적 접근
3상 비접지 필터뱅크의 등가회로는 그림 3과 같다. 이 그림에서 필터뱅크 중성점 캐패시턴스($C_{n}$)는 필터뱅크 중성점과 접지 사이에 존재하는 누설 캐패시턴스이며, 차단기 이차측과 필터뱅크
사이에 위치한 캐패시턴스($C_{eq}$)는 주로 케이블의 상-대지 캐패시턴스이다.
정상상태에는 3상이 평형을 이루어 $C_{n}$의 전위가 거의 접지전위와 같다. 필터뱅크 계통 분리를 위해 차단기를 개방시키면 동일한 기계식 메커니즘에
의해 3상 차단기 모두 물리적으로 열리게 된다. 하지만 아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가 전류 영점을 맞는 상이 먼저 개방되고(아크가 소호되고)
나머지 두 상이 1/4 사이클 이후에 개방된다(접지 계통의 경우, 각
그림. 4. 1상 개방 후 등가회로
Fig. 4. Equivalent circuit of filter banks with current interruption in one phase
only
그림. 5. 3상 개방 후 등가회로
Fig. 5. Equivalent circuit of filter banks with current interruption in all three
phases
상이 1/3 사이클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그림 3에서 A상이 먼저 개방되었다 가정하면, 그림 4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이 회로는 필터뱅크의 중성점을 기준으로 A상의 필터뱅크 회로($L_{F}$, $C_{F}$)가 차단기 이차측에 연계되어 있고,
필터뱅크 중성점 캐패시턴스($C_{n}$)가 중성점과 접지 사이에 존재한다. 나머지 두 상의 필터뱅크 회로는 A상 차단기 일차측(접지점)에 병렬로
구성되어 인덕턴스는 절반이 되고 캐패시턴스는 2배가 된다. 이 등가회로에 나타낸 것처럼 A상 차단기만 개방된 경우에는 3상 불평형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캐패시터 전압의 약 50% 수준의 전압이 필터뱅크 중성점 캐패시턴스에 충전된다(7). 다시 말하면, 중성점 전위가 캐패시터 전압의 50% 수준으로 상승한다.
필터뱅크 내부의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의 공진현상이 없다고 가정하면(캐패시터 전압과 중성점 전위 상승만 고려하면), A상 차단기의 양극에 식(8)과 같은 과도회복전압이 형성된다.
표 1의 필터뱅크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면, 캐패시터 전압($V_{C}$)은 37.9 kV이고 상-대지 전압($V_{\ln}$)은 19.1 kV이므로, A상
차단기 양극의 과도회복전압($V_{A-A'}$)은 83.8 kV(정격전압의 약 3.1배)까지 상승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비접지 계통에서는 한 상이 먼저 개방되면 나머지 두 상의 전류가 180° 위상차(시간축을 기준으로 상호 반전)를 보인다. 결국
나머지 두 상의 전류 영점은 최초 한 상이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1/4 사이클에 이후에 발생하고 이때 차단기가 개방된다. 3상이 모두 개방되고 나면
회로가 다시 평형상태가 되며 각 상의 등가회로는 그림 5와 같이 된다.
결과적으로 필터뱅크 차단에 따른 과도회복전압은 2단계로 나눌 수 있다: 1/4 사이클 이전 – 한 상만 개방, 1/4 사이클 이후 – 3상 모두 개방.
식(8)의 과도회복전압은 필터뱅크 내부의 인덕턴스의 영향을 무시한 것으로 실제 과도회복전압은 이를 반영한 식(9)와 같다.
여기서, $I_{C}$와 $V_{I}$는 재단전류와 재단전류 과전압이다.
고압 계통에 널리 사용되는 진공차단기는 접점의 재질 특성에 따라 전류 영점이 아닌 특정 수준의 전류에서 회로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 전류를 재단전류라
한다(일반적인 진공차단기의 재단전류는 1~5 A 정도이다). 전류 영점이 아닌 지점에서 차단이 발생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전압 수준은 1/4 사이클
이전에는 그림 4의 회로를 간략화한 식(10)으로 계산 가능하며, 1/4 사이클 이후에는 그림 5의 회로를 간략화한 식(11)과 같다.
재단전류 5 A와 케이블 캐패시턴스($C_{eq}$) 100 nF을 가정하고 이들의 값을 식(11)에 대입하면, 재단전류 과전압은 3.1 kV이다. 앞서 식(8)에 따라 계산한 83.8 kV에 재단전류 과전압이 중첩된다면 식(9)의 과도회복전압은 최대 86.9 kV(정격전압의 3.2배)까지 상승할 수 있다.
과도회복전압 이론적 계산은 각 전압의 중첩과 케이블 캐패시턴스의 값을 가정한 것임을 강조한다. 실제로는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방전 저항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쇄되고, 재단전류가 5 A 보다 작은 경우 과도회복전압이 상기 계산 보다 작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케이블 캐패시턴스가 작고, 중성점
전위가 캐패시터 전압의 50%보다 더 높게 충전되고,재단전류가 더 커지는 경우, 과도회복전압이 계산값 보다 클 것이다.
3.2 전자계 과도현상 해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일동조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 해석 모델은 그림 6과 같으며, 각 회로의 파라미터는 표 1의 값을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계통의 단락용량은 1,000 MVA를 X/R비는 10을 각각 가정하여 계통 임피던스($R_{S}$, $L_{S}$)에
적용하였다(8). 차단기 2차측과 필터뱅크의 캐패시턴스($C_{eq}$)는 100 nF을 필터뱅크의 중성점 캐패시턴스($C_{n}$)는 1 nF을 각각 가정하였다.
짧은 해석 시간 간격($\triangle t$)으로 과도현상을 해석하는 알고리즘의 경우 인덕터와 캐패시터 개폐 해석에 실제로는 존재하지
그림. 6. 3상 비접지 필터뱅크 과도회복전압 해석 모델
Fig. 6. Schematic diagram for transient recovery voltage analysis in three-phase ungrounded
filter banks
않는 수치적인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덕터에 병렬로, 캐패시터에는 직렬로 가상의 저항을 설치하여 수치적인 진동을 방지한다(9). 이 값의 범위를 참고문헌 인용을 통해 IEC
그림. 7. 3상 비접지 필터뱅크 과도회복전압 해석 파형
Fig. 7. Waveforms of transient recovery voltage in three-phase ungrounded filter banks
그림. 8. 2차 고조파 필터뱅크 과도회복전압 현장 측정
Fig. 8. Field measurement on transient recovery voltage in second-order harmonic filter
banks
규격에서 식(12)와 같이 명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진동 방지 저항($R_{d}$) 50 kΩ을 상정하였다.
그림 7은 그림 6의 해석모델로 과도회복전압을 계산한 결과이며, 위에서 아래 순으로 차단기 과도회복전압, 차단기 전원측(1차측) 전압, 차단기 부하측(2차측) 전압,
A상 개방전압 비교이다. 가장 먼저 차단되고 과도회복전압이 가장 크게 발생한 A상을 기준으로 해석결과를 설명하면(그림 7의 가장 아래 파형을 보면), 먼저 A상 차단기가 개방된 후 나머지 두 상이 개방되기 전 1/4 사이클 동안 필터뱅크 중성점 캐패시턴스(Neutral
Voltage)에 23.2 kV(정격전압의 0.86배) 전압이 충전된다. 전원측 전압(Source Voltage)은 일정하지만 부하측 전압(Load
Voltage)은 표 1에 나타낸 캐패시터 전압($V_{C}$), 상승된 중성점 전위, 그림 4와 5에 나타낸 부하측 LC 공진회로 내부의 공진전압이 중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원측 전압이 음의 최댓값이 될 때(1.063초),
전원측 전압 -27.0 kV와 부하측 전압 +71.5 kV가 차단기 양단에 걸려 최대 과도회복전압 -98.5 kV(정격전압의 3.7배)가 발생한다.
4. 현장 측정
3장의 과도회복전압 이론과 해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산업용 전력계통에 적용된 30 MVar, 33kV 2차 고조파 필터뱅크의 과도회복전압 측정을
그림 8과 같이 실시하였다. 초고압 프로브(IWATSU HVP60) 3개를 부하측(차단기 2차)에 설치하고 차단기 개방 과전압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그림 9에 나타냈다. 정확한 과도회복전압 측정을 위해서는 계통측(차단기 1차)에도 측정을 실시해야 하나, 배전반 구조상 물리적 접근이 불가하여 부하측만 측정하였다.
그림 9는 3상 측정 결과 중 가장 먼저 차단되고 과도회복전압이 가장 크게 발생한 상의 과도회복전압을 보여준다. 회로가 차단된 0.16초 이전은 전원과 부하
전압이 동일하고, 차단 이후에는 부하측 전압만 측정되었다. 차단 이후에도 전원측 전압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과도회복전압을 추정하였다.
그림. 9. 2차 고조파 필터뱅크 과도회복전압 현장 측정 파형
Fig. 9. Measured waveform on transient recovery voltage in second-order harmonic filter
banks
표 2. S2 클래스 차단기의 IEC 과도회복전압 시험 기준[10]
Table 2. Standard values of prospective transient recovery voltage for class S2 circuit
breakers[10]
Rated voltage
(kV)
|
Test duty
|
TRV peak value
(kV)
|
24.0
|
T60
|
48.4
|
25.8
|
52.1
|
36
|
72.7
|
38
|
76.8
|
48.3
|
97.5
|
25
|
105.0
|
72.5
|
146.0
|
그림 9의 전원측 전압을 보면, 약 60° 위상 간격의 고조파 전압이 확인된다. 이는 그림 1의 TCR 스위칭에 의한 것으로, 나머지 두 상의 차단기 개방 시점을 1/4 사이클(90° 위상)이 아니라 1/6 사이클(60° 위상)로 앞당기는데
주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즉, 나머지 두 상의 차단이 실제 전류 영점이 아닌 고조파 전류 중첩에 의한 가상 전류 영점에서 발생(가상 전류재단,
virtual current chopping)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1/6 사이클에 매우 높은 과전압이 발생하였으나 측정기기의 과전압 측정 한계로
인해 최대 피크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차단기 개방 후 1/4 사이클 이내의 부하측 전압의 현장 측정 파형(그림 9)과 해석 파형(그림 7)은 많은 차이를 보인다. 현장 측정 파형에서는 차단기 극간 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차단 초기에 다수의 재발호(re-ignition) 전압이 확인된다.
이는 반해 그림 6의 해석 모델에는 재발호와 재점호(re-strike) 현상이 재현되지 않는 일반적 차단기를 적용했기 때문에 그림 7에는 재발호 전압이 보이지 않는다. 참고로 재발호는 1/4 사이클 이내에 차단기 양극 절연내력 보다 과도회복전압이 커서 순간적으로 아크가 생성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현상이며, 재점호는 1/4 사이클 이후 차단기 양극이 완전 개방되었음에도 접점 표면의 손상, 진공 내부 전하 분포, 정격
이상의 과도회복전압 등 이유로 극간에 아크가 생성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그림. 10. 필터뱅크용 2-pole 차단기[11]
Fig. 10. 2-pole circuit breaker for filter bank applications[11]
현장 측정결과, 3상 비접지 2차 고조파 필터뱅크의 최대 과도회복전압은 전원 전압이 최대가 되는 개방 후 1/2 사이클 후이며, 그 값은 91.6
kV(정격전압의 3.4배)이다.
S2 클래스 차단기의 IEC 과도회복전압 시험 기준은 표 2와 같다. 33 kV 필터뱅크에 적용 가능한 36 kV 정격 차단기의 과도회복전압 시험전압이 72.7 kV인 것을 고려하면, 실제 발생하는 과도회복전압이
시험전압 보다 약 20 kV 높다. 이는 33 kV 필터뱅크에 36 kV 정격 차단기를 적용할 경우, 회로 차단 시 재점호와 차단 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일동조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에는 전압사양이 높은 차단기 또는 그림 10과 같이 2개의 차단기가 직렬로 연결된 2-pole 차단기를 적용하는 것을 추천한다(12).
5. 결 론
본 논문은 단일동조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를 차단할 때 발생하는 매우 큰 과도회복전압을 기술하였고, 그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차 고조파
필터뱅크에는 낮은 동조 고조파 차수 만족을 위해 높은 인덕턴스가 적용되고 이로 인해 캐패시터 전압이 계통전압의 약 140% 수준까지 상승한다. 고압
계통에 적용되는 필터뱅크는 시스템보호를 위해 대칭 구조의 2중 비접지 와이 결선을 채용하고 있으며, 첫 번째 상이 개방되는 순간 회로 불평형에 의해
중성점 캐패시턴스에 높은 수준의 전압이 충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단기와 필터뱅크 사이의 캐패시턴스와 필터뱅크의 인덕턴스 사이의 LC 공진에
의한 과전압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3가지 과전압이 중첩되어 과도회복전압이 발생하고 이론적 계산, 전자계 과도현상 해석, 현장 측정을 실시한
결과 최대 과도회복전압은 각각 86.9 kV, 98.5 kV, 91.6 kV이다. 이들 모두 해당 계통전압에 적용되는 차단기의 IEC 과도회복전압
시험 기준을 크게 넘어서기 때문에 저차 고조파 필터뱅크 개폐에는 전압사양이 높은 차단기 또는 2-pole 차단기 적용을 추천한다.
References
S. Kim, B. C. Sung, Y. Park, W. Park, D. Lee, July 2022, Transient Characteristics
of Single-Tuned Low-Harmonic Filter Bank Switching, in KIEE Summer Conference 2022
1992, IEEE Recommended Practices and Requirements for Harmonic Control in Electrical
Power Systems, IEEE Std. 519-1992
Y. Varetsky, 2010, Transient overvoltages during filter circuit switching-off, 2010
Modern Electric Power Systems, pp. 1-4
2003, IEEE Guide for Application and Specification of Harmonic Filters, IEEE Std.
1531-2003
D. Jovcic, 2019,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Converters, Systems and
DC Grids, John Wiley & Sons
J. C. Das, 2015, Power System Harmonics and Passive Filter Designs, John Wiley & Sons
A. Greenwood, 1991, Electrical Transients in Power Systems, John Wiley & Sons
2001,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and Coordination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 IEEE Std. 242-2001
2004, Insulation co-ordination - Part 4: Computational guide to insulation co-ordination,
IEC TR 60071-4
2012, High-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 Part 100: Alternating- current circuit-breakers,
IEC 62271-100
S. Kim, J. Park, H. Park, R. Shin, S. Kim, C. Lee, Y. Park, 2020, Switchgear, Korean
Patent 10-2150429
2020, Shunt capacitor switching in distribution and transmiss- ion systems, CIGRE
Technical Brochure Ref. 817
저자소개
1980년 9월 26일생. 2005년 한양대 전자컴퓨터공학부 졸업(학사).
2007년 동 대학원 전자전기제어계측공학과 졸업(석사).
2020년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대학원 Energy 프로그램 졸업(박사).
현재 현대일렉트릭 전력시스템연구실 책임연구원.
1981년 5월 4일생. 2004년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졸업(학사).
2007년 서울대 전기공학부 졸업(석사).
현재 현대일렉트릭 전력시스템연구실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