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민
(Kyung-Min Lee)
1iD
박철원
(Chul-Won Park)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Deep Neural Network, PMU Big Data, State Identification Algorithm, Support Vector Machine, Variable Renewable Energy
1. 서 론
재생에너지 발전원은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기후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2050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하게 인식된다. 우리나라는 W/P (Wind
Power) 및 PV (Photovoltaic) 같은 변동성 재생에너지 (VRE : Variable Renewable Energy) 전력망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1,2). VRE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따른 계통연계 시 신뢰도 저하 및 비-동기성으로 인한 인버터 전원 비중의 증가는 전력망의 강건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는 VRE의 비중을 증가시키면서 발생하는 Weak Grid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3).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 (ESS)의 활용, 예비력 시장 도입 그리고 출력 제약 (Curtailment) 및 HVDC 연계선로 등
전력계통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기존의 전력망을 위하여 도입된 SCADA/EMS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Energy Management
System) 기반의 운영시스템은 데이터수집 샘플링이 4~5초당 1회로 낮고, 데이터의 시각 동기가 되지 않아서 수집된 데이터의 오차가 염려된다(4). 하지만, PMU (Phasor Measurement Unit)는 주기당 256회의 고속 샘플링 및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시각 동기화된 빅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는 VRE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SCADA/EMS보다 정교한 계통의 감시 및 분석을 할 수
있고, 더욱 풍부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적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5).
국내의 관련된 연구로는 PMU 설치를 통한 광역계통 감시 및 운영 시스템 (WAMS) 적용 및 PMU 빅 데이터를 활용한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반의 계통 고장 분류 모델 개발 연구(6,7), D-PMU (Distribution Phasor Measurement Unit)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DCGAN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반 이벤트 감지 기법(8), PMU 이용률 향상을 통한 WAMS의 감시영역 확장 및 전력계통 상황인지 기술이 개발되었다(9). 최근에는 DCGAN 기반의 D-PMU 데이터를 활용한 배전계통 발생이벤트 모델 개발(10), 테브난 임피던스 추정기법 연구(11), 통계기법 기반의 VRE와 연계된 변전소의 변동성 및 불확실성 해석(12) 등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해외에서는 최대 함량 에너지와 평균 에너지 함량의 제곱근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한 이벤트 감지 모델과 SVM (Support Vector Machine)과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을 활용한 배전계통 손상식별 모델이 제안되었고(13,14), 5가지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배전계통 고장분류 기법 및 비교(15) 등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최근에는 PMU의 불량 데이터와 고장데이터를 식별하는 UTCN-DAE (Univariate Temporal Convolutional
Denoising Autoencoder) 기반의 특징 추출 기법(16), PMU 빅 데이터를 활용한 SVM 기반의 전력계통 고장유형 분류 및 고장점 표정 분석법을 제안(17)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상기 연구들은 주로 배전망이 대상이며, 그 내용은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사용한 데이터의 불량 유무, 임피던스 추정, 이벤트
감지, 상황인지, 고장 유형 분류, 변동성 및 불확실성 해석 등에 대해 식별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최근 확대되고 있는 VRE 연계 전력망에 대한
해석이 부족하며,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VRE 연계 변전소에 적용하는 연구로서, 수집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DNN (Deep Neural Network) 및 SVM 기법을 기반으로 전력망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SCADA/EMS보다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는 PMU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VRE 전력망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DNN과 SVM 기법을
적용하고 비교한다. 먼저, VRE 전력망에 운용 중인 PMU로부터 실시간 PMU 빅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태 판별 알고리즘에 적용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조 기반 전처리를 수행한다. VRE 전력망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DNN 및 SVM을 이용하여 각각 설계한 후, Python 도구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끝으로 정상상태, 고장상태, 출력변동, 병입, 병해, 탭 상승, 탭 하강, 발전정지 등의 8가지 VRE 전력망 상태에 대해 제안된 두 기법의
상태 판별 성능을 비교한다.
2. 변전소의 PMU 빅 데이터 구조 및 전처리
WP가 연계된 00 S/S에 8개소, PV가 연계된 00 S/S에 5개소에 PMU와 F/R을 각각 설치하였다. 이 PMU 데이터는 PDC를 통해 수집되어
한전 강원본부에 보관되는데, RAW 데이터에서 CSV 파일 형식으로 빅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빅 데이터는 TimeTag, IDCode, Frequency,
DFrequency, Va, ∠Va, Vb, ∠Vb, Vc, ∠Vc, Ia, ∠Ia, Ib, ∠Ib, Ic, ∠Ic, P, Q, PF 및 DIModule
등으로 구성된다. 1개의 PMU는 주기당 1개의 표본을 기록하는데, 하루에 5,184,000개의 데이터, 1주일의 36,288,000개의 빅 데이터가
저장된다(1).
각 계통 상태의 이벤트 전후 20 cycle 씩, 총 40 cycle의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3상 전압 및 3상 전류를 한 행으로 240개 데이터가
된다. 즉, 데이터의 구조는 248 × 240인 2차원 배열로서 그림 1과 같이 전처리된 빅 데이터의 구조와 같다. X축은 3상 전압 120개, 3상 전류 120개, 계통 상태를 나타내는 Label 8개로 구성되어 총
248개이며, Y축은 정상상태, 고장상태, 출력변동, 병입, 병해, 탭 상승, 탭 강하, 발전정지 등의 VRE 전력망의 여러 가지 상태를 30개씩
포함한 240개가 된다. 데이터의 정규화를 통하여 0과 1 사이의 값으로 변환하여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그림. 1. 전처리된 데이터의 구조
Fig. 1. Structure of pre-processed data
3. DNN 및 SVM을 이용한 계통 상태 판별 기법
3.1 DNN
DNN은 다중의 은닉층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선형적 관계를 학습, 분류, 예측 등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DNN 모델은 5개의 층으로 구성하였다.
입력층의 뉴런은 240개이며, Gradient Vanish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ReLU (Rectified Linear Unit) 활성함수를
사용하였다. 은닉층은 3개로 구성되며 각각 120, 60, 30개의 뉴런으로 구성되며, ReLU 활성함수이다. 출력층은 8개의 뉴런으로 구성되어,
분류 작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Softmax 활성함수이다. Optimizer는 RMSprop 알고리즘과 Momentum이 결합되어 다중분류에 주로 사용되는
Adam, Loss는 MSE (Mean Square Error)를 사용하였다. 또한, 최적의 신경망을 찾기 위하여, 학습률을 조정하는 Learning
Rate Decay 기법을 사용하였다. 총 반복횟수는 10,000번이며, Overfitting을 피하기 위해 Early Stopping을 설정, 학습
정확도와 모델 검증 정확도를 비교하여 검증 정확도가 떨어지는 시점에서 학습을 종료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20).
3.2 SVM
SVM은 패턴 인식, 자료 분석을 위한 지도학습 모델이며, 주로 분류와 회귀 분석 등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필요한 분류는 선형으로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널 함수는 방사 기저 함수 (RBF : Radial Basis Function) 커널로 무한한 차원으로 변환 가능하며 gamma와
C값을 변경하며 최적의 커널을 찾아내어 사용하였다. gamma값은 결정경계의 굴곡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 범위를 나타내며, C값은 결정경계의 굴곡을
나타내며, C값이 클수록 굴곡지고, C값이 작아지면 직선에 가깝게 나타난다. 표 1은 gamma와 C에 따른 정확도를 나타낸다. 표 1에서 gamma값 1, C값 1에서 가장 낮은 0.30의 정확도, gamma값 10, C값 10에서 가장 높은 0.78의 정확도가 나타났다. gamma값과
C값이 클수록 정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SVM을 찾기 위하여,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gamma값 10과
C값 10을 사용하였다.
표 1. gamma와 C에 따른 정확도 결과
Table 1. Result of accuracy according to gamma and C
gamma
C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
|
0.30
|
0.40
|
0.42
|
0.44
|
0.48
|
0.45
|
0.45
|
0.48
|
0.51
|
0.53
|
2
|
0.42
|
0.45
|
0.46
|
0.46
|
0.51
|
0.56
|
0.59
|
0.60
|
0.59
|
0.59
|
3
|
0.44
|
0.46
|
0.50
|
0.57
|
0.60
|
0.61
|
0.62
|
0.62
|
0.62
|
0.62
|
4
|
0.49
|
0.49
|
0.60
|
0.60
|
0.62
|
0.66
|
0.65
|
0.66
|
0.66
|
0.66
|
5
|
0.49
|
0.50
|
0.60
|
0.64
|
0.65
|
0.66
|
0.66
|
0.68
|
0.68
|
0.68
|
6
|
0.49
|
0.57
|
0.62
|
0.65
|
0.65
|
0.66
|
0.68
|
0.69
|
0.69
|
0.70
|
7
|
0.49
|
0.60
|
0.65
|
0.65
|
0.65
|
0.68
|
0.69
|
0.69
|
0.70
|
0.71
|
8
|
0.50
|
0.62
|
0.65
|
0.65
|
0.65
|
0.69
|
0.69
|
0.70
|
0.74
|
0.74
|
9
|
0.50
|
0.62
|
0.66
|
0.65
|
0.66
|
0.69
|
0.70
|
0.74
|
0.74
|
0.76
|
10
|
0.53
|
0.62
|
0.65
|
0.65
|
0.68
|
0.71
|
0.74
|
0.74
|
0.78
|
0.78
|
3.3 계통 상태 판별 기법
DNN 및 SVM을 이용하여 정상상태, 고장상태, 출력변동, 병입, 병해, 탭 상승, 탭 하강, 발전정지 등의 8가지 VRE 전력망의 상태에 대해
분류 신경망을 설계하였다. 그림 2는 계통 상태 판별 기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PMU 빅 데이터를 수집한 후, DNN 및 SVM 학습에 적합한 전처리 및 정규화를 진행한다. 전처리
및 정규화가 완료된 빅 데이터를 통해 학습데이터 (248×240)와 검증에 사용할 시험데이터 (248×80)로 나누어 구축한다. DNN 모델을 생성하고
학습데이터를 지도학습 시킨다. 지도학습이 완료된 최적 DNN 모델을 생성하면 시험데이터를 통하여 최종적인 모델을 검증한다. 또한, SVM 모델을 생성하고
학습데이터를 학습시킨다. 학습이 완료된 최적 SVM 모델을 생성하면 시험데이터를 통하여 최종적인 모델을 검증한다. 두 DNN 모델 및 SVM 모델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VRE 전력망의 상태 판별을 진행한다. 이후 새로운 PMU 빅 데이터가 들어왔을 경우, VRE 전력망의 상태 판별을 통해 총 8가지로
분류하게 된다.
4. 구현 및 성능 비교
4.1 구현
제안된 두 기법은 Python 도구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DNN은 Tensorflow 라이브러리를, SVM은 Scikit-learn 라이브러리를
각각 사용하였다. 각 모델의 학습은 i7-10700, 2.90GHz, 32GB RAM이 장착된 컴퓨터에서 수행되었다. 그림 3은 DNN 모델의 구조를 나타낸다. Tensorflow의 sequential 모델을 이용하여 5개의 레이어로 구성하였으며, dropout을 통하여
과적합에 내성이 있는 모델을 생성하였다. 하나의 레이어는 dense 함수와 dropout 함수로 조합되어 구성하였다.
그림. 2. 계통 상태 판별 기법의 개략도
Fig. 2. Diagram of State Identification
그림. 3. DNN 모델의 구조
Fig. 3. Structure of DNN model
제안된 모델의 성능 (Precision), 재현율 (Recall), F1-Score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TP (true positive)는 실제로
positive인데 예측도 positive로 잘된 경우를 나타내고, FN (false negative)는 실제로는 positive인데 예측은 negative로
잘못된 경우, FP (false positive)는 실제로는 negative인데 예측이 positive로 잘못된 경우, TN (true negative)는
실제로도 negative인데 예측도 negative로 잘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정확도는 식(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10).
정밀도와 재현율은
식(2),
식(3)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1-Score는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 평균값으로, 두 가지를 고려하는 지표이다.
식(4)와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최종 성능평가에 사용된다.
표 2는 DNN을 사용한 모델의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병입의 경우 F1-Score 1.00으로 잘 판별한 것을 볼 수 있으며, 탭 상승, 탭 하강에서
0.69, 0.50으로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정밀도, 재현율, F1-Score의 평균이 0.86으로 나타났다.
표 2. DNN을 사용한 모델의 성능평가 결과
Table 2.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DNN
|
Precision
|
Recall
|
F1-Score
|
정상상태
|
0.85
|
1.00
|
0.92
|
고장상태
|
0.83
|
0.83
|
0.83
|
출력변동
|
0.97
|
1.00
|
0.98
|
병입
|
1.00
|
1.00
|
1.00
|
병해
|
0.97
|
1.00
|
0.98
|
탭 상승
|
0.70
|
0.68
|
0.69
|
탭 하강
|
0.79
|
0.37
|
0.50
|
발전정지
|
0.75
|
1.00
|
0.86
|
평균
|
0.86
|
0.86
|
0.86
|
표 3은 SVM을 사용한 모델의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병입, 출력변동, 탭 상승에 대하여 각각 F1-Score 1.00, 0.95, 0.95로 잘
판별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정상상태에서 0.00으로 판별을 못하였다. 정밀도, 재현율, F1-Score의 평균이 각각 0.69, 0.77, 0.73으로
나타났다. 학습데이터 양이 작을 경우에는 (240×80) F1-Score의 평균이 0.95이상으로 나타났으나, 학습데이터가 많아질수록 F1-Score의
평균이 작아지고, 정확도가 떨어졌다.
표 3. SVM을 사용한 모델의 성능평가 결과
Table 3.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SVM
|
Precision
|
Recall
|
F1-Score
|
정상상태
|
0.00
|
0.00
|
0.00
|
고장상태
|
0.69
|
0.90
|
0.78
|
출력변동
|
0.91
|
1.00
|
0.95
|
병입
|
1.00
|
1.00
|
1.00
|
병해
|
0.89
|
0.80
|
0.84
|
탭 상승
|
0.91
|
1.00
|
0.95
|
탭 하강
|
0.42
|
0.50
|
0.45
|
발전정지
|
0.71
|
1.00
|
0.83
|
평균
|
0.69
|
0.77
|
0.73
|
4.2 성능 비교
그림 4는 DNN을 사용한 모델의 혼동 행렬 (Confusion matrix)를 나타낸다. 그림 4와 같이, 정상상태, 출력변동, 병입, 병해, 발전정지에서 모두 100%의 정확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고장상태를 고장상태로 분류한 경우는 83.3%이며,
고장상태를 정상상태로 분류한 경우가 10%, 고장상태를 발전정지상태로 분류한 경우가 6.7%이었다. 또한, 탭 상승을 정확하게 탭 상승으로 분류한
경우는 67.7%이며, 탭 상승을 고장상태, 출력변동으로 분류한 경우가 3.2%, 탭 상승을 탭 하강으로 분류한 경우가 9.7%, 탭 상승을 발전정지로
분류한 경우가 16.1%이었다. 또한, 탭 하강을 정확하게 탭 하강으로 분류한 경우는 36.7%이며, 탭 하강을 탭 상승으로 분류한 경우가 30%,
탭 하강을 정상상태로 분류한 경우가 6.7%, 고장상태로 분류한 경우가 13.3%, 발전정지로 분류한 경우가 10%이었다.
그림. 4. DNN을 사용한 모델의 혼동 행렬
Fig. 4. Confusion matrix of model using DNN
그림 5는 SVM을 사용한 모델의 혼동 행렬을 나타낸다.
그림 5와 같이, 출력변동, 병입, 탭 상승, 발전정지에서 모두 100%의 정확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정상상태를 정상상태로 분류한 경우는 0%이며,
정상상태를 고장상태로 분류한 경우가 30%, 탭 하강으로 분류한 경우가 70%이었다. 고장상태를 고장상태로 정확하게 분류한 경우는 90%이며, 발전정지로
분류한 경우가 10%이었다. 병해를 병해로 정확하게 분류한 경우는 80%이며, 발전정지로 분류한 경우가 10%이었다. 또한, 탭 하강을 탭 하강으로
정확하게 분류한 경우는 50%이며, 탭 하강을 고장상태, 출력변동, 병해, 탭 상승, 발전정지로 분류한 경우가 10%이었다.
그림. 5. SVM을 사용한 모델의 혼동 행렬
Fig. 5. Confusion matrix of model using SVM
표 4는 DNN 및 SVM 모델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두 기법을 비교한 결과, DNN을 사용한 모델의 정밀도는 0.86, SVM을 사용한 모델의
정밀도는 0.69로 DNN 모델의 정밀도가 0.17 높게 나타났다. DNN을 사용한 모델의 재현율는 0.86, SVM을 사용한 모델의 재현율는 0.77로
DNN 모델의 재현율이 0.09 높게 나타났다. 또한, DNN을 이용한 모델은 F1-Score가 0.86, SVM을 이용한 모델은 F1-Score가
0.73으로 DNN을 이용한 모델의 F1-Score가 0.13 높게 나타났다.
표 4. DNN 및 SVM 모델의 비교 결과
Table 4. Comparison result of DNN and SVM model
모델종류
|
Precision
|
Recall
|
F1-Score
|
Accuracy
|
DNN
|
0.86
|
0.86
|
0.86
|
86.9%
|
SVM
|
0.69
|
0.77
|
0.73
|
77.5%
|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PMU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VRE 전력망의 상태 판별을 DNN과 SVM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성능 비교 결과, DNN을 이용한
모델은 F1-Score가 0.86, SVM을 이용한 모델은 F1-Score가 0.73으로 DNN을 이용한 모델의 성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혼동 행렬을
확인하여도 DNN 모델의 정확도는 85.96%, SVM 모델의 정확도는 77.5%로 DNN 모델의 성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NN 모델의
경우는 학습하는데 시간이 약 10분이 소요되었으며, SVM 모델은 5초가 소요되었다. 속도 측면에서는 SVM 모델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DNN 모델의 경우도 학습을 완료한 이후 판별에서는 속도가 5초 이내로 나타났다. 따라서, VRE 전력망의 상태 판별을 위한 방법으로는 DNN 모델이
훨씬 높은 정확도로 상태 판별을 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여겨진다. 또한,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SVM의 정확도는 낮아지며, DNN의
정확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고장상태를 세분화하고, 상태 판별 요소를 추가하여 VRE 전력망의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References
S. Y. Lee, 2022, A Study on Strengthening and Promoting the National Carbon-Neutrality
Strategy, policy report, pp. 1-144
Korea Power Exchange, 2021 12, 2021 Global Power Technology Trend, report, pp. 1-607
J. B. Kwon, 2022 5, Technical challenges encountered in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ystems in Denmark, Seminar on how to establish re centered grid system for carbon
neutralty, pp. 1-42
A. G. Phadke, T. Bi, 2018 7, Phasor measurement units, WAMS, and their applications
in protection and control of power systems, Journal of Modern Power Systems and Clean
Energy, Vol. 6, No. 4, pp. 619-629
C. W. Park, 2019,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Analysis, and Control System
for New and Renewable Power Plants, KEPCO Fiel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inal
Report, pp. 1-451
S. B. Kang, S. H. You, 2019 7, Status of Power System Situation awareness Technology
Using AI and Big Data Based on PMU Data, 2019 KIEE Power System Research Group Summer
Conference, pp. 440-441
S. B. Kang, B. K. Ko, 2019 9,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Model of Power System
Fault by Using PMU Big-Dat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8, pp. 1079-1084
S. K. Yoon, J. H. Yang, 2020 10, Event Detection Method Based on DCGAN Using D-PMU
Data, 2020 KIEE Power System Research Group fall Conference, pp. 377-378
S. C. Nam, B. K. Ko, 2020 11, Development of Power System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11, pp. 1640-1648
S. K. Yoon, J. H. Yang, 2022 4, DCGAN based Event Detection Scheme Using D-PMU Data
in Distribution System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No. 4, pp. 555-565
D. B. Son, S. R. Kim, 2022 4, A study on Thevenin Impedance estimation method using
PMU, 2022 Power System Protection & Automation Research Group Spring Conference, pp.
107-108
K. M. Lee, C. W. Park, 2022 8, Statistical Analysis of Big Data Using Python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Journal of the KIIEE, Vol. 36, No. 8, pp. 26-32
N. Kishor, 2017 12, Event Detection and Its Signal Characterization in PMU Data Stream,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13, No. 6, pp. 3108-3117
I. Niazazari, H. Livani, 2017 7, Disruptive Event Classification using PMU Data in
Distribution Networks,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123, pp. 1-5
F. L. Grando, A. E. Lazzaretti, 2019 12, Fault Classifica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PMU Data and Machine Learning, 2019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System Application to Power Systems(ISAP), pp. 1-6
L. Xie, X. Zheng, 2021 2,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Based Synthetic PMU Data
Creation for Improved Event Classification, 2021 IEEE Open Access Journal of Power
and Energy, Vol. 8, pp. 68-76
R. Majumdar, A. Rai, 202112, Impact of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on PMU Based Grid
Event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Framework, 2021 9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s (ICPS), pp. 1-6
Z. Li, J. Zhao, 2022 2, A Power System Disturbance Classification Method Robust to
PMU Data Quality Issue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18, No.
1, pp. 130-142
S. Bodda, A. Thawait, 2022 6, Comparative Analysis of Deep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Power System Fault type Classification and Location Prediction, 2022
IEEE International IOT, Vol. electronics and mechatronics conference (iemtronics),
pp. 1-9
I. Goolfelllow, Y. Bengio, A. Courville, 2016, Deep Learning (Adaptive Computation
and Machine Learning series), MIT Press, pp. 1-800
저자소개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and 2017.
At present, he is working toward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Mr. Lee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IEE in 2020.
Tel :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point2529@naver.com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MVDC, Microgrid, Hyb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2020 and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Tel : 033-760-8786, 8796, 8200
Fax : 033-760-8781
E-mail : cwpark1@gw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