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ergy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Optimal capacity, Electrolyzer, Energy Storage System (ESS), Hydrogen, Multi Energy System (MES), Power-to-Gas (P2G)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대비 1.5℃ 이하로 제한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이 의무화되었다(1). 이에 따라 전력산업은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에 기반한 발전에서 풍력발전(WT, Wind Turbine), 태양광발전(PV, Photovoltaic) 등의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형태로 점차 변환하는 추세이다. 국내 재생에너지 중 핵심 발전설비는 WT과 PV이며 이러한 재생에너지는 기존 화석연료에 기반한 발전설비보다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불규칙한 기후 변화는 발전 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신재생발전의 출력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기후에 따른 급격한 발전 변화에 대한 관성이 낮으므로 계통 안정화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계통 운영 시, 신재생에너지 발전 출력이 전력 수요를 초과하여 잉여전력이 발생할 경우, 불가피하게 재생에너지의 출력을 제한(Curtailment)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출력 제한은 신재생에너지의 수용성을 저하하며, IPP(Independent Power Producer)의 편익구조의 불확실성을 가중하므로 최소화 되어야 한다. 잉여전력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출력을 저장 및 변환 하는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P2G(Power-to-Gas) 등의 기술이 국내외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ESS는 주파수조정(FR, Frequency Response) 보조서비스로 활용되기도 하며, FR용 ESS는 기준주파수에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계통주파수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2). 또한 ESS는 신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생에너지와 연계 운영된다. 그러나 ESS는 타 에너지저장기술에 비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3). 따라서 전기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양방향 변환, 저장하는 다종에너지시스템(MES, Multi Energy System)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이종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MES 중 P2G 기술은 전력을 가스(수소)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써 수전해장치 내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4). P2G 기술을 활용하는 수전해장치는 잉여전력을 전력의 형태로 저장하는 ESS보다 장기간 동안 에너지를 저장할 수있으며 설비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수전해장치는 순도 높은 수소 생산을 위해 수 분의 기동시간(start-up time)이 요구되어 ESS에 비해 전력 변동 주기가 길다(5). 따라서 신재생발전원의 잉여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운영하기 위해서는 ESS와 수전해장치를 연계 운영하여야 하며 경제성을 고려한 설비의 적절한 용량 산정이 필요하다.

표 1. 국내 수전해장치 연계 실증 대상 신재생 발전원 현황

Table 1. Status of empirical research of renewable power plant connected water electrolyzer in Korea

장소

발전원

수전해장치 용량 (MW)

일일 수소 생산량 (kg)

사업 시작

완공

참조

제주 상명풍력단지

풍력

0.26

35

2017

2021

[9]

나주 혁신산업단지

태양광

2

-

2019

2022

[9]

동해 그린수소실증단지

태양광

2

800

2019

2024

[10]

제주 행원풍력단지

풍력

3

200

2020

-

[9]

성남 정수장

수력

0.7

188

2021

2030

[11]

제주 동복-북촌풍력단지

풍력

12.5

2740

2022

2026

[9]

그림. 1. 수전해장치 연계 대상 신재생발전원의 시장 규모

Fig. 1. The market size of renewable power plant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1.png

문헌에 따르면 수전해장치의 연계 대상 발전으로 (6)은 PV를 활용하였으며 (7)은 WT을 활용하였다. 그림 1은 수전해장치 연계 대상 신재생발전원 중 PV, WT의 시장 점유율이 90% 이상 차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은 현재 국내에서 실증 중인 재생에너지 연계형 수전해장치의 현황을 보여주며, 수전해장치의 연계 대상으로 주로 WT, PV를 연계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수전해장치는 물과 전력을 입력자원으로 활용하며 수력, 조력 등의 물자원 에너지를 연계 대상 신재생발전으로 활용할 경우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추가적인 설비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물자원 에너지를 연계한 수전해장치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물자원을 이용한 발전설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수전해장치와 ESS를 연계한 모델 및 통합 운영 스케줄링을 제시한다. 또한 수전해장치의 목적에 따라 두 케이스로 구분하여 경제성 최적화를 통해 각 설비의 적절한 용량 산정 및 편익을 분석한다.

2. 소수력발전 연계 설비 모델링

2.1 기호 및 약어 정리

집합

$t\in T$ $\quad$ 시간 인덱스

$i\in I$ $\quad$주기 인덱스

파라미터

$P_{Hydro}^{t}$ $\quad$ 수전해장치 발전량 [kWh]

$C_{rate}$ $\quad$ ESS C-rate

$\eta_{ESS}$ $\quad$ ESS 효율

$S_{H_{2}}$ $\quad$수소 판매금액 (수소 station 금액) [KRW/kg]

$S_{SMP}^{t}$ $\quad$전력 판매금액 (SMP) [KRW/kWh]

$C_{Elz,\:c}$ $\quad$수전해장치 설비비용 [KRW/kW]

$C_{ESS,\:c}$ $\quad$ESS 설비비용 [KRW/kWh]

변수

$T_{on.\min}$ $\quad$최소 연속 동작 시간 [min]

$T_{on}^{i,\:t}$ $\quad$주기별 연속 동작 시간 [min]

$T_{off}^{i,\:t}$ $\quad$주기별 발전 유휴 시간 [min]

$P_{Elz}^{i,\:t}$ $\quad$수전해장치 입력전력 [kWh]

$P_{Elz,\:on}^{i,\:t}$ $\quad$수전해장치 on구간 입력전력 [kWh]

$P_{Elz,\:off}^{i,\:t}$ $\quad$수전해장치 off구간 입력전력 [kWh]

$P_{ESS,\:ch}^{t}$ $\quad$ESS 충전량 [kWh]

$P_{ESS,\:dch}^{t}$ $\quad$ESS 방전량 [kWh]

$P_{Sell}^{i,\:t}$ $\quad$잉여전력 판매량 [kWh]

$SOC^{i,\:t}$ $\quad$ESS 전력저장량 (SOC) [kWh]

$C_{Elz}$ $\quad$수전해장치 용량 [kW]

$C_{ESS}$ $\quad$ESS 용량 [kWh]

2.2 수력발전

수력발전은 규모에 따라 대수력과 소수력발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전력시장에서는 설비용량이 20MW를 초과하는 중앙급전발전기에 한해 전력 입찰에 참여할 수 있으며 급전지시를 따라 전력계통에 병입된다(12).

그림. 2. 수력발전(a)과 소수력발전(b) 발전출력 그래프

Fig. 2. The power of hydropower(a) and small hydropower(b)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2.png

따라서 그림 2(a)와 같이 일반적인 대수력발전은 입찰에 따라 간헐적인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소수력발전은 발전 목적이 인근지역에 대한 용수 공급임에 따라 그림 2(b)와 같이 발전 특성이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발전출력이 일정한 경우 출력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수전해장치의 입력전력을 산정할 수 있으며, 수전해장치의 입력전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차이의 변동은 ESS로 완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13). 그러나 발전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수전해장치의 동작 시간과 입력전력을 기준으로 ESS 용량 감소를 위한 수전해장치의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2.3 수전해장치

수전해장치의 동작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사항이 선행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최소 연속 동작 시간 ($T_{on.\min}$)

· 발전 유휴 기준 시간 ($T_{off}$)

2.3.1 최소 연속 동작 시간 ($T_{on.\min}$)

안정적인 소수력발전의 수전해 연계를 위해서 수전해장치는 소수력 발전의 출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그러나 수전해장치의 기동시간(start-up time) 및 빈번한 전원 투입에 따른 설비수명 단축을 고려할 시 수전해장치의 동작점(입력전력)을 발전출력에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소 연속 동작 시간을 설정하여 수전해장치의 동작점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한다.

2.3.2 발전 유휴 기준 시간 ($T_{off}$)

소수력발전의 발전량은 발전소의 발전 목적에 따라 인근지역의 용수공급에 의존한다. 따라서 소수력발전은 용수의 수요가 적은 시간에 발전하지 않으며 이 구간을 발전유휴 구간이라 한다. 발전 유휴 구간 동안 수전해장치를 동작하기 위해서는 수전해장치 입력을 위한 전력이 ESS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며 유휴 구간이 과하게 지속될 경우 ESS 용량이 과도하게 산정될 수 있다. 반면, ESS 용량 최소화를 위해 매 구간 수전해장치 동작을 중단할 경우 수전해장치의 재투입 시 필요한 기동시간만큼 수소 생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T_{off}$을 설정하여 발전 유휴 구간 동안의 수전해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2.3.3 수전해장치 모델링

소수력발전 출력 중 $T_{off}$을 초과하는 연속 유휴 구간을 수전해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수전해장치 off 구간으로 설정하며 이외의 구간을 on 구간으로 구성한다. 이 때, 한번의 on 구간과 off 구간을 1 cycle로 설정하여 각 cycle의 수전해장치 입력전력을 식(2)와 같이 나타낸다. 이 때 cycle 내 수전해장치가 on인 구간을 다시 여러 구간으로 분할하게 된다. 각 구간은 최소 연속 동작 시간을 만족하는 최적 동작시간으로 각 구간별로 다르게 산정된다. 이 때, ESS의 충전된 전력량과 소수력 발전량의 평균을 통해 수전해장치의 새로운 동작점을 식(3)과 같이 나타낸다. 식(4)는 수전해장치의 off 구간에서의 출력을 나타내며 cycle 별 off 구간의 길이는 다르게 산정된다.

(1)
$\underline P_{Elz}\le P_{Elz}^{i,\:t}\le\overline{P_{Elz}}$

(2)
$P_{Elz}^{i,\:t}=P_{Elz,\:on}^{i,\:t}+P_{Elz,\:off}^{i,\:t}$

(3)
$P_{Elz,\:on}^{i,\:t}=\dfrac{1}{T_{on}^{i}}(SOC^{t-1}+\sum_{t}^{t+T_{on}^{i,\:t}}P_{Hydro}^{t})$

(4)
$P_{Elz,\:off}^{i,\:t}=0(\sum_{t}^{t+T_{off}^{i,\:t}}P_{Hydro}^{t}=0)$

2.4 ESS 모델링

ESS는 잔존용량(SOC, State of Charge)을 통해 충전 스케줄링을 표현할 수 있다. 식(6)은 ESS의 SOC를 통해 충전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ESS의 효율이 고려된 충·방전전력의 합으로 SOC의 변화량이 결정된다. 식(7)-(8)은 ESS 충·방전 양의 제약조건을 나타내며, ESS의 용량과 C-rate를 곱한 값을 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C-rate는 배터리 충·방전 속도를 의미하며, 1C를 표준 값으로 적용한다. 식(9)-(12)은 대수($M$)을 통해 충·방전 전력을 이진변수인 보조변수로 나타낸다. 식(13)은 ESS의 충·방전 동시 불가제약을 의미한다. 식(14)는 일정 주기 $T_{d}$간격의 SOC의 초기화를 의미하며 $T_{d}$ 마다 SOC는 처음 상태의 SOC와 동일하게 산정된다.

(5)
$\underline SOC\le SOC^{t}\le\overline{SOC}$

(6)
$SOC^{i,\:t}=SOC^{i,\:t-1}+(P_{ESS,\:ch}^{i,\:t}·\eta_{ESS})-(P_{ESS,\:dch}^{i,\:t}/\eta_{ESS})$

(7)
$P_{ESS,\:ch}^{i,\:t}\le C_{ESS}· C_{rate}$

(8)
$P_{ESS,\:dch}^{i,\:t}\le C_{ESS}· C_{rate}$

(9)
$P_{ESS,\:ch}^{i,\:t}\le M ·\alpha_{ch}^{s,\:t}$

(10)
$P_{ESS,\:dch}^{i,\:t}\le M ·\alpha_{dch}^{s,\:t}$

(11)
$P_{ESS,\:ch}^{i,\:t}\ge\alpha_{ch}^{s,\:t}$

(12)
$P_{ESS,\:dch}^{i,\:t}\ge\alpha_{dch}^{s,\:t}$

(13)
$\alpha_{ch}^{s,\:t}+\alpha_{dch}^{s,\:t}\le 1$

(14)
$SOC^{i,\:t}=SOC^{i,\:t+T_{d}} \quad (t=0,\:2d,\: 3d,\:...)$

3. 수전해장치 및 ESS의 최적 용량 산정 및 경제성 평가

3.1 목적함수

소수력발전의 안정적인 수소 생산을 위해 수전해장치와 ESS를 연계할 경우 Power balance는 식(15)와 같이 수전해장치로 공급되는 전력과 ESS의 충·방전 전력 및 잉여전력 판매의 합으로 나타낸다. 이 때, 수전해장치와 ESS의 용량은 식(16), (17)과 같이 최적화 기법을 통해 산정된 스케줄링 중 수전해장치의 최대 발전량 및 최대 SOC로 각각 결정된다.

(15)
$P_{Hydro}^{i,\:t}=P_{Elz}^{i,\:t}+P_{ESS,\:ch}^{i,\:t}-P_{ESS,\:dch}^{i,\:t}+P_{Sell}^{i,\:t}$

(16)
$C_{Elz}=\max(P_{Elz}^{i,\:t})$

(17)
$C_{ESS}=\max(SOC^{i,\:t})$

수전해장치의 용량은 식(3)으로 인해 특정 용량에서 수렴하여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ESS 용량를 최소화하는 것이 운영 스케줄링의 목적이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목적함수는 식(18)과 같다.

(18)
$$ \left\{\begin{array}{l} \min (f)=\min \left(C_{E S S}\right) \\ \text { s.t } \\ \text { Electrolyzer : 식 }(1)-(4) \\ \text { ESS : 식 }(5)-(14) \\ \text { Power Balance : 식 }(15) \end{array}\right. $$

3.2 비용 편익 요소

경제성 분석은 비용과 편익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경제성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에서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것으로 수전해장치와 ESS를 연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가치로 환산하여 식(19)로 나타낼 수 있다(14). 식(20)은 수소 및 전력 판매에 따른 편익을 나타내며 식(21)은 설비 투자비용으로 수전해장치와 ESS의 용량을 각 설비비용을 곱한 값으로 나타낸다. 또한 수전해장치와 ESS의 설비 수명을 10년으로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기간 동안의 투자비용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19)
$NPV=B_{t}-C_{t}$

(20)
$B_{t}=\sum_{t=1}^{24\times d}P_{Elz}^{t}· S_{H_{2}}+\sum_{t=1}^{24\times d}P_{Sell}^{t}· S_{SMP}^{t}$

(21)
$C_{t}=C_{Elz}· C_{Elz,\:c}+C_{ESS}· C_{ESS,\:c}$

4. 사례연구

4.1 수전해장치 운영 목적에 따른 사례 구분

그림. 3. 수전해장치 운영 목적에 따른 사례 구분

Fig. 3. The cas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water electrolysis operation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3.png

소수력발전의 수전해장치 및 ESS 연계 시, cycle 내 충·방전시간의 비율에 따라 ESS의 용량이 과도하게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소수력 발전의 수전해 및 ESS 연계 운영방안을 제안한다. 그림 3은 수전해장치 운영 목적에 따른 사례 구분을 나타낸 그림이다.

표 2. 사례 비교 표

Table 2. The case comparison table

Case 1

Case 2

운영 목적

$\max(P_{Elz}/P_{Hydro})$

$\max(NPV)$

판매 방식

수소

수소 +전력(SMP)

표 2는 Case별 수전해장치의 운영 목적을 나타낸다. Case 1의 경우 신재생 발전원에서 생산되는 모든 전력을 수소로 변환하여 수소 생산율 최대화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ESS가 소수력발전의 변동성을 모두 보장하며 생산된 수소는 모두 수소 판매가격으로 판매된다. Case 2는 발전사업자의 수익성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ESS의 과도한 충·방전이 요구되는 구간에서 잉여전력을 전력계통과 전력거래를 함으로써 ESS의 용량이 과도하게 산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림. 4. 수전해장치 및 ESS 용량 산정 순서도

Fig. 4. The flow chart for water electrolyzer and ESS capacity assesment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4.png

그림 4는 수전해장치와 ESS의 최적 용량 산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2 공통 환경변수

본 논문에서는 2021년 국내 특정 소수력발전의 발전량을 기준으로 수전해장치 및 ESS의 스케줄링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전해장치와 ESS의 최적 용량을 산정하기 위해 혼합 정수 선형계획법(MILP,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으로 문제를 구성하였으며 Python의 CPLEX solver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석하였다.

표 3. 시뮬레이션 환경변수

Table 3. Simulation parameters

Parameter

Value

시뮬레이션 기간 [days]

7

$T_{on.\min}$ [min]

60

$T_{off}$ [min]

60

$S_{H_{2}}$ [KRW/kg]

8,000

$S_{SMP}^{t}$ [KRW/kWh]

62.03 – 84.76

$C_{Elz,\:c}$ [KRW/kW]

1,000,000

$C_{ESS,\:c}$ [KRW/kWh]

1,200,000

표 3은 문제에서 활용한 파라미터이며 최소 연속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최소 연속 동작 시간에 따른 최대 수소 생산율을 분석하였다.

그림 5는 최소 연속 동작 시간에 따른 최대 수소 생산율을 나타낸다. 분석 결과 수전해장치 용량에 상관없이 최소 연속 동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수소 생산 생산율은 계단식으로 감소하였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동일 구간 내

그림. 5. 최소 연속 동작 시간에 따른 최대 수소 생산율

Fig. 5. Maximum hydrogen production rate according to minimum continuous operating time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5.png

에서도 최소 연속 동작 시간에 따라 최대 수소 생산율은 변동하였으며 최소 연속 동작 시간을 만족하는 주기별 연속 동작 시간에 따라 수전해장치의 스케줄링이 변동되는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 가능 수소량의 최대량을 분석하기 위해 최소 연속 동작 시간을 60분으로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림. 6. 2021년 시뮬레이션 기간 내 SMP 추이

Fig. 6. The SMP trend in 2021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6.png

그림 6은 2021년 시뮬레이션 기간에 해당하는 구간의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 추이를 나타낸다. Case 2의 경우, ESS 용량 감소를 위해 발생하는 잉여전력을 해당시간의 SMP로 판매함으로써 NPV를 최대화한다.

4.3 Case 1 결과

그림. 7.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수소의 최대 생산 가능 비율

Fig. 7. The maximum ratio of hydrogen production to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electrolyzer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7.png

그림 7은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생산 가능한 수소의 최대 비율을 나타낸다. 최대 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ESS의 용량은 수전해장치와 동일한 용량으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전해장치 용량이 0에서 증가함에 따라 생산되는 수소량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250kW가 넘는 시점부터 최대 생산 가능비율은 99.99%로 수렴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분석 대상 수전해장치 용량의 범위를 250kW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8. Case 1: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ESS 용량 및 NPV 비교

Fig. 8. Case 1: ESS capacity and NPV graph by water electrolyzer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8.png

표 4. Case 1: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ESS 용량 및 NPV 비교 표

Table 4. Case 1: ESS capacity and NPV graph by water electrolyzer capacity

$C_{Elz}$ [kW]

250

255

260

265

270

275

280

285

290

$H_{2}$ 생산율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_{ESS}$ [kWh]

241.3

184.9

172.9

157.7

157.7

157.7

157.7

157.7

157.7

NPV

[$10^{3}$KRW/day]

882.9

920.0

935.3

938.4

937.7

936.3

934.6

933.5

932.0

그림 8표 4는 각 $C_{Elz}$에 따라 산정되는 $C_{ESS}$ 및 NPV를 나타낸다. 이 때 각 $C_{Elz}$별 $C_{ESS}$은 그림 6에서 각 $C_{Elz}$별 수소 생산율 최대(약 100%)를 만족하는 최소 $C_{ESS}$을 의미한다. 최적화 결과 $C_{Elz}$가 265kW일 때, 수소 생산 최대화를 위한 요구 $C_{ESS}$가 157.76kWh로 산정되었으며 $C_{Elz}$가 265kW를 초과할 때는 $C_{ESS}$가 증가하지 않고 157.76kWh로 수렴하였다. 또한, 경제성 분석 결과 $C_{Elz}$이 265kW일 때를 기준으로 $C_{Elz}$가 증가할수록 $C_{ESS}$는 수렴하므로 $C_{t}$가 증가하여 NPV는 감소한다. 따라서 $C_{Elz}$가 265kW, $C_{ESS}$가 157.7kWh 일 때, NPV는 938,487KRW/day로 최대가 된다. 만약, 소수력발전에서 생산된 전력을 모두 SMP로 판매하면 평균 352,099KRW/day의 수익이 발생한다. 이와 비교하여 결과적으로 수전해장치 및 ESS연계형 수소생산 방법에서 NPV가 더 높게 나타나며 수소 판매를 할 경우 수익성이 약 2.5배 정도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4.4 Case 2 결과

그림. 9. Case 2: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ESS 용량 및 NPV 비교

Fig. 9. Case 2: ESS capacity and NPV graph by water electrolyzer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3.72.2.176/fig9.png

표 5. Case 2: 수전해장치 용량에 따른 ESS 용량 및 NPV 비교 표

Table 5. Case 2: ESS capacity and NPV graph by water electrolyzer capacity

$C_{Elz}$ [kW]

250

255

260

265

270

275

280

285

290

$H_{2}$ 생산율

[%]

99.54

99.54

99.56

99.57

99.71

99.75

99.75

99.75

99.75

$C_{ESS}$ [kWh]

137.9

78.38

55.44

43.00

41.35

39.96

39.84

38.02

38.02

NPV

[$10^{3}$KRW/day]

923.3

939.7

944.8

946.8

943.8

942.2

940.7

939.7

938.2

그림 9표 5는 각 $C_{Elz}$별 NPV 최대화를 목적하는 Case 2의 $C_{ESS}$ 및 NPV를 나타낸다. NPV 최대화를 위해 요구되는 $C_{ESS}$는 각 $C_{Elz}$ 용량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다. 최적화 결과 $C_{Elz}$가 265kW 이상일 때 $C_{ESS}$의 변동폭이 5% 이내로 감소하며 285kW 이상인 지점부터 38.02kWh로 수렴한다. 또한, $C_{Elz}$가 증가할수록 $C_{t}$ 또한 증가함에 따라 NPV는 감소하며 $C_{Elz}$가 265kW, $C_{ESS}$가 43kWh 일 때, NPV는 946,867KRW/day로 최대가 된다. Case 2는 Case 1에 비해 전체적으로 수소 생산율이 약 0.2-0.5% 정도 감소하였으며 NPV는 약 0.01-0.05% 정도 증가하였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소수력발전에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수전해장치와 ESS를 연계하며 스케줄링을 도출하고 최적의 용량을 산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기존 전력 판매 대비 수익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전해장치와 ESS의 최적 용량 산정을 위해 MILP로 문제를 구성하였으며 Python의 CPLEX solver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석하였다.

Case 1, Case 2에서 산정된 NPV를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기존 전력판매의 NPV 대비 모두 약 2.5배 정도의 높은 가치로 평가되었다. 즉, 소수력발전 대상으로 수전해장치를 연계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전력을 판매하여 얻는 수익에 비해 더 경제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Case를 비교하였을 때, Case 2가 Case 1에 비해 NPV가 약 1-5% 더 높은 가치로 평가되었으며 발전량 중 일부를 전력시장에 판매하였을 때 더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7일간의 축소한 시계열 데이터를 기준으로 2021년의 수소판매가격 및 SMP를 고려하였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수소판매가격은 4,000KRW/kg 이하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NPV의 가치가 사업이 늦어질수록 초기 가치에 비해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유가변동에 따른 SMP가 급상승함에 따라 전력판매에 따른 판매수익이 기존 전력판매와 비교하여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수소판매가격 및 SMP, REC 등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수소판매가격 하락에 따른 그린수소 생산 확대를 독려하기 위해 그린수소 생산 및 판매에 따른 프리미엄 지원 등의 정책적 지원과 관련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KISTEP, 2021,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Trend Brief, Vol. 2021, No. 2Google Search
2 
Y. H. Lee, T. H. Sung, 2022, Economy Analysis and Optimized Capacity Evaluation of Photovoltaic-Related Energy Storag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ol. 25, No. 2, pp. 211-220DOI
3 
C. S. Kim, S. B. Choi, 2020, Profitability Analysis of ESS with PV Generation, Korea Photovoltaic Society, Vol. 8, No. 3, pp. 86-93DOI
4 
Y. G. Son, S. W. Hwang, H. J. Lee, S. Y. Kim, D. S. Kim, 2021, Optimal Operation of Standalone Microgrid Based on Wind Power Generation Linked to P2G Technology,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1, pp. 1662-1669Google Search
5 
Y. S. Kim, 2021, Water Electrolyzer Material and Parts Development Trends and Technology Application Plan for Green Hydrogen Production,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Vol. 7, No. 2Google Search
6 
Özgirgin Ekin, Devrim Yılser, Albostan Ayhan, 2015,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hybrid photovoltaic (PV) module- electrolyzer-PEM fuel cell system for micro-cogeneration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0, No. 44, pp. 15336-15342DOI
7 
A. Khalilnejad, G. H. Riahy, 2014, A hybrid wind-PV system performance investigation for the purpose of maximum hydrogen production and storage using advanced alkaline electrolyzer,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80, pp. 398-406DOI
8 
Markets and Markets, 2021, Green Hydrogen Market by TechnologyGoogle Search
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2, Korea’s first large-scale green hydrogen production project of 10MW, press releaseGoogle Search
10 
J. K. Sung, 2022, Gangwon-do Donghae and Samcheok, green hydrogen and liquefied hydrogen business sites, Monthly Hydrogen EconomyGoogle Search
11 
S. W. Park, 2022, Start of hydrogen production demonstration project using small hydropower, Monthly Hydrogen EconomyGoogle Search
12 
Electricity Market Rules, hapter 1, Section 1, Acticle 2, Definition of a term, [2001. 03. 30 Enactmant][2021. 12. 28. Partial Revision]Google Search
13 
S. R. Vosen, J. O. Keller, 1999, Hybrid energy storage systems for stand-alone electric power systems: optimization of system performance and cost through control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24, No. 12, pp. 1139-1156DOI
14 
KEEI, 2015, Economic Analysis and Policy Proposal of Energy Storage System, Energy Focus, Vol. 12, No. 4Google Search

저자소개

도경택(Gyeong-Taek Do)
../../Resources/kiee/KIEE.2023.72.2.176/au1.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ergy engineering from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in 2022.

He is currently pursuing his M.S. degree at Keimyung University.

김성열(Sung-Yul Kim)
../../Resources/kiee/KIEE.2023.72.2.176/au2.png

He received B.S and M.Phil.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7 and 2012, respectively.

From 2012 to 2013, he was a research assistant at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USA.

Since 2013,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ergy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Daegu, S.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computer aided optimization, renewable energy sources applied to smart grid, and integrated energy systems.

유승열(Seong-Yeol Yoo)
../../Resources/kiee/KIEE.2023.72.2.176/au3.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mechatronics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07 and 2012 respectively.

He was a researcher a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from 2012 to 2017.

He has been working a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 of Robot Engineering at Keimyung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FESS), magnetic levitation system, electric vessel, underwater walking ro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