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현일
                     (Hyun-Il Baek)
                     1iD
                     한상태
                     (Sang-Tae Han)
                     1iD
                     구경완
                     (Kyung Wan Koo)
                     †iD
               
                  - 
                           
                        (Dep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velopment factors of Military vehicles, Characteristics of Hybrid vehicle, HEV
             
            
          
         
            
                  1. 서 론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전략, 전술적 요인과 하이브리드 차량의 종류에 따른 기술, 경제, 환경적 요소를 관계형으로 정립해보고 군용 하이브리드
                  차량 최적합도록 접목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각종 종류별 효율, 특성을 선행논문과 다양한 학술적 자료로부터 충분하게 논의한 다음 획득한 자료를 정량화
                  또는 관계형 변수로 도입하고 하이브리드 차량의 특성과 효율을 분석한 결과를 <Fig. 1>과 같이 관계형으로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Fig, 1 Building relational 
                           
                        
                      
                  
               
               현재 군 차량의 전략적 상황, 전투의 시나리오, 군수물자의 흐름, 군 수송체계의 체계 등 군 체제의 극비에 대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되도록 다루지 않는다.
             
            
                  2.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연구
               
                     2.1 차량 수송에너지 기술 및 측정
                  우선 차량 수송에너지 기술과 측정 기술에서 거론되는 에너지원과 수송에너지 기술에서 End point 기술의 공통적 특징은 상당한 기술적, 조직적,
                     재정적 도전, 에너지 생성에 대한 대규모 기반 시설 체계가 필요하며 각 기술들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다음으로 자동차 성능측정의 기준은 자동차 성능측정의 요소로 운행 속도, 최고속도, 최고 등반 능력, 최대 가속도 등에 필요한 동력의 정도이다. 즉
                     견인력과 속도와의 관계는 견인력PTR, 공기밀도ρ, 차량 정면에서의 단면적AF, 공기저항계수CD, 차량속도V, 차량구름 저항 Cρ 이라면 식(1)과 같다. 
                  
                  
                     
                     
                     
                     
                     
                  
                  <Table 1>는 차량의 구동에너지를 통한 수송시스템의 에너지 앤드포인트 기술에 대한 발전과정이다.
                  
                  
                     
                     
                     
                     
                           
                           
Table 1 Endpoint technology for transport systems
                              
                           
                        
                        
                           
                           
                           
                                 
                                    
                                       | 
                                          
                                       			
                                        End point 
                                       			
                                     | 
                                    
                                          
                                       			
                                        명칭 
                                       			
                                     | 
                                    
                                          
                                       			
                                        내용 
                                       			
                                     | 
                                 
                                 
                                       | 
                                          
                                       			
                                        End point 1 
                                       			
                                     | 
                                    
                                          
                                       			
                                        Battery-전기 
                                       			
                                     | 
                                    
                                          
                                       			
                                        재충전 까지 전력으로 달리는 차량으로 공급되는 무탄소전력 
                                       			
                                     | 
                                 
                                 
                                       | 
                                          
                                       			
                                        End point 2 
                                       			
                                     | 
                                    
                                          
                                       			
                                        수소 
                                       			
                                     | 
                                    
                                          
                                       			
                                        재 충전까지 수소로 달리는 차량에 공급되는 무탄소수소 
                                       			
                                     | 
                                 
                                 
                                       | 
                                          
                                       			
                                        End point 3 
                                       			
                                     | 
                                    
                                          
                                       			
                                        지속 가능한 탄화수소 
                                       			
                                     | 
                                    
                                          
                                       			
                                        생물학적 과정을 사용하여 만든 석유 제품과 비슷한 탄화 수소연료 또는 독립된 과정에 의해 제거되는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 
                                 
                                 
                                       | 
                                          
                                       			
                                        End point 4 
                                       			
                                     | 
                                    
                                          
                                       			
                                        대체 가능한 차량내 에너지 저장소 
                                       			
                                     | 
                                    
                                          
                                       			
                                        재충전까지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이휠이나압축된 공기와 같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 들 
                                       			
                                     | 
                                 
                                 
                                       | 
                                          
                                       			
                                        End point 5 
                                       			
                                     | 
                                    
                                          
                                       			
                                        무궤도, 기계화된 차량 제거 
                                       			
                                     | 
                                    
                                          
                                       			
                                        모든 기계화된 차량은 전선을 통해 전력망에 연결, 무궤도 차량은 인력으로 작동 
                                       			
                                     | 
                                 
                              
                           
                        
                      
                     
                  
                  한편 군에서는 차량 개발 및 운용 시험 평가를 실시한다. 자체 테스트결과 조립된 소형전술차량 LTV의 성능은 엔진출력, 연비, 항속거리, 자동변속기,
                     등판능력 및 접근각, 가속능력, 독립현가장치, 방수사양, ABS장치, 냉난방시스템, 전자파 차폐, 차동잠금장치, 최저 지상고, 최소회전반경, 차량사이즈,
                     차종간 공용화, 방호력, 방탄발열유리, 런플랫 시스템, 전자식 4륜구동장치, 전시 후진경보음과 라이트 off 기능, 후방카메라, 공중수송성, 도섭능력,
                     계열화 확장성 등 전술 차량이 갖춰야 할 기능과 성능을 대부분 갖추어야 한다.
                  
                
               
                     2.2 Hybrid 구동형식의 3가지 개념 
                  Hybrid 자동차는 승용자동차 영역에서는 소형, 중형, 대형의 각 부문으로 시장이 분화되어 있다. Hybrid화는 자동차의 크기와 상관없이 하나의
                     ‘부가 에너지 이용(add-on energy utilization) 방법이다. Hybrid 기술은 승용자동차에서의 적합성은 물론이고, 화물자동차용과
                     버스용으로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Hybrid 자동차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형식에 따라 직렬, 병렬, 복합으로 나뉜다. 
                  
                  직렬 Hybrid  :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출력을 먼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한 다음 모터에 전달하여 움직이거나 배터리 시스템에 저장
                     
                  
                  병렬 Hybrid  :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한 기계적 출력은 변속기로 전달되어 작동 조건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바퀴를 구동하거나 발전기를
                     운행하는데 사용됨 
                  
                  병렬 연속 하이 브리드 : 구동부는 변소기한쪽에 엔진+ 모터와 다른 쪽에 피동 바퀴 사이에서 분리된 “전력 분배기”를 도입하여,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분리 모터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발전기가 있음
                  
                  병렬 및 병렬 연속 : 구동부는 내부 연소 엔진 차량과 같이 내부 연소 엔진과 바퀴 사이를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직렬 시스템은
                     다른 구조이다. 
                  
                  
                     
                     
                           
                           
Fig. 2 3 Conceptual Diagrams of Hybrid Driving Unit
                              
                           
                         
                     
                  
                  단순구동 부분에서 Hybrid 구동형식의 분류와 특성 및 3가지 작동 원리는 <Table 2>과 같다. 
                  
                  
                     
                     
                     
                     
                           
                           
Table 2 Hybrid vehicle classific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 
                                          
                                       			
                                        Hybrid 차량 분류 
                                       
                                       			
                                       (대분류) 
                                       			
                                     | 
                                    
                                          
                                       			
                                        특성 및 작동 원리 
                                       			
                                     | 
                                 
                                 
                                       | 
                                          
                                       			
                                        직렬형 구조 
                                       			
                                     |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출력을 먼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한 다음 모터에 전달하여 움직이거나 배터리 시스템에 저장 
                                       			
                                     | 
                                 
                                 
                                       | 
                                          
                                       			
                                        병렬형 구조 
                                       			
                                     |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한 기계적 출력은 변속기로 전달되어 작동 조건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바퀴를 구동하거나 발전기를 운행하는데 사용됨 
                                       			
                                     | 
                                 
                                 
                                       | 
                                          
                                       			
                                        병렬 연속 구조 
                                       			
                                     | 
                                    
                                          
                                       			
                                        구동부는 변소기한쪽에 엔진+ 모터와 다른 쪽에 피동 바퀴 사이에서 분리된 “전력 분배기”를 도입하여,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분리 모터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발전기가 있음
                                        
                                       			
                                     | 
                                 
                              
                           
                        
                      
                     
                  
                
               
                     2.3 하이브리드 차량 상대 기준및 정의
                  군용차에 적용할 Hybrid 형태를 탐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작전 운용성, 군수지원성, 전략적, 경제적 관점에서 <Fig. 3>과 같이 접근하고자 한다. Hybrid 자동차 종류의 특성효율과 경제성 분석을 도출된 변인에 적용하여 군용차량의 효율적 Hybrid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즉 작전운영성은 (Oo) , 군수 지원성은 (St), 경제성은 (e)로 하고 중분류에서는 야전 운영성을 야전 운용성($o_{1}$), 체계안정성($o_{2}$)으로
                     정하고 야전 운용성 세부 분류의 사항에서는  운용개념 구현를 $o_{11}$, 야지 주행성을 $o_{12}$, 전천후성을 $o_{13}$ 등으로 일련번호로
                     일관성 있게 <Table 3>와 같이 변수를 정하였다. 
                  
                  
                     
                     
                           
                           
Fig. 3 Elements of the development of military vehicles
                              
                           
                         
                     
                  
                  
                     
                     
                     
                     
                           
                           
Table 3 Classification of vehicle development factors
                              
                           
                        
                        
                           
                           
                           
                                 
                                    
                                       | 
                                          
                                       			
                                        중분류 
                                       			
                                     | 
                                    
                                          
                                       			
                                        용어 정의 
                                       			
                                     | 
                                 
                                 
                                       | 
                                          
                                       			
                                        야전 운용성($o_{1}$) 
                                       			
                                     | 
                                    
                                          
                                       			
                                        군용차량이 야전운용 환경하에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가용 능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개념 
                                       			
                                     | 
                                 
                                 
                                       | 
                                          
                                       			
                                        체계안정성 
                                       
                                       			
                                       ($o_{2}$) 
                                       			
                                     | 
                                    
                                          
                                       			
                                        군용차량이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가용능력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체계의 안정화를 위한 개념 
                                       			
                                     | 
                                 
                                 
                                       | 
                                          
                                       			
                                        정비 및 보급 지원성($s_{1}$) 
                                       			
                                     | 
                                    
                                          
                                       			
                                        군용차량이 정상가동 될 수 있도록 관리 유지하고, 고장발생시 정상 복구 가능토록 보살피고 손질하는데 필요한 제반요소에 대한 만반의 준비 
                                       			
                                     | 
                                 
                                 
                                       | 
                                          
                                       			
                                        기술성($s_{2}$) 
                                       			
                                     | 
                                    
                                          
                                       			
                                        군용차량이 임무달성을 위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관련기술의 발전추세 고려 신기술 적용 노력 필요 
                                       			
                                     | 
                                 
                                 
                                       | 
                                          
                                       			
                                        생산성($e_{1}$) 
                                       			
                                     | 
                                    
                                          
                                       			
                                        군용차량 개발로부터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개발후 양산단가, 기술발전 추세에 따라 향후 성능개량시 비용효과 
                                       			
                                     | 
                                 
                                 
                                       | 
                                          
                                       			
                                        운영관리성($e_{2}$) 
                                       			
                                     | 
                                    
                                          
                                       			
                                        배치후 정비관리 유지비용, 부품조달 단가, 부품 재생/재활용시 비용절감 
                                       			
                                     | 
                                 
                              
                           
                        
                      
                     
                  
                  전술의 정성적 사항과 자동차의 정량적 사항을 조합하기 위해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로 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군용차량을 개발하기 위한 각 요소들의 특성과
                     성격, 의미 등을 고려한 개발 요소를 <Table 4>와 같이 분류하였다. 
                  
                  
                     
                     
                     
                     
                           
                           
Table 4 Classification of development elements and definition of quantitative variables
                              
                           
                        
                        
                           
                           
                           
                                 
                                    
                                       | 
                                          
                                       			
                                        개발 요소 
                                       			
                                     | 
                                    
                                          
                                       			
                                        중분류 
                                       			
                                     | 
                                    
                                          
                                       			
                                        세부 분류 
                                       			
                                     | 
                                    
                                          
                                       			
                                        정량 변수 
                                       			
                                     | 
                                 
                                 
                                       | 
                                          
                                       			
                                        작전 운용성 
                                       
                                       			
                                       (Oo) 
                                       			
                                     | 
                                    
                                          
                                       			
                                        야전 운용성($o_{1}$) 
                                       			
                                     | 
                                    
                                          
                                       			
                                        운용개념 구현 
                                       			
                                     | 
                                    
                                          
                                       			
                                        $o_{11}$ 
                                       			
                                     | 
                                 
                                 
                                       | 
                                          
                                       			
                                        기동성 
                                       			
                                     | 
                                    
                                          
                                       			
                                        $o_{12}$ 
                                       			
                                     | 
                                 
                                 
                                       | 
                                          
                                       			
                                        야지 주행성 
                                       			
                                     | 
                                    
                                          
                                       			
                                        $o_{13}$ 
                                       			
                                     | 
                                 
                                 
                                       | 
                                          
                                       			
                                        전천후성 
                                       			
                                     | 
                                    
                                          
                                       			
                                        $o_{14}$ 
                                       			
                                     | 
                                 
                                 
                                       | 
                                          
                                       			
                                        체계안정성 
                                       
                                       			
                                       ($o_{2}$) 
                                       			
                                     | 
                                    
                                          
                                       			
                                        방탄 능력 
                                       			
                                     | 
                                    
                                          
                                       			
                                        $o_{21}$ 
                                       			
                                     | 
                                 
                                 
                                       | 
                                          
                                       			
                                        생존/은밀성 
                                       			
                                     | 
                                    
                                          
                                       			
                                        $o_{22}$ 
                                       			
                                     | 
                                 
                                 
                                       | 
                                          
                                       			
                                        경험/검증성 
                                       			
                                     | 
                                    
                                          
                                       			
                                        $o_{23}$ 
                                       			
                                     | 
                                 
                                 
                                       | 
                                          
                                       			
                                        안전/편의성 
                                       			
                                     | 
                                    
                                          
                                       			
                                        $o_{24}$ 
                                       			
                                     | 
                                 
                                 
                                       | 
                                          
                                       			
                                        군수 지원성 
                                       
                                       			
                                       ($S_{t}$) 
                                       			
                                     | 
                                    
                                          
                                       			
                                        정비 및 보급 지원성($s_{1}$) 
                                       			
                                     | 
                                    
                                          
                                       			
                                        정비 용이성 
                                       			
                                     | 
                                    
                                          
                                       			
                                        $s_{11}$ 
                                       			
                                     | 
                                 
                                 
                                       | 
                                          
                                       			
                                        모듈화 
                                       			
                                     | 
                                    
                                          
                                       			
                                        $s_{12}$ 
                                       			
                                     | 
                                 
                                 
                                       | 
                                          
                                       			
                                        부품 호환성 
                                       			
                                     | 
                                    
                                          
                                       			
                                        $s_{13}$ 
                                       			
                                     | 
                                 
                                 
                                       | 
                                          
                                       			
                                        부품 신뢰성 
                                       			
                                     | 
                                    
                                          
                                       			
                                        $s_{13}$ 
                                       			
                                     | 
                                 
                                 
                                       | 
                                          
                                       			
                                        기술성($s_{2}$) 
                                       			
                                     | 
                                    
                                          
                                       			
                                        기술 국산화/혁신성 
                                       			
                                     | 
                                    
                                          
                                       			
                                        $s_{21}$ 
                                       			
                                     | 
                                 
                                 
                                       | 
                                          
                                       			
                                        기술 연계/파급성 
                                       			
                                     | 
                                    
                                          
                                       			
                                        $s_{22}$ 
                                       			
                                     | 
                                 
                                 
                                       | 
                                          
                                       			
                                        계열차 적용성 
                                       			
                                     | 
                                    
                                          
                                       			
                                        $s_{23}$ 
                                       			
                                     | 
                                 
                                 
                                       | 
                                          
                                       			
                                        친환경성 
                                       			
                                     | 
                                    
                                          
                                       			
                                        $s_{24}$ 
                                       			
                                     | 
                                 
                                 
                                       | 
                                          
                                       			
                                        경제성(e) 
                                       			
                                     | 
                                    
                                          
                                       			
                                        생산성($e_{1}$ 
                                       			
                                     | 
                                    
                                          
                                       			
                                        개발비 
                                       			
                                     | 
                                    
                                          
                                       			
                                        $e_{11}$ 
                                       			
                                     | 
                                 
                                 
                                       | 
                                          
                                       			
                                        양산단가 
                                       			
                                     | 
                                    
                                          
                                       			
                                        $e_{12}$ 
                                       			
                                     | 
                                 
                                 
                                       | 
                                          
                                       			
                                        성능개량성 
                                       			
                                     | 
                                    
                                          
                                       			
                                        $e_{13}$ 
                                       			
                                     | 
                                 
                                 
                                       | 
                                          
                                       			
                                        운영관리성$e_{2}$ 
                                       			
                                     | 
                                    
                                          
                                       			
                                        운영유지비 
                                       			
                                     | 
                                    
                                          
                                       			
                                        $e_{21}$ 
                                       			
                                     | 
                                 
                                 
                                       | 
                                          
                                       			
                                        부품단가 
                                       			
                                     | 
                                    
                                          
                                       			
                                        $e_{22}$ 
                                       			
                                     | 
                                 
                                 
                                       | 
                                          
                                       			
                                        부품 재생/재활용성 
                                       			
                                     | 
                                    
                                          
                                       			
                                        $e_{23}$ 
                                       			
                                     | 
                                 
                              
                           
                        
                      
                     
                  
                  Hybrid 자동차가 만들어진 배경은 자원고갈, 환경적 문제에 촛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군에서 운용되기에는 이런 경제적이고 환경문제만을 다룰 수
                     없다. 
                  
                  그 이유는 전투에서 승리하기에 적합한 차량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부차적으로 결부되어야 할 사항이 경제와 환경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발요인의 분석을 위하여 변수를 도입하여 정량화를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적용 정도를 상대적인 기준으로 변수의 도입하고 정량화는 개발요인에
                     대한 합리성, 표준화를 꾀하여야 하며, 가장 근접된 Hybrid의 적합성을 찾아보는 데 유리한 것이기 때문이다. 델파이 기법으로 요소들의 도출 및
                     우선 순위를 위해 선행 논문 및 군용차량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획득된 기준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Hybrid 차량 종류의 장단점과 특성을 개발요인과
                     접목하기 위한 기술을 <Table 5>과 같이 정의하고 기준에 따라 변수를 구상하여야 한다. 
                  
                  
                     
                     
                     
                     
                           
                           
Table 5 Condition Evaluation Criteria and Definitions of Hybrid Vehicles
                              
                           
                        
                        
                           
                           
                           
                                 
                                    
                                       | 
                                          
                                       			
                                        평가 기준 
                                       			
                                     | 
                                    
                                          
                                       			
                                        정의 
                                       			
                                     | 
                                 
                                 
                                       | 
                                          
                                       			
                                        회생 제동 정도 
                                       			
                                     | 
                                    
                                          
                                       			
                                        R$_B$ 
                                       			
                                     | 
                                    
                                          
                                       			
                                        감속 주행시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력의 정도 
                                       			
                                     | 
                                 
                                 
                                       | 
                                          
                                       			
                                        환경 오염 정도 
                                       			
                                     | 
                                    
                                          
                                       			
                                        E$_F$ 
                                       			
                                     | 
                                    
                                          
                                       			
                                        엔진 가동에 따른 CO2 배출 정도 
                                       			
                                     | 
                                 
                                 
                                       | 
                                          
                                       			
                                        출력 밀도 
                                       			
                                     | 
                                    
                                          
                                       			
                                        P$_D$ 
                                       			
                                     | 
                                    
                                          
                                       			
                                        엔진과 밧데리기동시출력 토크 정도 
                                       			
                                     | 
                                 
                                 
                                       | 
                                          
                                       			
                                        제작 가격 정도 
                                       			
                                     | 
                                    
                                          
                                       			
                                        P$_P$ 
                                       			
                                     | 
                                    
                                          
                                       			
                                        차량 제작의 비용 정도 
                                       			
                                     | 
                                 
                                 
                                       | 
                                          
                                       			
                                        정속 운전 정도 
                                       			
                                     | 
                                    
                                          
                                       			
                                        C$_S$ 
                                       			
                                     | 
                                    
                                          
                                       			
                                        운행시 , 속도 변화시매끄럼게운행하는 정도 
                                       			
                                     | 
                                 
                                 
                                       | 
                                          
                                       			
                                        스타트/스톱 
                                       			
                                     | 
                                    
                                          
                                       			
                                        S$_S$ 
                                       			
                                     |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엔진의 시동, 가동 여부 정도 
                                       			
                                     | 
                                 
                                 
                                       | 
                                          
                                       			
                                        전동력 정도 
                                       			
                                     | 
                                    
                                          
                                       			
                                        E$_S$ 
                                       			
                                     | 
                                    
                                          
                                       			
                                        모터의 구동력으로만 가는 정도 
                                       			
                                     | 
                                 
                                 
                                       | 
                                          
                                       			
                                        엔진 순수작동 정도 
                                       			
                                     | 
                                    
                                          
                                       			
                                        O$_S$ 
                                       			
                                     | 
                                    
                                          
                                       			
                                        엔진의 작동 빈번 정도 
                                       			
                                     | 
                                 
                                 
                                       | 
                                          
                                       			
                                        연료 소비율 정도 
                                       			
                                     | 
                                    
                                          
                                       			
                                        F$_C$ 
                                       			
                                     | 
                                    
                                          
                                       			
                                        운행시 연료 소비되는 비율 
                                       			
                                     | 
                                 
                                 
                                       | 
                                          
                                       			
                                        연료 보충 정도 
                                       			
                                     | 
                                    
                                          
                                       			
                                        F$_P$ 
                                       			
                                     | 
                                    
                                          
                                       			
                                        연료 보충의 정도 
                                       			
                                     | 
                                 
                                 
                                       | 
                                          
                                       			
                                        소음 정도 
                                       			
                                     | 
                                    
                                          
                                       			
                                        N$_L$ 
                                       			
                                     | 
                                    
                                          
                                       			
                                        운행시 엔진 및 기동 소음의 정도 
                                       			
                                     | 
                                 
                                 
                                       | 
                                          
                                       			
                                        동력 전달 정도 
                                       			
                                     | 
                                    
                                          
                                       			
                                        D 
                                       			
                                     | 
                                    
                                          
                                       			
                                        발생된 동력이 구동력이 되는 정도 
                                       			
                                     | 
                                 
                              
                           
                        
                      
                     
                  
                
               
                     2.4 군용 차량 개발 요소와 Hybrid 차량특성관계
                  1 . Hybridization이 되려면 군 차량의 개발요소가 우선 Hybrid 차량들의 특성을 선택되도록 개발요소가 분석 되어야 하며 그 분석에
                     따라 Hybridization 구현 
                  
                  2. 개발요소의 분석을 위하여 변수를 도입하여정량화
                  3. 변수의 도입과 정량화는개발요소에 대한 표준화로 가장 근접된 Hybrid의적합성을찾아보는데 활용
                  4. Hybrid 차량종류의 장단점과 특성을 개발요소와 접목하기 위해 <Table 7>과 같이 정량적 가중치를 부여
                  
                  
                     
                     
                     
                     
                           
                           
Table 6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Vehicle Development Factors and Hybrid Vehicle
                              Characteristics
                              
                           
                        
                        
                           
                           
                           
                                 
                                    
                                       | 
                                          
                                       			
                                        특성 
                                       			
                                     | 
                                    
                                          
                                       			
                                        정도(가중치) 
                                       			
                                     | 
                                 
                                 
                                       | 
                                          
                                       			
                                        구분 
                                       			
                                     | 
                                    
                                          
                                       			
                                        요인 변수 
                                       			
                                     | 
                                    
                                          
                                       			
                                        최상 
                                       			
                                     | 
                                    
                                          
                                       			
                                        상 
                                       			
                                     | 
                                    
                                          
                                       			
                                        중 
                                       			
                                     | 
                                    
                                          
                                       			
                                        하 
                                       			
                                     | 
                                    
                                          
                                       			
                                        최하 
                                       			
                                     | 
                                 
                                 
                                       | 
                                          
                                       			
                                        회생 제동 정도 
                                       			
                                     | 
                                    
                                          
                                       			
                                        R$_B$ 
                                       			
                                     | 
                                    
                                          
                                       			
                                        a 
                                       
                                       			
                                       (5) 
                                       			
                                     | 
                                    
                                          
                                       			
                                        b 
                                       
                                       			
                                       (4) 
                                       			
                                     | 
                                    
                                          
                                       			
                                        c 
                                       
                                       			
                                       (3) 
                                       			
                                     | 
                                    
                                          
                                       			
                                        d 
                                       
                                       			
                                       (2) 
                                       			
                                     | 
                                    
                                          
                                       			
                                        e 
                                       
                                       			
                                       (1) 
                                       			
                                     | 
                                 
                                 
                                       | 
                                          
                                       			
                                        환경 오염 정도 
                                       			
                                     | 
                                    
                                          
                                       			
                                        E$_F$ 
                                       			
                                     | 
                                 
                                 
                                       | 
                                          
                                       			
                                        출력 밀도 
                                       			
                                     | 
                                    
                                          
                                       			
                                        P$_D$ 
                                       			
                                     | 
                                 
                                 
                                       | 
                                          
                                       			
                                        제작 가격 정도 
                                       			
                                     | 
                                    
                                          
                                       			
                                        P$_P$ 
                                       			
                                     | 
                                 
                                 
                                       | 
                                          
                                       			
                                        정속 운전 정도 
                                       			
                                     | 
                                    
                                          
                                       			
                                        C$_S$ 
                                       			
                                     | 
                                 
                                 
                                       | 
                                          
                                       			
                                        스타트/스톱 
                                       			
                                     | 
                                    
                                          
                                       			
                                        S$_S$ 
                                       			
                                     | 
                                 
                                 
                                       | 
                                          
                                       			
                                        전동력 정도 
                                       			
                                     | 
                                    
                                          
                                       			
                                        E$_S$ 
                                       			
                                     | 
                                 
                                 
                                       | 
                                          
                                       			
                                        엔진 순수작동 정도 
                                       			
                                     | 
                                    
                                          
                                       			
                                        O$_S$ 
                                       			
                                     | 
                                 
                                 
                                       | 
                                          
                                       			
                                        연료 소비율 정도 
                                       			
                                     | 
                                    
                                          
                                       			
                                        F$_C$ 
                                       			
                                     | 
                                 
                                 
                                       | 
                                          
                                       			
                                        연료 보충 정도 
                                       			
                                     | 
                                    
                                          
                                       			
                                        F$_P$ 
                                       			
                                     | 
                                 
                                 
                                       | 
                                          
                                       			
                                        소음 정도 
                                       			
                                     | 
                                    
                                          
                                       			
                                        N$_L$ 
                                       			
                                     | 
                                 
                                 
                                       | 
                                          
                                       			
                                        동력 전달 정도 
                                       			
                                     | 
                                    
                                          
                                       			
                                        D 
                                       			
                                     | 
                                 
                              
                           
                        
                      
                     
                  
                
             
            
                  3. 개발요인과 특성 기준의 관계
               Hybrid 유용성과 효율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 요구되는 사항을 군용차량 개발 요소와의 관계를 통해 각각 정량치를 도입하여 강약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치를 보면 군용차량 Hybridization는 Hybrid 차량의 특성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군용 차량 개발요인에 의해 Hybrid
                  차량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개발 요소에 따른 Hybrid 차량의 특성 정도에서 작성된 자료를 도식화 모형 표현도를 보면 다음 <Fig. 4>와 같다. 
               
               
                  
                  
                        
                        
Fig. 4 Hybrid vehicle evaluation model for development factors
                           
                        
                      
                  
               
               
                  
                  
                        
                        
Fig. 5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factors and characteristics
                           
                        
                      
                  
               
               또한 요소에 따른 Hybrid 차량의 특성 정도에서 작성된 자료를 정리해 보면 개발요소의 적랍 최대화는 Hybrid 평가기준 들의 총합으로 다음 <Fig.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4. 개발요소와 Hybrid 종류별관계성모색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개발요소 세부분류, 평가기준을 정량적으로 <Table 7, 8> 와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7 Development Factors and Hybrid Evaluation Criteria
                           
                        
                     
                     
                        
                        
                        
                              
                                 
                                    | 
                                       
                                    			
                                     개발요소세부분류 
                                    			
                                  | 
                                 
                                       
                                    			
                                     Hybrid 평가기준 
                                    			
                                  | 
                                 
                                       
                                    			
                                     점수 
                                    
                                    			
                                    (S-Hybrid) 
                                    			
                                  | 
                              
                              
                                    | 
                                       
                                    			
                                     운용 개념 구현 
                                    			
                                  | 
                                 
                                       
                                    			
                                     정량 
                                    
                                    			
                                    점수 
                                    
                                    			
                                    
                                    			
                                   | 
                                 
                                       
                                    			
                                     회생제동정도 
                                    			
                                  | 
                                 
                                       
                                    			
                                     R$_B$ 
                                    			
                                  | 
                                 
                                       
                                    			
                                     a (5) 
                                    			
                                  | 
                              
                              
                                    | 
                                       
                                    			
                                     환경 오염 정도 
                                    			
                                  | 
                                 
                                       
                                    			
                                     E$_F$ 
                                    			
                                  | 
                                 
                                       
                                    			
                                     c (3) 
                                    			
                                  | 
                              
                              
                                    | 
                                       
                                    			
                                     출력 밀도 
                                    			
                                  | 
                                 
                                       
                                    			
                                     P$_D$ 
                                    			
                                  | 
                                 
                                       
                                    			
                                     b (4) 
                                    			
                                  | 
                              
                              
                                    | 
                                       
                                    			
                                     차량이 임무 달성을 위해 수행되는 등의 차량의 운용 목적에 부합 
                                    
                                    			
                                    
                                    
                                    			
                                     - 계열 차량의 기본형, 탑승 전투용, 병력 수송용, 각종 정도 무기/장비 탑재 등 
                                    			
                                  | 
                              
                              
                                    | 
                                       
                                    			
                                     제작 가격 정도 
                                    			
                                  | 
                                 
                                       
                                    			
                                     P$_P$ 
                                    			
                                  | 
                                 
                                       
                                    			
                                     c (3) 
                                    			
                                  | 
                              
                              
                                    | 
                                       
                                    			
                                     정속 운전 정도 
                                    			
                                  | 
                                 
                                       
                                    			
                                     C$_S$ 
                                    			
                                  | 
                                 
                                       
                                    			
                                     b (4) 
                                    			
                                  | 
                              
                              
                                    | 
                                       
                                    			
                                     스타트/스톱 
                                    			
                                  | 
                                 
                                       
                                    			
                                     S$_S$ 
                                    			
                                  | 
                                 
                                       
                                    			
                                     c (3) 
                                    			
                                  | 
                              
                              
                                    | 
                                       
                                    			
                                     전동력 정도 
                                    			
                                  | 
                                 
                                       
                                    			
                                     E$_S$ 
                                    			
                                  | 
                                 
                                       
                                    			
                                     c (3) 
                                    			
                                  | 
                              
                              
                                    | 
                                       
                                    			
                                     Engine 순수 작 
                                    			
                                  | 
                                 
                                       
                                    			
                                     O$_S$ 
                                    			
                                  | 
                                 
                                       
                                    			
                                     b (4) 
                                    			
                                  | 
                              
                              
                                    | 
                                       
                                    			
                                     연료 소비율 정도 
                                    			
                                  | 
                                 
                                       
                                    			
                                     F$_C$ 
                                    			
                                  | 
                                 
                                       
                                    			
                                     c (3) 
                                    			
                                  | 
                              
                              
                                    | 
                                       
                                    			
                                     연료 보충 정도 
                                    			
                                  | 
                                 
                                       
                                    			
                                     F$_P$ 
                                    			
                                  | 
                                 
                                       
                                    			
                                     c (3) 
                                    			
                                  | 
                              
                              
                                    | 
                                       
                                    			
                                     소음 정도 
                                    			
                                  | 
                                 
                                       
                                    			
                                     N$_L$ 
                                    			
                                  | 
                                 
                                       
                                    			
                                     a (5) 
                                    			
                                  | 
                              
                              
                                    | 
                                       
                                    			
                                     동력 전달 정도 
                                    			
                                  | 
                                 
                                       
                                    			
                                     D 
                                    			
                                  | 
                                 
                                       
                                    			
                                     c (3) 
                                    			
                                  | 
                              
                           
                        
                     
                   
                  
               
               
                  
                  
                  
                  
                        
                        
Table 8 Hybrid (S format) evaluation criteria by development element
                           
                        
                     
                     
                        
                        
                        
                              
                                 
                                    | 
                                       
                                    			
                                     세부 분류 
                                    			
                                  | 
                                 
                                       
                                    			
                                     정량 점수 
                                    			
                                  | 
                                 
                                       
                                    			
                                     직렬형 hybrid 
                                    
                                    			
                                    (S format) 
                                    			
                                  | 
                              
                              
                                    | 
                                       
                                    			
                                     운용 개념 구현 
                                    			
                                  | 
                                 
                                       
                                    			
                                     $o_{11}$ 
                                    			
                                  | 
                                 
                                       
                                    			
                                     c 
                                    			
                                  | 
                              
                              
                                    | 
                                       
                                    			
                                     기동성 
                                    			
                                  | 
                                 
                                       
                                    			
                                     $o_{12}$ 
                                    			
                                  | 
                                 
                                       
                                    			
                                     b 
                                    			
                                  | 
                              
                              
                                    | 
                                       
                                    			
                                     야지 주행성 
                                    			
                                  | 
                                 
                                       
                                    			
                                     $o_{13}$ 
                                    			
                                  | 
                                 
                                       
                                    			
                                     d 
                                    			
                                  | 
                              
                              
                                    | 
                                       
                                    			
                                     전천후성 
                                    			
                                  | 
                                 
                                       
                                    			
                                     $o_{14}$ 
                                    			
                                  | 
                                 
                                       
                                    			
                                     a 
                                    			
                                  | 
                              
                              
                                    | 
                                       
                                    			
                                     방탄 능력 
                                    			
                                  | 
                                 
                                       
                                    			
                                     $o_{21}$ 
                                    			
                                  | 
                                 
                                       
                                    			
                                     a 
                                    			
                                  | 
                              
                              
                                    | 
                                       
                                    			
                                     생존/은밀성 
                                    			
                                  | 
                                 
                                       
                                    			
                                     $o_{22}$ 
                                    			
                                  | 
                                 
                                       
                                    			
                                     d 
                                    			
                                  | 
                              
                              
                                    | 
                                       
                                    			
                                     경험/검증성 
                                    			
                                  | 
                                 
                                       
                                    			
                                     $o_{23}$ 
                                    			
                                  | 
                                 
                                       
                                    			
                                     c 
                                    			
                                  | 
                              
                              
                                    | 
                                       
                                    			
                                     안전/편의성 
                                    			
                                  | 
                                 
                                       
                                    			
                                     $o_{24}$ 
                                    			
                                  | 
                                 
                                       
                                    			
                                     b 
                                    			
                                  | 
                              
                              
                                    | 
                                       
                                    			
                                     정비 용이성 
                                    			
                                  | 
                                 
                                       
                                    			
                                     $s_{11}$ 
                                    			
                                  | 
                                 
                                       
                                    			
                                     b 
                                    			
                                  | 
                              
                              
                                    | 
                                       
                                    			
                                     모듈화 
                                    			
                                  | 
                                 
                                       
                                    			
                                     $s_{12}$ 
                                    			
                                  | 
                                 
                                       
                                    			
                                     a 
                                    			
                                  | 
                              
                              
                                    | 
                                       
                                    			
                                     부품 호환성 
                                    			
                                  | 
                                 
                                       
                                    			
                                     $s_{13}$ 
                                    			
                                  | 
                                 
                                       
                                    			
                                     b 
                                    			
                                  | 
                              
                              
                                    | 
                                       
                                    			
                                     부품 신뢰성 
                                    			
                                  | 
                                 
                                       
                                    			
                                     $s_{14}$ 
                                    			
                                  | 
                                 
                                       
                                    			
                                     b 
                                    			
                                  | 
                              
                              
                                    | 
                                       
                                    			
                                     기술 국산화/혁신성 
                                    			
                                  | 
                                 
                                       
                                    			
                                     $s_{21}$ 
                                    			
                                  | 
                                 
                                       
                                    			
                                     b 
                                    			
                                  | 
                              
                              
                                    | 
                                       
                                    			
                                     기술 연계/파급성 
                                    			
                                  | 
                                 
                                       
                                    			
                                     $s_{22}$ 
                                    			
                                  | 
                                 
                                       
                                    			
                                     c 
                                    			
                                  | 
                              
                              
                                    | 
                                       
                                    			
                                     계열차 적용성 
                                    			
                                  | 
                                 
                                       
                                    			
                                     $s_{23}$ 
                                    			
                                  | 
                                 
                                       
                                    			
                                     b 
                                    			
                                  | 
                              
                              
                                    | 
                                       
                                    			
                                     환경성 
                                    			
                                  | 
                                 
                                       
                                    			
                                     $s_{24}$ 
                                    			
                                  | 
                                 
                                       
                                    			
                                     d 
                                    			
                                  | 
                              
                              
                                    | 
                                       
                                    			
                                     개발비 
                                    			
                                  | 
                                 
                                       
                                    			
                                     $e_{11}$ 
                                    			
                                  | 
                                 
                                       
                                    			
                                     c 
                                    			
                                  | 
                              
                              
                                    | 
                                       
                                    			
                                     양산단가 
                                    			
                                  | 
                                 
                                       
                                    			
                                     $e_{12}$ 
                                    			
                                  | 
                                 
                                       
                                    			
                                     c 
                                    			
                                  | 
                              
                              
                                    | 
                                       
                                    			
                                     성능개량성 
                                    			
                                  | 
                                 
                                       
                                    			
                                     $e_{13}$ 
                                    			
                                  | 
                                 
                                       
                                    			
                                     b 
                                    			
                                  | 
                              
                              
                                    | 
                                       
                                    			
                                     운영유지비 
                                    			
                                  | 
                                 
                                       
                                    			
                                     $e_{21}$ 
                                    			
                                  | 
                                 
                                       
                                    			
                                     d 
                                    			
                                  | 
                              
                              
                                    | 
                                       
                                    			
                                     부품단가 
                                    			
                                  | 
                                 
                                       
                                    			
                                     $e_{22}$ 
                                    			
                                  | 
                                 
                                       
                                    			
                                     c 
                                    			
                                  | 
                              
                              
                                    | 
                                       
                                    			
                                     부품 재생/재활용성 
                                    			
                                  | 
                                 
                                       
                                    			
                                     $e_{23}$ 
                                    			
                                  | 
                                 
                                       
                                    			
                                     a 
                                    			
                                  | 
                              
                           
                        
                     
                   
                  
               
             
            
                  5. 결 론
               군용 차량 개발요소와 지금까지 개발된 Hybrid 자동차 특성과 효율적인 면을 통해 적합 유무, 접근성, 호환성, 효율성 등의 상호 다양한 관계성을
                  모색하고, 그 결과를 통해 최적의 군용 차량 Hybridization을 구현하고자 한다. 개발요소를 정량화하기 위해 각각의 개발 요인을 변수화하고
                  Hybrid 차량의 분석이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면에서 군용 차량의 개발요소에 대해 치밀한 설계가 필요하고 주요 변수로 삼아야 할 것이며, 그것으로 군용차량의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거론되었던 군용 차량 개발요소의 각 분야가 근본이 되는 이유이다. 
               
               결론은 전술. 전략 요인을 정량화 또는 변수로 도입하고Hybrid 차량의 특성과 효율을 분석한 결과를 관계형으로 구축하여 분석을 위해 
               • 개발요소를 정량화하기 위해 각각의 개발요소를 변수화하고 Hybrid 차량의 분석이 신뢰할 수 있고 타당성 있게 측정변수 도입
               • 군용 차량에 대한 Hybrid 채용에 있어 최적합 차원으로 접근하기 위해 복합형 변용 Hybrid의 효율은 전투와 비전투 시에 적합해야 할 것으로
                  고려
               
               • 상용 Hybrid 자동차의 최신기술을 적용하고, 동시에 전투 시에도 효과적 기동력을 보여야 군용 차량 Hybridization가 최상의 메커니즘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군용 차량에 대한 Hybrid 채용에 있어 최적합 차원으로 접근하기 위해 복합형 변용 Hybrid의 효율은 전투와 비전투시에 적합해야 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References
                  
                     
                        
                        Francis M.vanek, Louis D., Energy system Engineering, 2014.

 
                      
                     
                        
                        B. G Lee, 2010, Priority Decision based on Users'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Vehicles,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6

 
                      
                     
                        
                        S. S. Moon, 2013, Engine Research Trends in Japan 2013: Alternative Fuel Engines,
                           AUTO JOURNA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35, No.
                           11

 
                      
                     
                        
                        The Electric Drive Stryker(E-Drive Stryker) was driven for the first time on December
                           23 2009.

 
                      
                     
                        
                        Yunus A. Çengel, Michael A. Boles, Mehmet Kanoğlu, 2019, thermodynamics an engineering
                           approach, 5th ed

 
                      
                     
                        
                         Army General Logistics School, 2007, Vehicle Maintenance

 
                      
                     
                        
                        Bum Koo Lee, A Selection Model of the Development Factors of Military Vehicl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2010.

 
                      
                   
                
             
            저자소개
             
             
             
            
            Hyun il Baek received his master's degree from Jungbu University in 2017. 
             He is currently taking a course in qkr in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concern is the application of military vehicle hybrids.
               
            
            
            Sang-Tae Han graduated from Hanbat University, majored in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adjunct professor at Woosong
               Information University, representative of Nambu Hyundai Service at Hyundai Motor Company,
               research on automobile engine vibration, specialized research on electric vehicle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and automobile fuel system research institute operate.
               
            
            
            Kyoung-Wan Koo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83, and the  Ph. D.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92, all in electronic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emi- conductor devices and electric automob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