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Consulting Part, BRFrame Inc., Korea.)
  2.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KERI). Korea.)
  3.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Korea.)
  4. (SK E&S. Seoul, Korea.)



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 Renewable Energy Certificate(REC), Auto Encoder, Cyclic Pattern, Ensemble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1). 국내 또한 이런 추세에 따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를 통해 500 MW 이상 대규모 발전사업자는 화석에너지 발전량에 대하여 연도별 정해진 비율로 재생에너지를 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가진다(2). 또한, 연도별로 늘어나는 RPS제도에서의 공급의무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민간차원에서 국내외 여러 기업들에서는 RE100(Renewable Energy 100%)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고조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공급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직접 건설하는 방법과 재생에너지 외부 조달을 통해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확보하여 공급의무를 이행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건설에 대한 여러 제약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급의무자는 장기계약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회사에서 발생하는 REC를 안정적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REC의 선제적 확보 조치의 일환 또는 단기 의무이행 리스크 예상 시 REC 현물시장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REC의 조달가격이며, 공급의무자와 신재생에너지 시장 참여자들은 현물시장과 계약시장 등 서로 다른 시장의 REC 가격을 고려하여 다양한 결정을 내린다. REC 가격은 REC 수급, 에너지 시장 가격, 재생에너지 LCOE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주민들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 수용성과 입지 제약 등으로 태양광 이외의 동력원은 정부 계획에 비해 공급이 저조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RPS제도 이행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해 공급의무자의 의무이행량에 대하여 이행비용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의무자는 이행유형별로 평균적인 방법을 기준으로 의무이행원가를 산정하기 때문에 비용최소화를 통해 의무이행원가를 절감할 유인이 있다. REC 현물시장가격의 경우 다양한 요인으로 시장가격이 변동하기 때문에 예측을 통한 이행비용 손실 및 이행비용 보상 위험 최소화가 필요하다.

현재 REC 가격의 예측에 대해 진행된 연구는 부족하며 REC 가격은 LCOE(Levelized Cost of Electricity)에서 SMP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간단히 추정할 수 있다(3). 이러한 추정식으로는 신재생사업의 다양한 정책과 요인들을 반영하고 있지 않아 추정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REC 현물시장 가격 추정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4) 실적과의 연관성에 기반하여 미래 환경변화와 정책변화를 고려한 전망을 수행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력생태계 하에서 신재생에너지 산업 환경과 국가정책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REC 현물시장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REC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에너지 및 전력정책, 신재생에너지 계획, 전력시장, 유가, 환율 등의 경제지표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REC 현물시장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의 예측을 진행한 연구가 있다. 먼저 하루전 SMP를 예측하기 위해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사용한 연구가 있으며 k-겹 교차검증(k-fold cross-validation) 최적화 알고리즘과 과거 실적 데이터를 적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향상한 연구가 있다(5). k-겹 교차검증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1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Training set, 나머지 1개 부분을 Test set으로 설정하여 반복 계산을 통해 최적의 조건을 찾는 기법이다. SMP 예측을 다룬 다른 연구로는 SMP를 AC(Annual Component), MC(Monthly Component), DC(Daily Component)로 분리하여 예측을 진행한 연구가 있다(6). AC는 연료 가격에 기반하여 장기적인 경향을 반영하고, MC는 계절적인 경향을 반영하며 DC는 SMP의 일일 변동을 반영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단기 REC 현물시장 가격 예측을 위해 필요한 예측인자와 예측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2023년 12월까지의 REC 현물시장 예측가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 현물시장 가격 예측과 관련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예측 방법론 및 REC 현물시장 가격 예측치는 REC 구매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발전사업자들의 결정에 기여 하고자 한다.

2장은 REC 현물시장 추세에 대해 서술했으며 FIT에서 RPA를 거쳐 RPS까지 국내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흐름과 2017년부터 2023년 6월까지 REC 거래량 및 REC 현물시장 평균 거래가격 추세를 서술했다. 3장에서는 REC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REC 가격예측을 위해 사용한 인자들 및 해당 인자들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서술했으며 인자들을 입력받을 예측 모델 유형과 각 유형별 예측 모델 종류를 서술했다. 예측 모델 유형으로는 머신러닝 선형 회귀(Machine Learning Linear Regression) 모델, 결정 트리 기반 회귀(Tree Based Regression) 모델, 유사성 기반(Similarity Based) 모델, 시계열 기반(Time Series Based) 모델을 사용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REC 가격 예측값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REC 가격 예측값은 3장에서 언급된 예측 모델들 중 가장 성능이 좋은 모델의 결과값을 앙상블 하여 산출한다.

2. REC 현물시장

2.1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

그림. 1.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 변화

Fig. 1. Renewable Energy Policy Changes in Korea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1.png

2002년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 Tariff)를 통해 시작된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은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원 사용을 늘려 온실가스를 감축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했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연료의 사용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선 장점을 가지나, 발전비용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전력 혹은 열 공급/판매자에게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의무화하면서 초과 비용은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정부는 경제정책조정회의를 통해 지나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준가격을 인하하고, 발전차액지원제도를 2011년까지만 시행하기로 결정 함에 따라 2001년 10월에 도입된 이후 2011년 말까지 시행되었으며, 2012년에 종료되었다(7).

2006년엔 신·재생에너지 RPS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자발적 협약제도(RPA, Renewable Portfolio Agreement)를 활용하여 RPS제도로의 전환을 준비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 관련 9개 공기업은 정부와의 신․재생에너지 개발공급협약을 맺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1조 2,613억 원의 투자를 계획했다. 이 투자로 인해 전기설비 348MW와 열 설비 106.8 Gcal/h의 보급을 계획했으며,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및 복지사업 등도 활발히 추진되었다(8).

2012년부터는 RPS제도가 발전차액지원제도를 대체하게 되었다(9).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 사업자들은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의무적으로 공급하게 되었다. 정부는 해당 제도의 도입으로, 가격을 기반으로 하되 보급목표 달성의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FIT 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고 의무목표 부여 및 시장을 통해 가격결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존 도입 국가와 같이,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달성의 확정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PS제도 운영방식으로는 REC 거래제도를 통해서도 운영하도록 결정되었다. 따라서 RPS 대상 사업자는 할당 의무를 충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설비를 직접 도입하거나 다른 발전사업자로부터 REC를 구매하는 방안을 택할 수 있다.

연도별 RPS 의무공급비율은 2021년 2%에서 시작하여 2030년 이후로는 25%까지 계획되어있다(10). RPS제도에서 공급의무자는 신재생에너지를 조달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직접 짓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의무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에 맞추어 설비를 추가 건설하기에 여러 물리적 그리고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외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통해 의무 공급량을 충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외부 조달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를 증명하는 인증서가 REC이며. 공급의무자는 REC 구매를 통해 해당 구매량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공급 실적을 인정받을 수 있다.

그림. 2. 연도별 RPS 의무공급비율

Fig. 2. RPS supply obligation radio per year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2.png

2.2 REC 거래량 및 가격 추세

RPS제도에서 REC 현물시장은 공급의무자의 원활한 의무 이행을 위해 도입됐으며 현재 주 2회 운영되고 있다. RPS제도가 시행된 2012년 초에는 REC 현물시장이 태양광과 비 태양광으로 나뉘었고, 이후 2016년에는 두 시장이 통합 운영되었다.

현물시장은 2017년까지 일방적 입찰 시장으로 운영되어왔으나 2017년 3월 현물시장 개편을 통해 매수자와 매도자가 공모와 입찰을 통해 거래하는 쌍방향 입찰 시장 형태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그림 3을 통해 현물시장의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2019년 이후 REC 현물가격이 3만 원대까지 크게 하락한 뒤 REC당 3만~4만 원대의 횡보를 보이고 있다(11). 이후 2021년 하반기 RPS 공급의무 확대 예상에 따라 시장 수요가 증가하며 현물시장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REC당 5만 원대에 진입했다. 2022년을 기점으로 REC 공급사보다 유리한 시장이 형성되었음에도 현물시장 가격은 6만 원대에 진입해 단기적으로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최근 3년간 연간 전체 이행물량의 30% 이상이 현물시장을 통해 이행됐으며 의무비율의 점진적인 증가와 향후 신·재생 사업 시행 지연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현 수준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3. 연도별 REC 거래량 및 평균 가격

Fig. 3. REC trading volume and average price per year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3.png

그림. 4. 2023년 월별 REC 거래량 및 평균가격

Fig. 4. REC trading volume and average price per month in 2023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4.png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월별 REC 거래량과 평균 가격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4와 같으며 월평균 가격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이후 이전의 가격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12).

3. REC 가격 예측 방법론

3.1 예측 프로세스

통계적 예측 결과 산출을 목표로 과학적 예측모형의 적용, 수요시장 등의 포괄적 지표 관리, 예측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필요로 한다. 예측 프로세스는 주요 지수 및 관련 자료를 취합하여 현물시장과의 면밀한 분석 이후 대표지표들의 미래치 추정을 통해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다양한 통계 예측모형을 사용하여 예측치를 산출하고 예측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갖는다.

예측 결과는 여러 예측 모델 집합에 속한 모델들 중 가장 성능이 좋은 모델에서의 결과 값을 앙상블(Ensemble) 하여 산출한다. 예측 모델 유형으로는 머신러닝 선형 회귀(Machine Learning Linear Regression) 모델, 결정 트리 기반 회귀(Tree Based Regression) 모델, 유사성 기반(Similarity Based) 모델, 시계열 기반(Time Series Based) 모델을 사용했다(13). 머신러닝 선형 회귀 모델로는 Mutiple Linear Regression, Ridge Regression, Lasso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을 활용, 결정 트리 기반 회귀 모델로는 Random Forest, XGBoost Regression, Light GBM Regression(14), 유사성 기반 모델로는 KNN(K-Nearest Neighbor), 시계열 기반 모델로는 TCN(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을 활용했다.

3.2 예측 인자

미래 REC가격 추정을 위해 사용하는 인자는 크게 REC 중요 인자, 시나리오 정의 필수 인자, 예측 성능 영향인자로 구분하였다. "REC 현물시장" 관련 뉴스기사들의 Word cloud 분석으로 도출한 키워드로부터 인자를 분류하였다. 먼저 월별 REC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REC 중요 인자로 정의하였고 전력수요,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 신재생 거래 비중이 해당된다. 전력수요는 전력거래소의 2년간 전망치, SMP는 자체 예측으로 사용, 신재생 거래 비중은 선형모형의 추세를 사용한다. 정부 정책과 같이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시나리오 정의 필수 인자로 정의하였고 RPS 할당율, 소비자물가 상승률, 경제성장률, 환율, 유가가 해당된다. RPS 할당율은 정책(5)에 기반하여 2023년 13%, 2024년 13.5%를 사용했으며 소비자물가상승률(3%), 경제성장률(1.5%), 환율(1,320원), 유가(76$/bbl)는 한국개발연구원(KDI, Korea Development Institute)의 경기전망을 이용했다. 이외에도 REC가격의 통계적인 특성에 대해서는 예측 성능 영향인자는 REC 현물시장 거래 규모 패턴, 체결가격 패턴, REC 수급 밸런스, 2개의 REC 현물시장의 동태변수를 적용하였다. 거래 규모 패턴, 체결 건수 패턴, 체결가격 패턴은 Prophet Model의 Cyclic Term을 이용하여 사용했으며 REC 수급 밸런스는 2022년 84.8%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REC 현물시장 동태변수는 딥러닝의 AutoEncoder의 Embedding Vector를 통해 추출하였다.

REC 현물시장의 거래 패턴을 Cyclic Pattern으로 나타내면 수식(1)과 같으며

(1)
\begin{align*} y(t)= g(t)+ s(t)+ h(t)+\epsilon \\ = Growth + Seasonal y + Holiday Effect + Error \end{align*}

$g(t)$는 비주기적 변화를 반영하는 추세 함수, $s(t)$는 주간 혹은 연간과 같은 주기적인 변화, $h(t)$는 불규칙 이벤트인 휴일의 영향력, $\epsilon$는 모형이 설명하지 못하는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s(t)$는 수식(2)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2)
$$ s(t)=\sum_{n=1}^N\left(a_n \operatorname{Cos}\left(\frac{2 \pi n t}{P}\right)+b_n \operatorname{Sin}\left(\frac{2 \pi n t}{P}\right)\right) $$

$P$는 시계열모델에서의 정규주기로 계절성 모델을 적합하기 위해서는 $2N$만큼의 파라미터인 $\beta =[a1,\: b1,\:\ldots ,\: a N,\: b N]^{t}$를 추정해야 한다. 또한 $N$이 커질수록 모델은 패턴을 더욱 세세하게 감지한다.

그림. 5. REC 거래 규모에 대한 Cyclic Pattern 지수

Fig. 5. Cyclic Pattern index of REC trade size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5.png

그림. 6. REC 체결 건수에 대한 Cyclic Pattern 지수

Fig. 6. Cyclic Pattern index of number of REC contracts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6.png

그림. 7. REC 체결가격에 대한 Cyclic Pattern 지수

Fig. 7. Cyclic Pattern index of REC contract price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7.png

REC 거래 규모, 체결 건수(건), 체결가격을 기준으로 Cycle을 도출하여 전체 거래 규모의 월간 추이, REC 거래의 형태, REC 가격의 시계열적인 월간 주기를 파악하는 지수로 활용했으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5, 6, 7과 같다. 세 경우 모두 2018년을 100으로 환산하여 지수화했으며, 4년을 주기로 Cycle이 생성됨을 확인했다.

그림. 8. 예측인자 특징 대표 벡터 추출

Fig. 8. Extraction latent vector of characteristic of forecasting feature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8.png

AutoEncoder는 예측인자들의 특징을 요약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AutoEncoder는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인코딩 기능과 인코딩된 표현에서 입력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디코딩 기능의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차원 축소를 위해 데이터 집합에 대한 효율적인 표현을 학습하게 된다. AutoEncoder는 원본 데이터에서 잠재 벡터로의 인코더와 잠재 벡터에서 출력 데이터로의 디코더로 구성되며 원본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인코더와 디코더가 학습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수식(3)과 같다.

(3)
$$ \begin{aligned} & \phi: X \rightarrow F \\ & \psi: F \rightarrow \widehat{X} \\ & \phi, \psi=\underset{\phi, \psi}{\arg \min }\|X-(\phi \circ \psi) \widehat{X}\|^2 \end{aligned} $$

$\phi$는 원본 데이터 $X$를 병목지점의 잠재 벡터 $F$로 매핑하는 인코더 함수, $\psi$는 병목지점의 잠재 벡터 $F$를 출력 데이터에 매핑하는 디코더 함수이다.

그림 8은 예측인자들의 특징을 대표하는 벡터를 추출하는 인코딩과 디코딩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예측인자들의 종합적인 동태를 2차원 벡터로 요약하는 것을 나타낸. 2차원 벡터는 입력값들과 재현값들 간의 MSE(Mean Squared Error)가 최소화되도록 학습하였다. 미래 가정에 따른 입력값들에 대해 학습된 패턴으로 2개의 특징 벡터를 산출하였다.

4. 사례연구

4.1 예측모형별 결과

각 모델 유형에 속하는 모형들을 통해 예측한 REC 가격의 정확도를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로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표 1. 각 모델별 REC 가격 예측 정확도

Table 1. REC price forecasting accuracy of each models

모형 유형

모형

MAPE (%)

‘23년 3월 기준

‘23년 6월 기준

2022(1)

2023(2)

2022(3)

2023(4)

ML Linear Regress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2.79

4.17

3.21

4.07

Ridge

Regression

2.91

3.97

3.33

3.85

Lasso

Regression

2.80

4.16

3.22

4.06

ElasticNet

Regression

2.90

3.98

4.55

3.23

Tree Based Regression

Random Forest

1.82

2.24

1.98

3.26

XGBoost

Regression

0.02

0.02

0.00

0.00

Light GBM

Regression

18.98

28.69

9.31

20.07

Similarity Based

KNN

10.56

16.02

8.21

12.06

Time Series Based

TCN Regression

0.46

0.20

0.60

0.81

2회 예측(2023년 3월 기준; 2023년 2월 실적으로 예측, 2023년 6월 기준; 2023년 5월 실적으로 예측)을 통해 각각 2022년 12개월 예측결과의 적합도와 2023년 1~2월 예측결과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표 1의 (1)과 (3)은 2022년의 적합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2023년 2월까지 데이터로 학습, 2023년 5월까지 데이터로 학습한 모형의 결과이며 (2)와 (4)는 2023년 1월~2월 적합도 결과, 2023년 1월~5월 적합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2023년 2월까지 데이터로 학습한 모형, 2023년 5월까지 데이터로 학습한 모형의 결과이다.

예측적합도 10% 미만이면서 각 모형의 유형별로 적합도가 낮은 모형들(XGBoost Regression, TCN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에 따라 2023년 예측구간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짐에 따라 예측 결과의 안정적인 제시를 위해 3개 모델에서의 결과를 산술 평균하여 최종 예측 결과를 제시한다.

그림. 9. 모델별 REC 예측 결과

Fig. 9. REC forecasting Result of each models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9.png

그림. 10. 예측 모델 결과 앙상블에 의한 REC 가격 예측 결과 그래프

Fig. 10. REC Price forecasting results graph by model ensemble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10.png

REC 가격에 대해 각 모델의 예측 결과를 나타내면 그림 9와 같으며 XGBoost Regression, TCN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모형의 결과 값을 산술 평균한 값과 실제 REC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면 그림 10과 같다. 또한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앙상블 과정을 통해 산출한 REC 예측가격과 2023년 5월까지 실제 REC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면 표 2와 같다.

표 2. 예측 모델 결과 앙상블에 의한 REC 가격 예측 결과

Table 2. REC Price forecasting results by model ensemble

기간

REC Price

Ensemble

2022년

1월

46,733

47,884

2월

56,636

55,241

3월

48,308

49,847

4월

53,349

52,937

5월

53,332

54,641

6월

54,993

54,867

7월

56,007

56,118

8월

62,495

61,939

9월

63,746

64,459

10월

63,962

65,851

11월

64,149

64,606

12월

64,524

63,733

2023년

1월

66,022

65,426

2월

62,872

63,152

3월

68,167

68,174

4월

72,317

71,535

5월

72,259

71,084

6월

 -

69,024

7월

 -

70,184

8월

 -

73,332

9월

 -

71,518

10월

 -

73,536

11월

 -

76,240

12월

 -

73,898

4.2 주요 인자

Permutation Feature Importance를 통해 각 예측모형에서의 예측인자의 중요도를 산출했다. 각 예측모형의 중요도에 대해 상대적 중요도(=중요도/중요도 최대값)를 산출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평균하여 종합 중요도를 산출했으며 적용한 모형 중에서 적합도와 예측 정확도가 높은 XGBoost Regression, TCN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모형에서의 중요도로 산출했다. 최종적으로 예측인자의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비중, 환율, 전력수요, RPS 할당률, 소비자 물가 지수(CPI, Customer Price Index), SMP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그림. 11. XGBoost Regression에서의 변수중요도

Fig. 11. Feature importance at XGBoost Regression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11.png

그림. 12. TCN Regression에서의 변수중요도

Fig. 12. Feature importance at TCN Regression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12.png

그림. 13. ElasticNet Regression Regression에서의 변수중요도

Fig. 13. Feature importance at ElasticNet Regression Regression

../../Resources/kiee/KIEE.2023.72.9.967/fig13.png

5. 결 론

본 논문은 REC 현물시장 가격 예측을 위한 예측인자와 방법론을 제시하며, 이를 활용한 예측 결과 및 예측에 주요하게 작용한 인자를 제시하였다. 예측인자로, 전력수요, 계통한계가격과 같은 필수적 인자뿐 아니라, 신재생 거래 비중이나 RPS 할당률과 같이 시장 상황 및 정책으로 인한 영향 또한 예측과정에 반영하였다. 결과적으로 예측 모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 전력시장 및 에너지 정책의 변화 등의 특성을 고려한 REC 현물시장 가격의 예측 결과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예측 모델이 아닌 다양한 유형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는 예측 모델들에서의 결과값을 앙상블 함으로써, 안정적인 예측값 제시가 가능하다. 제안된 모형에서 도출된 중요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장 변화와 정책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REC 현물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미래 가격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매우 중요한 도구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후 연구로는 사용 인자들의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stochastic을 활용하여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절차를 진행함에 따라 미래의 불확실성 또한 예측에 반영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0년도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 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20204010600220)

본 연구는 2023년도 SK E&S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References

1 
2021, The Republic of Korea’s Update of its First Nationality Determined Contribution, South KoreaGoogle Search
2 
H. Y. Shin, J. B. Park, 2021, Analysis of Global RE100 Operation Status and Suggestions for Expanding RE100 in South Korea,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 Engineers, Vol. 70, No. 11, pp. 1645-1654Google Search
3 
C. Y. Lee, 2015, Basic Research Report 2015-1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ice prediction methodology for REC Price of Renewal EnergyGoogle Search
4 
S. Y. Kim, S. Y. Park, 2020, Long-Trem Estimation for REC Price, TLG on 1(6) The Lantau GroupGoogle Search
5 
F.H. Jufri, S. M. Oh, J. S. Jung, 2019, Day-ahead system marginal price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imilar-days information,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4, pp. 561-568DOI
6 
B. Oh, D. -H. Lee, D. Lee, 2022, Oil-Price Based Long- Term Hourly System Marginal Electricity Price Scenario Generation, in IEEE Access, Vol. 10, pp. 25051-25061DOI
7 
M. G. Koo, 2013, South Korea’s Feed-in Tariff Program and Its Implications for New Industrial Policy: Policy Design, Implementation, and Learning, Vol. 22, No. 1, pp. 1-27Google Search
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Google Search
9 
National Archives of KoreaGoogle Search
10 
MOTIE, 2023,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Google Search
11 
KPX, 2022, Electricity Market StatisticsGoogle Search
12 
https://onerec.kmos.kr/Google Search
13 
D. H .Kim, H. J. Jo, M. S. Kim, J. H. Roh, J. B. Park, 2019, Short-Term Load Forecasting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9, pp. 1094-1099Google Search
14 
S. W. Shim, D. H. Lee, J. H. Roh, J. B. Park, 2023, A Machine Learning-Based Algorithm for Short-Term SMP Forecasting Using 2-Step Method,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8, No. 3, pp. 1493-1501DOI

저자소개

이성희(Sung-Hee Lee)
../../Resources/kiee/KIEE.2023.72.9.967/au1.png

1970년 6월 27일생.

1992년 목원대 응용통계학과 졸업.

1994년 충남대 대학원 통계학과 졸업(석사).

1999년 岡山대학 대학원 환경수리학과 졸업(박사).

현재 ㈜비알프레임 상무

이우남(Woo-Nam Lee)
../../Resources/kiee/KIEE.2023.72.9.967/au2.png

1979년 6월 19일생.

2005년 건국대 전기공학과 졸업.

2007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심상우(Sang Woo Shim)
../../Resources/kiee/KIEE.2023.72.9.967/au3.png

1997년 3월 26일생.

2022년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23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건국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원종집(Jong Jip Won)
../../Resources/kiee/KIEE.2023.72.9.967/au4.png

1982년 12월 27일생.

2008년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0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SK E&S Renewables 부문 Manager

양유정(Yu Jeong Yang)
../../Resources/kiee/KIEE.2023.72.9.967/au5.png

2000년 9월 6일생.

한양대학교 산업융합학부 응용시스템전공 재학중.

현재 SK E&S Renewables 부문 Manager

박종배(Jong-Bae Park)
../../Resources/kiee/KIEE.2023.72.9.967/au6.png

1963년 11월 24일생.

1987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현재 건국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