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 Traction and Signaling System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



Power System, Transmission line, Power Cable, Bessel Function

1. 서 론

전력 시스템에서 전선로의 임피던스 값을 구하는 것은 전력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기본적인 항목이다. 전선로의 임피던스는 저항, 캐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선로 특성 및 구성에 따라 임피던스의 값이 달라진다. 동일한 단면적 및 길이의 전선로도 전선로 설치 높이와 간격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진다. 따라서 각각의 전선로는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를 계산하여야 한다.

3상 송·배전 시스템의 전선로의 임피던스 매트릭스는 3상의 $3\times 3$ 혹은 $2\times 3$상인 경우 $6\times 6$ 나타낸 매트릭스로 나타낼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쉽게 임피던스 매트릭스를 접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임피던스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전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도심에서는 가공선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하는 것은 미관상으로 좋지 않고, 환경문제로 인하여 많은 반대에 부딪치고 있다. 도시의 전력공급은 cable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전력케이블은 코아(core), 절연체(insulator), sheath 및 피복(jacke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아와 sheath간에 magnetic coupling이 발생하여, 단순한 전력선으로 고려할 수 없다 (1)(2)(3). 교류에서는 케이블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코아, 절연체, sheath, 케이블 피복 및 대지를 고려해야 한다 (2)(3)(4). 전력케이블의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해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4)(5)(6)(7)(8). 유한요소법에서는 저항과 인덕턴스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구하며, 케이블의 캐패시턴스를 구하기 위해서 절연체의 전장(electric field)을 합하여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한다. 저항과 인덕턴스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5)(9).

교류용 전력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해서는 표피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연구 논문들에서는 전력케이블의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해서 도체와 sheath의 표피효과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해석적인 방법은 전력용 software를 개발할 때 필요하다.(10)

2. 전송로의 임피던스 모델링

2.1 Cylindric 도체 모델링

전력케이블(Power cable)은 그림 1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core와 sheath는 도체이다. 케이블 Core에 전류가 흐를 때 sheath에 전류가 유도되어 도통되게 되며, 이 모델은 그림 2에 나타내었다. 전력케이블의 모델링은 코아와 sheath를 고려하여 모델링을 해야 한다.

그림 1 케이블 단면

Fig. 1 Cable Section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1.png

그림 2 단상케이블에 생성된 Eddy current

Fig. 2 Eddy current produced in a Single Cable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2.png

그림 3 금속 막의 내면 및 외면 임피던스

Fig. 3 Inner and Outer Impedance of Metal Screen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3.png

코아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시스에 전류가 그림 2와 같이 유도된다.

그림 2에서 유도된 전류는 그림 3과 같이 코아전류 $I_{c}$, 시스전류 $I_{s}$ 및 대지전류 $I_{g}$로 나타낼 수 있다. 코아는 원통형, sheath는 실린더 형으로서 표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표면효과를 고려하면, 시스 내부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케이블에 존재하는 임피던스는 그림 3에 나타내었다. 임피던스는 코아 표면($z_{11}$), 코어와 시스간의 임피던스($z$), 시스 실린더의 내면 임피던스($z$), 외면 임피던스($z$) 및 내면과 외면 사이의 임피던스($z$), 시스와 대지($z$) 간의 임피던스가 존재한다.

2.2 코아 및 Sheath 표면 임피던스

2.2.1 도체 표면 임피던스 모델링

코아 표면 전류 및 sheath의 전류는 자장을 형성하게 되며, 코아 전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류는 그림 4에서의 반지름 방향으로 방사선과 같이 전파되게 된다.

그림 4 단상케이블의 전장 및 자장

Fig. 4 Electric and magnetic field in a single cable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4.png

자장의 전파는 코아에서 자장의 확산(diffusion) 현상과 동일하다. 자장에 대한 확산 식(Diffusion equation)의 특성 해는 Bessel equation이 된다. Maxwell 방정식을 원통좌표계$(r,\:\phi ,\: z)$로 변환시키고, 자장의 세기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식 (1)을 얻는다.

(1)
$\begin{cases} r^{2}\dfrac{\partial^{2}H_{\phi}}{\partial r^{2}}+r\dfrac{\partial H_{\phi}}{\partial r}-H_{\phi}=r^{2}\left(\nu^{2}-\Gamma^{2}\right)H_{\phi}\\ or\\ \dfrac{\partial}{\partial r}\left(\dfrac{1}{r}\dfrac{\partial\left(r H_{\phi}\right)}{\partial r}\right)=\left(\nu^{2}-\Gamma^{2}\right)H_{\phi} \end{cases} $

where $\nu^{2}= j\omega\sigma\mu$, $\Gamma^{2}=\omega^{2}\epsilon\mu$ $\sigma$, $\mu$, $\epsilon$, 및 $\omega$는 매질의 전도율(conductivity), 투자율(permeability), 유전율(permittivity) 및 각속도(angular speed)를 나타낸다. 식 (1)은 확산식 에서 유도된 식으로서 자장의 발산을 나타낸다. 식 (1)의 $\nu$, $\Gamma$ 및 $\gamma$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nu^{2}= j\omega\mu\sigma$, $\Gamma^{2}=\omega^{2}\epsilon\mu$

$\gamma^{2}=\nu^{2}-\Gamma^{2}= j\omega\mu\sigma -\omega^{2}\epsilon\mu$,

$\gamma$ : 전파상수(propagation constant)

$\gamma^{2}= j\omega\mu(\sigma +j\omega\epsilon)\simeq j\omega\mu\sigma\equiv\nu^{2}$, $\because\sigma\gg\epsilon$

$\nu =\sqrt{j\omega\mu\sigma}$

Bessel equation으로서 식 (1)의 2개 식은 동일한 식이며, $\Gamma^{2}$는 $\nu^{2}$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값($\Gamma\approx 0$)으로서 무시할 수 있다. 식 (1)의 아래 식을 전개하면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12)(13).

(2)
$\dfrac{\partial}{\partial r}\left[\dfrac{1}{r}\dfrac{\partial}{\partial r}\left(r H_{\phi}\right)\right]=\nu^{2}H_{\phi}$

식 (2)의 관계는 자장의 세기는 전파상수(propagation constant)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Bessel equation은 원통좌표계 혹은 구좌표계에서 Laplace 및 Helmholtz equation의 별도의 해를 구할 때 사용되며, 식 (2)의 해는 modified Bessel function으로서, 2계(order 2)이며, 2개의 1차 독립적인 해를 갖게 된다. 2개의 독립적인 식은 $I_{m}(x)$와 $K_{m}(x)$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식으로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13)(14)(15).

(3)
$H_{m}=C_{1}I_{m}(x)+C_{2}K_{m}(x)$

식 (2)의 해는 식 (3)을 이용하여, 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H_{\phi}=AI_{1}(\nu r)+BK_{1}(\nu r)$

함수 $I_{1}(u)$과 $K_{1}(u)$는 1종(first kind) 및 2종(second kind) 의 1계(first order)이다. Maxwell 방정식을 극좌표로 나타낸 $H_{\phi}$와 $E_{z}$의 관계는 식 (5)와 같다.

(5)
$\dfrac{d\left(r H_{\phi}\right)}{dr}=r(\sigma +j\omega\epsilon)E_{z}$

Bessel function의 미분규칙 식 (6)을 이용하면 $E_{z}$에 대한 식 (7)을 구할 수 있다.(9)

(6)
$\begin{cases} \dfrac{d}{dx}\left(x^{n}I_{n}\right)= x^{n}I_{n-1}\\ \dfrac{d}{dx}\left(x^{n}K_{n}\right)= -x^{n}K_{n-1} \end{cases}$

(7)
$E_{z}=\eta\left(AI_{0}(\nu r)-BK_{0}(\nu r)\right)$,

where $\eta =\dfrac{\nu}{\sigma}=\dfrac{j\omega\mu}{\nu}=\sqrt{\dfrac{j\omega\mu}{\sigma}}$. $\eta$는 intrinsic impedance이다.

2.2.2 코아 표면 및 sheath 표면 임피던스

이 모델의 코어와 sheath는 도체이며 중실축(solid cylinder)와 중공축(hollow cylinder) 형태이다. 인덕턴스는 내부와 외부 인덕터스로 나눌 수 있다. 외부 임피던스는 도체에 전류가 도통하면서 생성되는 자속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모든 자속은 유전체 부분에 존재한다. 내부 인덕턴스는 도체 표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생성되는 자속이며 내부에 존재한다.

임의의 동축 귀환로에 의해서 둘러싸인 중실축 ($r=r_{1}$) 내부 실린더 경우를 고려하여, 식 (7)에서 상수 $A$ 및 $B$를 구한다. $r = 0$일 때 $K$-function은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B = 0$로서 한 전선 축을 따른 E.M.I는 정해진 값이다.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가 $I$이면, 자장의 세기는 $H_{\phi}=I/2\pi r_{1}$이다. 식 (7)에 의해서, 자장의 세기는 $A I_{1}(\nu r_{1})$이 된다. 여기서 $I_{i}()$ 및 $I_{i}$는 각각 modified Bessel function 및 전류를 나타낸다.

따라서

(8)
$A =\dfrac{I}{2\pi r_{1}I_{1}(\nu r_{1})}$

전선 내의 자장의 세기에 대한 최종 표현은 식 (9)과 같다.

(9)
$E_{z}(r_{1})=\dfrac{\eta_{1}I_{0}\left(\nu r_{1}\right)}{2\pi b I_{1}(\nu r_{1})}I$

중실축 전선에 대한 표면 임피던스는 식 (10) 과 같다.

(10)
$Z_{11}=\dfrac{E_{z}(r_{1})}{I}=\dfrac{\eta_{1}}{2\pi r_{1}}\dfrac{I_{0}(\nu r_{1})}{I_{1}\left(\nu r_{1}\right)}$

그림 1의 sheath의 내경($r_{2}$) 및 외경($r_{3}$)에 전류가 각각 $I_{2}$ 및 $I_{3}$가 흐른다고 할 수 있다. 내경(inner)과 외경(outer)의 임피던스를 각각 $Z_{2i}$ 및 $Z_{2o}$이다. 두 임피던스에 사이의 상호임피던스를 $Z_{2m}$이다.

귀환 경로가 부분적으로 내경와 외경인 경우, 튜브형 도체에서 2개의 전류가 섞이는 것으로 인하여 상호 분포임피던스가 $Z_{2m}$인 2개의 전송경로를 갖게 된다. 실린더의 2개의 도체(내부 및 외부)에 공통으로 형성된 자장이 실린더의 2개의 도체에 의해서 형성된 것만이 아니라면 $Z_{2m}$는 두 도체 사이의 전체 상호 임피던스가 아니며, 따라서 $Z_{2m}$를 한쪽 표면에서 다른 쪽 표면까지의 전달 임피던스라 한다.

이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해서, 튜브 도체에 전류 $I_{2}+I_{3}$가 흐르면, $I_{2}$는 내경에, 다른 전류 $I_{3}$는 외경에 흐른다. 내경에 흐르는 전류는 $-I_{2}$이고, 외경에 흐르는 전류는 $I_{3}$이다. 각각 표면에서 자장의 세기는 $H_{\phi ,\:r2}= -\dfrac{I_{2}}{2\pi r_{2}}$ and $H_{\phi ,\:r3}=\dfrac{I_{3}}{2\pi r_{3}}$ 이다.

(11)
$\begin{cases} A I_{1}(\nu r_{2})+ B K_{1}\left(\nu r_{2}\right)= -\dfrac{I_{2}}{2\pi r_{2}}\\ A I_{1}(\nu r_{3})+ B K_{1}\left(\nu r_{3}\right)=\dfrac{I_{3}}{2\pi r_{3}} \end{cases}$

따라서

(12)
$\begin{cases} A =\dfrac{K_{1}(\nu r_{3})}{2\pi a D}I_{2}+\dfrac{I_{1}(\nu r_{2})}{2\pi b D}I_{3}\\ \\ B =-\dfrac{K_{1}(\nu r_{3})}{2\pi r_{2}D}I_{2}-\dfrac{I_{1}(\nu r_{2})}{2\pi r_{3}D}I_{3} \end{cases}$

where $D = I_{1}(\nu r_{3})K_{1}(\nu r_{2})- I_{1}(\nu r_{2})K_{1}(\nu r_{3})$

식 (7)식 (12)를 대입을 하면 계산을 하면 실린더의 내면 임피던스($z$), 외면 임피던스($z$) 및 내면과 외면 사이의 임피던스($z$)에 대한 식 (13)을 얻는다.

(13)
$\begin{cases} Z_{2i}=\dfrac{\eta_{2}}{2\pi r_{2}}\dfrac{I_{0}\left(\nu r_{2}\right)K_{1}(\nu r_{3})+I_{1}(\nu r_{3})K_{0}(\nu r_{2})}{I_{1}\left(\nu r_{3}\right)K_{1}(\nu r_{2})-I_{1}(\nu r_{2})K_{1}(\nu r_{3})}\\ \\ Z_{2o}=\dfrac{\eta_{2}}{2\pi r_{3}}\dfrac{I_{0}\left(\nu r_{3}\right)K_{1}(\nu r_{2})+ I_{1}(\nu r_{2})K_{0}(\nu r_{3})}{I_{1}\left(\nu r_{3}\right)K_{1}(\nu r_{2})-I_{1}(\nu r_{2})K_{1}(\nu r_{3})}\\ \\ Z_{2m}=\dfrac{1}{2\pi r_{2}r_{3}}\dfrac{1}{I_{1}\left(\nu r_{3}\right)K_{1}(\nu r_{2})-I_{1}(\nu r_{2})K_{1}(\nu r_{3})} \end{cases}$

임피던스는 반지름 $r_{i}$, intrinsic impedance $\eta_{i}$, 전파상수 $\nu$와 Bessel functions에 의해서 결정된다.

2.2.3 도체 간 임피던스 모델링

Cable의 절연층인 외부임피던스는 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4)
$Z_{12}=\dfrac{\mu}{I}\int_{r_{1}}^{r_{2}}H_{\phi}d\rho =\dfrac{\mu}{2\pi}\log\left(\dfrac{r_{2}}{r_{1}}\right)$

2.2.4 대지귀환 임피던스 모델링

Carson은 자기임피던스 및 상호임피던스를 $Z_{ii}=Z_{ii}^{0}+Z_{ii}^{'}$와 $Z_{ij}=Z_{ij}^{0}+Z_{ij}^{'}$로 나타내었다. $Z_{ii}^{0}$와 $Z_{ij}^{0}$는 대지가 완벽한 도체라는 것을 고려하여 구한 임피던스이며, $Z_{ii}^{'}$와 $Z_{ij}^{'}$는 대지가 유한도체라는 것을 고려한 항목이다(16). Carson의 식에서 $Z_{ii}$와 $Z_{ij}$는 식 (15)(16)과 같이 정의된다.

(15)
\begin{align*} Z_{ii}= &z+j2\omega \ln\left((h_{i}+h_{i}^{'})/r_{d}\right)\\ &+4\omega\int_{0}^{\infty}\left(\sqrt{\mu^{2}+j}-\mu\right)e^{-2h^{'}\mu}d\mu \end{align*}

(16)
\begin{align*} Z_{ij}= &j2\omega \ln\left(D_{ij}^{'}/D_{ij}\right)\\ &+4\omega\int_{0}^{\infty}\left(\sqrt{\mu^{2}+j}-\mu\right)e^{(h_{i}^{'}+h_{j}^{'})\mu}\cos x_{ij}^{'}\mu d\mu \end{align*}

전선표면의 전계강도는 $z I$로 나타낼 수 있으며, $z$는 전선표면 임피던스 이다. Carson식의 대지귀환 값에 관련된 보정항을 나타낸 것으로 무한 적분항을 포함하고 있다 (16)(17). 그림 5와 같이 나타내면은 Carson의 식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림 5는 대지를 공기 중에 해당하는 조건으로 변환하면은 그 조건에 해당하는 $p$에서 상응한 도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17)
$Z_{ii}=j\omega\dfrac{\mu_{o}}{2\pi}\ln\dfrac{2(h_{i}+p)}{r_{i}}$

(18)
\begin{align*} Z_{ij} & =j\omega\dfrac{\mu_{o}}{2\pi}\ln\dfrac{\sqrt{\left(h_{i}+h_{j}+2p\right)^{2}+x_{ij}^{2}}}{\sqrt{\left(h_{i}-h_{j}\right)^{2}+x_{ij}^{2}}}\\ & =j\omega\dfrac{\mu_{0}}{2\pi}\ln\dfrac{D_{ij}^{''}}{D_{ij}} \end{align*}

윗 식은 대지귀환 전류를 귀선 도체가 공기 중에 있는 것으로 모델링을 하여 구한 식이다. 따라서 대지 깊이 $p$를 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그림 5 등가 대지귀환 깊이 ($D_{e}$)

Fig. 5 Equivalent Earth Return Depth ($D_{e}$)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5.png

(19)
$Z_{ii}=R_{i}+R_{0}+ j\omega\dfrac{\mu_{o}}{2\pi}\ln\dfrac{2(h_{i}+p)}{GMR_{ri}}$

$h_{i}$는 도체와 대지 간의 높이로서 그림 5와 같이 conductors와 ground 간의 간격이다. 대지 깊이 $p$는 식 (20)과 같이 주어진다.

(20)
$p =\dfrac{1}{\sqrt{j\omega\mu\sigma}}$

식 (19)의 Modified Carson 식은 식 (21)과 같다.

(21)
$Z_{ii}=R_{i}+R_{0}+ j\omega\dfrac{\mu_{0}}{2}\left(\ln\dfrac{1}{GMR_{ri}}+\ln D_{e}\right)\Omega /m$

$GMR_{ri}$는 도체의 GMR이며, $R_{i}$ 및 $R_{0}$은 도체 및 대지 저항을 나타낸다. 대지 귀환의 등가 대지 깊이($D_{e}$)는 그림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D_{e}$는 식 (22)와 같다 (17).

(22)
$D_{e}= 0.305\times 2160\sqrt{\dfrac{\rho}{f}}m$

where $\rho$ : earth resistivity, $f$ : frequency

대지 비저항($\rho$ :resistivity)의 값이 없으면 $\rho = 100\Omega m$로 한다 (18). 대지의 $p$는 Table 1과 같다.

표 1 대지 도전율 및 60Hz에서 동등 도체거리

Table 1 Earth Resistivity and 60Hz Equivalent Conductor Distance(17)

Type of earth

Resistivity

($\Omega m$)

$D_{e}$(m)

Average damp earth

100

850

Sea water

0.01-1.0

8.5-85.0

Swampy ground

10-100

850

Dry earth

1000

2,690

Pure sleate

$10^{7}$

269,000

Sandstone

$10^{9}$

2,690,000

대지 귀환로의 GMR은 그에 해당하는 지상도체의 GMR과 동일하다. 모든 대지귀환 도체의 깊이($D_{d}$)는 모두 동일하게 간주한다. 대지저항($r_{0}$)는 식 (23)과 같이 정의되며, 동일하다고 간주된다.

(23)
$R_{0}= 9.8769\times 10^{-7}\times f\Omega /m$

2.2.5 케이블 부분별 임피던스

케이블에 존재하는 임피던스를 식 (24)에 나타내었다(9).

(24)
$\begin{cases} Z_{11}=\dfrac{1}{2\pi r_{1}}·\eta_{1}·\dfrac{I_{0}\left(\nu r_{1}\right)}{I_{1}\left(\nu r_{1}\right)}\\ \\ Z_{12}=\dfrac{\mu}{2\pi}\log\left(\dfrac{r_{2}}{r_{1}}\right)\\ \\ Z_{2i}=\dfrac{1}{2\pi r_{2}}·\eta_{2}·\dfrac{I_{0}\left(\nu r_{2}\right)K_{1}(\nu r_{3})+I_{1}(\nu r_{3})K_{0}(\nu r_{2})}{I_{1}\left(\nu r_{3}\right)K_{1}(\nu r_{2})-I_{1}(\nu r_{2})K_{1}(\nu r_{3})}\\ \\ Z_{2o}=\dfrac{1}{2\pi r_{3}}·\eta_{2}·\dfrac{I_{0}\left(\nu r_{3}\right)K_{1}(\nu r_{2})+ I_{1}(\nu r_{2})K_{0}(\nu r_{3})}{I_{1}\left(\nu r_{3}\right)K_{1}(\nu r_{2})-I_{1}(\nu r_{2})K_{1}(\nu r_{3})}\\ \\ \begin{aligned}Z_{2m}=\dfrac{1}{2\pi r_{2}r_{3}}\dfrac{1}{I_{1}\left(\nu r_{3}\right)K_{1}(\nu r_{2})-I_{1}(\nu r_{2})K_{1}(\nu r_{3})}\\ \\ Z_{23}= R_{0}+j\omega\dfrac{\mu_{0}}{2\pi}\ln\dfrac{D_{e}}{D_{ij}}\end{aligned} \end{cases}$

식 (24)식의 $Z_{11}$, $Z_{2i}$, $Z_{2o}$ 및 $Z_{2m}$을 간략화 하면 식 (25)와 같이 된다 (9).

(25)
$Z_{11}=\dfrac{1}{2r_{1}}\sqrt{\dfrac{\mu f}{\pi\sigma}}+\dfrac{1}{4\pi\sigma r_{1}^{2}}+j\left(\dfrac{1}{2r_{1}}\sqrt{\dfrac{\mu f}{\pi\sigma}}\right)$ \begin{align*} Z_{2i}= &\dfrac{1}{2r_{2}}\sqrt{\dfrac{\mu_{2}f}{\pi\sigma_{2}}}\dfrac{\sinh u+\sin u}{\cosh u -\cos u}+\dfrac{r_{2}+2r_{3}}{164\pi\sigma r_{2}r_{1}^{2}}\\ & +j\omega\left(\dfrac{1}{2r_{2}}\sqrt{\dfrac{\mu_{2}f}{\pi\sigma_{2}}}\dfrac{\sinh u-\sin u}{\cosh u -\cos u}\right) \end{align*} \begin{align*} Z_{2o}= &\dfrac{1}{2r_{3}}\sqrt{\dfrac{\mu_{2}f}{\pi\sigma_{2}}}\dfrac{\sinh u+\sin u}{\cosh u -\cos u}+\dfrac{r_{3}+3r_{2}}{164\pi\sigma r_{2}r_{1}^{2}}\\ & +j\omega\left(\dfrac{1}{2r_{3}}\sqrt{\dfrac{\mu_{2}f}{\pi\sigma_{2}}}\dfrac{\sinh u-\sin u}{\cosh u -\cos u}\right) \end{align*}\begin{align*} Z_{2m}= &\dfrac{1}{\sqrt{r_{2}r_{3}}}\sqrt{\dfrac{\mu_{2}f}{\pi\sigma_{2}}}\dfrac{\sinh\dfrac{u}{2}\cos\dfrac{u}{2}u+\cosh\dfrac{u}{2}\sin\dfrac{u}{2}u}{\cosh u -\cos u}\\ & +j\omega\left(\dfrac{1}{\sqrt{r_{2}r_{3}}}\sqrt{\dfrac{\mu_{2}f}{\pi\sigma_{2}}}\dfrac{\sinh\dfrac{u}{2}\cos\dfrac{u}{2}u+\cosh\dfrac{u}{2}\sin\dfrac{u}{2}u}{\cosh u -\cos u}\right) \end{align*}

where $u= t\sqrt{2\omega\mu\sigma},\: t:thickness$

Bessel식을 근사화 해서 구한 cable의 임피던스 $Z_{2i}$와 $Z_{2o}$의 저항성분

$\begin{aligned} & r_{2 i}=\frac{1}{2 r_1} \sqrt{\frac{\mu f}{\pi \sigma}}+\frac{1}{4 \pi \sigma r_1^2} \\ & r_{20}=\frac{1}{2 r_3} \sqrt{\frac{\mu_2 f}{\pi \sigma_2}} \frac{\sinh u+\sin u}{\cosh u-\cos u}+\frac{r_3+3 r_2}{164 \pi \sigma r_2 r_1^2}\end{aligned}$

의 2번째 항목은 곡면에 대한 보정 값이며, 도체가 평면이면 없어진다.

3. Power Cable 임피던스 모델링

3.1 Cylindric 도체 모델링

Power cable은 그림 1에서와 같이 코아 및 sheath는 도체이다. 코아에 전류가 흐를 때 sheath에는 부하전류에 의해서 생성된 자장(magnetic field)과 전장(electric field)에 의해서 유도전류($I_{s}$)가 흐른다. Power cable에 코아의 전류($I_{c}$), sheath 전류($I_{s}$) 및 대지전류($I_{g}$)로 흐른다고 가정할 수 있다. 유도성분에 의해서 코아와 sheath 사이에 전류 $I_{2}$가 흐른다. 식 (11)을 도출하기 위한 가정과 동일하게 Sheath는 실린더 형태로서 실린더의 내경 전류($I_{2}$)과 외경 전류($I_{3}$)가 각각 흐른다. Sheath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임피던스는 $Z_{2m}$는 외면전류($I_{3}$)가 흐른다. $V_{12}$와 $V_{12}+\Delta V_{12}$의 관계는 그림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9).

그림 6 단선케이블의 전압 및 전류

Fig. 6 Voltages and Currents in a Cable Section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6.png

그림 4에서 전류 $I_{c}$, $I_{s}$, $I_{g}$ $I_{2}$, 및 $I_{3}$의 관계는 식 (26)와 같다.

(26)
$\begin{cases} I_{2}= - I_{c}\\ I_{3}= -I_{g}\\ I_{s}= I_{2}+I_{3}= -\left(I_{c}+I_{3}\right)\\ I_{g}= -(I_{c}+I_{s}) \end{cases}$

그림 6에서 $V_{12}$ 및 $V_{23}$를 그림 7과 8에서 나타냈다.

그림 7 코아 및 시스의 전압

Fig. 7 Voltage of Core and Sheath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7.png

그림 8 시스 및 대지의 전압

Fig. 8 Voltage of Sheath and Ground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8.png

위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식 (27)과 같다.

(27)
$V_{12}= Z_{11}\Delta x I_{c}- Z_{12}\Delta x I_{2}-Z_{2i}\Delta x I_{2}-Z_{2m}\Delta x I_{3}+V_{12}+\Delta V_{12}$

$V_{12}$ 및 $V_{23}$에서 그림 5와 같이 $Z_{2m}$을 고려해야 한다.

식 (27)을 정리하면 식 (28)와 같다.

(28)
$-\dfrac{\Delta V_{12}}{\Delta x}=\left(Z_{11}+Z_{12}+Z_{2i}\right)I_{c}-Z_{2m}I_{3}$, $-\dfrac{\Delta V_{12}}{\Delta x}= Z_{rcs}I_{c}+Z_{2m}I_{g}$, where $z_{rcs}= z_{11}+z_{12}+z_{2i}$

그림 4의 sheath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을 하면 식 (29)를 얻는다.

(29)
$-\dfrac{\Delta V_{23}}{\Delta x}=\left(Z_{2o}+Z_{23}+Z_{0}\right)I_{g}-Z_{2m}I_{2}$

(30)
$-\dfrac{\Delta V_{23}}{\Delta x}= -\left(Z_{ss}+Z_{0}\right)\left(I_{c}+I_{s}\right)+Z_{2m}I_{c}$

where $z_{ss}= z_{2o}+z_{23}$

각 전압 값 $V_{12}$, $V_{23}$을 core 및 sheath 전압 $V_{s}$과 $V_{c}$로 치환을 하면 식 (31)(32)과 같다.

$\begin{cases} V_{s}= -V_{23}\\ V_{c}= V_{12}+V_{s} \end{cases}$

정리를 하면 $I_{c}$와 $I_{s}$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31)
$-\dfrac{\Delta V_{s}}{\Delta x}=\left(Z_{ss}-Z_{2m}+Z_{0}\right)I_{c}+\left(Z_{ss}+Z_{0}\right)I_{s}$

(32)
$-\dfrac{\Delta V_{c}}{\Delta x}=\left(Z_{rcs}-2Z_{2m}+Z_{0}\right)I_{c}+\left(Z_{ss}-Z_{2m}+Z_{0}\right)I_{s}$

식 (31)(32)로 부터 $x arrow 0$이면, 식 (31)(32)식 (33)과 같이 미분방정식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33)
$$\begin{bmatrix}-\dfrac{d V_{c}}{dx}\\-\dfrac{d V_{s}}{dx}\end{bmatrix}=\begin{bmatrix}Z_{rcs}+Z_{ss}-2Z_{2m}+Z_{0}& Z_{ss}-Z_{2m}+Z_{0}\\Z_{ss}-Z_{2m}+Z_{0}&Z_{ss}+Z_{0}\end{bmatrix}\begin{bmatrix}I_{c}\\I_{s}\end{bmatrix}$$ $$\dfrac{d V}{dx}=-[Z]·[I]$$

파워케이블의 임피던스는 식 (34)과 같이 파워케이블 임피던스와 대지 귀로 임피던스로 나타낼 수 있다.

(34)
$\begin{bmatrix}-\dfrac{d V_{c}}{dx}\\-\dfrac{d V_{s}}{dx}\end{bmatrix}=\begin{bmatrix}Z_{rcs}+Z_{ss}-2Z_{2m}& Z_{ss}-Z_{2m}\\Z_{ss}-Z_{2m}&Z_{ss}\end{bmatrix}\begin{bmatrix}I_{c}\\I_{s}\end{bmatrix}+\begin{bmatrix}Z_{0}&Z_{0}\\Z_{0}&Z_{0}\end{bmatrix}\begin{bmatrix}I_{c}\\I_{s}\end{bmatrix}$

where $\left[Z_{ij}\right]=\begin{bmatrix}Z_{rcs}+Z_{ss}-2Z_{m}& Z_{ss}-Z_{2m}\\Z_{ss}-Z_{2m}&Z_{ss}\end{bmatrix}$, $\left[Z_{0}\right]=\begin{bmatrix}z_{0}&z_{0}\\z_{0}&z_{0}\end{bmatrix}$

(35)
$[Z]=\left[Z_{i}\right]+\left[Z_{0}\right]$

where $\left[Z_{i}\right]=\begin{bmatrix}z_{cc}&z_{cs}\\z_{cs}&z_{ss}\end{bmatrix}$, $\left[Z_{0}\right]=\begin{bmatrix}z_{0}&z_{0}\\z_{0}&z_{0}\end{bmatrix}$‘ $Z_{cc}=Z_{rcs}+Z_{ss}-2Z_{m}$ and $Z_{cs}=Z_{ss}-Z_{2m}$

$Z_{cc}$, $Z_{ss}$, $Z_{cs}$, $Z_{0}$는 각각 코아의 자기임피던스, 시스템의 자기임피던스, 코아와 시스 간의 상호 임피던스, 대지 귀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식 (35)은 단상 케이블에 대한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식 (3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6)
$[Z_{i}]=\begin{bmatrix}Z_{cc}+Z_{0}&Z_{cs}+Z_{0}\\Z_{cs}+Z_{0}&Z_{ss}+Z_{0}\end{bmatrix}$

식 (36)는 저항과 reactance 값을 가지고 있다.

3.2 Multiple 도체의 임피던스

그림 9 도체들의 대칭 이미지

Fig. 9 Mirror Image of Conductors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9.png

그림 10 도체들의 중첩

Fig. 10 Superposition of Conductors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10.png

그림 9에서 conductor $j$ 및 mirror conductor $j$를 고려하면 식 (37)을 얻는다.

(37)
\begin{align*} Z_{ij}& =j\omega\dfrac{\mu_{o}}{2\pi}\ln\dfrac{\sqrt{\left(h_{i}+h_{j}+2p\right)^{2}+x_{ijm}^{2}}}{\sqrt{\left(h_{i}-h_{j}\right)^{2}+x_{ij}^{2}}}i\ne j \end{align*}

그림 9의 간략화된 그림 10과 같이 다 도체가 있을 경우를 고려하면, Modified Carson식에서 임피던스는 다음 식 (38)와 같다.

(38)
$Z_{ij}=j\omega\dfrac{\mu_{0}}{2\pi}\ln\dfrac{D_{ijm}}{D_{ij}}i\ne j$

3.3 3상 파워케이블 모델링

3.3.1 3상 파워케이블 특성

그림 11 3상 케이블의 임피던스 모델링

Fig. 11 Impedance Modeling of Three Phase Cable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11.png

2개 이상의 파워케이블이 평행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호 coupling을 고려해야 한다. 파워케이블은 그림 10과 같이 3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워케이블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전기적 모델링은 그림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3.2 3상 power cable 전기적 모델

상 전류의 불평형이 발생하면 중성선과 대지를 통하여 불평형 전류가 흐른다. 2.2.5에서 대지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상정하여 식 (21)식 (35)이 도출되었다. 그림 11로부터 식 (34)식 (35)를 이용하여 식 (39)가 도출된다.

(39)
$-\dfrac{\partial}{\partial x}\begin{bmatrix}V_{c1}\\V_{s1}\\V_{c2}\\V_{s2}\\V_{c3}\\V_{s3}\end{bmatrix}=\begin{bmatrix}Z_{cc1}+Z_{0}&Z_{cs1}+Z_{0}&Z_{c1c2}&Z_{c1s2}&Z_{c1c3}&Z_{c1s3}\\Z_{cs1}+Z_{0}&Z_{ss1}+Z_{0}&Z_{s1c2}&Z_{s1s2}&Z_{s1c3}&Z_{s1s3}\\Z_{c2c1}&Z_{c2s1}&Z_{cc2}+Z_{0}&Z_{cs2}+Z_{0}&Z_{c2c3}&Z_{c2c3}\\Z_{s2c1}&Z_{s2s1}&Z_{cs2}+Z_{0}&Z_{ss2}+Z_{0}&Z_{s2c3}&Z_{s2s3}\\Z_{c3c1}&Z_{c3s2}&Z_{c3c2}&Z_{c3s2}&Z_{cc3}+Z_{0}&Z_{cs3}+Z_{0}\\Z_{s3c1}&Z_{s3s1}&Z_{s3c2}&Z_{s3s2}&Z_{cs3}+Z_{0}&Z_{ss3}+Z_{0}\end{bmatrix}\begin{bmatrix}I_{c1}\\I_{s1}\\I_{c2}\\I_{s2}\\I_{c3}\\I_{s3}\end{bmatrix}$

식 (39)식 (40)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식 (41), Eq(42)식 (43)로 나타내어 구할 수 있다.

(40)
$-\dfrac{\partial}{\partial x}\begin{bmatrix}V_{c1}\\V_{s1}\\V_{c2}\\V_{s2}\\V_{c3}\\V_{s3}\\ \end{bmatrix}=\begin{bmatrix}&&&&&\\&&&&&\\&&&&&\\&(R &+&j\omega L)&&\\&&&&&\\&&&&&\end{bmatrix}\begin{bmatrix}I_{c1}\\I_{s1}\\I_{c2}\\I_{s2}\\I_{c3}\\I_{s3}\end{bmatrix}$

식 (41)은 Ground 저항을 나타낸다.

(41)
$R=\begin{bmatrix}0&0&R_{0}&R_{0}&R_{0}&R_{0}\\0&0&R_{0}&R_{0}&R_{0}&R_{0}\\R_{0}&R_{0}&0&0&R_{0}&R_{0}\\R_{0}&R_{0}&0&0&R_{0}&R_{0}\\R_{0}&R_{0}&R_{0}&R_{0}&0&0\\R_{0}&R_{0}&R_{0}&R_{0}&0&0\end{bmatrix}$

식 (42)식 (37)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42)
$j\omega L=\begin{bmatrix}0&0&Z_{c1c2}&Z_{c1s2}&Z_{c1c3}&Z_{c1s3}\\0&0&Z_{s1c2}&Z_{s1s2}&Z_{s1c3}&Z_{s1s3}\\Z_{c2c1}&Z_{c2s1}&0&0&Z_{c2c3}&Z_{c2s3}\\Z_{s2c1}&Z_{s2s1}&0&0&Z_{s2c3}&Z_{s2s3}\\Z_{c3c1}&Z_{c3s1}&Z_{c3c2}&Z_{c3s2}&0&0\\Z_{s3c1}&Z_{s3s1}&Z_{s3c2}&Z_{s3s2}&0&0\end{bmatrix}$

식 (43)식 (24)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43)
$ZZ1=\begin{bmatrix}Z_{cc1}+Z_{0}&Z_{cs1}+Z_{0}&0&0&0&0\\Z_{cs1}+Z_{0}&Z_{ss1}+Z_{0}&0&0&0&0\\0&0&Z_{cc2}+Z_{0}&Z_{cs2}+Z_{0}&0&0\\0&0&Z_{cs2}+Z_{0}&Z_{ss2}+Z_{0}&0&0\\0&0&0&0&Z_{cc3}+Z_{0}&Z_{cs3}+Z_{0}\\0&0&0&0&Z_{cs3}+Z_{0}&Z_{ss3}+Z_{0}\end{bmatrix}$

3상 cable 임피던스는 각각의 식으로 분리해서 계산을 하고, 다시 합하여 얻을 수 있다.

4. 수치해석

4.1 Cable 특성

Cable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서 그림 1과 같은 파워케이블 형태를 이용하였다. 진공 중의 유전율, 투자율, 및 도전율은 각각 $\epsilon_{0}= 8.84\times 10^{-12}F/m, \begin{align*}\mu_{0}& =4\pi\times 10^{-7}=1.257\times 10^{-6}\end{align*}$ 및 $\sigma_{0}= 0.0(S/m)$와 같다.

표 2 모델의 재료특성

Table 2 Cable Material Specification of a Cable Model(16)

Layer

Material

Conductivity

$\sigma$$(S/m)$

Resistivity

$\rho(\Omega ·m)$

$\mu_{r}$

$\epsilon_{r}$

Core

Copper

$5.9595\times 10^{7}$

$1.68\times 10^{-8}$

1

1

Core

Insulation

XLPE

$10^{-20}$

$10^{20}$

1

2.7

Sheath

Aluminum

$3.77\times 10^{7}$

$2.65\times 10^{-8}$

1

1

Jacket

XLPE

$10^{-20}$

$10^{20}$

1

2.7

표 3 22.9kV FR-CN/CO-W(18)

Table 3 22.9kV FR-CN/CO-W(18)

Nominal section area

(㎟)

Conductor radius

($r_{1}$)(mm)

Insulator outer diameter

($r_{2}$)(mm)

Outer diameter of sheath

($r_{3}$)(mm)

Insulator outer diameter

($r_{4}$)

(mm)

Conductor resistance

(Ω/km)

Insulation resistance

(MΩ/km)

Electrostatic Capacity

(μF/km)

200

8

14.4

17.4

22.5

0.0915

2000

0.32

표 4 모델 케이블의 재료특성

Table 4 Cable Material Specification of a Cable Model(16)

Layer

Material

Radius

(mm)

GMR

(mm)

Resistance

(Ω/m)

Core

Copper

$r_{1}=8$

6.2304

$8.3457\times 10^{-5}$

Core Insulation

XLPE

$r_{2}=14.4$

$2.2204\times 10^{23}$

Sheath

Aluminum

$r_{3}=17.4$

15.9

$8.8503\times 10^{-5}$

Jacket

XLPE

$r_{4}=22.5$

$1.5643\times 10^{23}$

4.2 3상 Cable 계산 예

3상 cable은 그림 12와 같이 정의 되었다. Table 1과Average damp earth에서 resistivity $100 m\Omega$이고, 평균깊이는 $850 m$이다. 대지 return 경로는 $D_{11m}=850m$가 된다.

그림 12 3상 케이블의 배치도

Fig. 12 3 Phases Cable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3.72.9.1113/fig12.png

4.3 Cable Diagonal 계산식

Modified Bessel function의 solutions인 $I_{n}(x)$가 무한대로 발산, $K_{n}(x)$가 “0”으로 수렴하여 정확한 계산이 어렵다. $I_{0}(x)$, $I_{1}(x)$ $K_{0}(x)$, $K_{1}(x)$는 근사형태(Asymptotic form)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적분 형태나 멱급수(power series)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11).

표 5 odified Bessel 및 Wedepohl/Wilcox Functions 이용한 부분 임피던스

Table 5 Cable Partial Impedance based on Modified Bessel and Wedepohl/Wilcox Functions

Solutions of Modified Bessel function

Wedepohl/Wilcox Equation

$z_{11}=\dfrac{\eta_{1}I_{0}(\nu r_{1})}{2\pi r_{1}I_{1}\left(\nu r_{1}\right)}$

\begin{align*} z_{11}= &\dfrac{\eta_{1}}{2\pi r_{1}}\operatorname coth(0.777*\nu_{1}*r_{1})\\ &+\dfrac{0.356\xi_{1}}{\pi r_{1}^{2}} \end{align*}

$z_{12}= j\omega\dfrac{\mu_{2}}{2\pi}·\ln\dfrac{r_{2}}{r_{1}}$

$z_{2i}=\dfrac{\eta_{2}}{2\pi r_{2}D}\left[\begin{aligned}I_{0}\left(\nu r_{2}\right)K_{1}(\nu r_{3})\\ + K_{0}(\nu r_{2})I_{1}(\nu r_{3})\end{aligned}\right]$

\begin{align*} z_{2i}= &\dfrac{\eta_{2}}{2\pi r_{2}}\operatorname coth\left(\nu_{2}*\left(r_{3}-r_{2}\right)\right)\\ &-\dfrac{\xi_{2}}{2\pi r_{2}\left(r_{3}+r_{2}\right)} \end{align*}

$z_{2o}=\dfrac{\eta_{2}}{2\pi r_{3}D}\left[\begin{aligned}I_{0}\left(\nu r_{3}\right)K_{1}(\nu r_{2})\\ + K_{0}(\nu r_{3})I_{1}(\nu r_{2})\end{aligned}\right]$

\begin{align*} z_{2o}= &\dfrac{\eta_{2}}{2\pi r_{3}}\operatorname coth\left(\nu_{2}*\left(r_{3}-r_{2}\right)\right)\\ &+\dfrac{\xi_{2}}{2\pi r_{3}\left(r_{2}+r_{3}\right)} \end{align*}

$z_{2m}=\dfrac{1}{2\pi r_{2}r_{3}D}$

\begin{align*} z_{2m}= &\dfrac{\eta_{2}}{\pi\left(r_{2}+r_{3}\right)}*\\ &\cosh\left(\nu_{2}*\left(r_{3}-r_{2}\right)\right) \end{align*}

$z_{23}= j\omega\dfrac{\mu_{4}}{2\pi}·\ln\dfrac{r_{4}}{r_{3}}$

위의 계산 결과와 식 (37) 이용하면 각각의 값은 식 (38)과 같다. 결과 값의 차이는 이용한 function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된다.

(44)
$[Z_{i B}]=\begin{bmatrix}0.066+j0.8905&0.0001+j0.8467\\0.0001+j0.8467&0.0885+j0.8443\end{bmatrix}\times 10^{-3}\Omega /m$

(45)
$[Z_{i W}]=\begin{bmatrix}0.1664+j0.8796&0.0502+j0.8172\\0.0502+j0.8172&0.072+j0.8454\end{bmatrix}\times 10^{-3}\Omega /m$

식 (34)에 대한 modified Bessel function과 Wedepohl/Wilcox을 이용하여 계산한 $\left[Z_{i}\right]$에 대한 결과는 식 (44)식 (45)에 나타내었다. 두 결과의 차이는 Model-based과 approximation에 의해서 발생된다.

Modified Bessel function의 결과를 이용하여 $\left[Z_{i B}+Z_{0}\right]$를 계산하면 식 (46)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46)
$[Z_{0}]=\begin{bmatrix}5.916&5.916\\5.916&5.916\end{bmatrix}\times 10^{-5}\Omega /m$ $[Z_{i}+Z_{0}]=\begin{bmatrix}0.125 +j0.891&0.0593+j0.847\\0.0593+j0.847&0.1477+j0.844\end{bmatrix}\times 10^{-3}\Omega /m$

식 (46)를 이용하여 식 (43)의 결과는 식 (47)와 같다.

(47)
$ZZ1=\begin{bmatrix}0.125+j0.891&0.059+j0.847&0&0&0&0\\0.059+j0.847&0.148+j0.844&0&0&0&0\\0&0&0.125+j0.891&0.059+j0.847&0&0\\0&0&0.059+j0.847&0.148+j0.844&0&0\\0&0&0&0&0.125+j0.891&0.059+j0.847\\0&0&0&0&0.059+j0.847&0.148+j0.844\end{bmatrix}\times 10^{-3}\Omega /m$

4.4 저항 및 인덕터스 계산

식 (41)식 (48)에 포함하여 계산한다. 인덕턴스는 식 (42)식 (48)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48)
$Z_{ij}=R_{0}+ j\omega\dfrac{\mu_{0}}{2\pi}\ln\dfrac{D_{ijm}}{D_{ij}}i\ne j$

식 (48)의 $D_{ij}$와 $D_{ijm}$은 그림 12에서 도출된 좌표위치를 Table 6에 나타내었으며, 이 좌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표 6 케이블 좌표

Table 6 Cable Coordinate

Position

$P_{i}$ coordinate

Position

$P_{im}$ coordinate

$1$

$0+j0$

$1m$

$0+j851$

$2$

$0+j0.0159$

$2m$

$0+j851.016$

$3$

$0.30+j0$

$3m$

$0.3+j851$

$4$

$0.3+j0.0159$

$4m$

$0.3+j851.016$

$5$

$0.6+j0$

$5m$

$0.6+j851$

$6$

$0.6+j0.0159$

$6m$

$0.6+j851.016$

(49)
$\left[D_{ij}\right]=10^{-3}\times\begin{bmatrix}6.23&&15.9&&300&&300.3&&600&&600.1\\15.9&&12.4&&300.3&&300&&600.1&&600\\300&&300.3&&6.23&&15.9&&300&&300.3\\300.1&&300&&15.9&&12.4&&300.1&&300\\600&&600.1&&300&&300.1&&6.23&&15.9\\600.1&&600&&300.3&&300&&15.9&&12.4\end{bmatrix}(m)$

(50)
$\left[D_{ijm}\right]=\begin{bmatrix}851&&851.02&&851&&851.02&&851&&851.02\\851.02&&851&&851&&851.02&&851&&851.02\\851&&851&&851&&851.02&&851&&851.02\\851.2&&851.02&&851.02&&851&&851&&851.02\\851&&851&&851&&851&&851&&851.02\\851.02&&851.02&&851.02&&851.03&&851.02&&850\end{bmatrix}(m)$

그림 12에서 cable 상간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d_{i}$는 상 코어 간의 거리와 상 코어와 sheath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4.5 3상 cable 계산 결과

(51)
$j\omega L =10^{-3}\times\begin{bmatrix}0&&0&&0.0592+j0.5994&&0.0592+j0.5475&&0.0592+j0.5472&&0.0592+j0.5472\\0&&0&&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472&&0.0592+j0.5472\\0.0592+j0.5994&&0.0592+j0.5994&&0&&0&&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994&&0&&0&&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472&&0.0592+j0.5472&&0.0592+j0.5994&&0.0592+j0.5994&&0&&0\\0.0592+j0.5472&&0.0592+j0.5472&&0.0592+j0.5994&&0.0592+j0.5994&&0&&0\end{bmatrix}(m)$

(52)
$Z_{3cab\le}=10^{-3}\times\begin{bmatrix}0.1251+j0.8905&&0.0593+j0.8467&&0.0592+j0.5994&&0.0592+j0.5475&&0.0592+j0.5472&&0.0592+j0.5472\\0.0593+j0.8467&&0.1477+j0.8443&&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472&&0.0592+j0.5472\\0.0592+j0.5994&&0.0592+j0.5994&&0.1251+j0.8905&&0.0593+j0.8467&&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994&&0.0593+j0.8467&&0.1477+j0.8443&&0.0592+j0.5994&&0.0592+j0.5994\\0.0592+j0.5472&&0.0592+j0.5472&&0.0592+j0.5994&&0.0592+j0.5994&&0.1251+j0.8905&&0.0593+j0.8467\\0.0592+j0.5472&&0.0592+j0.5472&&0.0592+j0.5994&&0.0592+j0.5994&&0.0593+j0.8467&&0.1477+j0.8443\end{bmatrix}(\Omega /m)$

Modified Bessel function에 의해서 계산된 결과와 식 (51)과 합산한 결과는 식 (52)에 나타내었다.

5. 결 론

Cable은 단순한 전선이 아니며, cable 코아와 sheath 간에 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한다. 특히 sheath는 튜브형태의 도체로서 skin effect에 의해서 cylinder 내·외부 표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3상과 같이 다중 cable의 경우 cable간에 상호 연결 되어 있어 cable 간에 상호작용하게 된다. 철도와 같이 레일, 통신케이블, 철근으로 구성된 철도 구조물 등과 cable과 같이 평행하게 구성된 도체 구조물은 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해서 eddy current가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cable의 임피던스 도출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이론적으로 모델링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electromagnetic field의 분포를 모델링하여 유한요소법으로 임피던스를 구하는 방법이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작용을 해석적인 방법의 시도는 cable의 임피던스를 간단한 식으로 나타내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해석적인 방법의 수식도 복잡하기 때문에 별도의 계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cable의 임피던스 계산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계산하는 방법 밖에 없다.

향후 연구는 해석적인 방법의 계산과 electromagnetic field의 분포에 의한 결과를 상호비교하여 해석적인 방법에 보정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SeoulTech(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ferences

1 
Silva, Filipe, Miguel Faria da, 2011, Analysis and simulation of electromagnetic transients in HVAC cable transmission grids, Institu for Energiteknik, Aalborg Universitet, pp. 14-15Google Search
2 
Angelo. A. Hafner, Mauricio V. Ferreira da Luz, Walter, P. Carpes Jr., 2015, Impedance and Admittance Calculations of a Three-Core Power Cable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s Transients (IPST2015) in Cavtat, pp. croatia june 15-18Google Search
3 
Mamadou Kane, Ahmad Ahmad, Philippe Auriol, 1995, Multiwire Shielded Cable Parameter Computatio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31. no. 3 ADOI
4 
Douglas Nascimento, Robert Smolenski, Hermes Loschi, 2021, A Simulation for Parameters Extraction of Double-Layer Shielded Power Cable using FEA, DOI: 10.1109/APEMC49932. 2021.9596960DOI
5 
H. Lorenzen, J. Timmerberg, S. Mylvaganam, 2008, Calculation of Cable Parameters for Different Cable Shapes, Excerpt from the Proceedings of the COMSOL Conference 2008 Hannover -femGoogle Search
6 
S. Cristina, M. Feliziani, 1989, A finite element technique for multiconductor cable parameters calculation, IEEE T. Magn. 25 2986-2988.DOI
7 
S. M. Musa, M. N. O. Sadiku, 2008, Application of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calculating the capacitance and inductance of multiconductor transmission lines, IEEE Southeastcon., pp. 300-304DOI
8 
R. Escarela-Perez, E. Campero-Littlewood, M. A. Arjona- Lopez, 2005, A. Laureano-Cruces,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for two-dimensional finite-element inductance computation of electrical machines, IEE Proc. - Electric Power Applications. 152 855-861.DOI
9 
Douglas Nascimento, Robert Smolenski, Hermes Loschi, Amr Madi, Muhammad Alamsyah, Francinei Vieira, 2021, A Simulation for Parameters Extraction of Double-Layer Shielded Power Cable using FEA, DOI: 10.1109/APEMC49932.2021.9596960DOI
10 
P. Wagenaars, P. A. A. F. Wouters, P. C. J. M. van der Wielen, F. Steennis, 2010, Approximation of transmission line parameters of single-core and three-core XLPE cable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7, No. 1, pp. 106-115DOI
11 
S. A. Schelkunoff, 1934, The electromagnetic theory of coaxial transmission lines and cylindrical shields, Bel l System Technical Journal, pp. 532-578DOI
12 
L. M. Wedepohl, D.J , 1973, Wilcox Transient analysis of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systems: System-model and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EE Proceedings on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Vol. 20, No. 2, pp. 253-260DOI
13 
Bessel Fun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Kind http://www.mhtlab. uwaterloo.ca/courses/me755/web_chap4.pdf.Google Search
14 
D. Lovric, V. Boras, S. Vujevic, 2011, Accuracy of Approximate Formulas for Internal Impedance of Tubular Cylindrical Conductors for Large Parameters, Progress In Electromagnetics Research M, Vol. 16, pp. 171-184 ADOI
15 
Slavko Vujević, Dino Lovrić On, 2017, The Numerical Computation of Cylindrical Conductor Internal Impedance For Complex Arguments of Large Magnitude, Electronics and Energetics vol. 30, Vol. 30, No. 1, pp. 81-91DOI
16 
John R. Carson, 2000, Wave Propagation in Overhead Wires with Ground Return, NAPS, University of Waterloo, Canada, October 23-24DOI
17 
Yaw-Juen Wang, Shi-Jie Liu, 2001, A Review of Methods for Calculation of Frequency-dependent Impedance of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s, Proc. Natl. Sci. Counc. ROC(A), Vol. 25, No. 6, pp. 329-338Google Search
18 
J. Glover, Mulukutla Sarma, Thomas J. Overbye, 2016, Power System : Analysis & Design, Cengage LearningGoogle Search
19 
A. AMETANI, May/June, 1980, A General Formulation of Impedance and Admittance of Cabl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 PAS-99,No. 3 IEEE Transactions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 PAS-99, No. 3DOI

저자소개

홍석진 (Sukjin HONG)
../../Resources/kiee/KIEE.2023.72.9.1113/au1.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and Information from SeoulTech.

He will receive his Ph.D. degree in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from SeoulTech.

Currently, Head of the Yeongnam area project division of Korea National Railway.

이종우 (Jongwoo LEE)
../../Resources/kiee/KIEE.2023.72.9.1113/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Mechanical Design from Hanyang University, and M.S. degree from Ecole Centrale de Nantes, and a Ph.D. degree from Universite de Paris VI.

Currently, he is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Rail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