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Convergence System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t. of Power System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3. (HYUNDAI MOBIS Advanced Brake System Engineering Cell, Korea.)



Superconducting motor, fully air-core superconducting motor,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specific power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교통·수송 분야에 있어 전기기기 기반 전동화를 위한 기술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ATA(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Economic Performance of the Airline Industry’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인공적 $CO_{2}$ 배출량의 약 2%인 9.05억 tonne이 항공운송에서 발생하였으며 2021년 $CO_{2}$ 배출량의 2.75%인 10억 2백만 tonne이 민간 수송에서 발생했다(1). 이러한 기후 변화 대응 추세에 맞춰 항공 산업 분야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MEA (More Electric Aircraft) 상용화와 완전 전기추진 항공기 개발을 통한 전기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기술력을 전기추진항공기에 적용하기에는 출력밀도와 출력에 한계가 있어 고출력밀도를 갖는 초전도 전동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선박 산업 분야의 경우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해양오염 방지협약(MARPOL,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Maritime Pollution from Ships)을 체결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규제하였다. 이러한 대기오염물질 규제에 따른 해결책으로 전기추진선박, 연료전지추진선박, 하이브리드 선박 등이 연구·개발되고 있다(2). 특히 저속운전 영역대가 많은 선박의 경우, 초전도 전동기를 적용할 시 연료 및 배출 가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전동기의 비출력이 약 5 kW/kg인데 비해 초전도 전동기는 약 30 kW/kg으로 높은 효율성을 지닌다(3).

초전도 전기기기는 초전도 전자석 계자와 전기자 측 자기회로의 구성에 따라 철심형 또는 공심형 기기로 구현이 가능하다. 최근 초전도 전기기기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초전도 계자 전자석과 철심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초전도 선재의 이용비율을 낮추는 방향성을 갖는다(4). 이를 위해 자기회로의 설계 및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고 고자장을 발생시켜 전기자에 높은 자속 밀도를 전달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철심을 사용한 설계는 고가의 초전도 선재 사용량이 적어지고 큰 자속을 가지도록 설계하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철심의 중량이 증가하므로 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지구조물의 체적 증가와 제작비 증가, 비출력 감소의 단점이 있다(5)(6).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자기기의 코일은 주계자 코일과 차폐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기기 외측으로 자속이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하고 기기 내측에 고자장이 형성되도록 자기회로를 구성하기에 용이하다(7). 내측에서 회전하는 전기자의 철심을 제거하고 계자를 외측에 고정자로 사용하면 초전도 선재의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철심을 사용하지 않아 기기의 중량이 낮아지고 비출력의 증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8).

본 연구에서는 2 MW급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를 설계하고 일반적 형상을 갖는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와의 특성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2 MW급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에 대하여 성능에 대한 정량비교가 가능하도록 주요 파라미터를 동일하게 설계하였고, 자속밀도 특성, 속도-토크 특성, 비출력 등을 분석하였다.

2. 2MW급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

2.1 초전도 전기기기 설계 사양

그림. 1. (a)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 (b)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Fig. 1. (a) Fully air-core superconducting motor (b)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1.png

그림 1(a)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2차원 형상을 나타낸다. 전동기의 외측에 초전도 전자석 계자를 가지며 계자 코일은 주계자 코일(Main field coil)과 차폐 코일(Shielding coil)로 구성되어 있다. 기기의 외측으로 발산하는 자속을 차폐코일이 막아주는 능동차폐(Active shield) 기능을 갖는다. 상대적으로 적은 극수인 2극, 4극, 6극의 경우 기기 외측의 자속밀도가 높게 형성되며, 차폐 성능이 상대적으로 유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극수를 8극 이상으로 설계할 때 기기 외측으로 누설되는 자속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기의 극수는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에서 가장 우수한 차폐 성능을 갖는 8극으로 선정하여 설계를 수행하였다(4).

그림 1(b)는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성능 비교 연구를 수행할 일반적 형상의 계자 내전형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를 나타낸다. 기기의 성능에 대한 정량 비교가 가능하도록 극수와 고정자 내경, 회전자 외경 등의 기계적 사양을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정격속도에서 동일한 크기의 무부하 유도기전력과 부하 시 동일한 출력을 갖도록 축 방향 길이를 조정하여 설계하였다.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주요 사양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약계자 운전 시 2 MW(@3000 rpm)의 최대 출력 운전이 가능하도록 주요 전기적 사양을 선정하였다. 무부하시 선간 전압은 2,000 V, 무부하 역기전력 1,072 V, 초전도 선재에 흐르는 전류밀도는 9.2 A/mm2이다.

표 1. 2MW급 초전도 전동기 주요 사양

Table 1. Main specification of 2MW-class superconducting motor

Parameter

Value

Rated power (MW)

2

Rotating speed (rpm)

3,000

DC link Voltage (Vdc)

2,000

No-load Voltage (Vrms)

1,072

Current density (A/mm2)

9.2

Rated torque (Nm)

7.3

Number of poles

8

2.2 초전도 전동기 구조

그림. 2.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 설계 파라미터

Fig. 2. Design parameters of fully air-core type superconducting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2.png

그림. 3.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설계 파라미터

Fig. 3. Design parameters of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3.png

그림 2는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설계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회전 전기자의 반지름($R_{1}$)은 207 mm이고, 기기의 외경($D_{Fout}$)은 850 mm이다.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에서 기기의 외경은 차폐 자속밀도의 크기를 고려하여 0.3 T 미만이 되는 위치에서 가상의 외경으로 결정하였다. 초전도 계자 코일과 회전 전기자 코일간의 간격(전기적 공극의 길이)은($d_{sc}$) 50 mm이다. 특히,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에서 능동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주계자코일 전자석과 차폐코일 전자석은 각각 12 mm 폭을 갖는 고온초전도선재(GdBCO) 600턴, 267턴으로 설계하였다. 초전도 코일 간 거리($d_{sc}$)는 차폐성능이 가장 우수하며 코일 간 상호 힘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50 mm로 설계 되었다.

그림 3은 회전 계자를 갖는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설계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완전 공심형 초전도 코일 회전자의 반지름($R_{1}$)은 207 mm이고, 기기의 외경($D_{Fout}$)은 680 mm이다. 계자 내전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전기자 외측에 철심의 길이($d_{I}$)는 80 mm이다.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계자 전자석은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같이 8극 600턴으로 구성했다. 회전자와 전기자 사이의 기계적 공극의 길이는 냉각 챔버를 고려해 35 mm로 설계하였다.

이외에도 정격 비교가 가능하도록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세부적인 설계 파라미터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완전공심형 및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크기 사양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size specifications for SC motors

Parameter

Fully air-core type

Iron-core type

Outer diameter of field (Dfout)

850 mm

680 mm

Armature radius($R_{1}$)

207 mm

Rotor radius($R_{2}$)

215 mm

Field radius ($R_{3}$)

340 mm

Coil depth ($d_{Cu}$)

15.5 mm

Iron depth($d_{I}$)

0 mm

80 mm

Field current

200 A

Number of turns of HTS coil

600

Layers of HTS coil

2

Number of conductor

6

Stack Length

360 mm

240 mm

2.3 초전도 선재 특성

초전도 전동기를 구성하는 자기회로에서 초전도 전자석의 기자력(Magneto motive force)은 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초전도 전자석의 기자력은 초전도 코일이 감긴 턴 수($N$)와 인가되는 전류($I$)의 곱으로 계산된다.

(1)
$mmf = N\times I$ [AT]

초전도 선재를 사용한 전력 기기 응용의 핵심은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2nd generatio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의 비용이다. 초전도 선재를 응용한 기기는 상대적으로 시장 수요가 적어 가격에 큰 변화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HTS를 활용한 응용기기 생산을 통해 비용 절감을 기대해야 한다(9).

표 3은 본 연구에 사용된 12 mm 선폭을 갖는 GdBCO 선재의 사양을 나타내며, 그림 4는 동작 온도에 따른 12 mm GdBCO 선재의 특성을 나타낸다. 그림 4와 같이 본 연구에 적용된 초전도 선재는 수직 자기장이 주어졌을 때, 77 K 조건에서 600 A의 임계 전류 값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77 K 온도 조건을 갖는 초전도 선재의 성능을 반영하여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출력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계자 코일을 설계하였다.

표 3. 12mm GdBCO 초전도 선재의 세부 사양

Table 3. 12mm GdBCO superconducting wire specifications

Item

Value

Width of wire

12 mm

Depth of wire

0.15 mm

Insulator Depth

1 mm

Substrator layer

Copper

Insulation

Kapton

Perpendicular flux density

1.1 T

Critical current

600 A

Operating temperature

77 K

그림. 4. 동작 온도에 따른 HTS선재 자속·임계 전류 성능곡선 : 12mm GdBCO 선재

Fig. 4. GdBCO HTS wire magnetic flux-threshold current performance curve according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12 mm wire [10]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4.png

3. 초전도 전동기 특성 해석

3.1 자속밀도 및 역기전력

그림 5그림 6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도출된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에서의 등자속선 분포 및 자속밀도 분포를 각각 나타낸다. 그림 5 (a)는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 설계에서 차폐 성능을 등자속선 분포를 통해 나타낸다. 그림 5 (b)와 같이 완전공심형 전동기의 경우, 내측 공극 자속밀도의 최대값은 약 0.8 T의 값을 가지며, 기기의 최외반경에서의 자속밀도는 약 0.02 T의 값을 갖는다. 철심형 전동기는 그림 6 (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기 외측의 철심을 따라 자속선이 분포하기 때문에 자속이 누설되지 않으며, 그림 6 (b)와 같이 내측 공극자속밀도에서 최대 1.33 T의 값을 가지며, 기기의 외측에서 최대 0.38 T의 값을 갖는다. 최외반경에서의 자속밀도는 초전도 전동기의 차폐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대한 낮은 값을 갖는게 유리하다. 하지만 국제 비이온화방사선 방호협회 (ICNIRP) 및 미 식품의약국 (FDA)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제한치를 0.4 T로 제시하고 있으며, 심장 박동 조율기 등의 의료기기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한치는 0.05 T로 제한하고 있다(9). 따라서 설계된 2 MW급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전동기의 최외반경 자속밀도는 인체에 유해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아 차폐 성능을 고려한 설계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5. 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 (a) 등자속선 분포도 (b) 자속밀도분포도

Fig. 5. Fully air-core superconducting motor (a) magnetic flux line (b)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5.png

그림. 6.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a) 등자속선 분포도 (b) 자속밀도분포도

Fig. 6.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a) magnetic flux line (b)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6.png

그림. 7. 접선, 방사형 자속밀도 분포 (a)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 (b)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Fig. 7. B theta and B radial (a) fully air-core SC motor (b) iron-core SC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7.png

그림 7(a)는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공극 중앙에서의 자속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자속이 만들어 내는 힘에는 전동기의 회전에 기여해 토크를 만들어내는 접선 방향 성분과 진동과 소음에 기여하는 방사형 성분이 있다. 이 중 방사형 성분의 크기를 작게 설계해야한다. 그림 7(a)에서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초전도 전자석 계자에 의한 접선 방향 공극 자속밀도 크기의 최댓값은 약 0.78 T이다. 그림 7(b)는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자속밀도 분포를 나타내며, 공극 중앙에서 접선방향 공극 자속밀도의 크기는 약 0.42 T의 최댓값을 가지며 완전공심형 전동기가 약 46% 큰 값을 갖는다. 그림 7(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완전 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방사형 자속밀도의 크기는 0.74 T이며 그림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방사형 자속밀도의 크기는 0.81 T이다. 방사형 자속밀도의 크기는 철심형 전동기가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보다 약 8.6%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8. 무부하시 유도기전력

Fig. 8. No-load induced voltage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8.png

그림. 9. 무부하 및 부하 시 고조파

Fig. 9. No load and load harmonic order spectra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9.png

그림 8은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무부하 유도기전력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무부하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동일하게 약 780 Vrms를 갖도록 각각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360 mm,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240 m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그림 9는 무부하 유도기전력과 부하시 역기전력에 대한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보통의 전기기기에서 THD가 클수록 토크 리플이 크며,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된다.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무부하 유도기전력의 THD는 2.44%, 회전 계자 내전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0.59%로 두 기기에서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고조파를 보이며, 고조파 차수에 따른 크기의 차이가 매우 작게 설계되었다.

3.2 속도-토크 특성 및 출력 맵

그림. 10.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속도-토크 특성 및 출력 맵

Fig. 10. Torque-speed characteristics and output maps of fully air-core superconducting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10.png

그림. 11.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속도-토크 특성 및 출력 맵

Fig. 11. Torque-speed characteristics and output maps of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11.png

그림 10은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속도-토크 특성 및 출력 맵을 나타낸다. 초전도 코일에 최대 전류(300 A) 인가 시 약계자 운전을 통해 2.15 MW (@3000 rpm)의 최대 출력 운전이 가능하며, 이론적으로 최대 속도 4500 rpm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림 11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속도-토크 특성 및 출력 맵을 나타내며,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동일한 2.15 MW (@3000 rpm)의 최대 출력 운전이 가능하다.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에서는 강자성체 철심에 의한 자속 경로의 차이로 인해 최대 계자전류에서 최대 속도 약 5300 rpm의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다.

3.3 비출력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비출력 비교 연구를 위해 초전도 코일과 전기자 코일(구리)과 강자성체 철심의 무게를 비교하였다. 두 비교 연구 모델의 직관적 비출력 비교를 위하여 전자기 구성품(초전도 선재, 구리, 강자성체 등)의 중량을 계산하였고, 비자성체 보빈 등 기타 기기 구조물은 고려하지 않았다.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8개의 초전도 전자석의 총 초전도 권선의 체적은 약 0.0164464 m3이며 차폐형 코일의 총 초전도 권선의 체적은 약 0.007579 m3이다. 초전도 전자석의 체적은 GdBCO/Ag 재질의 질량밀도인 7035 kg/m3을 적용하였을 때 총 무게 약 169.02 kg으로 예측된다. 전기자 코일의 체적은 0.01166 m3로 계산되었다. 구리의 질량밀도 8933 kg/m3을 적용하였을 때 전기자 권선의 무게는 약 104.1 kg으로 예측된다. 단위 중량당 출력비율인 비출력이 약 7.32 kW/kg이다. 해당 전동기의 동손은 114,000 W이고 철손이나 와전류손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2 MW 전동기의 효율은 약 94.3%로 예측된다.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비출력 밀도를 계산하기 위해 초전도 코일과 전기자 구리 코일의 무게를 예측하였다. 계자 내전형 또한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같이, 8개의 초전도 코일이 사용되었으며 총 초전도 권선의 체적은 약 0.0079 m3 로 계산 되었으며 GdBCO/Ag 재질의 질량밀도는 7035 kg/m3을 적용하였을 때 초전도 전자석 코일의 총 무게는 약 56.2 kg으로 예측 된다. 전기자 코일의 체적은 0.01324 m3로 계산되었다. 구리의 질량밀도 8933 kg/m3을 적용하였을 때 전기자 권선의 무게는 약 118.3 kg으로 예측된다. 계자 내전형 초전도 전동기의 외부에 사용된 철심의 경우 총 체적이 약 0.0340 m3로 계산 되었으며 철심의 질량밀도 7874 kg/m3을 적용했을 때 철심의 무게는 약 267.71 kg로 예측된다. 출력은 약 2 MW이므로 단위 중량당 출력비율인 비출력이 약 4.52 kW/kg이다. 표 4그림 12는 앞서 기술된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중량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표 4. 완전공심형,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무게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fully air-core,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s weight

Item

Fully air-core superconducting motor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Superconducting coil

169.0 kg

56.2 kg

Copper

104.1 kg

118.3 kg

Iron

0 kg

267.7 kg

Specific Power

7.32 kW/kg

4.52 kW/kg

그림. 12. 완전공심형,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 무게 비교

Fig. 12. Comparison of air-core, iron-core superconducting motor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fig12.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2 MW급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설계 및 특성해석에 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기자 회전형의 능동차폐 기능을 갖는 초전도 전동기를 설계하고, 일반적 형태의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와 출력 성능과 비출력 특성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입출력 조건을 갖도록 설계된 두 비교 대상 전동기에 대하여,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경우 강자성체 고정자측 자기회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에 비해 축방향 길이가 120 mm (50%) 증가하지만, 비출력이 약 61.9% 증가하여 전자기 구성품 기준 단위 중량당 출력이 큰 장점을 갖는다.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는 기기의 중량 저감 측면에서 일반 철심형 초전도 전동기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가지므로, 항공기 또는 선박 등의 높은 비출력을 가진 전기추진 장치로 적용이 가능하다. 단, 하우징과 극저온 챔버 등을 포함하는 초전도 전동기의 기구부 구조물을 고려한 상세한 비교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초전도 코일과 전기자 코일의 3차원 형상을 고려한 전자기 성능 해석 및 기계 구조 해석이 필요하다. 향후, 완전공심형 초전도 전동기의 기구부 상세설계 및 3차원 해석을 포함하는 추가 연구를 수행하여 전기추진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수준의 완성도 높은 설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H. Ritchie, M. Roser, P. Rosado, $CO_{2}$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Published online at OurWorldIn Data.org, Retrieved from: ‘https://ourworldindata.org/co2-and-other- greenhouse-gas-emissions’ [Online Resource]Google Search
2 
이름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ffice of the Legislation and Coordination Act, 2019,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Convention on the Regul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ct, Legislation Newsletter, Vol. 12Google Search
3 
JungRang Seo, Gi-Dong Nam, Minwon Park, 2019, Design and characteristics study of 1 MW class superconducting motor for small-ship propulsions, J. Korean Soc. of marine Engineering (JKOSME), Vol. 43, No. 9, pp. 750-754Google Search
4 
Tae-Kyoung Bang, Gang-Hyeon Jang, Jeong-In Lee, Han-Ul Gong, Jang-Young Choi, Han-Wook Cho, 2020, A Study on the Design Feasibility of 10 MW Fully Air-Cored Superconducting Generator for Electric Propulsion Aircraft,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pp. 66-75Google Search
5 
J. Zamboni, Roelof Vos, 2018, A Method for the Conceptual Design of Hybrid Electric Aircraft, PhD thesis, Vol.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No. NetherlandsDOI
6 
Y. Guan, Z. Q. Zhu, Guang-Jin Li, Ziad Azar, Arwyn S. Thomas, Francisco Vedreno-Santos, M. davic, 2017, Influence of Pole Number and Stator Outer Diameter on Volume, Weight, and Cost of Superconducting Generators with Iron- Cored Rotor Topology for Wind Turbines,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7, No. 6DOI
7 
K. S. Haran, D. Loder, T. O. Deppen, L. Zheng, 2016, Actively shielded high-field air-core superconducting machines,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6, pp. 1-2DOI
8 
Han-Wook Cho, K. S. Haran, 2018, Force Analysis of Superconducting Coils in Actively Shielded Air-Core Superconducting Machines,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8, pp. 1DOI
9 
M Noe, N Hayakawa., Y. Bi, J. Cho, D. W. Hazelton, S. Hwang, M. Kurrat, B. Lukasik, L. Martini, F. Moriconi, A. Polasek, I. Sauers, C. Schacherer, F. Schmidt, J. Smit, G. Snitchler, C. Sumereder, R. Taylor, P. Tixador, T. Watanabe, D. Willén, A. Wolsky, Y. Xin, K. Sato, 2015, Common Characteristics and Emerging Test Techniques for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Power Equipment, CIGRE, pp. 40-46Google Search
10 
Gi-Dong Nam, Le Dinh Vuong, Hae-Jin Sung, Seok Ju Lee, Minwon Park, 2021, Conceptual Design of an Aviation Propulsion System Using Hydrogen Fuel Cell and Superconducting Motor,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31, pp. 3DOI

저자소개

노수진(Sujin Noh)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au1.png

S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3.

S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M.S. degree in Convergence System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el: 042-821-8581

E-mail : hypekiddosuj@gmail.com

신경훈(Kyung-Hun Shin)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from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South Korea, in 2014, 2016, and 2019, respectively.

From Feb. 2019 to Aug. 2019, he was an intern researcher with the division of multi-physical modeling,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Cambridge, MA, USA.

From Oct. 2019 to July 2020, he was a post- doc.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rbana, IL, USA.

Since Sept. 2020,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el: 061-659-7135

E-mail : namy129@naver.com

방태경(Tae-Kyoung Bang)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au3.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from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16, 2018 and 202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as Principal Research Engineer at Advanced Brake System Engineering Cell in HYUNDAI MOBIS.

Tel: 031-288-6795

E-mail : namy129@naver.com

조한욱(Han-Wook Cho)
../../Resources/kiee/KIEE.2023.72.11.1386/au4.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from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02, 2004 and 2007, respectively.

From Sep. 2007 to Aug. 2010, he was a senior researcher in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From 2016 to 2017, he was a Visiting Scholar in the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ing Engineering at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Urbana, IL.

He is currently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Edu.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el: 042-821-8581

E-mail : namy1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