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경
(Baek-Kyeong Ko)
†iD
김경훈
(Kyung-Hoon Kim)
1iD
오거룡
(Keo-Ryong Oh)
1iD
박형일
(Hyung-Il Park)
1iD
송대일
(Dae-Il Song)
1iD
김경열
(Kyeong-Yeol Kim)
1
-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Synchronous Condenser, Inertia, Transient stability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전력계통의 가장 큰 변화는 저탄소 에너지 정책에 따른 재생에너지의 증대일 것이다. 우리나라도 2030 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산 및 보급에 많이 고민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자원이 많아지면 자연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화석연료 기반 발전기들을
줄일 수 있으므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30년, ’36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전망
Fig. 1. Proportion of power generation by power source in the 10th Basic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 in 2030, and 2036
그림 1과 같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2030 NDC의 기준연도인 2018년 대비 ‘30년, ’36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전망을 보면 원자력, 신재생,
수소 암모니아 발전 비중은 커지고, 석탄과 LNG는 상당량이 축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신재생 비중은 2030년 20%대에서 2036년
약9%p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석탄발전비중은 ’18년 41.9%에서 36년 14.4%로 감소, LNG 비중은 ’18년 26.8%에서 36년
9.3%로 감소한다. 이렇듯 기존의 계통 관성을 유지하던 동기발전기의 축소는 전력계통의 관성 저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1).
그림. 2. 계통 관성력에 따른 주파수 변화 특성
Fig. 2. Frequency change according to system inertia
하지만 기존 동기발전기가 감소하면 할수록 계통에는 주파수를 유지해주는 힘인 관성 에너지가 부족하게 된다. 관성 에너지는 전력계통에서 발전기 고장과
같은 외란이 발생했을 때 주파수 하락을 억제하는 힘이다. 그림 2와 같이 계통 관성 에너지가 약할수록(Light inertia) 최저주파수가 낮아지고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지만, 관성 에너지가 강할수록(High
inertia) 최저주파수 값이 높아지고, 도달시간도 늦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2). 최저주파수 도달시간이 빨라지는 현상은 UFR(Under frequency reply) 동작 위험이 가까워진다는 것과 같다. 따라서 계통에서 동기발전기가
줄어들수록 관성 에너지를 확보해야 하는 큰 숙제가 남아있다.
최근(‘23.1.12) 확정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보면 재생E 변동성 대응 등 계통 유연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동기조상기가 언급되어 있다.
동기조상기의 필요물량으로는 중기(‘27~30) 기간에 초단주기 영역으로 36GVar가 제시되어 있다. 본 수치에서 초단주기 필요량은 관성 보상을 위한
자원 구성 방안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며, 동기조상기 신규 설치 시에는 6.8GVar 수준이 필요하다고 언급이 되어 있다(1).
이처럼 동기조상기는 계통관성 공급 자원으로 재생E 변동성 대응에 있어 매우 유용한 자원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기조상기에 플라이휠을 동기조상기
회전자 축과 연결하여 같이 회전시킴으로서 기존의 동기조상기가 제공하는 관성력보다 2~3배 큰 관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림 3은 동기조상기의 장점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으로 정상상태의 전압제어, 단락전류 제공, 과도 전압 회복능력, 관성력 제공이 있다.
그림. 3. 동기조상기의 특징 요약
Fig. 3. Summary of Synchronous condenser specification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보듯이 전력계통 전원구성의 변화에 대한 동기조상기가 역할이 매우 중요함으로 한전에서도 제10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
동기조상기 도입을 검토하였다. 이 중 전남지역에 과도안정도 향상을 위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치 계획 중, 한 곳에 대하여 STATCOM를 대체하는 동기조상기 설치 용량을 검토하였다. 본 검토에서는 모의에 사용된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모델은 A사에서 제공한 동기조상기 모델을 사용하였다. 과도안정도 모의는 PSS/E S/W을 활용하였다.
2. 본 론
2.1 과도안정도 모의 개요 및 조건
2.1.1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모델의 개요 및 특징
본 검토에서 사용된 A사의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모델은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모델#1은 정격 210MVA의 –105~210MVar의 무효전력 출력
범위를 가지며, 관성정수는 7sec이다. 모델#2는 정격 326MVA의 –133~325 MVar의 무효전력 출력 범위를 가지며, 관성정수는 7sec이다.
동기조상기의 전동기 모델은 원통형인 GENROU 모델로 되어 있으며, 여자기는 ESST4B 모델로 되어 있다. 이 외 PSS나 다른 제어기 모델은
없었다. 본 모델의 한계점으로는 여자기 모델에 과여자 및 부족여자를 제어하는 Over Excitation Limiter(OEL) 제어기 모델에 대한
제정수 값이 없어 OEL제어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부분은 검토에 있어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그림 4는 ESST4B 모델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표 1은 본 검토에 적용한 여자기 모델에 대한 제정수 설명과 모델1과 모델2의 제정수 적용 값이다(3).
그림. 4. ESST4B모델의 블록다이어그램(3)
Fig. 4. ESST4B Block Diagram
표 1에서 보면 J, J+7, J+10, J+12, J+15, J+16의 제정수 값이 0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J+7과 J+10은 OEL부분에
해당하는 값으로 이 값이 0으로 OEL 제어부분이 제어되지 않음으로써 동기조상기의 과도 응답특성에 대한 전류제한값이 제어되지 않은 부분은 모델의 제약요소로
보인다.
표 1. ESST4B 여자기 모델 설명 및 모델#1,#2 제정수
Table 1. ESST4B Excitor parameter values for model #1 and #2
위치
|
기호
|
설명
|
모델#1 제정수
|
모델#2 제정수
|
J
|
$T_{R}$
|
필터 시정수
|
0
|
0
|
J+1
|
$K_{PR}$
|
비례 이득
|
17.87
|
15.85
|
J+2
|
$K_{IR}$
|
적분 이득
|
17.87
|
15.85
|
J+3
|
$V_{R\max}$
|
최대 제어 요소 출력
|
1
|
1
|
J+4
|
$V_{R\min}$
|
최소 제어 요소 출력
|
-0.8
|
-0.8
|
J+5
|
$T_{A}$
|
전압 조정기 시정수
|
0.01
|
0.01
|
J+6
|
$K_{PM}$
|
계자 전압 조정기의 비례 이득
|
1
|
1
|
J+7
|
$K_{IM}$
|
계자 전압 조정기의 적분 이득
|
0
|
0
|
J+8
|
$V_{M\max}$
|
내부 루프 조정기 최대 출력
|
1
|
1
|
J+9
|
$V_{M\min}$
|
내부 루프 조정기 최소 출력
|
-0.8
|
-0.8
|
J+10
|
$K_{G}$
|
여자 리미터 이득
|
0
|
0
|
J+11
|
$K_{P}$
|
잠재 소스 이득
|
5.6
|
6.31
|
J+12
|
$K_{I}$
|
전류 소스 이득
|
0
|
0
|
J+13
|
$V_{B\max}$
|
최대 여자 전압
|
7
|
7.89
|
J+14
|
$K_{C}$
|
정류기 조절 계수
|
0.07
|
0.07
|
J+15
|
$X_{L}$
|
누설 리액턴스
|
0
|
0
|
J+16
|
$\Theta_{P}$
|
전위 소스 위상각
|
0
|
0
|
2.1.2 계통검토 대상지역 및 모의 조건
본 검토에서 대상이 된 지역은 전남지역이며, 본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태양광 발전이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면서 부하가 적은 지역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봄 또는 가을철에는 태양광 발전 효율이 매우 좋아 계통전압이 상향되어 한때 전압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곳이기도 하다. 전남지역 대상 발전기
중, 한빛 발전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과도안정도 검토에 적용한 상정고장은 345kV 한빛NP#2-신남원 인출선로 2회선 고장이다. 본 상정고장에
대하여 발전기 2기가 탈락하면 과도안정도 문제는 해소되지만, 2기 탈락시 이 지역의 계통강건도 문제가 발생하므로 한빛NP 3호기 1대 탈락시에도 과도안정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FACTS 설치를 계획하고 있었다. 345kV 한빛NP#2-신남원 2회선 고장시, 유효전력을 다른 곳으로 인출하기 위해서
한빛NP#2 모선에 500MVar, 신장성 400MVar, 신정읍 400MVar, 신남원 400MVar 총 4개 모선에 STATCOM을 설치를 계획하였다.
본 검토에서는 이 중 신남원 STATCOM을 동기조상기로 대체한다면 어느 정도의 동기조상기 용량이 필요한지 검토하였다. 따라서 신남원 모선 외 한빛NP#2.
신장성, 신정읍 모선의 STACOM 용량과 출력은 고정값으로 입력되었다. 그림 5은 345kV 한빛 인근 계통를 간략하게 나타난 계통도이다.
검토계통은 제9차 전력수급데이터 2026년 최대부하 계통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도 모의 절차는 총 5초 동안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고장발생은
1초에 신남원 모선고장, 1.1초에 고장제거 및 한빛 NP#2-신남원 2회선 개방, 1.15초에 한빛G3를 차단하였다. 보다 정밀한 검토를 위해 재폐로
동작를 고려해야 하나 본 검토에서는 빠른 검토를 위해 재폐로 동작은 고려하지 않았다.
그림. 5. 한빛NP 인근 345kV 계통 단선도
Fig. 5. Single line diagram nearby Hanbit NP bus
2.1.3 모의 시나리오
본 검토를 위해 모의 Case는 총 6개로 구성하였으며, 모의 Case는 표 2와 같다. Case 1은 신남원에 STATCOM 또는 동기조상기를 설치하지 않은 시나리오로써 본 검토에서는 가장 심각한 조건이다. Case 2는 신남원에
400MVar의 STATCOM을 설치했을 때이다. Case 3부터는 신남원에 STATCOM을 대체하기 위한 동기조상기 용량을 검토한 것으로 A사 동기조상기
모델#2를 2대를 설치하여 총 652MVA의 동기조상기를 설치한 조건이다. Case 4는 A사 동기조상기 모델1과 모델2를 각각 1대씩 설치하였을
때 조건이다. Case5-1은 동기조상기 모델#1을 2대 설치하고, 동기조상기의 운전점을 정격무효출력 대비 50% inductive 운전조건에서 검토한
조건이다. Case 5-2는 Case 5-1조건에서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 STATCOM의 운전점을 Inductive 100Mvar로
조정했을 때이다. 끝으로 Case 6는 동기조상기 모델#2 여자기 제정수를 임의로 조정하여 동기조상기의 출력 응답특성을 최대한 끌어올렸을 때의 제정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모의 결과에 대한 과도안정도 분석 파형으로는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을 확인하였다.
표 2. 모의 Case별 상세 조건
Table 2. Simulation case and detail information
Case
|
상세 모의 조건
|
동기조상기 설치용량
|
Case 1
|
신남원 FACTS 및 동기조상기 미설치
|
-
|
Case 2
|
신남원 FACTS 400MVA 설치
|
-
|
Case 3
|
신남원 동기조상기 652MVA 설치
|
326MVA * 2기
|
Case 4
|
신남원 동기조상기 536MVA 설치
|
210MVA * 1기
326MVA * 1기
|
Case 5-1
|
신남원 동기조상기 운전모드
50% inductive 운전시
|
210MVA * 2기
|
Case 5-2
|
5-1조건 포함 및 인근 FACTS
(한빛NP#2, 신장성, 신정읍) 운전모드 100MVar inductive 운전시
|
210MVA * 2기
|
Case 6
|
동기조상기 모델#2 여자기 제정수 변경
|
326MVA * 1기
|
2.2 과도안정도 검토 결과
2.2.1 Case 1 모의 결과
Case 1의 경우에는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FACTS가 설치되어 있고, 신남원 모선에는 FACTS 및 동기조상기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이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6, 그림 7과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을 확인한 결과 계통 불안정으로 발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6. (Case 1) Angle Spread
Fig. 6. (Case 1) Angle Spread
그림. 7. (Case 1)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7. (Case 1)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2.2.2 Case 2 모의 결과
Case 2의 경우에는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FACTS가 설치되어 있고, 신남원 모선에 400MVA FACTS를 설치했을
때이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8, 그림 9와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이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8. (Case 2) Angle Spread
Fig. 8. (Case 2) Angle Spread
그림. 9. (Case 2)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9. (Case 2)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제목
2.2.3 Case 3 모의 결과
Case3의 경우에는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FACTS가 설치되어 있고, 신남원 모선에 326MVA 동기조상기 2기를 설치했을
때이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10, 그림 11과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을 확인한 결과, 결과는 계통안정으로 수렴되었다.
그림. 10. (Case 3) Angle Spread
Fig. 10. (Case 3) Angle Spread
그림. 11. (Case 3)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11. (Case 3)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2.2.4 Case 4 모의 결과
Case4의 경우에는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FACTS가 설치되어 있고, 신남원 모선에 536MVA 동기조상기 2기(모델#1
1기, 모델#2 1기)를 설치했을 때이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12, 그림 13과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이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2. (Case 4) Angle Spread
Fig. 12. (Case 4) Angle Spread
그림. 13. (Case 4)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13. (Case 4)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2.2.5 Case 5 모의 결과
Case 5-1의 경우에는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FACTS가 설치되어 있고, 신남원 모선에 420MVA 동기조상기 2기
설치 및 동기조상기 운전점은 Inductive 50%(진상운전영역 출력대비)로 설정하여 검토하였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14, 그림 15와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전압을 확인한 결과 계통 불안정으로 발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4. (Case 5-1) Angle Spread
Fig. 14. (Case 5-1) Angle Spread
그림. 15. (Case 5-1)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15. (Case 5-1)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Case 5-2의 경우에는 5-1의 동기조상기 운전 조건과 더불어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설치한 FACTS의 운전점을 inductive
100MVar로 조정하여 FACTS의 무효전력 기여도를 300MVar 증가시킨 Case이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16, 그림 17과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이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6. (Case 5-2) Angle Spread
Fig. 16. (Case 5-2) Angle Spread
그림. 17. (Case 5-2)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17. (Case 5-2)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2.2.6 Case 6 모의 결과
Case 6의 경우에는 345kV 한빛NP#2 S/Y, 신장성, 신정읍에 FACTS가 설치되어 있고, 신남원 모선에 326MVA 동기조상기 1기를
설치했을 때이다. 다만 326MVA 동기조상기 여자기 제정수를 조정하여 응답특성을 개선시켰다.
표 3. SC모델#2 ESST4B 여자기 제정수 변경 전/후
Table 3. SC Model#2 Excitation parameter before/after modification
기호
|
제정수 변경 전
|
제정수 변경 후
|
$T_{R}$
|
0
|
-
|
$K_{PR}$
|
15.85
|
50
|
$K_{IR}$
|
15.85
|
50
|
$V_{R\max}$
|
1.0
|
6.0
|
$V_{R\min}$
|
-0.8
|
-6.0
|
$T_{A}$
|
0.01
|
-
|
$K_{PM}$
|
1
|
-
|
$K_{IM}$
|
0
|
-
|
$V_{M\max}$
|
1.0
|
6.0
|
$V_{M\min}$
|
-0.8
|
-6.0
|
$K_{G}$
|
0
|
-
|
$K_{P}$
|
6.31
|
7.5
|
$K_{I}$
|
0
|
-
|
$V_{B\max}$
|
7.89
|
9
|
$K_{C}$
|
0.07
|
-
|
$X_{L}$
|
0
|
-
|
$\Theta_{P}$
|
0
|
-
|
표 3은 모델#2의 여자기 제정수의 변경 전/후이다. 결과 파형으로 그림 18, 그림 19와 같이 Angle spread와 신남원 모선 전압을 확인한 결과, 제정수를 변경한 결과(초록색 파형)와 400 MVA FACTS를 설치했을 때(파란색
파형) 응답특성과 매우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8. (Case 6) Angle Spread
Fig. 18. (Case 6) Angle Spread
그림. 19. (Case 6) 345kV 신남원 모선 전압
Fig. 19. (Case 6) 345kV Shinnamwon Bus voltage
위 모의 결과를 통해 326MVA 동기조상기의 여자기의 제정수를 임의로 조정하여 출력특성을 개선했을 때 동기조상기 모델#2 1기로도 과도안정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을 모의결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여자기 제정수가 임의로 들어간 점과 동기조상기 여자기 모델의 OEL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의미한 결과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결과의 시사점으로는 동기조상기의 과도응답 특성 개선 관점에서 여자기 제정수를 최적 튜닝할 수 있다면
동기조상기 용량을 줄이거나 동기조상기 사용 목적에 맞는 응답특성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3 검토결과 요약
검토 Case 1에서 Case 6까지 검토 결과, Angle spread 결과파형을 통해 안정과 불안정 여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신남원 모선
전압 파형을 통해 전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였다. 발산하는 경우에는 Angle spread가 동기를 유지 못하고 속도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전압도 정상전압 운전범위를 초과하였다. 반면 안정화되는 모의케이스의 경우에는 Angle spread가 점차적으로 안정화되는 과정을
보이며, 신남원 모선 전압의 경우에도 3~5초내 1pu 이내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남 지역의 발전기 1기 탈락에 대한 과도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FACTS 설비나 동기조상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동기조상기로 400MVA의 FACTS를
대체하기 위해서 필요용량을 검토한 결과 536~652MVA 용량의 동기조상기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변 FACTS나 동기조상기의 운전점을
조정했을 때는 동기조상기를 420MVA 용량만 설치하더라도 과도안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본 결과는 FACTS의 운전점을 Inductive
100MVar로 3기를 운전했기 때문에 300MVar의 무효출력 여유와 더불어 동기조상기 133MVar 무효출력 여유가 더해져 동기조상기 용량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무효출력 여유는 433MVar의 출력을 더 낼 수 있는 조건이 되기 때문에 과도안정도 문제가 해소 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동기조상기나 FACTS의 상시 inductive 운전모드는 설비 운영비용을 증가시키고, 설비 노후화를 가속시키게 되므로 설비운영과 비용적인 측면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결 론
본 검토는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대응 방안으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제시된 동기조상기의 용량확보를 위해 기존 과도안정도 개선을 목표로 전남지역에
설치를 계획했던 FACTS 중 일부를 동기조상기로 대체했을 때 얼마만큼의 용량이 필요한지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신남원 400MVar FACTS를
대체하기에 필요한 동기조상기 용량은 최소 536Mvar에서 최대 652MVar의 검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용량으로는 신남원 동기조상기 운전모드와
신남원 인근 3개 모선의 FACTS의 운전모드를 조정할 경우에도 동기조상기 설치 용량을 줄여도 과도안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운영비용
등 다양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종적으로 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제10차 송변전설비계획에 전남지역 과도안정도 개선과 계통 강건도 향상을
위해 345kV 신장성 모선에 600MVar이 동기조상기 설치 계획이 수립되었다. 본 설비는 과도안정도 개선과 신장성 인근 지역 단락용량 증대, 전압제어가
주 목적이지만, 향후 계통 관성력 공급을 위해 플라이휠 동기조상기로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4)
향후 연구계획 방향으로는 재생E 변동성과 육지 계통 관성력 확보를 위해 동기조상기 또는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설치 최적개소 분석과 필요 용량을 검토할
계획이다.
References
MOTIE, Jan. 13, 2023, 10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NERC, Oct. 30, 2012, Frequency Response Initiative Report
Siemens, Apr., 2018., PSS/E 34.4 Model Library
KEPCO, May. 9, 2023, 10th transmission and substation plan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RI).
He is a senior researcher in Future Grid Research Center, KEPRI.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Advanced Insti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South Korea.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RI).
He is a researcher in Future Grid Research Center, KEPRI.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material science engineering from Chungnam University,
South Korea.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RI).
He is a researcher in Future Grid Research Center, KEPRI.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South Korea.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RI).
He is a senior researcher in Future Grid Research Center, KEPRI.
DAE-IL SONG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in 2010, an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in 2012.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From 2011 to 2019, he worked with the Generator Development Team, Doosan Heavy Industry.
Since 2019, he has been working with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KEPRI).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RI).
He is a principal researcher in Future Grid Research Center, KEPRI.
He is also the team leader in Flywheel Inertia Supply Project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