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명
(Jong-Myoung Kim)
1iD
송진솔
(Jin-Sol Song)
2iD
김철환
(Chul-Hwan Kim)
†iD
-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Current Injection, MVDC network, PSO algorithm, Solid-state CB, Zero Current Switching(ZCS)
1. 서 론
탄소 배출이 증가함에 따라 기후 위기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석탄 화력 발전 등 기존의 발전원을 재생에너지원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23년 1월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하면 2030년 기준 재생에너지원의 발전량 비중은 전체
발전량의 21.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1). 재생에너지원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DC 전원의 계통 내 연계가 증가함에 따라 MVDC 배전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DC 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은 AC 고장과 다른 고장 특성을 가지기에 DC 계통의 보호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일정한 출력을 제공하는 DC의 특성상 DC 고장은 AC 고장과 달리 영전류 교차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2). 기존 AC 계통의 차단기는 영전류 교차점에서 차단을 수행하여 아크 발생을 최소화하였지만, DC 고장 발생 시 영전류가 아닌 상태에서 접점을 분리하면
아크 발생이 극대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DC 차단기의 경우 차단 수행을 위해 인위적인 영전류 교차점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DC 계통은
계통 내 관성이 부족하여 고장전류가 AC에 비해 짧은 시간에 최댓값에 도달하며, 고장전류의 최댓값도 AC에 비해 훨씬 큰 값을 가진다(3). 짧은 시간 동안의 급격한 전류 변화와 높은 고장전류는 계통 내 기기의 절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기에, 수 cycle 내에 차단을 수행하는 AC
차단기와 달리 DC 차단기의 경우 2ms 이내의 짧은 차단 시간을 요구한다(4).
이처럼 DC 고장은 고장 발생 후 차단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에 MVDC 배전망의 보호협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DC 차단기에서의 빠른 차단과
더불어 일정 시간 이내의 차단 시간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장 종류 및 위치 등에 따라 차단 수행 시간의 편차가 유의미하다면, 매우
짧은 차단 시간을 요구하는 DC 고장에 대해 주 보호와 후비보호 사이의 시간 지연을 설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계통 내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DC 차단기에 관한 연구는 차단기의 빠른 차단 시간과 차단 신뢰도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었으며
차단 수행 시간의 신뢰도를 다룬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의 반도체 차단기는 보조 분기에서 직렬 RLC 공진 전류를 주입하여 주 분기에 인위적인 영전류 교차점을 만들어 차단을 수행한다. 주 분기에는
Thyristor를 배치하여 고전압 및 대전류에서도 동작 가능하며, 영전류 교차 시 단방향성 소자인 Thyristor의 특성에 따라 상태가 스위칭되어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다중모듈 구조의 보조 분기를 통해 고장 종류, 고장 위치, 고장 저항, 트립 신호 수신 시간 등 다양한 DC 고장의
조건에 대해 전류 주입을 제어하여 정해한 시간 내에 차단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MVDC 배전망 내 발생하는 고장을 고려하여 PSO 알고리즘을
통해 보조 분기의 커패시턴스와 각 모듈의 인덕턴스 값을 최적화하였으며, Matlab/Simulink를 통해 $\pm 20k V$ MVDC 배전망에서
발생하는 고장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2. Thyristor 기반의 DC 차단기
2.1 DC 차단기의 종류
직류 차단기는 크게 반도체 차단기(SSCB)와 하이브리드 차단기(HCB)로 나뉜다. 반도체 차단기는 반도체 소자의 on/off를 통해 차단을 수행하며,
수십 us 이내의 매우 짧은 차단 시간을 가진다. 차단기가 매우 빠르게 차단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장 발생 시 전압이 적게 강하하여 높은 전력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 과정에서 접점의 물리적 움직임이 없어 solid-state circuit breaker(SSCB)로 불린다. 물리적
움직임이 없기에 차단 시 아크가 발생하지 않으며, 접점 분리 시 발생하는 부식과 노이즈가 없어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MOSFET 등
SSCB에 주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는 정격이 낮아 고전압 및 대전류에 적합하지 않기에 LVDC 및 낮은 전압 레벨의 MVDC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반도체 소자 내부의 저항으로 인한 도통 손실이 큰 편이며, 이는 소자 내 열을 발생시켜 성능 하락 및 수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차단기는 반도체 차단기와 기존의 교류 계통에서 쓰이는 기계식 차단기를 혼합한 형태의 차단기이다. 정상상태에서는 기계식 차단기로 전류가 흘러
도통 손실을 줄이고 고장 발생 시 반도체 분기를 통해 기계식 차단기의 인위적인 영전류 교차점을 생성하여 차단을 수행한다. 하이브리드 차단기는 반도체
차단기의 단점인 높은 도통 손실과 낮은 정격을 기계식 차단기와의 결합을 통해 해결하였다. 그러나 기계식 차단기의 동작이 완료되어야 차단이 온전히 수행되기에
차단 수행시간은 기계식 차단기와 동일하다. 또한, 기계식 차단기의 단점인 긴 차단 시간으로 인한 낮은 전력품질, 물리적 접점 분리로 인한 아크 발생,
접점 부식 및 노이즈 등을 여전히 고려해야 한다.
2.2 전류 주입형 차단 방식
하이브리드 차단기에서 인위적인 영전류 교차점을 형성하는 방식 중 전류 주입형(Current injection) 방식의 DC 차단기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고장 발생 시 보조 분기의 반도체 소자를 turn-on하면 미리 충전된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된 인덕터를 통해 직렬 RLC 공진 전류가 계통으로
주입된다(5). 이에 따라 주 분기인 기계식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는 점점 감소하여 영전류가 형성되며, 기계식 차단기가 접점을 분리한다. 공진 전류는 교번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전류 주입 분기에 위치한 Thyristor에 의해 주입이 차단된다. 차단 이후 서지 어레스터를 통해 계통
내 잔여 에너지를 방출하여 차단 과정이 마무리된다.
2.3 Thyristor 기반 SSCB의 구조
본 논문의 반도체 차단기는 주 분기에 반도체 소자인 Thyristor를 배치하였다. Thyristor는 6.5kV ~ 8.5kV의 높은 정격 전압과
1kA의 높은 정격 전류를 가지기 때문에 고전압 및 대전류에 적합하며 MVDC 배전망에도 활용 가능하다. 그리고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 대비 도통 손실이
낮고 가격이 저렴하여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Thyristor는 단방향성 소자이자 semi-controlled 소자이기에 소자 내 영전압 또는
영전류 형성 시 소자가 스위칭된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단기의 차단 방식 중 하나인 전류 주입형 차단 방식을 활용하여 Thyristor에 영전류
교차점을 만들어 turn-off하였다.
보조 분기인 전류 주입 분기는 다중 모듈 구조로 이루어져 고장 전류의 크기를 기반으로 주입할 모듈을 선정하여 전류를 주입한다. 고장 전류를 고려하지
않고 전류를 주입할 경우 고장전류보다 낮은 전류가 주입되면 Thyristor가 turn-off되지 않고, 고장 전류보다 훨씬 큰 전류가 주입될 경우
Thyristor에 역전압 및 역전류가 형성되어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전류의 크기를 고려하여 전류를 주입해야 차단기의 동작 신뢰도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yristor가 turn-off 되면 전류 주입 모듈의 반도체 소자를 스위칭하여 전류 주입을 중단한다. 이후 서지 어레스터가 계통 내 잔여 에너지를
방출한다. 서지 어레스터의 클램핑 전압은 계통 전압의 1.5 ~ 2.5 p.u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며 본 논문에서는 정격 전압의 2배인 40kV로
설정되었다.
그림. 1. Thyristor 기반 다중 모듈 SSCB의 구조
Fig. 1. Structure of thyristor-based multi-module SSCB
3. SSCB 파라미터 최적화
3.1 DC 고장 전류 예측
본 논문에서의 SSCB의 차단 시간은 DC 계전기의 샘플링 주파수와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고려하여 50$\mu s$로 설정되었다. 주입할
공진 전류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고장 전류의 크기를 예측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림 2에 따르면 DC 고장 전류의 초기 변화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전류 변화율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하여 예측한 전류의
크기는 실제 고장전류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50$\mu s$ 후의 고장전류의 크기는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한다.
그림. 2. DC 고장 전류의 초기 변화율
Fig. 2. Initial changing rate of DC fault current
여기서 $i_{\exp}$는 예측 전류, $t_{inj}$는 전류 주입 시간, $t_{set}$은 설정된 차단 시간인 50$\mu s$를 나타낸다.
전류 주입 분기를 통해 주입되는 전류는 모듈 간 조합으로 결정된다. SSCB의 차단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주입 전류의 크기는 예측된 고장 전류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i_{inj}(n)$은 n번째 주입 전류의 크기를 의미한다.
3.2 RLC 직렬 공진 전류 분석
전류 주입 분기를 통해 주입되는 RLC 직렬 공진전류의 파형은 그림 3과 같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식(3)과 같다.
그림. 3. RLC 직렬 공진 전류 파형
Fig. 3. Waveform of RLC series resonance current
C는 공통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V_{0}$는 초기 전압을 의미한다. L은 다중 모듈 내 조합에 의한 등가 인덕턴스이며, $R_{on}$은 IGBT의
내부 저항이다. $\omega_{d}$는 RLC 공진 전류의 각속도를 의미한다. 전류 주입에 사용되는 파형의 범위는 공진 전류가 최댓값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으로 제한한다. 최댓값을 넘어선 범위까지 활용할 경우 설정된 시간보다 과도하게 일찍 차단되어 Thyristor 내 역전류로 인해 절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주입된 전류가 최댓값에 도달하는 시간 $t_{peak}$는 식(3)의 도함수를 구함으로 식(6)와 같이 구할 수 있다.
3.3 전류 주입 분기 파라미터 최적화
전류 주입 분기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 위해 2단계의 PSO 알고리즘이 활용되었다. PSO 알고리즘은 간단하면서 직관적인 알고리즘으로 여러 개의 입자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통해 최적해를 찾아가는 기법이다. PSO 알고리즘은 빠른 수렴 속도를 보이며, 최적해를 찾는 능력이 뛰어나 계산 시간이 감소한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 첫 번째 PSO 알고리즘은 차단 시간 신뢰도 및 차단 신뢰도를 보장하며,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최소 에너지를 통해 차단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두 번째 PSO 알고리즘은 모듈의 각 상태에 따라 주입되는 전류의 간격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DC 고장 전류에서도 차단 시간이
설정된 시간과 근사하도록 최적화되었다.
3.3.1 $1^{st}$ PSO 알고리즘
첫 번째 PSO 알고리즘에서는 전체 등가 인덕턴스와 공통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와 초기 전압을 최적화하였다. RLC 직렬 공진전류에서 인덕턴스의 값이
작아질수록 주입되는 전류의 크기는 커지며, 최댓값에 도달하는 시간은 감소한다. 인덕터 모듈은 병렬로 구성되어 있기에 모든 모듈이 주입될 때 등가 인덕턴스가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해당 경우에 가장 큰 전류가 주입되며, 최댓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도 가장 짧다.
SSCB가 모든 DC 고장에 대해 차단 신뢰도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최대 주입전류의 크기가 최대 고장전류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최대 고장
전류는 양 극이 연결된 PTP 고장이 선로 초입에 발생하였으며, 고장 저항이 0일 때 발생한다. 차단 신뢰도의 확보를 위해 최대 주입전류는 최대 고장전류
크기에 $k_{i}$배의 마진을 두어 설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k_{i}$는 1.03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SSCB의 수명 및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통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적은 에너지로 차단을 수행할수록 커패시터 전압을
빠르게 복구할 수 있으며, 커패시터 방전을 방지하는 데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감소한다.
따라서 $1^{st}$ PSO algorithm가 만족해야 할 조건은 총 3개이다. 그중 주입 전류가 최댓값에 이르는 시간은 설정한 시간보다 짧으면
제약 조건을 위배하기 때문에 해당 제약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입자의 최적 위치를 갱신해야 한다. 나머지 조건을 반영한 목적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K_{11}$과 $K_{12}$는 각각 차단 신뢰도 조건과 최소 에너지 조건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PSO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최적해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1^{st}$ PSO 알고리즘을 통한 최적 파라미터 및 계수
Table 1. Optimized parameter and coefficient of 1st PSO algorithm
$L_{opt}[\mu H]$
|
20.83
|
$\max(i_{ptp})[A]$
|
2513.78
|
$C_{opt}[\mu F]$
|
58.86
|
$K_{11}$
|
10
|
$V_{0}[V]$
|
1561.24
|
$K_{12}$
|
1
|
3.3.2 $2^{nd}$ PSO 알고리즘
전류 주입 분기의 각 모듈은 0의 상태에서는 주입되지 않고, 1의 상태에서 주입된다. 따라서 총 n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다중모듈 구조에서는 $2^{n}-1$가지의
전류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경우는 n자리의 이진수를 통해 표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DC 고장의 최대 고장전류의 크기를 고려하여 5개의
모듈을 통해 다중 모듈 구조를 구현하였다. $2^{nd}$ PSO 알고리즘은 $1^{st}$ PSO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된 값들을 토대로 5개의
모듈의 인덕턴스 값을 최적화하였다.
$2^{nd}$ PSO 알고리즘의 첫 번째 조건은 전체 등가 인덕턴스 조건이다. 전체 등가 인덕턴스 $L_{eq}$는 $1^{st}$ PSO 알고리즘에서
도출된 최적 등가 인덕턴스 $L_{opt}$와 크기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조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두 번째로, 고장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공진 전류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주입 전류가 case 별로 오름차순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31가지의
주입 전류는 5자리의 이진수에 의해 ‘00001’부터 ‘11111’까지로 구분된다. 이진수의 값이 커질수록 더 큰 크기의 전류가 주입되어야 한다.
주입되는 공진 전류의 크기가 커지려면 인덕턴스의 값이 작아져야 한다. 이진수의 마지막 자리에 해당하는 모듈의 인덕턴스를 $L_{1}$, 첫 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모듈의 인덕턴스를 $L_{5}$로 표현하였다. 오름차순 조건은 최적해를 찾기 위한 제약조건이므로 페널티 함수 $P_{1}(n)$을 통해 표현되었다.
n은 주입전류의 가짓수보다 하나 작은 30까지의 값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case 별 주입 전류 크기의 간격은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 여러 case의 주입 전류가 일정 구간에 몰려있거나 case 별
주입 전류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다면 고장 전류에 비해 과도하게 큰 크기의 전류가 주입될 수 있다. 최대 주입 전류의 크기를 기반으로 한 평균 주입
전류 간격 $i_{int}$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주입 전류 간 간격의 최솟값과 최댓값은 평균 주입 전류 간격의 배수로 나타내었다. $k_{lo}$는 최소 배수, $k_{up}$은 최대 배수를 의미하며,
각각 0.5, 1.5로 설정되었다.
해당 제약조건을 목적함수에 적용하기 위해 정규화 과정을 거친 페널티 함수로 표현하였다. 식(14)는 정규화 함수 $i_{norm}(n)$을, 식(15)는 정규화를 반영한 제약조건을, 식(16)은 페널티 함수 $P_{2}(n)$으로 표현한 제약조건을 나타낸다. n은 $P_{1}(n)$과 마찬가지로 30까지의 값을 갖는다.
세 가지 조건을 기반으로 한 목적함수 $OF_{2}$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K_{21}$, $K_{22}$, $K_{23}$은 각 조건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2nd PSO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각 인덕터 모듈의 인덕턴스
값은 표 2를 통해 나타내었으며, 인덕터 모듈의 state에 대한 공진전류의 크기는 표 3을 통해 나타내었다. 2단계의 PSO 알고리즘에 대한 순서도는 그림 4에 나타내었다.
표 2. $2^{nd}$ PSO 알고리즘을 통한 최적 파라미터 및 계수
Table 2. Optimized parameter and coefficient of 2nd PSO algorithm
$L_{1}[\mu H]$
|
683.69
|
$L_{5}[\mu H]$
|
39.88
|
$L_{2}[\mu H]$
|
336.14
|
$K_{21}$
|
$10^{7}$
|
$L_{3}[\mu H]$
|
163.66
|
$K_{22}$
|
1
|
$L_{4}[\mu H]$
|
80.68
|
$K_{23}$
|
30
|
표 3. 모듈 상태에 따른 등가 인덕턴스 및 주입 전류
Table 3. Injection current and equivalent inductance based on module state
|
Module state
|
Equivalent
inductance [$\mu H$]
|
Injection current [A]
|
$M_{5}$
|
$M_{4}$
|
$M_{3}$
|
$M_{2}$
|
$M_{1}$
|
1
|
0
|
0
|
0
|
0
|
1
|
683.69
|
112.96
|
2
|
0
|
0
|
0
|
1
|
0
|
336.14
|
227.20
|
3
|
0
|
0
|
0
|
1
|
1
|
225.35
|
335.26
|
4
|
0
|
0
|
1
|
0
|
0
|
163.66
|
455.93
|
5
|
0
|
0
|
1
|
0
|
1
|
132.05
|
558.92
|
6
|
0
|
0
|
1
|
1
|
0
|
110.07
|
662.97
|
7
|
0
|
0
|
1
|
1
|
1
|
94.80
|
761.27
|
8
|
0
|
1
|
0
|
0
|
0
|
80.68
|
882.16
|
9
|
0
|
1
|
0
|
0
|
1
|
72.16
|
975.34
|
10
|
0
|
1
|
0
|
1
|
0
|
65.06
|
1069.36
|
11
|
0
|
1
|
0
|
1
|
1
|
59.41
|
1158.05
|
12
|
0
|
1
|
1
|
0
|
0
|
54.04
|
1256.81
|
13
|
0
|
1
|
1
|
0
|
1
|
50.08
|
1340.87
|
14
|
0
|
1
|
1
|
1
|
0
|
46.55
|
1425.55
|
15
|
0
|
1
|
1
|
1
|
1
|
43.59
|
1505.30
|
16
|
1
|
0
|
0
|
0
|
0
|
39.88
|
1617.75
|
17
|
1
|
0
|
0
|
0
|
1
|
37.68
|
1692.43
|
18
|
1
|
0
|
0
|
1
|
0
|
35.65
|
1767.52
|
19
|
1
|
0
|
0
|
1
|
1
|
33.89
|
1838.11
|
20
|
1
|
0
|
1
|
0
|
0
|
32.07
|
1916.41
|
21
|
1
|
0
|
1
|
0
|
1
|
30.63
|
1982.77
|
22
|
1
|
0
|
1
|
1
|
0
|
29.27
|
2049.35
|
23
|
1
|
0
|
1
|
1
|
1
|
28.07
|
2111.79
|
24
|
1
|
1
|
0
|
0
|
0
|
26.69
|
2187.95
|
25
|
1
|
1
|
0
|
0
|
1
|
25.69
|
2246.14
|
26
|
1
|
1
|
0
|
1
|
0
|
24.73
|
2304.37
|
27
|
1
|
1
|
0
|
1
|
1
|
23.86
|
2358.83
|
28
|
1
|
1
|
1
|
0
|
0
|
22.95
|
2418.90
|
29
|
1
|
1
|
1
|
0
|
1
|
22.20
|
2469.47
|
30
|
1
|
1
|
1
|
1
|
0
|
21.48
|
2519.99
|
31
|
1
|
1
|
1
|
1
|
1
|
20.83
|
2567.03
|
그림. 4. 2단계 PSO 알고리즘의 순서도
Fig. 4. Flowchart of two stage PSO algorithm
4. 시뮬레이션
4.1 시뮬레이션 계통 및 조건
시뮬레이션에 활용된 MVDC network은 두 개의 FB MMC를 활용한 bipolar 구조를 통해 $\pm 20k V$의 전압 레벨을 구현하였다.
Thyristor 기반의 SSCB는 MMC와 선로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고장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한 한류 리액터가 설치되었다(6). 선로의 길이는 총 20km이며, 4MW의 부하가 선로 말단에 배치되었다.
그림. 5. MVDC 배전망 구조
Fig. 5. MVDC distribution network structure
MVDC 배전망 내에서 SSCB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표 4와 같이 4개의 조건의 조합으로 Case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고장 종류, 고장 저항, 고장 위치는 DC 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에 대한
물리적인 조건을 나타낸다. DC 고장의 종류로는 양 극이 단락되는 Pole-To-Pole(PTP) 고장과 한 극이 지락되는 Pole-To-Ground(PTG)
고장이 있다. PTP 고장은 단락 고장의 특성상 고장 임피던스가 매우 낮으므로 저임피던스 고장인 bolted fault와 1옴의 고장 저항에 대해서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고임피던스 고장(10옴)은 PTG 고장에 대해서만 모의하였다. 그리고 고장의 발생 위치에 따른 SSCB의 동작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 선로 초입, 중간, 말단에서 고장을 모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장 발생 후 DC 계전기로부터 트립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을 고려하였다.
2ms 안에 고장을 차단해야 하는 DC 고장의 특성상 고장 발생 후 각각 100$\mu s$, 500$\mu s$, 1000$\mu s$ 후 전류가
주입되도록 설계하여 차단 시간을 분석하였다.
표 4. SSCB 동작 검증을 위한 DC 고장 조건
Table 4. DC fault condition for verifying the SSCB performance
고장 종류
|
PTP, PTG
|
고장 저항
|
0, 1, 10(PTG) [Ω]
|
고장 위치
|
0, 10, 20 [km]
|
트립 신호 수신 시간
|
100, 500, 1000 [$\mu s$]
|
4.2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고장 case에 대해 차단기는 50 이내에 차단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thyristor 기반의 SSCB는 차단 신뢰도와 더불어
차단 시간에 대한 신뢰도가 확보되었음을 입증하였다. 고장 조건에 따른 차단 시간 분석은 다음과 같다. 고장 종류에 따른 SSCB의 차단 시간은 그림 6에 나타내었다. PTP 고장에 비해 PTG 고장의 차단 시간이 넓은 분포를 가진다. 이는 PTG 고장의 전류 변화율이 PTP 고장보다 작으므로 주입
전류가 고장 전류보다 증가하는 시간이 더 빠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고장 저항 및 고장 위치에 따른 차단 시간의 분포는 그림 7과 그림 8을 통해 나타내었다. 저임피던스 고장의 경우 일부 case에 대해 35 이하의 차단 시간이 나타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고임피던스 고장에 비해 집중된
분포를 보인다. 그리고 고장 위치에 대한 차단 시간의 분포도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고장 저항 및 고장 위치는 차단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림 9에서 고장 발생 후 트립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차단 시간이 넓은 분포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장 초기의 전류 변화율이 빠르게
변화하기에 주입된 전류와 실제 고장 전류 사이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SSCB는 계전기로부터 트립 신호 수신 시간이 길어질수록 차단 시간에
대한 신뢰도는 더 증가하기에 MVDC 배전망에서의 보호협조 시스템의 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6. 고장 종류에 따른 SSCB 차단 시간
Fig. 6. SSCB interruption time by fault type
그림. 7. 고장 저항에 따른 SSCB 차단 시간
Fig. 7. SSCB interruption time by fault resistance
그림. 8. 고장 위치에 따른 SSCB 차단 시간
Fig. 8. SSCB interruption time by fault location
그림. 9. 트립 신호 수신 시간에 따른 SSCB 차단 시간
Fig. 9. SSCB interruption time by trip signal reception time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MVDC 배전망에서 발생하는 고장에 대해 Thyristor를 활용한 SSCB의 차단 시간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C
고장에 비해 DC 고장은 큰 고장 전류와 빠른 전류 변화율로 인해 요구되는 고장 차단 시간이 매우 짧아 SSCB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hyristor를
주 분기에 활용하여 SSCB의 단점인 낮은 정격을 보완하였고, Thyristor의 차단을 위해 HCB의 전류 주입 방식을 적용하였다. 고장 전류의
크기에 따른 전류 주입을 위해 다중 모듈 구조로 구성된 전류 주입 분기가 활용되었고, 2단계의 PSO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차단 시간의 신뢰도를 확보하도록
최적화되었다. Thyristor 기반의 SSCB는 bipolar FB MMC를 통해 구현된 MVDC 배전망에서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 차단
신뢰도뿐만 아니라 차단 시간에 대한 신뢰도도 확보되었음을 검증하였다. 고장 종류, 고장 저항, 고장 위치, 트립 신호 수신 시간 등 다양한 DC 고장
조건에 따른 차단 시간의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짧은 고장 차단 시간이 요구되는 DC 고장에 대해 MVDC 배전망에서의 보호
협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225500000110)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225500000110)
References
Ministry of trade, 2023, 10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 and demand
Coffey, Sophie, 2021, Review of MVDC applications, technologies, and future prospects.
Energies, Vol. 14, No. 24
Rodrigues, Rostan, 2020, A review of solid-state circuit break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6, No. 1, pp. 364-377
Yifei Wu, 2019, A novel current injection DC circuit breaker integrating current commutation
and energy dissipation.,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8, No. 3, pp. 2861-2869
Reza Kheirollahi, 2021, Ultrafast solid-state circuit breaker with a modular active
injection circuit.,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Industrial Electronics,
Vol. 3, No. 3, pp. 733-743
Davood Keshavarzi, Ebrahim Farjah, 2017, Hybrid DC circuit breaker and fault current
limiter with optional interruption capability.,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3, pp. 2330-2338
저자소개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21.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s program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nd DC circuit breaker on
AC/DC hybrid MVDC distribution networks.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and power system protection
on AC/DC hybrid MVDC distribution networks.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82, 1984, and 1990, respectively.
In 1990, he joine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as a Full- Time Lecturer.
He was a Visiting Academic with the University of Bath, Bath, U.K., in 1996, 1998,
and 1999.
He has been a Professor with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ince 1992, where he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Power Information Technolog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for protection and control, modeling/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
and AC/DC hybrid MVDC distribution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