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ity, Korea E-mail: blueasblue@nate.com)
  2. (Managing director, Greennet Power Co.Ltd, Daejeon, Korea E-mail: roundyou@hotmail.com)



Voltage stability calculation, Thevenin equivalent model, Margin, Transmission line effect

1. 서 론

교류전력계통에서 전압안정도는 전력망의 수송능력이 열용량 기준으로는 충분하다 하더라도 전압을 유지할 수 없는 조건을 만듦으로써 전력수송을 불가능하게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Eric Hirst[1]에 의하면 송전선로의 송전용량은 선로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80Km 정도까지는 열용량 한계로 활용하지만 80~ 500Km까지는 그림 1과 같이 전압안정도 한계용량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송전선로는 154KV의 경우 도심 내의 부하공급을 위한 부송전선로로서 단거리에 활용되며, 345KV의 경우 주송전선로로서 도심까지 전력을 전송하는 중거리선로에 활용되었다. 765KV의 경우 지역 간 선력수급을 하는 Backbone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백Km를 넘는 장거리 송전선로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전력이 1998년에 작성한 송전용량비교표에 의하면 345kV 4B 선로의 송전용량은 역률 0.95인 경우 30Km를 초과하면 전압안정도 영향을 받기 시작하여 100Km 거리이면 35% 정도의 용량으로 줄어들며, 765kV 6B의 경우 40Km 거리에서부터 전압안정도 제약을 받기 시작하여 100Km인 경우 56% 정도로 송전용량이 축소된다.

이와 같이 송전용량은 송전전력의 역률과 선로 긍장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저역률 장거리 송전선로인 경우는 전압안정도 한계에 더 크게 제약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부하중심지인 수도권은 전국 부하전력의 40% 이상을 소비하지만 자급율은 60% 정도에 그쳐, 수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을 765kV 및 345kV 송전선로를 통하여 수송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송변전계획 또는 운영 시 전압안정도 한계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압안정도 및 전압붕괴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및 과정은 [1]에 설명되어 있다. 전압붕괴는 과도적 또는 준정적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준압불안정의 해석방법으로는 정적해석법으로는 Jacobian matrix의 singularity를 이용한 방법[2],[3], Jacobian의 singularity를 피하기 위해 전력조류방정식을 약간 변형하여 부분적으로 연속되게 하는 Continuation technique를 사용한 P-V curve 계산방법을 사용하는 방법[4], 그리고 전압붕괴지표를 계산하는 것[5],[6]이 일반적이다. 동적전압불안정 해석에 사용되는 준정적방법은 부하의 전압변동특성이나 OLTC (On-Line Tap changer), SVC(Static Var Compensator), 발전기 여자계 등의 dynamics를 고려하여 전압불안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7] 외란에 대한 전압불안정 동특성을 연구하는데 필요하나 일반적으로 전압불안정의 해석에는 정적해석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정적해석방법들의 대부분은 복잡한 전력계통데이터와 반복적인 시뮬레이션으로 결과를 계산하게 되어 해석에 시간이 걸리며, 데이터의 수가 많아지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Bikram Singh 등은 송수전단의 위상차가 작은 시스템에 대해 전압붕괴지점에 대한 근접도를 간략히 추정하는 지표 VQI를 제시하였으나[8] 전압안정한계에 대한 마진전력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전압안정도로 제약받을 수 있는 발전 또는 수요 신설 요구에 대응해 송전용량을 검토할 경우 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의 영향을 간략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실질적 방법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반복조류계산에 의하지 않고 계통의 선로정수와 고장계산에 의해 선로 추가 시 개선되는 전압안정도 마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1. 거리에 따른 송전용량 한계 결정요인

Fig. 1. Determinants of transmission capacity limit by distance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1.png

1.1 약어[모든 값은 PU]

$j X_{s}$ : 고장계산에 의해 얻은 고장임피던스의 리액턴스 값

$pf$ : 역률

$X_{l}$ : 전원등가 리액턴스

$Y_{c}$ : 부하단 등가 어드미턴스

$\dot{V}_{s}=V_{s}\angle\delta$ : 전원 전압

$\dot{V}_{r}=V_{r}\angle 0$ : 부하단 전압

$V_{r}^{*}$ : 붕괴지점 전압

$V_{r0}$ : 무부하 모선전압

$S$ : 피상전력

$S_{\max}$ : 최대전송전력

$S =P_{L}+j Q_{L}$ : 수전단 복소부하전력

2. 본 론

2.1 모형계통의 등가회로화와 선로정수 계산

그림 2와 같이 복잡한 대상 전력계통에서 임의의 모선에 대한 전압안정도의 평가가 필요한 경우, 임의의 모선에서 전원 측의 계통은 그림 3과 같이 전원을 테브난 등가회로로 하고 부하 측에 병렬 어드미턴스가 연결된 등가회로로 간략그림 2와 같이 복잡한 대상 전력계통에서 임의의 모선에 대한 전압안정도의 평가가 필요한 경우, 임의의 모선에서 전원 측의 계통은 그림 3과 같이 전원을 테브난 등가회로로 하고 부하 측에 병렬 어드미턴스가 연결된 등가회로로 간략화할 수 있다.

그림 2. 우리나라 송전전압 전력계통도

Fig. 2. Transmission voltage power system diagram in Korea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2.png

그림 3. 커패시터로 보상한 모형계통

Fig. 3. Model system compensated by capacitors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3.png

이 등가회로에서 선로정수 $X_{l}$, $Y_{c}$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원 등가리액턴스 $X_{l}$은 수요지점의 고장계산에 의해 전원등가 임피던스를 구한 다음 식(1)과 같이 이의 허수 부분을 취하여 얻을 수 있다.

(1)
$X_{l}=Im(\dot{Z_{s})}$

또한, 부하단 어드미턴스 $Y_{c}$는 대상 모선을 무부하로 둔 경우 무부하 모선전압 $V_{ro}$와 무부하 충전전류에 의한 송수전단 전압 차이로 선로충전용량 $Y_{c}$를 (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
$Y_{c}=\dfrac{1}{X_{l}}\dfrac{V_{r0}-V_{s}}{V_{r0}}$

2.2 모형계통의 전압안정 극한전력 계산

그림 3의 간략화된 모형계통에서 송전선로 임피던스와 전압안정도의 관계는 전원전압을 $V_{s}=\dot{V_{s}\angle\delta}$, 부하단 전압을 $V_{r}=\dot{V_{r}}\angle 0$라 하고, 전원에서 부하단에 이르는 송전선로의 리액턴스를 $X_{l}$, 부하단의 보상용 커패시터 어드미턴스를 $Y_{c}$라고 할 때 부하전력 $S=P_{L}+j Q_{L}$에 대한 수전단전압 $V_{r}$은 (3)과 같이 표현된다. 단 $pf$는 역률이다.

(3)
$S^{2}+2S\sqrt{1-pf^{2}}(\dfrac{1}{X_{l}}-Y_{c})V_{r}^{2}+(\dfrac{1}{X_{l}}-Y_{c})^{2}V_{r}^{4}-(\dfrac{V_{s}V_{r}}{X_{l}})^{2}=0$

테브난등가전원전압 $\dot{V}_{s}$는 단락전류 $\dot{I}_{f}$와 전원임피던스 $\dot{Z}_{s}$의 곱으로 얻을 수 있다. 식 (3)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각 변수들을 식 (4)와 같이 가정하고 다시 쓰게 될 경우 식 (5)와 같이 된다.

(4)
$U=V_{r}^{2}$,$a=2\sqrt{(1-pf^{2}})(\dfrac{1}{X_{l}}-Y_{c}),\: b=(\dfrac{1}{X_{l}}-Y_{c})^{2},\: c=(\dfrac{V_{s}}{X_{l}})^{2}$
(5)
$S^{2}+a SU+b U^{2}-c U=0$

(5)는 역률이 일정한 피상전력 S의 변화에 따라 전압제곱의 값이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2차 방정식이다. 따라서 붕괴전압의 제곱 U는 (5)를 S에 대해 미분하여 그 값을 $-\infty$로 두면 얻을 수 있다.

(5)에 대한 미분값 $\dfrac{d S}{d U}$는 (6)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6)

$2S+a U+a S\dfrac{d U}{d S}+2b U\dfrac{d U}{d S}-c\dfrac{d U}{d S}=0$

$\dfrac{d U}{d S}(as+2b U-c)+2S+a U=0$

$\therefore\dfrac{d U}{d S}=-\dfrac{2S+a U}{a S+2b U-c}=-\infty$

(6)의 조건을 만족하려면 분모가 0이 되어야 하며, 이에 붕괴지점 S의 값은 (6)의 분모를 0으로 하는 값이다.

따라서 $a S+2b U-c=0$의 조건을 만족하는 U는 식(7)과 같이 된다.

(7)
$U=V_{r}^{2}=\dfrac{(\dfrac{V_{s}}{X_{l}})^{2}-2\sqrt{1-pf^{2}}(\dfrac{1}{X_{l}}-Y_{c})S}{2(\dfrac{1}{X_{l}}-Y_{c})^{2}}$

따라서 붕괴전압 $V_{r}$은 (8)와 같이 되며

(8)
$V_{r}=\dfrac{\sqrt{(\dfrac{V_{s}}{X_{l}})^{2}-2\sqrt{1-pf^{2}}(\dfrac{1}{X_{l}}-Y_{c})S}}{\sqrt{2}(\dfrac{1}{X_{l}}-Y_{c})}$

최대전송전력 $S_{\max}$를 계산하기 위해 (7)(5)에 대입하여

(9)
$(4b-a^{2})S^{2}+2ac S-c^{2}=0$

이후 각 계수의 값을 계산하면

(10)
$4b-a^{2}=4pf^{2}(\dfrac{1}{X_{l}}-Y_{c})^{2}$

(9)에서 S의 값을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구하면

(11)
$ \begin{align*} S=-2ac\pm \dfrac{\sqrt{(2ac)^{2}+4(4b-a^{2})c^{2}}}{2(4b-a^{2})}\\ =\dfrac{c(-a\pm 2\sqrt{b})}{4b-a^{2}} \end{align*} $

해당 계수를 (11)에 대입하면 $S_{\max}$는

(12)
$S_{\max}=\dfrac{1}{2}(\dfrac{V_{s}}{X_{l}})^{2}\dfrac{1}{\dfrac{1}{X_{l}}-Y_{c}}(\dfrac{1-\sqrt{1-pf^{2}}}{pf^{2}})$

(12)에서 최대전송전력 $S_{\max}$는 $X_{l}$, $Y_{c}$, $pf$, $V_{s}$의 함수로 표현되며 계통에 선로를 추가함으로써 변화된 $X_{l}$. $Y_{c}$, $V_{s}$에 의해 새로운 $S_{\max}$를 구할 수 있다.

2.3 송전선로 신설에 대한 전압안정도 개선효과 검토 알고리즘

이상의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선로 신설 전후에 대한 전압안정도의 개선효과 검토 방법은 그림 4와 같다.

그림 4. 선로 추가에 따른 전압안정도 마진 검토 방법

Fig. 4. Method of reviewing voltage stability margin for addition of transmission line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4.png

상기 방법은 간략방법을 이용하여 전압안정한계전력 계산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으로서 주어진 계통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모형 계통의 임의의 모선에 대한 $X_{L}$과 $Y_{c}$를 고장계산 및 무부하 수전전압$V_{r0}$에 의해 구하게 된다. 이 값들을 이용하여 초기 상태의 해당모선에서의 전압안정 극한전력 $S_{\max'}$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부하 증가 또는 신재생 전원의 증가로 인한 선로 보강이 발생한 경우 해당 선로 데이터를 추가 입력하여 변화된 계통에 대해 고장계산 및 무부하 모선전압을 구해 선로 정수 투입에 따라 변화된 $X_{L}^{'}$ 및 $Y_{c}^{'}$의 값을 구한다. 이 값들을 이용하여 보강된 경우 개선된 전압안정 극한전력 $S_{\max'}$를 계산 후 증가된 증분 $\Delta S_{\max'}$를 계산한다.

3. 실계통 분석 사례연구

위 계산법의 정확성을 검토하기 위해 IEEE-14모선 계통 및 IEEE- 30모선 계통을 사용 및 본 방법을 적용하였다.

전력계통이 전압안정도 문제로 전력전송이 제약되는 경우, 극한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송전선로를 추가하기 위한 의사결정에는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고려해 적용가능한 상정사고들에 대한 전압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상당한 양의 시뮬레이션을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전압안정극한전력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보강대상선로를 계통보강 또는 말단선로 보강으로 선정하였다. IEEE-14 시스템에서는 말단 선로인 10-11번선로를, IEEE-30시스템에서는 계통선로인 1-2번 선로를 보강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림 5. IEEE-14 및 30모선 시험 계통

Fig. 5. IEEE-14 and 30 bus test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5.png

표 1 보강대상선로

Table 1 Lines for reinforcement

대상

계통

보강

선로

선로정수

R[pu]

X[pu]

C[pu]

MVA

길이

[km]

14bus

10-11

0.08205

0.19207

0.000

-

-

30bus

1-2

0.0192

0.05750

0.052800

130

20

3.1 전송전력 Smax의 계산

3.1.1 선로추가 전

직접계산법과 시뮬레이션법을 각각 적용하여 선로추가 전의 전압안정 극한전력값을 계산, 비교하였다. 역률은 한전의 표준역률인 0.9를 사용하였다.

표 2 선로 추가 전 후 전압안정극한전력(Smax)비교

Table 2 Data before adding line of direct calculation and simulation method (IEEE-14 system)

a) IEEE-14 system(선로추가전)

모선

X/R

$S_{\max cal}$ $S_{\max si}$

오차분석

비고

1

4.531

2.172

0

-

slack

2

2.903

1.833

4.889

-62.5%

발전기모선

3

2.111

1.288

1.361

-5.4%

발전기모선

4

2.183

1.517

2.028

-25.1%

S.C.모선

5

2.407

1.521

2.403

-36.7%

변압기1차 모선

6

2.713

0.904

0.978

-7.5%

7

2.971

0.958

0.000

0%

8

5.030

0.604

0.000

0%

9

2.516

0.951

0.933

1.9%

10

2.420

0.827

0.822

0.6%

11

2.376

0.732

0.756

-3.1%

12

2.028

0.625

0.622

0.6%

13

2.243

0.749

0.711

5.4%

14

2.081

0.649

0.578

12.5%

b) IEEE-30 시스템 (선로추가 전)

모선

X/R

$S_{\max cal}$ $S_{\max si}$

오차분석

비고

1

16.507

1.829

0.000

-

slack

2

7.256

1.946

2.300

-15.4%

발전기모선

3

4.023

1.590

0.888

79.1%

발전기모선

4

4.239

1.701

1.154

47.4%

변압기1차

5

4.178

0.979

1.491

-34.3%

발전기모선

6

4.547

1.687

0.833

102.5%

변압기1차 

7

3.389

1.262

1.031

22.4%

8

4.898

1.641

1.542

6.5%

발전기모선

9

8.517

1.280

0.861

48.7%

변압기2차

10

4.970

1.205

1.051

14.7%

변압기2차

11

32.770

0.949

0.694

36.6%

발전기모선

12

4.595

1.214

1.124

8.0%

변압기2차

13

8.361

0.999

0.944

5.8%

발전기모선

14

2.245

0.759

0.805

-5.7%

15

2.960

0.985

0.952

3.4%

16

3.482

0.922

0.886

4.1%

17

3.786

1.028

0.975

5.4%

18

2.543

0.750

0.730

2.8%

19

2.581

0.766

0.772

-0.8%

20

2.753

0.793

0.747

6.2%

21

3.472

1.056

1.042

1.4%

22

3.389

1.012

0.861

17.6%

23

2.470

0.752

0.730

3.1%

24

2.436

0.837

0.819

2.3%

25

2.633

0.628

0.583

7.7%

 

26

1.828

0.318

0.317

0.4%

27

3.985

0.698

0.639

9.2%

변압기2차

28

3.857

1.367

1.236

10.6%

변압기1차

29

2.379

0.387

0.360

7.6%

30

2.150

0.364

0.376

-3.3%

3.1.2 선로추가 후

a) IEEE-14시스템(선로추가 후)

모선

X/R

$S_{\max cal}$ $S_{\max si}$

오차분석

1

3.945

2.197

0

0%

2

2.545

1.859

5.022

-63.0%

3

1.774

1.297

1.389

-6.6%

4

1.954

1.544

2.111

-26.8%

5

2.162

1.548

2.444

-36.7%

6

2.472

0.939

0.956

-1.7%

7

2.686

0.982

0

0%

8

4.533

0.618

0

0%

9

2.298

0.981

0.956

2.7%

10

2.241

0.850

0.833

2.1%

11

2.228

0.800

0.778

2.9%

12

1.933

0.645

0.644

0.2%

13

2.106

0.770

0.722

6.7%

14

1.983

0.662

0.611

8.4%

b) IEEE-30 시스템 (선로추가 후)

모선

X/R

$S_{\max cal}$ $S_{\max si}$

오차분석

1

17.202

1.829

1.279

43.0%

2

8.468

1.946

2.338

-16.8%

3

4.055

1.590

1.693

-6.1%

4

4.296

1.701

1.293

31.6%

5

4.546

0.979

1.602

-38.9%

6

4.644

1.739

0.945

84.1%

7

3.494

1.304

1.309

-0.4%

8

4.986

1.641

1.686

-2.7%

9

8.673

1.303

0.945

38.0%

10

5.035

1.220

1.064

14.6%

11

33.439

0.958

0.944

1.4%

12

4.643

1.223

1.124

8.7%

13

8.458

0.999

0.945

5.8%

14

2.253

0.766

1.097

-30.2%

15

2.979

0.992

1.133

-12.4%

16

3.502

0.932

1.039

-10.3%

17

3.816

1.023

1.072

-4.6%

18

5.515

0.758

0.772

-1.7%

19

2.595

0.773

0.828

-6.6%

20

2.768

0.803

0.802

0.1%

21

3.499

1.062

1.167

-9.0%

22

3.413

1.027

0.945

8.7%

23

2.479

0.758

0.786

-3.5%

24

2.447

0.839

0.874

-4.1%

25

2.657

0.623

0.611

2.0%

26

1.826

0.315

0.317

-0.6%

27

4.184

0.686

0.667

2.9%

28

3.902

1.412

1.445

-2.2%

29

2.389

0.380

0.360

5.5%

30

2.151

0.356

0.382

-6.8%

3.1.3 계산의 정확성 검토

본 논문에서 도출한 계산법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P-V simulation을 수행한 결과를 기준으로 오차를 검토하였다. 오차의 산식은 다음과 같다.

$Error(\%)=\dfrac{S_{\max cal}-S_{\max Si}}{S_{\max Si}}\times 100$ [%]

직접 계산 및 PSS/E 프로그램을 통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된 $S_{\max}$의 오차를 분석한 결과, 전압제어장치가 있는 모선(발전기, 동기조상기, 변압기1차)의 경우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해당 모선의 전압이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으로 인해 전압붕괴극한전력이 증가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IEEE-14계통에서는 2,3,4,5번 모선에, IEEE-30계통에서는 1,2,5,8,11,13모선에 발전기/동기조상기가, 4,9,10,12,27,28 모선에 변압기가 있어 오차가 상대적으로 크다. 부하 모선에서의 오차는 두 계통에서 10% 범위로 수렴하고 있다.

그림 6. 선로 추가 후 모선별 Smax계산값, 모의값 및 현재공급전력

Fig. 6. Smax calculated, simulated value and present S[pu] by bus after adding transmission line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6.png

그림 7은 IEEE-30계통의 각 모선에 대한 계산값과 시뮬레이션값을 현재의 부하와 함께 pu로 표시한 것이다. 이 그림에 의하면 부하모선(14~30)들에 대한 계산값과 시뮬레이션값이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볼수 있다. 또한 5번모선이 $S_{\max cal}$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어 현재 전력시스템의 부하상황과 안정한계전력간의 마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7. IEEE-14 선로 보강에 의한 증분 전압안정극한전력

Fig. 7. Incremental voltage stability limit due to IEEE-14 line reinforcement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7.png

3.3 선로 추가 시의 증분 전압안정 극한전력 계산

a) IEEE-14모선 계통

IEEE-14계통의 말단인 10-11선로를 1회선 보강한 경우 전압압안정극한전력 증가는 계산값$\Delta S_{\max_{cal}}$인 경우 보강된 모선인 11번이 가장 높은 값(0.068pu)을 나타내었고 평균 0.015pu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 시뮬레이션 결과는 2번모선에서 $\Delta S_{\max si}$가 가장 높은 값(0.133)을 보였고 일부 모선에서는 (–)값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림 참조)

표 3 IEEE-14모선의 증분 전압안정한계전력 $\Delta S_{\max}$

Table 3 Increment $\Delta S_{\max}$ voltage stability limit of IEEE-14 bus system

모선

X/R

$\Delta S_{\max cal}$

직접계산

$\Delta S_{\max si}$

시뮬레이션

1

3.945

0.025

0

2

2.545

0.026

0.133

3

1.774

0.009

0.028

4

1.954

0.027

0.083

5

2.162

0.027

0.041

6

2.472

0.035

-0.022

7

2.686

0.024

0

8

4.533

0.014

0

9

2.298

0.03

0.023

10

2.241

0.023

0.011

11

2.228

0.068

0.022

12

1.933

0.02

0.022

13

2.106

0.021

0.011

14

1.983

0.013

0.033

b) IEEE-30모선 계통

전원 인출단의 과부하선로인 1-2선로(1.3pu)를 1회선 추가하는 것으로 선로보강을 한 결과 직접 계산에 의한 증분전압안정극한전력$\Delta S_{\max cal}$ 은 전원단에 가까운 6번모선이 최대증가(0.052pu)를 보였으며, 말단의 경우 작은 값이나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증분전압안정극한전력 $\Delta S_{\max Si}$은 3번모선에서 가장 큰값(0.805pu)를 보였고, 평균 0.12pu의 극한전력 증가결과를 보였다.

그림 8. IEEE-30 계통의 1-2 선로 보강 시 증분$\Delta S_{\max}$

Fig. 8. Increment $\Delta S_{\max}$ in the 1-2 line of the IEEE-30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3.490/fig8.png

표 4 IEEE-30계통의 1-2선로 보강시 증분 $\Delta S_{\max}$

Table 4 Increment $\Delta S_{\max}$ in the 1-2 line of the IEEE-30 system

모선

X/R

ΔSmax(cal)

ΔSmax_sim

1

3.945

0

-

2

2.545

0

-

3

1.774

0

0.805

4

1.954

0

0.139

5

2.162

0

-

6

2.472

0.052

0.112

7

2.686

0.042

0.278

8

4.533

0

-

9

2.298

0.023

0.084

10

2.241

0.015

0.013

11

2.228

0.009

-

12

1.933

0.009

0

13

2.106

0

0.001

14

1.983

0.007

0.292

15

1.983

0.007

0.181

16

1.983

0.01

0.153

17

1.983

-0.005

0.097

18

1.983

0.008

0.042

19

1.983

0.007

0.056

20

1.983

0.01

0.055

21

1.983

0.006

0.125

22

1.983

0.015

0.084

23

1.983

0.006

0.056

24

1.983

0.002

0.055

25

1.983

-0.005

0.028

26

1.983

-0.003

0

27

1.983

-0.012

0.028

28

1.983

0.045

0.209

29

1.983

-0.007

0

30

1.983

-0.008

0.006

4. 결 론

송전선로 추가 시 변화하는 계통선로정수의 변화에 의해 전압안정도의 개선효과를 검토하는 방법을 전압붕괴점의 계산과 선로정수변화에 대한 전압붕괴점의 감도계산을 통해 고찰해 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압안정도의 한계전력 및 붕괴전압의 계산을 복잡한 전압안정도 시뮬레이션에 의하지 않고 테브난등가회로 모형에 의하여 고장계산과 무부하 모선전압계산에 의해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IEEE-14 및 30모선계통에 대해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P-V 시뮬레이션과 비교한 결과 0.3~10.4% 범위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는 실용상 10% 범위 내의 오차라고 판단된다.

2. 송전선로 추가 시 발생하는 선로정수의 변화에 대해 전압안정극한전력의 변화를 간략히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활용하면 전압안정도로 위협받는 복잡한 전력계통망에 대해 존재하는 다수의 송전선로 설치 대상 후보에 대해 전압안정도 마진을 쉽고 빠르게 분석가능하다.

3. 부하 모선이 다수인 장거리 배전 계통에서 신재생전원 및 부하를 신설 시 선로증설에 따른 파라미터의 변화를 계산해 증가된 전압안정도 마진을 계산할 수 있다.

References

1 
Power System Voltage Stability, Carson W. Taylor, McGraw- Hill, 1994.URL
2 
E.Bompard, et.el, “A dynamic interpretation of ther load-flow Jacobian singularity for voltage stabilit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18, Issue 6, pp. 385-395, Aug, 1996.DOI
3 
B. Gao, G.K. Morison, and P. Kundur, “Voltage stability evaluation using model analysis,”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7, Issue 4, pp. 529-1542, Nov. 1992.DOI
4 
Veeranjaneyulu Puppala and Purna chandrarao, “Analysis of continuous power flow method, Model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d ANN for voltage stability assessment fo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ScienceDirect, Procedia Computer Science, vol. 47, pp. 168-178, 2015.DOI
5 
Geun-Joon Lee, “Dynamic voltage stability analysis and stability control of power system,” Ph.D degree thesis, Feb. 1996.URL
6 
Bikram Singh Pal, A.K.Sharma, “Voltage Stability Calculation in Power Transmission Lines: Indications and Allocations,” IJRREEE, vol. 2, Issue 4, pp. 20-25, Dec. 2015.URL
7 
Salah Mokred, “A novel collapse prediction index for voltage stability analysis and contingency ranking in power systems,” SpringerOpen, 28 Feb. 2023.DOI
8 
Salah Mokred, Yifei Wang, Tiancong Chen, “Modern voltage stability index for prediction of voltage collapse and estimation of maximum load-ability for weak buses and critical line ident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Power System, Feb. 2023.DOI

저자소개

이제림(Jaelim Lee)
../../Resources/kiee/KIEE.2024.73.3.490/au1.png

2023 - Assistant Manager at GreenNet Power Co. Ltd.

Current - Master’s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이근준(Geunjoon Lee)
../../Resources/kiee/KIEE.2024.73.3.490/au2.png

2023-Executive Managing Director at GreenNet Power Co. Ltd

1998-2023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1976~1998 Senior Researcher, KEPRI at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차한주(Hanju Cha)
../../Resources/kiee/KIEE.2024.73.3.490/au3.png

2005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