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Yonsei Graduate School Technology Policy, Yonsei University, Korea E-mail: jsohms@kepco.co.kr)



EERS, Energy Efficiency Potential, Integer Programming, California Standard Practice Manual, Optimal Operation

1. 서 론

에너지공급자효율향상의무화제도(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 EERS)는 정부가 에너지공급자에게 연도별 에너지 절감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에너지공급자가 에너지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투자사업을 의무적으로 이행하는 제도이다[1]. EERS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먼저, 에너지수요 절감을 통해 화석연료 발전에 따른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에너지 수입비용 경감과 원료가격 변동으로 인한 국가 경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계통한계비용 하락과 계통건설비용의 회피, EERS 이행실적에 대한 검증과 에너지산업 전반의 고용 창출 등이 있다[2]. 이에 따라 EERS는 주요 선진국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에너지효율 향상정책 중 가장 핵심적인 정책 중의 하나이며, 규제의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에너지공급자를 중심으로 에너지효율 향상과 관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미국의 27개 주와 유럽의 16개국을 포함한 전 세계 53개 지역에서 EERS가 시행되고 있다[3, 4].

EERS가 다른 에너지효율 제도나 정책과 가장 다른 점은 정부가 특정 효율조치의 시행을 요구하지 않고 최소한의 절감목표량을 부여하고 에너지공급자가 이를 위한 최적의 절감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5]. 하지만 한국 정부는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한 사회 배려계층을 지원하는 정책, 경제활성화 지원대책 및 에너지효율 연관산업을 육성하는 정책 등에 EERS를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소의 사업비용으로 절감목표량을 달성코자 하는 에너지공급자로서는 정부 정책의 EERS 반영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국내 EERS 관련 선행연구는 시범사업 시행 전후로 나눌 수 있으며, 시범사업 시행 전에는 주로 EERS 도입을 위한 필요성[6], 해외 EERS의 사례분석[7], 전략적 대응방안[8] 및 법제화에 대한 영향조사[9]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시범사업 시행 이후에는 첫째, 제도현황과 개선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EERS 구성인자와 관련한 외국의 11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9개의 구성인자를 도출 및 고찰하고, 법령에 구성요소 명시, 목표설정의 구체성 및 비용보전의 합의 등을 정책제언 하였다[10]. 그리고, 에너지원(전기, 열, 가스) 간의 전환 허용, 의무대상자 확대 및 백색인증제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11]. 둘째, 시범사업에 대한 경제성 또는 투자효율을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효율성 측정방법인 자료포락분석법(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하여 EERS 사업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였고[12], 에너지 효율향상 사업의 경제성 평가 방법인 에너지절감비용(Cost of Saved Energy, CSE) 산정을 통해 국내 에너지 효율향상 사업을 분석하여 평균 27.0원/kWh를[13], 에너지효율화(EE) 시장을 분석하여 평균 34.8원/kWh의 에너지절감비용을 산정하였다[14].

외국의 선행연구는 첫째, EERS의 제도설계 및 운영방안[5], 9단계로 설명한 이행수단의 개발과정[15] 및 에너지효율향상의 전력자원화[16] 등의 지침 연구를 찾아볼 수 있으며, 둘째, 목표 대비 실적, 에너지절감량 및 절감전력, 탄소배출 절감량에 대한 실적[17]과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 비용효과성 예측, 예산배정 계획[18] 등에 관한 연구들이 있다. 셋째, 에너지효율향상과 사업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평균 35.1원/kWh의 에너지효율 균등화비용(Levelized Cost of Energy, LCOE)[19]과 평균 29.0원/kWh의 에너지절감비용(CSE)을 산정하였다[20].

본 연구는 2023년 EERS 사업계획을 대상으로 이행수단별 절감잠재량을 추정하고, 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정부정책 등을 반영한 EERS 사업계획의 최적운영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2023년 EERS 사업계획을 목적별로 계층화하고 절감잠재량을 추정한 후, 최적운영시의 기본 시나리오와 정책반영 시나리오 간의 절감량, 사업비용 등을 비교 분석한다. 4장에서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한다.

2. 연구방법론

2.1 효율향상 잠재량 추정방법

2000년 초부터 미국에서는 효율향상 잠재량연구(Energy Efficiency Potential Study)를 이용하여,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보급 효과와 전망을 추정하고 있다. 잠재량은 크게 기술적 잠재량(Technical Potential), 경제적 잠재량(Economic Potential), 달성가능 잠재량(Achievable Potential)으로 구분된다. 기술적 잠재량은 비용효율성과 소비자 채택의지는 무시하고 공학적 관점에서 효율향상 이행수단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완전히 보급된다는 가정하에 이론적으로 추정된 최대 에너지 절감량이다. 경제적 잠재량은 기존의 공급측면 에너지 자원과 비교하여 효율향상 이행수단이 비용 효과적인가를 고려한 절감량이다. 주로 캘리포니아 표준테스트(California Standard Practice Manual)[21] 중 총자원비용(Total Resource Cost, TRC) 테스트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있다. 달성가능 잠재량은 개별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소요자금 및 지원금 수준 등에 근거하여 추정된 잠재량이며, 주로 회수기간 채택곡선(Payback Acceptance Curve)을 활용하여 추정하고 있다[22, 23].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같은 에너지 절감잠재량 추정모형을 활용하여 2023년 국내 EERS 사업계획의 절감잠재량을 추정하였다.

그림 1. 에너지 절감잠재량 추정 모형

Fig. 1. Model for estimating energy savings potential

../../Resources/kiee/KIEE.2024.73.5.757/fig1.png

2.2 정수계획법

선형계획법은 의사결정변수(Decision variable),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 제약조건(Constraints)으로 구성되며, 목적함수와 제약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 \begin{align*} 극대화 : z = c_{1}x_{1}+ c_{2}x_{2}+\cdots + c_{n}x_{n}\\ \\ 제 약 : a_{11}x_{1}+ a_{12}x_{2}+\cdots + a_{1n}x_{n}\le b_{1}\\ \\ a_{21}x_{1}+ a_{22}x_{2}+\cdots + a_{2n}x_{n}\le b_{2}\\ \\ \vdots\vdots\vdots\vdots \\ \\ a_{m1}x_{1}+ a_{m2}x_{2}+\cdots + a_{mn}x_{n}\le b_{m}\\ \\ x_{j}\ge 0(j =1,\: 2,\: \cdots ,\: n) \end{align*}$

여기서, $z$는 목적함수의 값, $x_{j}(j = 1,\: 2,\: \cdots ,\: n)$는 의사결정변수, $c_{j}(j = 1,\: 2,\: \cdots ,\: n)$는 기여계수, $a_{ij}$는 기술계수 및 $b_{j}(j = 1,\: 2,\: \cdots ,\: m)$는 제약량 또는 필요량을 의미한다. 기술계수 $a_{ij}$의 하첨자 $i,\: j$는 각각 행과 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m$개의 제약식과 $n$개의 의사결정변수의 구조에서 기술계수 $a_{ij}$는 $m\times n$ 차원의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의사결정변수 $x_{j}$는 음의 값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정수계획법은 선형계획법에 포함된 변수가 정수의 값만을 지닐 수 있는 경우의 선형계획법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절감잠재량 추정모형으로 추정한 절감잠재량을 바탕으로 IBM ILOG CPLEX Optimization Studio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2.3 경제성분석

캘리포니아 표준테스트는 오랜 기간 사용되었고,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수요관리 경제성분석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참여자(P), 수용가영향도(RIM), 유틸리티비용(UC) 및 총자원비용(TRC)과 같은 4개의 테스트가 있으며, 모든 테스트는 편익(Benefit)과 비용(Cost)의 비율(BCR)이 1.0 이상을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각 테스트는 식(2)~식(5)과 같이 표현된다.

(2)
$P=(I+LR)/(PH)$
(3)
$RIM=(AC)/(OC+I+UH+LR)$
(4)
$UC=(AC)/(OC+I+UH)$
(5)
$TRC=(AC)/(OC+UH+PH)$

여기서, $I$는 인센티브 및 리베이트, $LR$은 전기요금 감소, $PH$는 참여자 기기비용, $AC$는 회피비용, $OC$는 프로그램 관리비용 및 $UH$는 전력회사 기기비용을 의미한다.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경제성분석에서 프로그램 관리비용과 전력회사 기기비용을 0으로 설정하였다. 동일 조건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도 프로그램 관리비용과 전력회사 기기비용은 0으로 가정하였으며, 2023년 EERS 사업계획서[24]의 기기정보, 회피단가, 전기요금 등의 자료와 정수계획법으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성분석을 수행하였다.

3. 사례연구

3.1 연구대상

3.1.1 2023년 EERS 사업계획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23년 EERS 사업계획이며, 표 1은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주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표 2는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이행수단별 대당 기기가격(원), 대당 지원액(원), 대당 연간절감량(kWh), 보급계획(대), 연간절감량(kWh), 지원금(원) 및 지원단가(원/kWh) 등의 자료를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다.

표 1 2023년 EERS 사업계획 주요사항

Table 1 Key points of 2023 EERS plan

구 분

상세내용

비 고

연구대상

2023년 EERS 사업계획

-

이행수단

축열식 히트펌프보일러 등

31개

목표절감량

2021년 판매전력량의 0.2%

1,151GWh

사업비용

고효율기기 교체 지원금

862억원

경제성분석

캘리포니아 표준테스트(TRC)

BCR : 9.3

표 2 2023년 EERS 사업계획

Table 2 2023 EERS plan

이 행 수 단

대당

가격

(천원)

대당 지원액

(천원)

대당 연간절감량

(kWh)

보급계획

(대)

연간절감량

(MWh)

지원금

(백만원)

지원단가

(원/kWh)

1. 축열식 히트펌프보일러

7,000

1,000

9,995

68

680

68

100

2. 프리미엄 전동기

1,627

279

1,965

174

342

49

142

3. 회생제동장치

2,813

500

3,288

2,900

9,535

1,450

152

4. 고효율 항온항습기

11,203

1,250

19,710

7

138

9

65

5. 고효율 LED

39

4

91

3,660,849

333,138

14,643

44

6. LED조명(스마트LED)

151

15

106

10,000

1,060

150

142

7. 고효율 변압기(고객설비)

16,741

4,469

47,946

902

43,247

4,031

93

8. 고효율 터보압축기

37,000

6,200

44,980

163

7,332

1,011

138

9. 고효율 인버터

11,647

1,699

52,455

6,797

356,537

11,548

32

10. 양어장 펌프

37,824

6,304

80,592

21

1,692

132

78

11. HPa 김 건조기

246,563

37,375

1,020,000

9

9,180

336

37

12. 고효율 펌프

10,315

762

17,446

136

2,373

104

44

13. 전동식 사출성형기

107,000

8,325

129,720

625

81,075

5,203

64

14. 고효율 냉동기

244,000

10,950

285,727

20

5,715

219

38

15. 원심식 송풍기

2,067

441

2,943

1,110

3,267

490

150

16. 인버터제어공기압축기

9,198

2,307

21,974

580

12,745

1,338

105

17. 시설원예 HP

35,770

3,724

62,524

6

375

22

60

18. 육상수조시설 HP

21,984

6,816

427,868

4

1,711

27

16

19. 식품매장냉장고문달기

687

49

1,511

120,000

181,320

5,912

33

20. 고효율가전

1,107

113

113

165,502

18,701

18,756

1,000

21. 사회복지시설 지원(HP)

7,000

4,000

10,039

10

100

40

400

22. 사회복지시설 지원(냉난방기)

1,764

1,128

636

7,799

4,960

8,797

1,773

23. 전통시장 지원(냉장고)

1,726

100

237

10

2

1

422

24. 전통시장 지원(냉난방기)

2,123

100

1,096

2,400

2,630

240

91

25. 농어촌 상생지원(공기청정기)

959

959

11

963

11

924

91,229

26. 농어촌 상생지원(지열HP)

1,053,857

48,270

442,620

15

6,639

724

109

27. 행동변화(에너지캐쉬백)

-

10

345

64,000

22,080

662

30

28. 행동변화(경쟁,교육:기타)

-

99

222

25,000

5,550

2,475

446

29. 행동변화(정보기반)

-

78

235

48,000

11,280

3,744

331

30. ESCOb 위탁

304,000

110,000

1,000,000

25

25,000

2,750

110

31. EMSc 구축지원

110,000

16,800

146,204

20

2,924

336

115

합계

-

-

-

-

1,151,339

86,191

75

Note : a. HP (Heat Pump, 히트펌프), b. ESCO (Energy Service Company, 에너지절약 전문기업), c.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관리시스템)

3.1.2 2023년 EERS 사업계획 계층화

정부는 소비 활성화를 위해 전기요금 복지할인 대상자에 한하여 고효율 가전기기 구매 환급제도를 시행하고[25], 사회복지시설에 냉난방기 교체․신설시 지원금을 지원하는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였으며[26], 가정부문 에너지효율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자발적 참여제도인 에너지캐쉬백 제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2]. 또한, 에너지효율 향상 관련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EERS를 활용하겠다고 발표하였다[27]. 이러한 정책들을 반영하기 위한 이행수단들이 2023년 EERS 사업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2023년 EERS 사업계획을 ‘사업-프로그램-이행수단’ 형태로 계층화하고,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4개로 구분하였다. 에너지절감량 확보가 주목적인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한 ‘사회기여’, 자발적 참여와 에너지절약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행동변화’, 그리고, 에너지효율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외부위탁’으로 구분하였다. 4개의 프로그램 안에는 유사 목적의 이행수단들을 포함시켰으며, 그림 2는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2023년 EERS 사업의 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2. 2023년 EERS 사업 계층화

Fig. 2. Hierarchy of 2023 EERS

../../Resources/kiee/KIEE.2024.73.5.757/fig2.png

3.2 절감잠재량 추정

본 연구에서의 절감잠재량은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이행수단별로 고효율기기 활용이 가능하나 현재까지 고효율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 향후 고효율기기 보급시 확보가 가능한 절감잠재량을 의미한다. 또한, 2023년 EERS 사업계획은 이미 캘리포니아 표준테스트의 경제성분석을 마친 결과물로써 기술적 절감잠재량과 경제적 절감잠재량이 동일하다는 가정을 하였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지원금 지원 대상은 일반기기를 고효율기기로 교체하는 고객이며, 따라서 절감잠재량은 일반기기 보급대수를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사회기여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시설, 전통시장의 상가 및 농어촌 가구가 고효율기기를 신설 또는 교체시 지원금을 지원하며, 절감잠재량은 사회복지시설, 전통시장의 상가 및 농어촌 가구에서 구입하는 고효율기기 대수로 추정하였다. 행동변화 프로그램은 고효율기기의 구입없이 기존 설비의 에너지 절약을 통해 절감량 기준을 달성한 주택용 고객에게 지원금을 지원하며, 주택용 아파트의 호수를 포함한 주택용 고객수로 절감잠재량을 추정하였다. 외부위탁 프로그램은 ESCO 및 EMS 사업자의 에너지 절감량을 인정하고 실적 기반 지원금을 지급하며, ESCO 및 EMS 사업대상은 중견기업, 비영리법인, 공공기관 등으로 이들의 사업체 수로 절감잠재량을 추정하였다.

연간최대 절감잠재량은 고효율기기의 판매실적, 또는 달성가능 절감잠재량을 기기수명 기간으로 나눈 값으로 추정하였다. 최소절감량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공급자의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1]에서 사업비는 직전년도 해당 사업비 이상으로 책정한다는 조항을 근거로 전년도 EERS 사업실적으로 하였으며, 과거 사례를 통해 신규 이행수단의 시행계획 수립시 초기년도 교체수량을 연간절감량의 1%로 예상함에 따라, 2023년 처음 시행하거나 전년도 실적이 없는 이행수단은 연간최대 절감잠재량의 1%로 가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정한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절감잠재량은 표 3과 같다.

분석 결과 기술적(경제적) 절감잠재량은 446,259GWh, 달성가능 절감잠재량은 115,250GWh로 추정되었으며, 연간최대 절감잠재량은 4,538GWh, 최소절감량은 509GWh로 나타났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연간최대 절감잠재량은 3,430GWh이며, 사회기여 프로그램은 106GWh, 행동변화 프로그램은 209GWh, 외부위탁 프로그램은 792GWh로 추정되었다. 2023년 EERS 절감목표량이 1,151GWh임을 감안하면,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 단독으로 절감목표량 달성이 가능하나, 나머지 3개 프로그램은 단독 또는 결합으로도 절감목표량을 달성할 수 없고,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과의 조합을 이루어야 절감목표량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2031년 EERS 절감목표량은 전전년도 판매전력량의 1%로 고시되어 있는데,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8]에 의거 2031년 절감목표량은 6,288GWh로써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이행수단으로는 절감목표량을 달성할 수 없는 수준이다.

표 3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절감잠재량 추정

Table 3 Estimation of savings potential of 2023 EERS plan

프로그램 및 이행수단

기술적(경제적)

절감잠재량

(MWh)

달성가능

절감잠재량

(MWh)

연간최대

절감잠재량

(MWh)

최소절감량

(MWh)

지원

1. 축열식 히트펌프보일러

3,040,139

43,778

19,072

418

2. 프리미엄 전동기

15,135,125

1,241,080

3,462

164

3. 회생제동장치

1,798,457

124,093

124,093

2,371

4. 고효율 항온항습기

748,471

173,420

12,232

63

5. 고효율 LED

16,544,140

5,348,720

386,676

184,407

6. LED조명(스마트LED)

19,271,196

19,271

1,060

10

7. 고효율 변압기(고객설비)

15,727,418

9,458,469

1,314,552

14,400

8. 고효율 터보압축기

38,835,135

559,225

12,144

4,491

9. 고효율 인버터

129,943,048

81,513,274

399,602

129,335

10. 양어장 펌프

217,517

6,264

417

4

11. HP 김 건조기

293,760

205,015

13,667

533

12. 고효율 펌프

11,775,495

2,050,113

829,808

1,584

13. 전동식 사출성형기

2,725,124

160,782

125,627

48,505

14. 고효율 냉동기

161,446,499

4,649,659

30,515

627

15. 원심식 송풍기

1,297,682

214,766

47,450

474

16. 인버터제어공기압축기

904,241

388,552

68,578

19,201

17. 시설원예 HP

36,768

213

213

4

18. 육상수조시설 HP

144,560

136,233

17,029

10,465

19. 식품매장냉장고문달기

759,720

245,617

24,561

2,312

소 계

420,644,496

106,538,544

3,430,758

419,368

20. 고효율가전

1,097,753

69,795

69,795

9,105

21. 사회복지시설 지원(HP)

173,333

102,006

19,156

191

22. 사회복지시설 지원(냉난방기)

641,399

9,236

9,236

2,535

23. 전통시장 지원(냉장고)

17,176

17

17

0.1

24. 전통시장 지원(냉난방기)

54,464

54

54

0.5

25. 농어촌 상생지원(공기청정기)

1,466

1,466

1,466

14

26. 농어촌 상생지원(지열HP)

5,353,931

6,639

6,639

66

소 계

7,339,522

189,213

106,363

11,912

27. 행동변화(경쟁,교육)-에너지캐쉬백

5,177,275

465,954

153,765

43,004

28. 행동변화(경쟁,교육)-기타

1,294,319

116,488

38,441

10,751

29. 행동변화(정보기반)

120,816

17,353

17,353

16,714

소 계

6,595,410

599,795

209,559

70,469

외부

30. ESCO 위탁

11,084,000

7,416,304

741,630

7,416

31. EMS 구축지원

598,997

506,572

50,657

506

소 계

11,682,997

7,922,876

792,287

7,922

합 계

446,259,424

115,250,428

4,538,967

509,671

3.3 기본 시나리오

3.3.1 목적함수와 제약조건

2023년 EERS 사업계획 중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을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하였고, 여기서 목적함수는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사업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극소화 : z =\sum_{j=1}^{n}c_{j}x_{j}$

여기서, $z$는 EERS 사업비용(원), $n$는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수, $c_{j}$는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단위당 지원금(원) 및 $x_{j}$는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당해년도 보급대수를 의미한다. 제약조건은 ① 당해년도 절감목표량 달성, ② 효율향상 이행수단별 달성가능 절감잠재량 제한, ③ 효율향상 이행수단별 연간최대 절감잠재량 제한, ④ 효율향상 이행수단별 최소절감량 제한이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제 약 ① :\sum_{j=1}^{n}a_{j}x_{j}\ge b$
(8)
$제 약 ② : a_{j}x_{j}\le d_{j}$
(9)
$제 약 ③ : a_{j}x_{j}\le e_{j}$
(10)

$제 약 ④ : a_{j}x_{j}\ge f_{j}$

$x_{j}\ge 0(j = 1,\: 2,\: \cdots ,\: n),\: x_{j}\in\zeta$

여기서, $a_{j}$는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단위당 연간절감량(kWh), $b$는 당해연도 목표절감량(kWh), $d_{j}$는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달성가능 절감잠재량(kWh), $e_{j}$는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연간최대 절감잠재량(kWh) 및 $f_{j}$는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최소절감량(kWh)을 의미한다.

3.3.2 기본 시나리오 및 경제성 분석

기본 시나리오 분석 결과,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절감량은 1,151GWh로 절감목표량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사업비용은 약 485억원이며, 경제성분석(TRC)은 13.9이다.

절감량은 고효율인버터(399GWh, 34.71%), 고효율펌프(392GWh, 34.06%), 고효율LED(184GWh, 16.02%)의 순이며, 전체의 84.8%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비용은 고효율펌프(171억원, 35.32%), 고효율인버터(129억원, 26.69%), 고효율LED(81억원, 16.71%)의 순이며, 전체의 78.7%를 차지하고 있다. 지원단가는 42.1원/kWh이며, 모든 이행수단의 TRC가 1.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기본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은 표 4와 같다.

표 4 기본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Table 4 Savings and cost of basic scenario

프로그램

절감량

사업비용

TRC

MWh

%

백만원

%

1

420

0.04

42

0.09

9.5

2

165

0.01

23

0.05

8.9

3

2,374

0.21

361

0.74

9.0

4

79

0.01

5

0.01

9.4

5

184,420

16.02

8,106

16.71

9.7

6

11

0.00

2

0.00

2.9

7

14,432

1.25

1,345

2.77

25.1

8

4,498

0.39

620

1.28

8.9

9

399,602

34.71

12,943

26.69

24.2

10

81

0.01

6

0.01

15.4

11

13,260

1.15

486

1.00

30.3

12

392,203

34.06

17,130

35.32

12.4

13

48,515

4.21

3,114

6.42

8.9

14

30,287

2.63

1,161

2.39

8.8

15

477

0.04

71

0.15

7.7

16

19,205

1.67

2,016

4.16

12.9

17

62

0.01

4

0.01

9.1

18

16,687

1.45

266

0.55

86.4

19

24,561

2.13

801

1.65

11.9

1,151,339

100.0

48,502

100.0

13.9

3.4 정책 반영 시나리오

3.4.1 사회 배려계층 지원 정책

3.4.1.1 목적함수와 제약조건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에 사회기여 프로그램을 추가한 모형을 정책 1 시나리오로 가정하였다. 이때,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극소화 : z =\sum_{i=1}^{n}\sum_{j=1}^{n_{i}}c_{ij}x_{ij}$
(12)
$제 약 :\sum_{i=1}^{n}\sum_{j=1}^{n_{i}}a_{ij}x_{ij}\ge b$
(13)
$a_{ij}x_{ij}\le d_{ij}$
(14)
$a_{ij}x_{ij}\le e_{ij}$
(15)
$a_{ij}x_{ij}\ge f_{ij}$
(16)

$c_{ij}x_{ij}\le g_{ij}$

$x_{ij}\ge 0(i =1,\: 2,\: \cdots ,\: n)(j = 1,\: 2,\: \cdots ,\: n_{i}),\: x_{ij}\in\zeta$

여기서, $z$는 EERS 사업비용(원), $n$은 효율향상 이행수단 그룹의 수, $n_{i}$는 $i$ 그룹의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수, $c_{ij}$는 $i$ 그룹의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단위당 지원금(원), $x_{ij}$는 $i$ 그룹의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당해년도 보급대수, $a_{i j}$는 $i$ 그룹의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단위당 연간절감량(kWh), $b$는 당해연도 목표절감량(kWh), $d_{ij}$는 $i$ 그룹의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달성가능 절감잠재량(kWh), $e_{ij}$는 $i$ 그룹의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연간최대 절감잠재량(kWh), $f_{ij}$는 $i$ 그룹의 $j$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최소절감량(kWh) 및 $g_{ij}$는 특정 효율향상 이행수단의 연간 지원금(원)을 의미한다.

3.4.1.2 정책 1 시나리오 및 경제성 분석

정책 1 시나리오의 분석 결과, 절감량은 1,151GWh이며, 사업비용은 약 632억원, TRC는 11.7로 나타났으며, 기본 시나리오 사업비용 대비 147억원이 증가하였다.

절감량은 고효율인버터(399GWh, 34.71%), 고효율펌프(377GWh, 32.77%), 고효율LED(184GWh, 16.02%)의 순이며, 전체의 83.5%를 차지하고 있어 기본 시나리오와 유사하다. 사업비용은 고효율펌프(165억원, 26.08%), 고효율인버터(129억원, 20.49%), 고효율가전(91억원, 14.45%), 고효율LED(81억원, 12.81%)의 순이고, 전체의 73.9%를 차지하고 있다. 지원단가는 54.9원/kWh이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과 사회기여 프로그램은 각각의 목적에 맞게 절감량과 사업비용이 발생하였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은 1,136GWh(98.7%)를 절감하면서 사업비용은 479억원(75.7%)이 소요되었고, 사회기여 프로그램은 15GWh(1.3%)를 절감하면서, 약 153억원(24.3%)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지원단가는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이 42.1원/kWh이며, 사회기여 프로그램은 1024.7원/kWh이다. 그림 3은 정책 1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비교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3. 정책 1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비교

Fig. 3. Comparison of savings and cost of policy 1 scenario

../../Resources/kiee/KIEE.2024.73.5.757/fig3.png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TRC는 14.0이며,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이행수단 모두 TRC가 1.0 이상이다. 하지만, 고효율가전의 TRC는 0.7, 전통시장 지원(냉장고)의 TRC는 0.7, 농어촌 상생지원(공기청정기)의 TRC는 0.1로써 최초 최적화시에는 사회기여 프로그램 TRC는 0.8이었다. EERS 계층화에 의해 전체 사업의 조정 없이 사회기여 프로그램 내에서 TRC가 1.0 이상이고, 편익이 가장 큰 농어촌 상생지원(지열HP)의 보급대수만을 조정하여 사회기여 프로그램 TRC를 1.0으로 상향시켜 사업시행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표 5는 정책 1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을 보여주고 있다.

표 5 정책 1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Table 5 Savings and cost of policy 1 scenario

프로그램

절감량

사업비용

TRC

MWh

%

백만원

%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1,136,384

98.70

47,849

75.74

14.0

20

9,105

0.79

9,132

14.46

0.7

21

201

0.02

80

0.13

9.5

22

2,535

0.22

4,496

7.12

2.2

23

0.2

0.00

0.1

0.00

0.7

24

1

0.00

0.1

0.00

3.1

25

15

0.00

1,279

2.02

0.1

26

3,098

0.27

338

0.54

3.5

소계

14,955

1.30

15,325

24.26

1.0

합계

1,151,339

100.0

63,174

100.0

11.7

3.4.2 행동변화(에너지절약) 확대 정책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에 행동변화 프로그램을 추가한 모형을 정책 2 시나리오로 가정하였으며,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은 위의 식(11) ~ 식(16)과 동일하다. 분석 결과, 정책 2 시나리오의 절감량은 1,151GWh, 사업비용은 약 555억원이고, TRC는 14.7으로 기본 시나리오 대비 약 70억원이 증가하였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은 절감량의 84.3%, 사업비용은 73.1%를 차지하며, 행동변화 프로그램의 절감량은 15.7%, 사업비용은 26.9%를 차지하고 있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의 TRC는 14.4이며,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에서 프로그램 관리비용과 전력회사 기기비용을 0으로 가정함에 따라, 고효율기기 구입비가 없는 행동변화 프로그램은 산식상 분모가 0이 되어, TRC 산정이 불가능하였다. 정책 2 시나리오 절감량과 사업비용은 표 6과 같다.

표 6 정책 2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Table 6 Savings and cost of policy 2 scenario

프로그램

절감량

사업비용

TRC

MWh

%

백만원

%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970,114

84.26

40,587

73.10

14.4

27

153,759

13.35

4,613

8.31

-

28

10,751

0.93

4,794

8.63

-

29

16,714

1.45

5,532

9.96

-

소계

181,224

15.74

14,939

26.90

-

합계

1,151,338

100.0

55,526

100.0

14.7

3.4.3 효율향상산업 생태계조성 지원 정책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에 외부위탁 프로그램을 추가한 모형을 정책 3 시나리오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 3 시나리오의 절감량은 1,151GWh이며, 사업비용은 약 491억원이고, TRC는 14.0으로 기본 시나리오의 사업비용 보다 약 6억원이 증가하였다.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이 절감량의 99.3%, 사업비용의 98.1%를 차지하며, 외부위탁 프로그램이 절감량의 0.7%를, 사업비용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정책 3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은 표 7과 같다.

표 7 정책 3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Table 7 Savings and cost of policy 3 scenario

프로그램

절감량

사업비용

TCR

MWh

%

백만원

%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1,142,754

99.25

48,127

98.07

14.0

외부

위탁

30

8,000

0.69

880

1.79

18.2

31

585

0.05

67

0.14

7.3

소계

8,585

0.75

947

1.93

16.6

합계

1,151,339

100.0

49,074

100.0

14.0

3.4.4 정부정책 동시 반영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과 정부정책 2개 혹은 3개를 추가한 모형을 정책 4 시나리오로 가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하나는 고효율기기 보급지원에 사회기여와 행동변화 프로그램을 추가한 시나리오(정책 4a)로, 절감량은 1,151GWh이며, 사업비용은 약 702억원이고, TRC는 11.8이다. 기본 시나리오 대비 약 217억원 증가하였으며, 정책 4a 시나리오 프로그램의 절감량과 사업비용은 표 8과 같다.

표 8 정책 4a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Table 8 Savings and cost of policy 4a scenario

프로그램

절감량

사업비용

TRC

MWh

%

백만원

%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955,154

82.96

39,934

56.89

14.4

사회기여

14,955

1.30

15,325

21.83

1.0

행동변화

181,230

15.74

14,939

21.28

-

합계

1,151,339

100.0

70,198

100.0

11.8

다른 하나는 고효율기기 보급지원에 사회기여, 행동변화 및 외부위탁을 추가한 시나리오(정책 4b)로, 동일 절감량에 사업비용은 약 708억원이며, TRC는 11.8이다. 기본 시나리오 대비 사업비용이 약 223억원, 45.9%가 증가하였다. 정책 4b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은 그림 4와 같다.

그림 4. 정책 4b 시나리오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비교

Fig. 4. Comparison of savings and cost of policy 4b scenario

../../Resources/kiee/KIEE.2024.73.5.757/fig4.png

3.5 2023년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 분석 종합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절감목표량은 1,151GWh이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시나리오가 절감목표량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이 절감목표량의 82.2% ~ 100.0%를 차지하며, 이행수단에서는 고효율인버터, 고효율펌프, 고효율LED 등의 상위 3개 이행수단이 절감목표량의 67.0% ~ 84.8%를 차지하고 있다. 표 9는 2023년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의 절감량을 보여주고 있다.

표 9 2023년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의 절감량(GWh) 비교

Table 9 Comparison of savings of 2023 EERS plan and scenarios

구 분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상위 3개

이행수단

절감량

%

절감량

%

①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1,151

100.0

975

84.8

①+② 사회기여

1,136

98.7

960

83.5

①+②+③ 행동변화

955

82.9

779

67.8

①+②+③+④ 외부위탁

947

82.2

770

67.0

평 균

1,047

91.0

871

75.7

2023년 사업계획

1,051

91.3

691

60.1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사업비용은 약 862억원이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최적운영의 사업비용은 약 485억원 ~ 708억원이다. 그리고 정부정책이 추가될 때마다 사업비용이 증가하였는데, 사회기여 프로그램의 추가에 약 147억원, 행동변화 프로그램의 추가에 약 70억원, 외부위탁 프로그램의 추가에 약 6억원이 증가하였으며, 3개가 모두 추가될 때 약 223억원의 사업비가 증가하였다. 그림 5는 2023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의 사업비용 증가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5. 2023년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의 사업비용(억원) 비교

Fig. 5. Comparison of cost of 2023 EERS plan and scenarios

../../Resources/kiee/KIEE.2024.73.5.757/fig5.png

사회기여 프로그램의 일부 이행수단 TRC가 1.0 이하이지만, EERS 사업 계층화를 통해 사업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모든 사업과 프로그램 TRC는 1.0 이상이다. 표 10는 2023년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의 TRC를 보여주고 있다.

표 10 2023년 EERS 사업계획과 시나리오의 TRC 비교

Table 10 Comparison of TRC of 2023 EERS plan and scenarios

구 분

총자원비용(TRC)테스트

종합

① 고효율기기 보급

13.9

-

-

-

13.9

①+② 사회기여

14.0

1.0

-

-

11.7

①+②+③ 행동변화

14.4

1.0

불가

-

11.8

①+②+③+④ 위탁

14.4

1.0

불가

16.6

11.8

2023년 사업계획

13.4

1.0

불가

15.8

9.3

4. 정책적 시사점

2023년 EERS 사업계획의 절감잠재량을 추정하고, 정부정책을 반영한 EERS 사업의 최적운영 및 경제성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부정책 부응과 이행수단 목적별 EERS 사업의 계층화가 필요하다. EERS 사업의 계층화는 계층별 에너지절감량, 사업비용 및 경제성분석이 가능하며, 관련하여 일부 세부 이행수단의 경제성분석(TRC) 결과가 1.0 이하여도, 상위 계층 프로그램의 TRC가 1.0 이상이면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는 판단기준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절감잠재량 추정 결과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절감목표량을 달성할 수 없으며, 또한 현재 이행수단의 연간최대 절감잠재량은 전력판매량의 1%를 부여하는 2031년 절감목표량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남은 기간 동안에 절감잠재량이 크고, 지원단가가 낮은 신규 이행수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절감량의 대부분이 고효율인버터, 고효율펌프, 고효율LED 등 일부 이행수단에 집중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계속 유지할지 또는 지원금 조정 등을 통해 다른 이행수단의 보급확산을 유도할지 등의 정책적 결정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정책을 반영한 프로그램들의 추가마다 사업비용이 증가하였다. 특히, 사회기여 프로그램은 절감량은 적고 사업비용은 많이 소요되었다. 정부정책의 EERS 반영은 에너지공급자에게 부담이 되므로, 사업비용의 정부지원, 절감량에 가산치 적용 또는 에너지공급자의 자체설비 효율향상실적을 절감목표량으로 인정해주는 등의 제도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행동변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관리비 등의 산정기준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비용을 0원으로 가정하였으나, 실제 운영시에는 비용이 소요되므로 관련 비용을 고려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부정책 반영이 EERS의 절감량과 사업비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23년 EERS 사업계획을 구성하는 EERS 프로그램과 이행수단을 목적별로 분류하고, 이행수단별 절감잠재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수계획법을 활용하여 최적의 사업운영을 도출하고, 캘리포니아 표준테스트를 통해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새로운 EERS 분류체계에 따른 이점을 살펴보았고, 절감잠재랑이 크고 지원단가가 낮은 이행수단 개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이행수단의 절감량 집중에 대한 정책적 결정이 필요하고, 정부정책 반영에 따른 증가 사업비의 보상방안을 강구하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이행수단별 절감잠재량을 추정할 때 참고할만한 선행연구 및 통계자료가 부족하였으며, 특히 달성가능 절감잠재량을 산정하기 위한 최신의 회수기간 채택곡선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절감잠재량을 추정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향후 EERS 사업을 최적 운영하려면 주기적인 이행수단별 절감잠재량 추정 및 EERS에 적합한 회수기간 채택곡선 개발 연구 등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Operational Regulations for Investment in Energy Suppliers’ Demand-side Management,” 2023.URL
2 
Related Ministries Joint, “Comprehensive Measures for Energy Demand Efficiency based on Market Principles,” 2022.URL
3 
International Energy Agency, “Market-based Instruments for Energy Efficiency,” 2017.URL
4 
American Council for an Energy-Efficiency Economy, “2022 State Energy Efficiency Scorecard,” 2022.URL
5 
D. Steiberg, and O. Zinaman, “State Energy Resource Standards: Design, Status, and Impacts,”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14.DOI
6 
G. S. Song, W. N. Lee, J. B. Park, J. R. Shin, H. J. Kim, and J. H. Kim, “An Introduction of The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s(EERS) and Examination of Necessity,”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vol. 2007, no. 11, pp. 246-248, 2007.URL
7 
J. H. Seok, “A Study of U.S. EERS on the High Efficiency Equipment Incentive Eligibility and Calculation Methodology,” Korea Energy Economic Institute, 2018.URL
8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 Study on Strategic Preparation for EERS Implementation,” 2017.URL
9 
Korea Energy Agency, “A Study of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s Legislation Impact,” 2019.URL
10 
J. H. Kim, Y. R. Kim, H. J. Kang, J. S. Kim, and J. B. Lee, “Implication for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s: Based on Analysis of Policy Framework,”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0, pp. 1432-1442, 2021.DOI
11 
T. Y. Jin, “Improving Korean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s to Vitalize Energy Efficiency Investment,”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 31, no. 2, pp. 87-97, 2022.URL
12 
J. H. Kim, “Analysis of Operation Efficiency for Energy Efficiency Program Based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vol. 2020, no. 7, pp. 754-755, 2020.URL
13 
J. H. Kim, “Economic Analysis for Energy Efficiency Program of Utility,”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vol. 2021, no. 7, pp. 712-713, 2021.URL
14 
H. K. Kang, Y. R. Kim, J. B. Lee, and J. H. Baek, “Estimating the cost of saving electricity of energy efficiency program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Energy Policy, vol. 160, no. 2022, pp. 112672, 2021.DOI
15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nergy Efficiency Planning Guidebook,” 2008.URL
16 
National Action Plan for Energy Efficiency, “Guide to Resource Planning with Energy Efficiency,” 2007.URL
17 
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 “Energy Efficiency Portfolio Report,” 2018.URL
18 
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 “Energy Efficiency 2024 Business-Portfolio Plan, PG&G Energy Efficiency 2024-2027 Portfolio Plan,” 2022.URL
19 
M. Molina, and G. Relf, “Does Efficiency Still Deliver the Biggest Bang for the Our Buck? A Review of Cost of Saved Energy for US Electric Utilities,” 2018 ACEEE Summer Study on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2018.URL
20 
I. Hoffman, C. Goldman, S. Murphy, N. Mims, G. Leventis, and L. Schwartz, “The Cost of Saving Electricity Through Energy Efficiency Programs Funded by Utility Customers: 2009-2015,”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18.URL
21 
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 “California Standard Practice Manual : Economic of Demand-side Programs and Projects,” 2001.URL
22 
National Action Plan for Energy Efficiency, “Guide for Conducting Energy Efficiency Potential Studies,” 2007.URL
23 
M. Rufo, and F. Coito, “California's Secret Energy Surplus: the Potential for Energy Efficiency,” 2002.URL
24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23 EERS Business Plan Report,” 2023.URL
25 
Related Ministries Joint, “2021 Economic Policy Directions,” 2020.URL
26 
Related Ministries Joint, “2017 New Government’s Economic Policy Directions,” 2017.URL
27 
Related Ministries Joint, “The National Plan for Energy Efficiency Innovation,” 2019.URL
2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10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2022~ 2036),” 2023.URL

저자소개

오재신(Jaeshin Oh)
../../Resources/kiee/KIEE.2024.73.5.757/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Hongi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22. He received the MBA degree from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ju, South Korea. He is a Ph.D.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Policy of the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조영상(Youngsang Cho)
../../Resources/kiee/KIEE.2024.73.5.757/au2.png

He is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of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e received a Ph.D. degree at Techno-Economics and Policy Progra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7. His primary research interests are technology evaluation, market analysis of new product/service,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new product development energy policy, and technology conver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