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Korea)



cogging torque, d-q axis equivalent circuit analysis,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hi-L map, SPMSM, torque ripple

1. 서 론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는 제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산업용 로봇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발전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공정을 비롯하여 자동차, 식품 제조업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산업용 로봇의 핵심 부품인 서보 시스템은 서보 드라이버와 서보모터로 구성된다. 그 중 서보모터 시스템의 성능 및 특성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로 이어지기 때문에 서보모터의 고성능 및 고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다[2-3].

일반적으로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는 로봇의 팔과 관절에 위치하며, 높은 기어비를 가진 감속기와 사용되어 고토크/저속에서 높은 출력 밀도, 속응성, 제어 정밀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가 사용된다. PMSM은 영구자석을 회전자 철심 표면에 부착하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SPMSM)와 회전자 내부 철심에 영구자석을 삽입하는 형태인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로 나뉜다. IPMSM은 마그네틱 토크와 릴럭턴스 토크를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고출력 및 소형화에 장점이 있다. 하지만 릴럭턴스 토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토크리플 저감에 불리한 특성을 가진다[4-5]. 또한 영구자석이 철심 내부에 존재하므로 회전자의 끝 단부인 rib 부분과 높은 공극 자속밀도로 인하여 코깅토크가 SPMSM보다 크고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5-6]. SPMSM은 영구자석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존재하지만 IPMSM에 비해 제작 및 제어기술이 쉬워 고토크/저속 산업영역 전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d-q축 자기저항의 차이에 의한 자기적 돌극성이 IPMSM보다 작아 토크리플 및 코깅토크 저감에 유리하여,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로봇 관절 구동용 모터에 적합하다[7].

SPMSM에서 토크리플과 코깅토크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되는 관계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설계 기법으로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동시에 저감시키기 어렵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동시에 저감하기 위해 여러 접근 방식이 시도되었다. 이 중 하나는 영구자석, 로터, 고정자에 스텝스큐를 적용하는 것이다[8-10].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험 계획법 중 하나인 반응 표면론법(Response surface mehtod, RSM)을 활용하여 영구자석과 고정자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토크리플과 코깅토크를 저감하였다. 하지만 최대정격 부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연속정격이라는 한 가지 부하 조건에서만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저감하였다[11-14].

본 논문은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의 초기 설계 및 최적 설계를 다룬다. 특히 multi-objective optimization을 활용하여 연속정격과 최대정격의 요구사양을 모두 만족하며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동시에 저감하였다. 각 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2장은 서보모터의 요구성능을 충족하기 위해 d-q축 등가회로 해석과 Phi-L map을 활용하여 초기 설계를 제시한다. 제3장은 요구사양을 만족하는 전동기 모델을 대상으로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토크리플, 코깅토크를 최적화한다. 추가적인 설계로는 로터 무게 및 전류밀도를 저감하는 설계를 수행하였다. 최적화 수행 이후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의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하여 연속정격의 토크리플, 평균토크와 최대정격에서의 토크리플과 평균토크 그리고 코깅토크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은 제4장에 제시된다.

2. 로봇 관절 구동용 표면부착형 동기전동기의 설계

2.1 로봇 관절 구동용 25kW급 SPMSM 설계사양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의 요구사양으로 최대정격 토크와 연속정격 토크를 그림 1표 1과 같이 정의하였다. 순시로 사용되는 최대정격 토크는 400Nm이며, 1,200rpm까지 유지되는 것을 설계 목표로 정하였다. 또한 서보모터의 연속구동에 필요한 연속정격 토크와 출력은 200Nm, 25kW이며 최대정격 토크와 와 출력은 400Nm로 약계자 제어를 사용하지 않고 1,200 rpm까지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최대속도인 2,400rpm은 약계자 제어를 사용하여 만족하는 것을 설계 사양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일반적인 수냉식 모터의 전류밀도는 10 ~ 30Arms/mm2 로 넓게 분포되나 높은 전류밀도로 인해 코일에 소손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설계에서는 발열로 인한 모터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속정격 조건에서 전류밀도 최소값인 10Arms/mm2이하로 설정하였다[15].

그림 1.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의 토크-속도 곡선

Fig. 1. Robotic joint actuation servo motor’s speed-torque characteristic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png

2.2 극 슬롯 조합에 따른 효율 비교 분석

모터 설계 시 극 수와 슬롯 수는 다양한 시스템 제약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극 수는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와 최고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극 수가 증가할수록 특정한 토크를 만들어 내는 데 필요한 코어의 부피가 감소한다. 하지만 일정 수 이상의 극 수가 적용된다면 누설 자속량의 증가로 인해 코어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는 서보모터의 속응성을 저감 시킨다. 일반적으로 극 수와 슬롯 수를 선정하는데 있어 권선계수, 극 수와 슬롯 수의 최소 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LCM)가 있다. 권선계수는 토크와 쇄교자속에 비례하기 때문에 권선계수가 큰 극당 상당 슬롯 수를 선정해야 하고 LCM은 코깅토크의 주파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큰 값을 선정해야 코깅토크를 저감 할 수 있다[9,16].

표 1 요구사양

Table 1 Required Specification

항목

단위

단자전압

380

Vrms

정격출력/최대출력

25/50

kW

정격토크/최대토크

200/400

Nm

전류밀도(연속정격)

10

Arms/mm2

고정자 외경

260

Ø

동작온도

100

°C

냉각 방식

수냉

-

본 논문에서는 그림 2와 같이 14극 12슬롯, 14극 18슬롯, 20극 24슬롯 모델의 동일한 연속정격 속도 1,200rpm과 출력 25kW에서 효율을 비교하였다. 표 2는 14극 12 슬롯, 14극 18슬롯, 20극 24슬롯 모델의 권선계수 및 LCM을 나타낸 표이다. 3가지 모델 중 14극 12슬롯 모델과 20극 24슬롯 모델의 권선계수는 0.966으로 14극 18슬롯 보다 높은 권선계수를 보인다. 하지만 LCM은 14극 18슬롯이 126으로 가장 높은 값을보인다.

그림 3표 3은 극 수와 슬롯 수 조합에 따른 효율의 비교 분석 결과 및 극 슬롯 수 조합에 따른 비교조건이다. 동일한 전류 인가 시 연속정격인 1,200rpm에서 20극 24슬롯 모델의 효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LCM과 권선계수를 고려하였을 때 14극 18슬롯이 이상적인 극 슬롯 수이다. 하지만 20극 24슬롯과 LCM 차이는 6으로 코깅토크에 영향이 작을 것으로 판단하여 연속정격에서 효율이 가장 높은 20극 24슬롯 모델을 선정하였다.

그림 2. 효율 비교 대상 모델 (a) 14극 12슬롯 (b) 14극 18슬롯 (c) 20극 24슬롯

Fig. 2. Efficiency comparison target model (a) 14 pole 12slot (b) 14pole 18slot (c) 20pole 24slot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2.png

그림 3. 극 슬롯별 효율 비교 @연속정격

Fig. 3. Comparison of efficiency by pole and slot @Continuous rating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3.png

표 2 극 슬롯 수에 따른 권선계수 및 최소공배수

Table 2 Pole slot number, winding factor and least common multiple

항목

권선계수

최소공배수

14극 12슬롯

0.966

84

14극 18슬롯

0.902

126

20극 24슬롯

0.966

120

표 3 정격속도에서의 극 슬롯 수 조합에 따른 효율 비교 결과

Table 3 Efficiency comparison results based on pole-slot combinations @ Continuous Rating

항목

14p 12s

14p 18s

20p 24s

단위

입력 전류

98.99

A

전류밀도

11.37

Arms/

mm2

고정자

외경

220

Ø

고정자

내경

130

Ø

회전자 외경

128

Ø

회전자 내경

40

Ø

총 영구자석

부피

460080.4

mm3

축 방향 길이

260

mm

코일 직경

1.4

1.4

0.98

Ø

소선

2

ea

상당 직렬 턴 수

40

ea

직렬/병렬

2/2

3/2

2/4

ea

효율

(연속정격)

95.45

96.32

96.59

%

2.3 PMSM d-q축 등가회로 해석기법

3상 PMSM을 해석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s analysis, FEA)을 수행하면 결과가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델링 및 해석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많이 드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동기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는 d-q축 등가회로가 많이 활용된다.

본 논문은 3상 PMSM의 전압 방정식을 2상 좌표 변환 행렬을 사용하여 d-q축 등가 전압 방정식으로 변환하였고 3상 교류전동기를 직류전동기처럼 등가화하여 초기 설계를 수행한 후 모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림 4. 철손을 고려한 d-q축 등가회로(a) d축 등가회로(b) q축 등가회로

Fig. 4. d-q axis equivalent circuit considering iron loss (a) d-axis equivalent circuit (b) q-axis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4.png

PMSM의 자기회로는 그림 4와 같이 모델링 할 수 있다. d-q축 등가회로의 정밀 해석과 효율을 검토하기 위해 등가 철손 저항 Rc를 병렬로 연결하여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이 등가회로는 히스테리시스손을 반영하지 않지만 전원 주파수와 자속 쇄교 횟수를 기반으로 Rc값을 조절함으로써 철손에 히스테리시스손의 영향까지 고려하는 표현이 가능하다. 변환된 전압방정식을 그림 4에 적용하고 철손이 고려된 d-q축 전압 방정식은 식 (1)과 같이 도출된다[17-18].

(1)
$\begin{bmatrix}v_{d}\\v_{q}\end{bmatrix}=R_{a}\begin{bmatrix}i_{od}\\i_{oq}\end{bmatrix}+\left(1+\dfrac{R_{a}}{R_{c}}\right)\begin{bmatrix}v_{od}\\v_{oq}\end{bmatrix}+p\begin{bmatrix}L_{d}&0\\0&L_{q}\end{bmatrix}\begin{bmatrix}i_{od}\\i_{oq}\end{bmatrix}$
(2)
$\begin{bmatrix}v_{od}\\v_{oq}\end{bmatrix}=\begin{bmatrix}0&-w L_{q}\\w L_{d}&0\end{bmatrix}\begin{bmatrix}i_{od}\\i_{oq}\end{bmatrix}+\begin{bmatrix}0\\\psi_{a}\end{bmatrix}$
(3)
$i_{od}=i_{d}-i_{cd},\: i_{oq}=i_{q}-i_{cq}$
(4)
$i_{cd}=-\dfrac{w L_{q}i_{oq}}{R_{c}},\: i_{cq}=\dfrac{w(\psi_{a}+L_{d}i_{od})}{R_{c}}$
(5)
$T=P_{n}\left\{\psi_{a}i_{oq}+(L_{d}-L_{q})i_{od}i_{oq}\right\}$

여기서 $v_{d,\: }v_{q}$는 d-q축 전압, $i_{d,\: }i_{q}$는 d-q축 전류, $i_{od,\: }i_{oq}$는 유효전류, $i_{cd,\: }i_{cq}$는 철손전류, $R_{a}$는 상저항, $R_{c}$는 철손저항, $L_{d}$는 d축 인덕턴스, $L_{q}$는 q축 인덕턴스, $\psi_{a}$는 영구자석의 쇄교자속량 그리고 $w\psi_{a}$는 무부하 쇄교자속을 나타낸다. 토크 수식 (5)에서 $\psi_{a}i_{oq}$는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토크이고, $(L_{d}-L_{q})i_{od}i_{oq}$는 릴럭턴스의 차로 발생하는 릴럭턴스 토크를 나타낸다. 이론적으로 SPMSM은 회전자 위치의 변화에 따라 d-q축 인덕턴스의 차이가 없어 수식 (5)의 $(L_{d}-L_{q})i_{od}i_{oq}$의 릴럭턴스 토크항이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실제 영구자석의 투자율과 공기 투자율의 차이로 d-q축 인덕턴스의 값이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여 영향은 적지만 등가회로의 정밀도를 향상을 위해서는 d-q축 인덕턴스의 반영이 필요하다.

한편 모터의 특성을 결정짓는 파라미터는 무부하 쇄교자속인 $w\psi_{a}$와 인덕턴스이다. 전동기 초기 설계 시 시간 대비 노력을 저감 하기 위해 본 논문은 d-q축 등가회로 기반의 Phi-L map을 활용하여 초기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는 다음절에 상세히 다룬다.

2.4 Phi-L map

극 수 및 슬롯 수를 조합한 후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목표 파라미터 범위의 선정이 필요하다. 모터 초기 설계 시 Phi-L map을 구축하여 전동기의 목표 파라미터 범위를 설정 후 치수 및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초기 설계를 진행한다.

Phi-L map을 활용하면 인덕턴스와 무부하 쇄교자속에 따른 효율, 선전류, 선간전압, 역률, 전류 위상각, 출력 등을 분석할 수 있다. Phi-L map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인덕턴스의 범위와 무부하 쇄교자속의 범위이다. 인덕턴스와 무부하 쇄교자속을 산출하는 방법은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d-q축 전압 방정식을 활용하여 인덕턴스와 무부하 쇄교자속을 도출할 수 있다[18-20]. 인덕턴스와 무부하 쇄교자속을 통해 모터의 요구사양을 만족한다면 초기 설계 시 설계 치수가 제한되며 요구하는 목표 출력에 벗어나지 않아 시간 대비 노력을 저감 시킬 수 있다.

그림 5는 최대정격과 연속정격에서의 인덕턴스와 역기전력의 범위에 따른 선 전류 Phi-L map 그리고 효율 Phi-L map이다. Phi-L map을 각 속도 별로 구축할 수 있지만 시간 대비 노력을 줄이기 위해 모터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최대정격과 연속정격에서만 Phi-L map을 구축하였다. 또한 Phi-L map 구축 시 d축 인덕턴스와 q축 인덕턴스가 동일하다 가정하고 Phi-L map을 구축하였다. 내부의 직사각형 영역은 목표 파라미터 영역으로 최대정격과 연속정격의 map이 서로 겹치는 영역 내에서 도출하였다. 인덕턴스 범위와 역기전력의 범위는각각 0.65mH ~ 0.95mH, 92 ~ 105mWb이다. Phi-L map에서 역기전력이 높은 영역으로 목표 파라미터를 선정할 수 있지만,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는 속응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Phi-L map의 하단부로 목표 파라미터 범위를 선정하였다.

그림 5. 초기 설계 모델의 Phi-L map 및 파라미터 위치 (a) 연속정격 효율 (b) 최대정격 효율 (c)연속정격 선전류 (d) 최대정격 선전류

Fig. 5. Phi-L map and parameter locations of the initial design model (a) continuous rated efficiency (b) maximum rated efficiency (c) continuous rated line current (d) maximum rated line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5.png

2.5 초기 설계 형상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

그림 5의 Phi-L map의 요구사양을 만족하는 설계 형상은 그림 6과 같다. 초기 설계된 형상의 인덕턴스 위치는 연속정격에서 0.888mH, 최대정격에서 0.723mH, 역기전력은 연속정격에서 105.2mWb, 최대정격에서 97.3mWb로 목표 파라미터를 만족한다. 최대정격의 치와 요크의 자속밀도는 각각 1.67T, 1.88T 연속정격은 1.37T, 1.01T이다. 또한 연속정격에서의 전류밀도는 선전류 Phi-L map 기준 11.35Arms/mm2로 앞서 기술한 목표치 대비 13% 높은 값이다.

그림 7은 초기 설계 모델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상 역기전력은 121.39V 선간 역기전력은 210.96V이고 코깅토크는 2.73Nm이다. 또한 연속정격과 최대정격의 평균토크는 요구사양을 만족하지만 토크리플은 각각 1.60%, 1.55%로 정밀한 움직임을 요하는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이므로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추가로 저감 할 필요가 있다.

그림 6. 초기 설계 형상 및 자속밀도 (a)최대정격 자속밀도 분포 (b)연속정격 자속밀도 분포

Fig. 6. Initial design shape and magnetic flux density (a) Distribution of maximum rated magnetic flux denst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6.png

그림 7. 초기 설계 모델의 토크파형 및 무부하 특성 (a) 선간 및 상 역기전력 (b) 코깅토크 (c) 연속정격 토크 (d) 최대정격 토크

Fig. 7. Torque waveform and no-load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design model: (a) line-to-line and phase back electromotive force (b) cogging torque (c) continuous rating torque (d) maximum rating torque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7-1.png../../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7-2.png

3. 로봇 관절 구동용 모터 최적 설계

3.1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Multi-objective Optimization

본 설계에서 토크리플과 코깅토크를 동시에 저감시키기 위하여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Multi-objective optimization을 적용하였다.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n, GA)은 선택, 교차 변이로 이루어진 유전자 오퍼레이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최적의 해를 찾아가는 최적화 기법이다. 또한, 단일점이 아닌 여러점들의 집단에서 동시에 탐색하기 때문에 지역 해(local optimal)가 아닌 전역 해(global optimal)를 찾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21].

최적 설계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유전알고리즘의 툴로 JMAG을 사용하였다. 표 4는 유전 알고리즘을 위한 목적함수 및 가중치를 나타낸다. 코깅토크와 연속정격 및 최대정격의 토크리플 최소화, 연속정격 토크, 최대정격 토크를 각각 200Nm, 400Nm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의 요구사양을 만족하기 위해 정격토크와 최대토크의 가중치를 가장 높은 1 그리고 속응성과 정밀한 제어를 위해 코깅토크 저감의 가중치를 1로 설정하였고 주 운전 포인트인 연속정격의 토크리플의 가중치를 최대정격 토크리플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였다.

모터의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저감 하는 많은 변수가 있지만 본 논문은 초기 설계 시 치 부분의 포화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고정자의 치 폭 요크 폭의 두께를 조절하였고 슬롯 오픈의 경우 권선 작업의 편의를 위해 고정된 값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압 및 전류 제한을 고려하여 턴 수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본 최적화 단계에서는 영구자석의 형상 변화에 따른 PM height, PM width, PM_R을 형상 변수로 설정하고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그림 8은 초기 설계 모델의 형상과 설계변수를 나타낸다.

그림 9는 Multi-objective optimization의 수행과정이다. 100-300회 과정에서 수렴이 되었지만 모든 조건을 만족하면서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해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추가적인 해석 결과 모든 결과를 만족하는 898번째 Case를 최적화 모델로 선정하였다. 표 5는 최적화 모델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제 모터 설계에서 모든 소수점을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디자인 고려 항을 염두에 두고 치수를 재정의하였다. 그림 10의 좌측형상은 초기 설계 모델의 형상, 우측은 실제 설계를 고려하여 치수를 재정의한 최적화 모델의 형상을 보여준다.

그림 8. 초기 설계 모델의 최적 설계 변수 설정

Fig. 8. Setting optimal design variables for the intial design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8.png

그림 9.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 설계 과정 (a) 연속정격 토크리플 (b) 연속정격 토크 (c) 최대정격 토크리플 (d) 최대정격 토크 (e) 코깅토크

Fig. 9. Optimal design process using genetic algorithm (a)Continuous rated torque ripple (b) Continuous rated torque (c) Maximum rated torque ripple (d) Maximum rated torque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9.png

그림 10. 초기모델 및 제작을 고려한 최적화 모델의 형상

Fig. 10. Initial and optimized model shapes with manufacturing consideration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0.png

표 4 다중목적 최적 설계의 목적함수 및 가중치

Table 4 Objective functions and weights in multi-obejective optimal design

항목

목적함수

가중치

정격토크

200Nm Initial

1

최대토크

400Nm Initial

1

정격토크

토크리플

Minimize

0.8

최대토크

토크리플

Minimize

0.5

코깅토크

Minimize

1

표 5 최적화 결과

Table 5 Optimization results

항목

최적화 모델

제작 치수 고려 모델

단위

PM_width

15.999

16.00

mm

PM_height

5.507

5.50

PM_R

20.113

20.00

3.2 로터 중량 저감

모터의 속응성을 향상하기 위해 로터의 중량을 저감하는 설계를 진행하였다. 로터의 중량을 저감하면 관성이 줄어들어 적은 에너지로 회전을 시작하거나 정지할 수 있게 되어 가속 및 감속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특히 속응성이 중요한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에 유용하다. 또한 로터 제작에 사용하는 강판의 양을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 또한 저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로터의 축경을 40mm에서 48mm로 증가시키고 영구자석과 로터 내경 사이에 원형 및 오각형 펀치를 적용하여 로터의 중량을 저감하였다. 그림 11과 같이 자속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영역을 선정하므로 로터의 성능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그림 11. 중량 저감 전 후 로터 형상 (a) 중량 저감 전 자속 밀도 분포 (b) 중량 저감 후 자속밀도 분포

Fig. 11. Rotor shape before after weight reduction (a) Magnetic flux density before weight reduction (b) Magnetic flux density after weight reduction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1.png

3.3 전류밀도 저감

일반적으로 모터의 전류밀도가 상승하면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하여 냉각 시스템에 오버로드가 발생하고 모터 내부의 과열로 이어진다. 또한 저항 증가에 따라 손실이 증가하여 효율이 감소한다.

수냉식 모터의 일반적인 전류밀도는 앞서 기술했듯이 10 ~ 30Arms/mm2 이다. 본 설계에서 전류밀도는 10Arms/mm2 이하를 목표로 설정하였지만 설계된 모터의 전류밀도는 11.35Arms/mm2 이므로 전류밀도를 저감하는 설계를 진행하였다. 전류밀도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선의 직경과 소선의 개수를 변경하였고, 전기 fill factor를 보상해주기 위해 고정자 외경의 크기를 표 6과 같이 변경하였다. 전류밀도는 동일한 전류인 65.10Arms에서 비교한 결과 24.71% 저감되었다. 한편 전기 fill factor는 33.04%에서 38.10%로 증가하였지만 권선 작업에 있어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2는 중량 저감 및 전류밀도 저감 설계를 진행한 모델의 열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전류밀도 저감 모델은 저감 전 모델 대비 전체적으로 20°C 낮은 온도 분포를 확인하였고 포화 시간은 약 100분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12. 전류밀도 최적화 전 & 후 모델 열 해석 결과 (a) 최 적화 전 모델 @ 연속정격 (b) 최적화 모델 @ 연속 정격

Fig. 12. Current density optimization: Thermal analysis of pre and post-model comparisons (a) Model before optimization in continuous rating (b) Optimized Model in continuous rating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2.png

표 6 전류밀도 저감 전 후 모델 비교

Table 6 Comparison of models before and after current density reduction

항목

기존 모델

전류밀도 저감 모델

단위

Fill factor

33.04

38.10

mm

전류밀도

11.37

8.56

Arms/mm2

저항

0.075

0.056

도체직경

1.35

0.70

mm

소선개수

1

5

ea

고정자 외경

Φ186

Φ200

mm

3.4 특성해석 비교 분석

본 논문은 제한된 전원조건 내에서 설계된 최적화 모델이 갖는 성능을 해석하기 위하여 d-q축 등가회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자기 포화를 고려한 d-q축 인덕턴스와 영구자석에 의한 쇄교자속량을 전류 크기별 계산한 후 등가회로 해석에 반영하였다.

그림 13은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의 d-q축 인덕턴스 프로파일로 SPMSM에서도 d-q축 미세하지만 인덕턴스의 차이가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14는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의 마그네틱 토크와 릴럭턴스 토크를 보여준다. SPMSM에서 릴럭턴스 토크는 마그네틱 토크에 비해 전체적으로 0.1% 이하의 비율을 가져 비돌극기라 할 수 있지만 제 2.3 절의 등가회로 수식을 살펴보면 d축 인덕턴스와 q축 인덕턴스가 등가회로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등가회로 해석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d축 인덕턴스와 q축 인덕턴스를 각각 산출하여 등가회로 해석에 적용해주었다.

그림 15는 약계자 제어를 적용하지 않은 초기모델의 특성곡선과 초기모델을 기반으로 코깅토크, 토크리플, 중량저감 그리고 전류밀도를 최적화 및 개선 설계를 진행한 모델의 특성곡선이다. 초기 설계 모델과 최적화 모델 모두 전압 마진 4%와 modulation 조건 4%를 적용하였다. 약계자 제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최적화 모델과 초기모델 모두 전동기 동작 온도인 100°C에서 최대정격인 1,200rpm, 400Nm와 연속정격인 1,200rpm, 200Nm를 만족한다. 하지만 요구사양의 최고속도인 2,400rpm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림 16은 약계자 특성을 포함한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의 특성 곡선이다. 특성해석 조건은 약계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과 동일하다. 약계자 특성을 포함하였을 때 전동기 동작 온도인 100°C에서 최대정격인 1,200rpm, 400Nm와 연속정격인 1,200rpm, 200Nm를 만족하고 최대속도인 2,400rpm 또한 만족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13. 초기모델 및 최적화 모델의 d-q축 인덕턴스 프로 파일 (a) 초기모델 d축 인덕턴스 (b) 초기모델 q 축 인덕턴스 (c) 최적화 모델 d축 인덕턴스 (d) 최적화 모델 q축 인덕턴스

Fig. 13. d-q axis inductance profiles of the initial and optimized models (a) Initial model d-axis Inductance (b) Initial model q-axis Inductance (c) Optimized model d-axis Inductance (d) Optimized model q-axis Inductance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3.png

그림 14. 초기모델 및 최적화 모델의 마그네틱 토크 및 릴럭 턴스 토크 (a) 초기모델의 마그네틱 토크 (b) 초기모델의 릴럭턴스 토크 (c) 최적화 모델의 마그네틱 토크 (d) 최적화 모델의 릴럭턴스 토크

Fig. 14. Magnetic Torque and Reluctance Torque of initial and Optimized Models (a) Magnetic Torque of initial model (b) Reluctance Torque of initial model (c) Magnetic Torque of Optimized model (d) Reluctance Torque of Optimized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4.png

그림 15. 초기모델 및 최적화 모델의 특성곡선 (a) 초기모델 (b) 최적화 모델

Fig. 15.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initial model and optimized model (a) Initial model (b) Optimized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5.png

그림 16. 약계자 제어를 이용한 초기모델 및 최적화 모델의 특성곡선 (a) 초기모델 (b) 최적화 모델

Fig. 16.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initial model and optimized mode using weak excitation control (a) Initial model (b) Optimized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6.png

약계자 제어를 사용 시 d축 전류가 음의 방향으로 흘려주기 때문에 계자자속이 떨어지고 이는 모터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감자해석이 필요하다. 그림 17표 7은 최적화 모델의 감자해석 결과 및 감자해석 조건이다. 운전 조건은 그림 16의 약계자 제어를 적용한 특성곡선 결과를 이용하였다. 약계자 제어를 적용하였을 때 2,400rpm에서 최대정격은 동작온도 130°C, 연속정격은 동작온도 140°C부터 영구자석의 감자가 발생하지만 최대정격과 연속정격 모두 전동기 동작 온도인 100°C에서 감자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8그림 15의 등가회로 해석으로 도출된 전류를 활용하여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에 대한 연속정격 토크, 최대정격 토크, 그리고 코깅토크의 파형의 결과를 각각 비교하여 보여준다.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 모두 동일한 전류에서 요구되는 출력 특성을 만족한다. 또한 최적화 모델의 코깅토크, 최대정격 및 연속정격의 토크리플이 초기모델 대비 개선되었다.

표 7 감자해석 조건

Table 7 Demagnetization analysis conditions

항목

연속정격

최대정격

단위

인가 전류

48.06

90.26

Arms

전류 위상각

46.5

42.3

deg.

운전 속도

2,400

rpm

운전 온도

100

°C

최대정격의 토크리플은 초기모델 대비 최적화 모델에서 1.55%에서 1.20%로 감소하였고 연속정격의 토크리플은 1.60%에서 0.61%로 감소하였다. 또한 코깅토크는 2.73Nm에서 0.056Nm로 정밀한 제어가 중요한 로봇 관절 구동용 서보모터의 코깅토크로 만족할 만한 결과이다.

그림 17. 감자해석 결과 (a) 연속정격 (b) 최대정격

Fig. 17. Demagnetization analysis results (a) Coninuous rating (b) Maximum rating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7.png

그림 18. 초기모델과 최적화 모델의 무부하 및 부하해석 파형 비교 (a) 코깅토크 (b) 최대정격 (c) 연속정격

Fig. 18. Comparison of no-load and load analysis waveforms of initial and optmized model (a) Cogging torque (b) Maximum rating (c) Continuous rating

../../Resources/kiee/KIEE.2024.73.7.1170/fig18.png

4. 결 론

본 논문은 로봇 관절 구동용 SPMSM의 초기 설계부터 최적화 및 개선 설계 방안을 다룬다. 초기 설계에서 극 슬롯 수 조합(14극 12슬롯, 14극 18슬롯, 20극 24슬롯)에 따른 효율을 비교하여 효율이 가장 높은 20극 24슬롯 모터의 효율을 비교하여 효율이 가장 높은 20극 24슬롯 모터를 초기 설계 모터로 선정하였다. 이후 2차원 d-q축 등가회로 해석을 기반으로 전동기의 특성을 결정짓는 역기전력과 인덕턴스를 주요 운전점인 최대정격과 연속정격에 만족하도록 초기 설계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초기 설계 모델의 연속정격과 최대정격에서 토크리플, 코깅토크를 동시에 저감 시키기 위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개선하였다. 또한, 자속의 흐름에 방해받지 않은 영역을 선정하여 제거 함으로써 로터의 중량을 줄이고 고정자의 도체 직경 및 소선의 개수를 최적화하여 전류밀도를 저감 하였다. 향후 최종 최적화 모델의 검증을 위해 무부하 시험, 부하 시험 및 열 해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하는 것이 요구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대구대학교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로 관계자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No. 2022-0352)

References

1 
J. J. Lee, "Patent and Technology Trends of Servomotors for Robots,"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47, no. 4, pp. 24-30, 2020.URL
2 
Y. Yasa, E. Sahin, C. Acar, A. Gozutok, E. Firat, and E. Mese, "Servo motor driver design for high performance applications," in 2013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Conversion Systems, pp. 1-6, 2013.DOI
3 
C. Liu, G.-H. Cao, and Y.-Y. Qu, "Research on Servo Control System of Embedded AC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n 2019 IEEE 8th Joint Inter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ference (ITAIC), pp. 1622-1626, 2019.DOI
4 
Y. H. Jung, M. S. Lim, M. H. Yoon, J. S. Jeong, and J. P. Hong, "Torque Ripple Reduction of IPMSM Applying Asymmetric Rotor Shape Under Certain Load Condition,"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33, no. 1, pp. 333-340, 2018.DOI
5 
S. W. Lee, I. J. Yang, and W. H. Kim, "A Study on Reducing Cogging Torque of IPMSM Applying Rotating Tapering,"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8, no. 8, pp. 1-5, Aug. 2022.DOI
6 
G. Dajaku and D. Gerling, "New methods for reducing the cogging torque and torque ripples of PMSM," in 2014 4th International Electric Drives Production Conference (EDPC), pp. 1-7, IEEE, September 2014.DOI
7 
S. Y. Yoon, “Study on Precise Torque Control of Surface Mounted PMSM considering Parameter Variation,” Diss. Hanyang University, 2014.URL
8 
C. S. Lee and H. J. Kim, "Cogging Torque Reduction Design Combining Asymmetric Tooth Tip of Stator and Rotor Step-Skew for SPMSM,"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ol. 33, no. 1, pp. 37-43, 2023.URL
9 
C. K. Kim, S. G. Lee, and S. Y. Jung. "Design of Cogging Torque and Torque Ripples Reduction for High Precision Controlled SPMS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8, no. 10, pp. 1923-1929, 2009.URL
10 
R. Islam, I. Husain, A. Fardoun, and K. McLaughli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magnet designs with skewing for torque ripple and cogging torque reduction," in 2007 IEEE Industry Applications Annual Meeting, pp. 1552-1559, IEEE, September 2007.DOI
11 
J. Y. Jang, S. G. Cho, S. J. Lee, J. P. Hong, and Tae Hee Le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Reducing Cogging Torque and Torque Ripple in Compact SPM Motor of 800W Level,"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pring Conference, pp. 1157-1162, 2011.URL
12 
T. W. Lee, D. K. Hong and T. U. Jung, "High-speed, high-power motor design for a four-legged robot actuator optimized using the weighted sum and response surface methods," in CES Transactions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vol. 5, no. 3, pp. 224-231, 2021.DOI
13 
D. J. Shin, "A study on multi-objective optimal design of two phase In-Wheel PMSM by using Taguchi method and RSM for mobile robo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August 2010.URL
14 
J. M. Ahn, K. Y. Moon, K. J. Bae, and D. K. Lim, "Optimal Design of 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Electric Wheelchair Traction,"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28, no. 5, pp. 492-498, 2022.URL
15 
J. S. Yoon and K. H. Kim, "Special Feature: Motor Design Technology - Design and Magnetization Techniques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PMSM)," KIPE MAGAZINE, vol. 7, no. 5, pp. 18-23, 2002.URL
16 
Y. J. Park, J. H. Kang, J. W. Kim, C. S. Jin, and J. Lee, "Characteristics Analysis Study of Surface 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According to Pole Slot Combin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no. 2, pp. 351-358, 2022.URL
17 
Y. Takeda, N. Matsui, S. Morimoto and Y. Honda, “Design and Control of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unous reluctance motor,” Ohmas, 2001.URL
18 
Y. K. Kim, "A Study on the Design of 10 kW IPMSM for Neighborhood Electric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ol. 33, no. 1, pp. 29-36, 2023.URL
19 
H. J. Kim, C. S. Lee, and J. P. Hong, "Design of In-Wheel Motor for Automobiles Using Parameter Map,"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ol. 25, no. 3, pp. 92-100, 2015.DOI
20 
J. W. Jeong, I. S. Jeong, and Y. K. Kim, "Design of Electrical Device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9, pp. 28-37, 2008.URL
21 
S.M. Baek, Y. T. Kim, B. J. Park, and G. T. Kim, "Efficiency Improvement Design of IPMSM through Quasi-Newton Method and Genetic Algorithm,"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651-652, 2018.URL

저자소개

김동수(Dong-Su Kim)
../../Resources/kiee/KIEE.2024.73.7.1170/au1.png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Daegu University(2023) and is currently pursing a master’s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gn at Daegu University.

정시욱(Si-Uk Jung)
../../Resources/kiee/KIEE.2024.73.7.1170/au2.png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Yeungnam University(2015) and received the master’s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2020), From 2015 to 2023, he worked as researcher at Korea Automotive Research Institute, and is currently pursing a Ph.D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Daegu University.

정재우(Jae-Woo Jung)
../../Resources/kiee/KIEE.2024.73.7.1170/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05, 2007,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Automotive Engineering with Hanyang University, in 2013. From 2009 to 2012, he served as a lead researcher (as part of his military service) at S&T Motiv. From 2013 to 2021,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at Hyandai Mobis. Currently h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at Daeg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