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Power-grid, Frequency regulation, Supercapacitor, Energy density, Pre-doping

1. 서 론

국내 전력계통은 타 선진국에 비해서도 안정하여 수요에 맞추어 공급이 차질 없이 제공되고 있으며, 품질안정화에 따른 계통 주파수가 60Hz±0.036Hz로 유지되고 있다[1].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에 따라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는 추세로 국내 계통은 다양한 에너지원의 참여로 인해 복잡하게 변화하는 추세이다[2]. 따라서 전력 수요/공급 예측 가능성이 감소함에 따라 이를 보상할 수 있는 ESS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3].

전력계통의 ESS는 기능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태양광과 풍력의 불안정한 발전을 제어하는 Balancing[4], 주파수 조정 (Frequency regulation, F/R)[3], 그리고 off peak에 저장하고 peak에 방전하는 peak shaving[5] 기능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주파수 조정은 ESS 역할을 포함한 모든 전력품질을 판단 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6]. 일례로 정전이 일어나기 전후에는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크게 변동하게 되어 정밀한 관리가 중요하다.

대표적인 주파수 조정용 ESS 중 하나인 리튬이온배터리 (Lithium ion battery, LiB)를 이용한 주파수 조정은 초기에는 잘 운영되었으나, 설치 용량이 증가하면서 화재 발생 등의 안전사고 발생빈도는 증가했다[7]. 이에 따른 지속적인 LiB의 사용 제약이 되고 있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체기술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반대로 슈퍼커패시터는 고출력·장수명 특성이 매우 큰 장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화재 사고 측면에서 매우 안전하다[8].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주파수 조정용 ESS의 적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일례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LiB와 고출력 슈퍼커패시터의 병행운전을 통해 서로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hybrid-ESS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9].

슈퍼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Electric double-layer)이라는 전기화학적 반응 원리에 의해 고안되었다[8]. 이러한 전기이중층은 대칭하고 있는 전극 표면으로의 전해질 이온이 흡착되는 거동을 이용하여 산화·환원 원리를 이용하는 LiB 대비 고출력 특성을 보이지만, LiB 대비 1/10 수준의 낮은 에너지 밀도는 실 전력 계통 적용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비대칭형 슈퍼커패시터들이 개발돼 오고 있는데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은 리튬이온커패시터이다 (Lithium-ion capacitor, LiC)[10]. LiC는 LiB와 수퍼커패시터의 장점만 적용한 비대칭형 전극 구조의 커패시터로 3.8V까지 높은 전압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슈퍼커패시터의 장점이 장수명, 고출력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10]. 하지만, 다른 ESS에 비해 제작 공정의 경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사업화가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그 규격 또한 표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슈퍼커패시터의 전력계통 주파수 조정용 ESS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앞서 제기한 LiC 기반 슈퍼커패시터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에너지 밀도는 높이면서 고출력 특성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다공성 환원 그래핀과 리튬 산화물의 양극재 설계를 통해 공정성을 개선하고 리튬 산화물의 함량 및 선도핑 공정(Pre-doping process) 최적화를 진행하여 기존 상용제품 대비 에너지 밀도를 5배 이상 증가시켰다. 또한 개발 양극재의 대량 생산을 통해 30F(Farad : 1V의 전위차를 걸어 주었을 때 1C의 전하를 대전시키는 축전기의 전기용량) 원통셀을 제작하여 전기화학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00C-rate 고출력 조건에서 20만 회의 충·방전 후에도 84.8%의 높은 수명 안정성을 확보했다.

2. 본 론

2.1 실험방법

2.1.1 슈퍼커패시터 구성 및 제작

제안한 슈퍼커패시터의 유효 비표면적 향상을 통한 용량 최적화를 위하여 흑연으로부터 강산 (황산[H2SO4], 과망가니즈산 칼륨[KMnO4], Modified Hummer’s method[11])을 사용하여 산화 그래핀을 제조한 후 열처리 혹은 화학적 환원을 통해 환원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이후 요오드산 (Hydroiodic acid, HI)를 이용한 화학적 환원 그래핀을 제조한 후 3차원 다공성 환원 그래핀 구조체를 양극에 적용하였으며 음극에는 인조흑연과 제작된 그래핀의 복합체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분리막 (ion porous cellulose type, celgard), 집전체 (알루미늄, 구리 호일) 그리고 전해질 (1.3M LiPF6, ethylene carbonate/dimethyl carbonate=3:7)로 구성, 2032 코인셀과 30F 원통셀로 제작되었다. 초기 비가역 반응으로 인한 Li+의 소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리튬니켈산화물(LNO)을 통한 선도핑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도핑은 양극의 질량비에 맞춰 (13%, 19%, 24%, 28%, 32%) 전극에 적용한 후 초기 충전을 통한 전기화학 반응으로 소진되는 구조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일정 비율의 양극재 분말과 결합재(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rk)를 유기용매 (N-methylpyrollidone, NMP)에 분산하여 잉크로 제작 후, 집전체에 바코팅했으며(Bar-coating), 음극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전극은 접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100±1μm 두께로 65℃ 조건에서 열압축 공정을(2-roll press) 진행했다. 이후 80℃, 24시간 이상 진공건조 진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물을 각 전극으로 적용했다.

2.1.2 슈퍼커패시터 성능 평가

전기화학적 성능평가를 위해 Potentiostat (Autolab, PGSTAT100) 장비를 사용했다. 제작된 슈퍼커패시터는 2.2V∼3.8V 영역에서 순환전압전류 (Cyclic voltammetry, CV), 직류 충·방전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GCD)이 측정되었으며, 1×10-3Hz∼1×106Hz의 주파수 범위에서 10mV의 진폭으로 (Amplitude) 전기화학 임피던스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를 측정했다. 슈퍼커패시터 모듈의 경우 충·방전 성능 평가의 경우 정전류(Constant-current, CC)와 정전류-정전압(Constant-current-constant voltage, CC-CV) 측정기법을 주어진 전압 조건에 적용하였다.

2.2 실험결과

2.2.1 LNO 함량에 따른 슈퍼커패시터 거동 결과

그림 1. LNO 함량에 따른 양극재의 전기화학적 물성 평가 (a)Galvanostatic charge/discharge(GCD), (b) 함럄에 따른 비용량, (c) Nyquist plot, (d) 500회 단기 수명평가 결과

Fig. 1.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 reuslts as a function of LNO contents in cathode (a)Galvanostatic charge/discharge(GCD), (b) specific capacitance, (c) Nyquist plot (d) short-term lifespan result for 500 cycles

../../Resources/kiee/KIEE.2024.73.8.1466/fig1.png

선도핑 함량에 따라 슈퍼커패시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GCD, EIS, 수명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전극의 GCD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함량과 비례하여 비용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13%[67F/g], 19%[84F/g], 24%[89F/g], 28%[123F/g], 32%[153F/g]) (그림 1a-b). 이러한 결과는 음극의 도핑 농도와 비용량도 비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간당 이동하는 (migration) 하전 된 전하의 총량이 용량으로 구성된 결과로 볼 수 있다. EIS 결과에서는 LiB와 같이 전기화학 반응 계면이 2개 존재하는 반구 형태 곡선을 보인다[12]. 이는 2개의 전극 계면에서의 전하 전달 저항이(Rct) 있음을 나타내지만, 부산물이 존재하지 않는 한 도핑 농도와는 크게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Rs≈17Ω)(그림 1c). 일반적으로 LiB의 전기화학 임피던스의 전극 표면에 형성된 SEI-전해질 그리고 활물질-전해질 두 가지 전기화학 반응 계면으로 해석되는데, 해당 LiC 경우에도 동일한 경향을 보임으로 복합소재 제작 시에 추가적인 부반응으로 인한 부산물 (By-product)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는 선도핑 과정에서 Li+ 이온의 층간삽입 (intercalation) 균일하게 (1-stage)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500회의 충·방전을 통해 수명평가를 진행하였을 때 고함량에서는 13%의 LNO 함량 대비 수명이 저하됨을 알 수 있는데(13%[99.5%], 19%[90.3%], 24%[84.7%], 28%[89.1%], 32%[92.2%])(그림 1c), 이러한 결과는 LNO 함량과 비례하지 않지만, 과량의 선도핑은 전기화학적 비가역성을 유도하여 용량 저하에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13].

따라서 GCD 기반의 비용량 평가와 수명평가 결과를 통해 LNO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용량을 보여 주지만 슈퍼커패시터 본연의 장수명 특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13wt.% 내외의 LNO 함량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2.2 선도핑 조건에 따른 비용량 변화

그림 2. 선도핑 조건에 따른 비용량 평가 결과 (a)전압, (b)시간, (c)전류

Fig. 2. Results for specific capacitance depending on the pre-doping conditions such as (a) voltage, (b) time, (c)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8.1466/fig2.png

그림 3. 기구에 따른 임피던스 성능평가 결과

Fig. 3.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results depending on the cell type

../../Resources/kiee/KIEE.2024.73.8.1466/fig3.png

선도핑 전압, 시간, 전류에 따른 비용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림 2와 같이, 도핑 전압을 0.1V 간격으로 3.8V에서 4.2V까지 인가하였을 때 비용량의 변화폭은 크지 않다(<1%)(그림 2a). 도핑 시간이 증가할수록 비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오히려 도핑 시간은 1∼2시간이 효율성을 갖는다(그림 2b). 일반적으로 전류의 크기는 전자의 시간당 이동과 총량과 관련이 있고 전해질 이온의 반응속도 특성이(kinetic parameter) 전류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0.1A/cm2의 가장 낮은 전류가 높은 비용량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 된다.[14](그림 2c).

2.2.3 슈퍼커패시터 수명 평가

일반적으로 코인셀의 경우는 제한된 단면적으로 인하여 저항 특성이 좋지 않다. 그래핀 전극 적용에 대한 자세한 임피던스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원통형(Φ1030, 파우치 3540, 코인셀 2023에 대하여 임피던스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조립된 전극의 단면적으로 인한 큰 저항 특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30배 이상의 저항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Φ1030 구성의 원통형 타입이 롤 형식으로 0.6m 권치 가능하여 단위 셀의 수명을 예측하기 가장 좋은 구조로 판별되었다(그림 3).

수명평가에 앞서 제작된 원통셀을 대량 생산하고 용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해당 결과물은 사전 전해질 함침을 통해 전극/전해액의 접촉 계면의 저항을 개선하여 친화성을 향상했으며(R≦1Ω@1kHz)), 0.1∼150C-rate 조건에 따른 비용량 성능을 평가를 진행했다(그림 4a).

그림 4. 30F 원통셀 성능 및 고출력(100C)특성 평가 (a)GCD, (b)C-rate에 따른 비용량, 100C-rate GCD 100회 후 (c) Nyquist plot, (d) Cyclic voltammetry curves

Fig. 4. Performances of 30F cylindrical cell (a) GCD, (b) specific capacitance depending on C-rate, (c) Nyquist plot, (d) Cyclic voltammetry curves

../../Resources/kiee/KIEE.2024.73.8.1466/fig4.png

그림 5. 30F 원통셀 20만 회의 장기수명평가 (100C-rate, 상온)

Fig. 5. Long-term lifespan result for 200k cycles of 30F cylindrical cell (100C-rate, under atm.)

../../Resources/kiee/KIEE.2024.73.8.1466/fig5.png

10C-rate까지는 ∼26.5F을 유지하며 각 100C-rate(23.8F), 150C-rate(22.9F)의 비용량을 보인다(그림 4b). 다음으로 비가역 반응으로 인한 제작 셀의 용량 저하를 평가하기 위하여 GCD 방식으로 각각 1C∼150C-rate까지 각각 조건에서 충·방전을 100회 실시하고 CV, 특성과 임피던스 특성을 평가하였다(그림 4c-d).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된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초기 용량 및 저항 특성 유지가 확인되었고 비가역 반응으로 손실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슈퍼커패시터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순환전압전류 주사를 통해 전류-전압 곡선 (I-V curve) 확인하게 되면 넓게 분포하는 이력현상을(Hysteresis)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Li+ 층간삽입과 탈리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전이에 따른 결과로 반응전류 증가 현상과는 상반된 결과이며 이를 통해 슈퍼커패시터와 LiB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100C-rate에서 GCD 기반 수명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만 회 후에도 84.8%의 비용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전력 계통의 주파수 조정용 단주기 ESS로 적용하기 위한 100C-rate의 고출력 조건에서의 내구성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슈퍼커패시터의 양극 제작 조건에 따른 성능평가를 진행하였고, 각 셀의 전기화학분석 (순환전압전류, 직류 충·방전, 임피던스, 장기수명평가)을 통해 시험조건의 최적화를 도출하였다. 또한 계통연계를 위한 100C-rate의 고출력에서 30F 원통셀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슈퍼커패시터 도핑 설계 및 도핑 함량 최적화를 통한 에너지 밀도 증가

(2) 설계된 그래핀 전극을 적용한 선도핑 공정 조건(전압, 시간, 전류) 수립을 통한 에너지 밀도 최대화

(3) 30F급 원통셀 제작 및 성능 평가를 통한 고전류 조건에서의 안정적 작동 확인

종합적으로 미래 주파수 변동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존 주파수 조정용 LiB와의 협조 운전 시 화재, 수명, 고출력의 높은 내구성 기반으로 정상상태에서는 변동성 완화 초기대응 유지시간 향상에 기여하고 과도 상태에서는 주파수 회복 (RoCoF 감축 및 Nadir 개선)의 역할이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R23TA06).

References

1 
M. Park, et al., “Calculation of Primary Reserve Requirement based on Measurement of Frequency Trajectories of Korean Power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3, pp. 399-404. 2019.URL
2 
W, Choi et al., “A Perfornamce Evaluation and its Quantification Method of Frequency Response from RES based on Grid Connection Code in Korea power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12, pp. 1859-1865, 2020.URL
3 
J, Yoon, et al., “SOC-based Control Strategy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Power System Frequency Regul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5, pp. 622-628, 2014.DOI
4 
M. Jung, et al., “Operation Algorithm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Li-ion Battery Considering Self-energy Balanc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0, pp. 1443-1451, 2021.URL
5 
Chua, Kein Huatet al., “Energy storage system for peak shav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Sector Management, Vol. 10, No. 1, pp. 3-18, 2016.URL
6 
Luo, Xing, et al., “Review of voltage and frequency grid code specification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applications,” Energies, Vol. 11, No. 5, pp. 1070, 2018.DOI
7 
S, Park, et. al., “A study on Thermal Runaway Suppression Technology in Abnormal State for Energy Storage System(ESS) using Lithium Secandary Batte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6, No. 6, pp. 26-35, 2022.URL
8 
Raza, Waseem,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supercapacitor technology,” Nano Energy, Vol. 52, pp. 441-473, 2018.DOI
9 
Khalid, Muhammad, “A review on the selected applications of battery-supercapacitor hybrid energy storage systems for microgrids,” Energies, Vol. 12, No. 23, pp. 4559, 2019.DOI
10 
Jagadale, Ajay, et. al., “Lithium ion capacitors (LICs): Development of the materials,” Energy Storage Materials, Vol. 19, pp. 314-329, 2019.DOI
11 
Muzyka, Roksana, et al., “Oxidation of graphite by different modified Hummers methods,” New Carbon Materials, Vol. 32, No. 1, pp. 15-20, 2017.DOI
12 
Momma, Toshiyuki, et al., “AC impedance analysis of lithium ion battery under temperature control,”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16, pp. 304-307, 2012.DOI
13 
Emmanuel Pamete, et al., “The many of deaths of supercapacitors: Degradation, aging, and perfornace fading,” Advanced Energy Materials, Vol. 13, pp. 2301008, 2023.DOI
14 
Rehman, Hafeez Ur, et al., “Evaluation of defects and current kinetics for aging analysis of PEDOT: PSS based supercapacitors,”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28, pp. 101243, 2020.DOI

저자소개

윤여흥(Yeoheung Yoon)
../../Resources/kiee/KIEE.2024.73.8.1466/au1.png

He received Ph.D degree in chemistry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2014. He is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in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field of interest is the development of supercapacitor component materials.

E-mail : alo@kepco.co.kr

https://orcid.org/0000-0001-6213-2680

신제석(Je-Seok Shin)
../../Resources/kiee/KIEE.2024.73.8.1466/au2.png

He receive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8. He is working in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2017. His interests include energy storage operation, and power system reliability analysis.

E-mail : jeseok.shin@kepco.co.kr

https://orcid.org/0000-0002-4637-437X

이영희(Young-Hee Lee)
../../Resources/kiee/KIEE.2024.73.8.1466/au3.png

She received Master's degree in polymer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6. she is working in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2018.

E-mail : lee02@kepco.co.kr

https://orcid.org/0009-0003-7648-3336

한영희(Young-Hee Han)
../../Resources/kiee/KIEE.2024.73.8.1466/au4.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Inorganic Materi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8 and 1990, respectively. He received Ph.D degree in New Materials engineering from KAIST, Daejeon in 2005. He is working in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1998.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upercapacitor energy storage and power system stability.

E-mail : yhhan100@kepco.co.kr

https://orcid.org/0000-0002-4857-5087

박병준(Byung-Jun Park)
../../Resources/kiee/KIEE.2024.73.8.1466/au5.png

He received Ph.D degree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from KAIST, Daejeon, Korea. He is working in KEPCO Research Institute.

E-mail : bjpark@kepco.co.kr

https://orcid.org/0009-0001-9014-2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