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industr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Standard-Specification, Construction Guideline, Deconstruction works, Photovoltaic System

1. 서 론

2000년대 초반 정부의 태양광발전설비의 정책적 지원에 의해 설치된 태양광 패널의 사용연한(20∼30년)이 도래하여 태양광 폐패널의 발생량이 증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의 규모 및 건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태양광발전설비의 특성 상 계통 측(한전 측) 개방 후에도 발전을 계속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해체 공사 수행 시 감전 사고와 같은 전기적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 태양광발전설비의 해체공사에 관한 전문적인 표준시방의 부재, 국가적 차원의 태양광해체공사 표준시방서의 필요성 대두와 현재 공사현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 이행제고를 위해, 태양광발전설비 해체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시 현장 작업자의 안전과 시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체 작업특성 및 작업자의 접근성 제고를 반영한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및 시공가이드를 개발하였다.

2.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및 시공가이드의 필요성

2.1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부재

국외에서는 현재 표 1과 같이 태양광발전설비 설치 시방서와 기술기준만이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국내의 경우 또한, 표 2와 같이 설치공사 표준시방서와 발주처별 전문시방서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외적으로 해체공사에 관한 표준시방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

표 1 국외 태양광발전설비 설치공사 표준시방서 및 기술기준

Table 1 Overseas Standard-Specification and standards of Installation Construction in PV

Nation

Institute

specifics

U.S.

D.O.E

Technical Specifications for On-site Solar Photovoltaic Systems

IEEE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Lead-Acid Batteries for Photovoltaic (PV) Systems etc.

ANSI

Solar Energy Standards

UL

Safety of Power Converters for Use in Photovoltaic Power Systems

Japan

MLIT

Standard Specification for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Europe

IEC

Photovoltaic devices

E.U

Photovoltaic devices Maximum power at STC etc.

표 2 국내 태양광발전설비 설치공사 표준 및 전문시방서

Table 2 Korea Standard and Owner's Basic Specification of Installation Construction in Photovoltaic System

Contents

Management institute

Standard - Specification

KICT

Owner's Basic Specific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LH

KRC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1-1.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1-2.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1-3.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1-4.png

2.2 태양광 폐패널의 발생량 증가

2004년 태양광주택 보급사업 및 재생에너지 3020 등 2000년대 초반 정부의 태양광발전의 정책적 지원에 의해 설치된 태양광 패널의 사용연한(20∼30년)이 도래할 예정이다[2]. 이에 따라 그림 1과 같이 ‵27년을 기점으로 태양광 폐패널의 누적 발생량이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3].

그림 1. 태양광 폐패널의 배출 용량 전망

Fig. 1. Perspective of Waste Photovoltaic Panel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fig1.png

2.3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의 전기적 위험성

태양광발전설비의 해체 공사는 설치공사와는 다르게 해체공사 수행 시 계통 측(한전 측) 개방 후에도 발전을 계속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태양광어레이의 개방전압을 측정한 결과, 그림 2와 같이 30kW 이하 용량의 태양광발전설비에서 태양광패널에서 DC 700V 수준의 전압이 흐르고 접촉 전류($I_{T}$)는 900㎃으로 계산된다[4].

그림 2. 태양광 어레이 측 직류 전압 측정 및 접촉전류 계산

Fig. 2. Measurement of DC voltage at photovoltaic array and calculation of contact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fig2-1.png../../Resources/kiee/KIEE.2024.73.10.1744/fig2-2.png

접촉전류 ($I_{T}$)는 (1)과 같이 접촉전압($V_{T}$)과 인체 총 임피던스의 값($Z_{T}$)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인체 총 임피던스의 값($Z_{T}$)는 KS C IEC 60479-1 규격을 참조하여 백분위 50%의 인구 평균 수치인 775[Ω]을 적용하였다.

(1)
$I_{T}=\dfrac{V_{T}}{Z_{T}}$

여기서, $V_{T}$ : 접촉전압, $Z_{T}$ : 주어진 상태의 인체 총 임피던스

또한, 국제 표준인 KS C IEC 60479-1을 참조하면, 그림 3과 같이 DC-4.1 범위로 접촉 시 감전으로 인한 심실세동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표 3과 같이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는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 크기의 전압을 특별저압(Extra Low Voltage)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전압의 크기를 AC 50V, DC 120V 이하로 규정함에 따라 측정된 태양광어레이의 개방전압 DC 700V는 안전조치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인체에 위험한 전압 레벨로 인식되어진다[5].

그림 3. 인체에 대한 직류접촉전류와 통전시간의 영역

Fig. 3. Area of direct contact current and current flow time to the human body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fig3.png

표 3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전압 레벨 구분

Table 3 Classification of Voltage Level in 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

구분

Extra Low Voltage

Low Voltage

High Voltage

Extra High Voltage

DC

120V

∼1500V

1500V∼

7000V∼

AC

50V

∼1000V

1000V∼

7000V∼

2.4 전기분야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개발 법적근거

전기분야 표준설계도서란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4조 제1항 제1호에 의거, 건축 표준설계도서에 따라 시공되는 건축물에 전기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설계도서로서 산업통상장원부장관이 인정한 설계도서이며, 전기사업자에 소속된 전력기술인과 전력기술인에게 발주하여 작성한 설계도서로 정하고 있다. 또한, 그 밖에 반복하여 시행되는 같은 종류의 전력시설물공사의 시공 표준화 및 자재 규격화를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인정한 설계도서라 정의하고 있다. 한편, 2024년 2월 6일 아래 표 4와 같이 전기공사에 해체공사도 포함하도록 전기공사업법이 개정됨에 따라 태양광발전설비를 해체하는 공사는 전기공사에 등록한 업체에서 수행하여야 하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8조에 의거, 감전위험이 있는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해체 등은 유자격자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표 4 전기공사업법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318조

Table 4 Electrical Construction Business Act and Regulation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in KOREA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4.png

3.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및 시공가이드 개발

3.1 해체공사 표준시방서 프레임워크

태양발전설비 해체공사의 경우 설치공사에 관한 표준 및 전문시방서와는 달리 국가건설기준센터의 표준시방서 및 발주기관의 해체공사 전문시방서가 전무한 상황으로 태양광발전설비 설치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발주처 및 시공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과 분과위원회를 거쳐 개발하였다.

특히 표준시방서 해체 시공방법은 그림 4와 같이 전기적 위험성을 고려하여, 우선 전력계통으로부터 개방되어야 하고, 수전설비, 접속반, 인버터, 태양광 어레이 및 구조물 등에 대한 해체에 대한 세부작업 방법에 대해 고려하였다. 또한, 전력시설물과 연계된 전압측정 및 결선분리 및 전력선 철거 등을 고려하여 시공방법을 작성하였다.

그림 4.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프레임워크

Fig. 4. Framework of Deconstruction works Standard-Specification Development in Photovoltaic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fig4.png

3.2 표준시방서 개발 종류 및 구성 체계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는 지상해체형의 나대지, 주차장, 영농형 3건과 건물해체형의 옥상슬리브, 판넬지붕형 2건으로 총 5건을 개발하였다.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의 구성은 표 5와 같이 총 3장과 부록 12로 구성하였다. 1장의 일반사항은 표준시방서의 목적, 적용범위 및 관련 법령 등 해체 시공 시 요구되는 일반사항 등을 수록하였다. 기존 표준시방서와 차별성을 둔 점은 2장의 기존 자재 대신 안전요구사항을 보강하였고, 3장은 해체공사에 대한 시공흐름에 따른 철거시공방법으로 개발하였다.

부록 1은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의 각 공종에 대한 순차적인 시공흐름도와 현장시공 사진을 기반한 일러스트 작업을 포함하여 각 전력설비의 해체에 대한 작업절차서를 수록하여 태양광발전설비 안전 및 품질을 확보하고 현장 작업자의 전반적인 이해도 제고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부록 2 부분에서는 공사현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 이행제고를 위해 산업안전보건기준 상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과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내용을 수록하였고, 태양광발전설비의 위험성평가방법과 작업공종별 위험성평가 체크리스트 및 현장 안전점검표 등을 수록하여, 태양광발전설비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강화하였다.

표 5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 표준시방서 구성체계

Table 5 Composition of Deconstruction works Standard-Specification in Photovoltaic System

Contents

specifics

1. General

Purpose, Related Acts, Definition of terms etc.

2. Safety Requirement

Safety gear and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

3. Deconstruction

Construction method in each site

4. Appendix 1

Construction flow chart and work procedure in each site

5. Appendix 2

Pre-check list, Risk Assessment, Site safety check list

3.3 시공가이드(시공흐름도 및 작업 절차서)

부록 1은 시공가이드를 제공하고 시공가이드는 표 6의 시공흐름도와 표 7의 작업절차도로 구성하고 있다. 시공흐름도는 현장에서 실제로 작업하는 순서로 배치하였다.

먼저 태양광발전설비의 전력을 계통에서 분리하기 위해 한국전력공사의 배전 책임분계점을 기준으로 전력 차단 → 케이블 헤드 해체 → 수전설비 해체 → 접속반 해체 → 인터버 해체 → 태양광 어레이 해체 → 구조물 해체 → 현장정리 순으로 제시하였다.

작업절차도는 시공흐름도를 기반하여 해체시공 작업순서별 현장 사진을 제시하였으며, 작업 순서별 주요작업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작업현장에서 필요한 안전포인트와 시공포인트를 제시하였다.

특히 태양광 광전효과에 의해 발전을 지속함에 따라 해체 시 전력설비의 개폐기, 차단기, 접속반의 결선 등을 기준으로 해체 순서를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현장 작업별 필요한 장비와 공구, 그리고 안전장구를 제시하였고, 사용되는 중장비에 대한 기준도 참고로 작성함으로서 작업에 대한 사전 준비와 작업계획에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표 6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 시공흐름도

Table 6 Construction Flow Chart of Deconstruction works in Photovoltaic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6.png

표 7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 작업절차서

Table 7 Work Procedure of Deconstruction works in Photovoltaic System

장비, 공구

안전장구

안전모, 보안경, 안전장갑, 안전화

작업순서

주요작업 포인트

중장비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1.png

1. 현장점검

- 설치형태 및 자재 확인

- 작업 공간 및 해체자재 적재장소 확보

스카이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2.png

2. 전력차단

- 한전 계통 연계 전력 차단

- 수배전반 OFF(계통 및 발전소 전압확인)

- 인버터 OFF(계통 및 발전소 전압확인)

- 접속반 OFF(계통 및 발전소 전압확인)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3.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4.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5.png

3. 전력설비 해체

- 접속반 해체(계통 및 발전소 전압 확인)

· DC개폐기 개방

· 플러스(+) 단자에 설치된 전력퓨즈(PF) 개방

· 접속반 내 DC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결선 분리

· 인버터와 연계된 개폐기 개방 후 전력선 철거

· 접속반 철거

- 인버터 해체(계통 및 발전소 전압 확인)

· 인버터 차단기 off

· 인버터 AC 단자대 전력간선 철거

· 인입 DC 전력간선 철거

· 인버터 철거

- 수배전반 해체(계통 및 발전소 전압 확인)

· 진공차단기(VCB) 및 교류 부하 개폐기(LBS)를 개방

·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MOF)를 해체

㉠ 현재 검침값 저장위해 작업 전 전력량계 검침

(한전 측 업무)

㉡ MOF 1,2차 인하도선 결선 분리

㉢ MOF 커버 봉인탈거 후 단선 결선 분리

㉣ MOF 철거

㉤ MOF의 한전 지급품인 DM, VAR 철거

· 디지털보호계전기 OFF 설정(오부동작 방지)

· 변압기(TR) 철거

㉠ PF 철거 및 변압기 2차측 부스바 연결부 철거

지게차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6.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7.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8.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9.png

4. 태양광 어레이 해체

- 계통전원 OFF 시에도 태양광 모듈은 발전

중이므로 작업자의 감전 위험이 존재, 전문가가

해체 작업 전 스트링 전압 확인

(전기공사업 등록업체가 전담하여 철거작업 진행)

- 태양광 스트링 해체 후, 각 모듈별 전압이 생성되므로 절연조치 필요

- 작업 전, 태양광모듈 차양막(햇빛 가리개) 설치

- 각 태양광모듈 직· 병렬연결 결선 철거

(1) 모듈결선 철거 시 DC전류에 의한 감전에

주의하며 모듈 커넥터가 소손된 경우 절단하여

철거

(2) 절단부 및 말단부는 절연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절연처리 실시

- 태양광모듈과 구조물 간 전력선 철거

(1) 모듈의 설치 높이가 높으면 렌탈 및 우마 사다리 등 안전사항 고려하여 작업 수행

(2) 사다리 작업 시 2인 1조를 원칙으로 안전에 유의해서 작업 수행

(3) 현장여건에 따라 안전망을 설치하여 낙상

사고에 대비

- 태양광발전설비 모듈의 볼트· 너트 해체

- 너트가 풀리지 않을 경우에는 절단작업 수행

- 해체한 모듈 적재 후 고정

(포장 및 밴딩)

- 모듈은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던지거나 바닥에 끌지 않고 이동

지게차

스카이

고소

작업차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10.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11.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12.p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tb7-13.png

5. 구조물 해체

- 모듈 지지용 퍼린 해체

- 구조물 거더 해체

- 구조물 기둥 해체

- 기초해체

- 기초앵커 철거 시 방수 마감 유의

- 주변정리

6. 현장 정리

- 지게차와 트럭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자재 반출

- 지면복구

㉠ 기초 콘크리트를 부신 후 폐기물 처리 업체 선정 후 처리

㉡ 콘크리트를 폐기한 후, 비어있는 지면에

토사 채워 넣음

㉢ 토사를 채워놓은 뒤 평탄화 작업 시행

스카이

지게차

고소

작업차

굴착기

3.4 시공가이드(위험성평가 및 안전점검표)

부록 2는 표 8과 같이 태양광발전설비의 위험성평가방법과 작업공종별 위험성평가 체크리스트 및 현장 안전점검표 등을 수록하였으며, 공사현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 이행제고를 위해 표 9와 같이 산업안전보건기준 상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과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내용을 수록함으로써, 태양광발전설비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강화하였다.

표 8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 위험성 평가

Table 8 Risk assessment form of Deconstruction works in Photovoltaic System

작업공정명 : 태양광발전공사

위험성평가

세부

작업

내용

유해· 위험요인파악

현재의

안전보건조치

위험성

위험성감소대책

개선후

위험성

가능성

(빈도)

중대성

(강도)

위험성

위험

분류

위험발생 상황

가설

공사

작업

환경

요인

지붕상부로 연결되는 가설통로 미확보로

이동 시 떨어짐 위험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를

통한 이동

2

3

6

(높음)

워킹타워 설치

2

(낮음)

지붕상부에서

작업간 경사로 인한 미끄러짐 위험

안전그네는 착용 고리를 걸 곳이 마땅치 않음

2

3

6

(높음)

가설 안전난간 설치 또는 안전고리 와이어 설치

2

(낮음)

지붕상부 일부 구간 채광창으로 계속 보행 및 작업이 불가

작업자가 채광창을 밟지 않고 뛰어 넘음

2

3

6

(높음)

보행로 발판 또는 채광창 덮개 설치

2

(낮음)

외부비계 작업 시 정해진 보행로 및 계단을 이용하지 않고 이동

구두경고 2회

작업중지

2

3

6

(높음)

보행로 및 계단 적극 활용 장려 및 추가 계단설치

안전고리를 비계에 걸고 이동과 작업 독려

2

(낮음)

구조물

보강

기계적

(설비)

요인

인양 장비를 불안전하게 거치하여 자재 인양

중 장비 전도 위험

작업반경에 따른

정격하중 검토

2

3

6

(높음)

양중 전 방호장치 작동상태 확인

아웃트리거 인출상태 확인

2

(낮음)

철골 지붕에 자재 양중 시 중량오버 주의

지붕강도에 따른

정격하중 검토

2

3

6

(높음)

양중 전 자재 묶음 무게 확인

지붕 양중 포인트 확인

2

(낮음)

인양 작업 중 자재의 추락에 대한 주의

신호수 배치

2

3

6

(높음)

강풍 및 고리 체결 확인

신호수 신호 및 동선 간 차량 및 보행자 통행금지

화학적

(물질)

요인

철골구조물 용접작업 시

불티 비산에 의한

화재발생 위험

-

2

3

6

(높음)

불티비산 방지포 설치

가연성 물품 이동 및 방호조치 시행

필요시 화재감시자 배치

3

(보통)

모듈

설치

작업

특성

요인

강풍으로 인한 지붕위에서 모듈 이송 중

딸려감 주의

작업자 교육

2

3

6

(높음)

지붕상부 자재적재계획 수립

안전고리 사용 필수 작업 동선을 고려한 와이어설치

3

(보통)

날씨

특성

요인

비, 눈, 서리 등의 작업 시 주의

작업 중지

안전그네 착용

2

3

6

(높음)

지붕 위 상태에 수시 확인

습기가 충분히 마르고 작업

작업 동선간 와이어 설치 및 안전고리 사용

3

(보통)

표 9 태양광발전설비 해체 공사 안전 체크 리스트

Table 9 Safety check list form of Deconstruction works in Photovoltaic System

사고유형

점검내용

구분

점검결과

조치사항

작업 전

작업 중

전도 및

추락

1

안전하게 철거하기 위한 이동통로를 확보하였는가?

2

강도가 약한 지붕재(채광판 등) 위 작업 전 위치파악 등 사전조사는 진행하였는가?

3

깨지기 쉬운 지붕재 위 작업 시 작업발판 또는 추락방지망을 설치하였는가?

4

고소작업대 탑승 시 안전대를 착용하였는가?

5

고소작업대 과상승 방지장치 등 방호장치는 정상 작동하는가?

6

지붕 위에 자재를 과적하지 않았는가?

7

지붕 단부에 안전난간 등을 설치하였는가?

8

지붕 위 안전대 부착설비가 설치되고, 작업자가 안전대를 부착한 상태로 이동 또는 작업하는가?

감전

1

지붕 위 작업 시 가공전선에 접촉위험은 없는가?

2

인양작업 시 고압선에 붐대가 접촉하지 않도록 신호수를 배치하였는가?

3

휴대용 전기기계기구의 감전방지조치는 실시하였는가?

화재

1

불꽃 발생 작업 구간에 비산방지포화 소화설비를 설치하였는가?

2

용접작업 반경 내 화기발생물질 반입을 금지하였는가?

장비

1

작업반경 내 다른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신호수를 배치하였는가?

2

작업반경에 따른 정격하중과 인양물의 하중을 검토하였는가?

3

장비가 전도되지 않도록 아웃트리거를 적절하게 설치하였는가?

※ 표시방법 : “○”(양호), “X”(불량), “-”(해당 없음)

4. 결 론

본 논문과 같이 태양광발전설비의 생애주기 만료 시점이 도래되면서, 해체에 대한 안전사고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태양광발전설비 해체공사 표준시방서를 개발하였다.

공사 수행 시 개발된 표준시방서에서 제시한 감전 등 전기적인 위험에 대해 안전요구사항, 시공절차에 따른 작업 방법, 이에 따른 작업현장의 주요작업 포인트 등을 포함한 시공가이드를 활용함으로써 전기공사 해체공사 작업자의 안전과 시공 품질이 확보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장상황과 기준 등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여 현장에 널리 보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3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설비안전기반구축사업(표준시방서)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의 말씀을 전달 드립니다.

References

1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KCSC), Standard, and Owner's Basic Specification. https://www.kcsc.re.kr/Search/ListCodes/5000URL
2 
Ji-hye Jo, Yang-won Suh, “Managem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waste solar panel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44, 2018. 5.ISBN: 979-11-5980-216-4 93530URL
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Solar Power Waste Panel Management Reinforcement Pl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2023. 1.URL
4 
Sun-woo Lee, Sun-ok Park, Ji-yong Hwang, Dong-gi Park, “A Study on Qualifications and Licenses Necessity Considering Electrical Risks in dismantlement of Solar Power Syste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pp. 1968-1969, 2021. 7.URL
5 
Korea Industrial Standards Commission, KS C IEC 60479-1, “Effects of current on human beings and livestock - Part 1: General aspects,” pp. 37, 2018.URL

저자소개

현소영(So-Yung Hyun)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nam Univ. in 2006 and his M.S, degree and Ph.D. Candidat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4 and 2016. He is currently a general manager in Electrical industr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왕종용(Jong-Yong Wang)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au2.png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 2016.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Electrical industr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김명훈(Myeong-Hoon Kim)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law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1, and 201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assistant researcher in Electrical industr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문원식(Won-Sik Moon)
../../Resources/kiee/KIEE.2024.73.10.1744/au4.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9, 2011, and 2016, respectively. He worked at LG Electronics from 2016 to 2019 in the field of Microgrid.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with Soonsil University since 2019.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applic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Microgrid Technologies to Powe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