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제10차 전기본의 전력계통 자료를 기반으로, PSS/E를 이용하여 수도권 지역에 3GW의 신규 분산형 양수발전이 연계되었을 때를 가정하고
수도권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를 분석한다. 또한, 제안한 PTDF와 GSF를 이용하여 혼잡도를 계산한 후, 그 효용성을 평가한다.
4.1 PSS/E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1은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분산형 양수발전이 연계되지 않았을 때, PSS/E를 이용한 신태백-신가평 #1, #2의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1과 같이, 신가평7은 신가평 765kV 모선, 신태백7은 신태백 765kV 모선을 의미한다.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에 흐르는 전력은 각각
4,158.1MW이었다.
그림 2는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분산형 양수발전이 연계되었을 때, PSS/E를 이용한 신태백-신가평 #1, #2의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1. PSS/E를 이용한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Fig. 1.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Sintaebaek-Singapyeong #1,
#2 tie-lines on summer peak in 2024 using PSS/E
그림 2. PSS/E를 이용한 양수발전 연계 시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Fig. 2.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Sintaebaek-Singapyeong #1,
#2 tie-lines connected PSP on summer peak in 2024 using PSS/E
그림 2와 같이,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에 흐르는 전력은 각각 3,847.3MW이었다.
그림 3은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분산형 양수발전이 연계되지 않았을 때, PSS/E를 이용한 아산-화성 #1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3과 같이, 화성3은 화성 345kV 모선, 아산3은 아산 345kV 모선을 의미한다. 아산-화성 #1 융통선로에 흐르는 전력은 1,609.6MW이었다.
그림 4는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분산형 양수발전이 연계되었을 때, PSS/E를 아산-화성 #1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4와 같이, 아산-화성 #1 융통선로에 흐르는 전력은 1,531.5MW이었다.
표 2는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PSS/E를 이용한 양수발전 미연계시와 연계시 수도권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와 혼잡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2와 같이, 양수발전이 연계되지 않았을 때,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의 혼잡도가 90.393%로 가장 높았고, 아산-화성 #1, #2 융통선로가
64.455%로 다음으로 높았다. 양수발전이 연계되었을 때,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의 혼잡도는 83.637%로 6.757% 감소하였고,
아산-화성 #1, #2 융통선로는 61.034%로 3.421% 감소하였다.
표 3은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PSS/E를 이용한 양수발전 미연계시와 연계시 수도권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와 혼잡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3과 같이, 양수발전이 연계되지 않았을 때, 신진천-신안성 #1, #2 융통선로의 혼잡도가 60.994%로 가장 높았고, 아산-화성 #1, #2 융통선로가
55.503%로 다음으로 높았다. 양수발전이 연계되었을 때, 신진천-신안성 #1, #2 융통선로의 혼잡도는 50.727%로 10.267% 감소하였고,
아산-화성 #1, #2 융통선로는 52.810%로 2.693% 감소하였다.
그림 3. PSS/E를 이용한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화성-아산 #1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Fig. 3.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Hwaseong-Asan #1 tie-lines
on winter peak in 2025 using PSS/E
그림 4. PSS/E를 이용한 양수발전 연계 시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화성-아산 #1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Fig. 4.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Hwaseong-Asan #1 tie-lines
connected PSP on winter peak in 2025 using PSS/E
표 2 PSS/E를 이용한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2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tie-lines on summer peak
in 2024 using PSS/E
수도권 융통선로
|
양수발전 미연계시
|
양수발전 연계시
|
북상조류
[MW]
|
혼잡도
[%]
|
북상조류
[MW]
|
혼잡도
[%]
|
신중부-신안성 #1,2
|
1559.4
|
33.900
|
1096.7
|
23.841
|
신태백-신가평 #1,#2
|
4158.1
|
90.393
|
3847.3
|
83.637
|
아산-화성 #1,2
|
1869.2
|
64.455
|
1770
|
61.034
|
신제천-신충주 #1,2
|
1232.1
|
42.486
|
1160.9
|
40.031
|
신온양-서서울 #1,2
|
1217.3
|
41.976
|
1073.5
|
37.017
|
신진천-신안성 #1,2
|
637.8
|
58.729
|
507.6
|
46.740
|
북당진-고덕 HVDC #1
|
884.1
|
58.356
|
898.4
|
59.300
|
표 4는 2025년 오프 피크의 경우, PSS/E를 이용한 양수발전 미연계시와 연계시 수도권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와 혼잡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3 PSS/E를 이용한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3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tie-lines on winter peak
in 2025 using PSS/E
수도권 융통선로
|
양수발전 미연계시
|
양수발전 연계시
|
북상조류
[MW]
|
혼잡도
[%]
|
북상조류
[MW]
|
혼잡도
[%]
|
신중부-신안성 #1,2
|
1650.7
|
35.885
|
1170.7
|
25.450
|
신태백-신가평 #1,#2
|
2483.9
|
53.998
|
2084.3
|
45.311
|
아산-화성 #1,2
|
1609.6
|
55.503
|
1531.5
|
52.810
|
신제천-신충주 #1,2
|
1051.6
|
36.262
|
993.4
|
34.255
|
신온양-서서울 #1,2
|
1350.5
|
46.569
|
1226.2
|
42.283
|
신진천-신안성 #1,2
|
662.4
|
60.994
|
550.9
|
50.727
|
북당진-고덕 HVDC #1
|
993.5
|
65.578
|
1003.2
|
66.218
|
표 4 PSS/E를 이용한 2025년 오프피크의 경우 융통선로의 북상 조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4 Simulation results of northward power flow of the tie-lines on off peak in
2025 using PSS/E
수도권 융통선로
|
양수발전 미연계시
|
양수발전 연계시
|
북상조류
[MW]
|
혼잡도
[%]
|
북상조류
[MW]
|
혼잡도
[%]
|
신중부-신안성 #1,2
|
283
|
6.152%
|
755.9
|
16.433%
|
신태백-신가평 #1,#2
|
2028.6
|
44.100%
|
1623.5
|
35.293%
|
아산-화성 #1,2
|
773
|
26.655%
|
695.4
|
23.979%
|
신제천-신충주 #1,2
|
771.1
|
26.590%
|
715
|
24.655%
|
신온양-서서울 #1,2
|
437.7
|
15.093%
|
322.2
|
11.110%
|
신진천-신안성 #1,2
|
232
|
21.363%
|
119.1
|
10.967%
|
북당진-고덕 HVDC #1
|
1003.1
|
66.211%
|
1000.2
|
66.020%
|
표 4와 같이, 양수발전이 연계되지 않았을 때,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의 혼잡도가 44.100%로 가장 높았고, 아산-화성 #1, #2 융통선로가
26.655%로 다음으로 높았다. 양수발전이 연계되었을 때,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의 혼잡도는 35.293%로 8.807% 감소하였고,
아산-화성 #1, #2 융통선로는 23.979%로 2.686% 감소하였다.
4.2 결과 및 고찰
양수발전을 신가평 모선에 설치한 경우, 수도권 융통선로에 대한 유효전력 변화량을 기반으로 PTDF 및 GSF의 혼잡도를 계산, 평가하였다. 표 5는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PTDF 및 GSF 결과를 나타낸다. 표 5와 같이, PTDF가 음수인 경우, 양수발전 설치로 인한 해당 선로의 전력 흐름이 감소함을 나타내고, PTDF가 양수인 경우, 양수발전 설치로 인한
해당 선로의 전력 흐름이 상승함을 나타낸다. 북당진-고덕 HVDC #1 융통선로를 제외한 모든 융통선로가 PTDF 음수값을 가지고 있으며, 신중부-신안성
#1, #2 융통선로의 PTDF가 –0.154로 가장 큰 혼잡처리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도권 융통선로의 PTDF의 평균은 –0.055로
양수발전 설치로 인한 혼잡처리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 2024년 하계 피크의 경우 PTDF 및 GSF 결과
Table 5 Results of PTDF and GSF on summer peak in 2024
수도권 융통선로
|
[MW]
|
[MW]
|
PTDF
|
GSF
|
신중부-신안성 #1,2
|
-462.7
|
3000
|
-0.154233
|
0.154233
|
신태백-신가평 #1,#2
|
-310.8
|
3000
|
-0.103600
|
0.103600
|
아산-화성 #1,2
|
-99.2
|
3000
|
-0.033067
|
0.033067
|
신제천-신충주 #1,2
|
-71.2
|
3000
|
-0.023733
|
0.023733
|
신온양-서서울 #1,2
|
-143.8
|
3000
|
-0.047933
|
0.047933
|
신진천-신안성 #1,2
|
-130.2
|
3000
|
-0.043400
|
0.043400
|
북당진-고덕 HVDC #1
|
14.3
|
3000
|
0.004767
|
-0.004767
|
표 6은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PTDF 및 GSF 결과를 나타낸다. 표 6와 같이, 북당진-고덕 HVDC #1 융통선로를 제외한 모든 융통선로가 PTDF 음수값을 가지고 있으며, 신중부-신안성 #1, #2 융통선로의 PTDF가
–0.160으로 가장 큰 혼잡처리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도권 융통선로의 PTDF의 평균은 –0.056으로 양수발전 설치로 인한 혼잡처리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6 2025년 동계 피크의 경우 PTDF 및 GSF 결과
Table 6 Results of PTDF and GSF on winter peak in 2025
수도권 융통선로
|
[MW]
|
[MW]
|
PTDF
|
GSF
|
신중부-신안성 #1,2
|
-480
|
3000
|
-0.160000
|
0.160000
|
신태백-신가평 #1,#2
|
-399.6
|
3000
|
-0.133200
|
0.133200
|
아산-화성 #1,2
|
-78.1
|
3000
|
-0.026033
|
0.026033
|
신제천-신충주 #1,2
|
-58.2
|
3000
|
-0.019400
|
0.019400
|
신온양-서서울 #1,2
|
-124.3
|
3000
|
-0.041433
|
0.041433
|
신진천-신안성 #1,2
|
-111.5
|
3000
|
-0.037167
|
0.037167
|
북당진-고덕 HVDC #1
|
9.7
|
3000
|
0.003233
|
-0.003233
|
표 7은 2025년 오프 피크의 경우, PTDF 및 GSF 결과를 나타낸다. 표 7과 같이, 신중부-신안성 #1, #2 융통선로를 제외한 모든 융통선로가 음수값을 가지고 있으며, 신중부-신안성 #1, #2 융통선로는 0.158로
혼잡처리 효과가 없으며, 신태백-신가평 #1, #2 융통선로는 –0.135로 가장 큰 혼잡처리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도권 융통선로의
PTDF의 평균은 –0.016으로 양수발전 설치로 인한 혼잡처리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7 2025년 오프 피크의 경우 PTDF 및 GSF 결과
Table 7 Results of PTDF and GSF on off peak in 2025
수도권 융통선로
|
$\Delta P_{ij}$[MW]
|
$\Delta P_{n}$[MW]
|
PTDF
|
GSF
|
신중부-신안성 #1,2
|
472.9
|
3000
|
0.157633
|
-0.157633
|
신태백-신가평 #1,#2
|
-405.1
|
3000
|
-0.135033
|
0.135033
|
아산-화성 #1,2
|
-77.6
|
3000
|
-0.025867
|
0.025867
|
신제천-신충주 #1,2
|
-56.1
|
3000
|
-0.018700
|
0.018700
|
신온양-서서울 #1,2
|
-115.5
|
3000
|
-0.038500
|
0.038500
|
신진천-신안성 #1,2
|
-112.9
|
3000
|
-0.037633
|
0.037633
|
북당진-고덕 HVDC #1
|
-2.9
|
3000
|
-0.000967
|
0.000967
|